''''''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74a2, #0099d5 20%, #0099d5 80%, #0074a2);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비텔스바흐 왕조 | 오토 1세 | 루트비히 1세 | 오토 2세 | 루트비히 2세, 하인리히 13세 | |
오버바이에른 공작 | 니더바이에른 공작 | |||||
비텔스바흐 왕조 | 루트비히 2세(1253년~1294년) | 하인리히 13세(1253년~1290년) | ||||
루돌프 1세(1294년~1317년), 루트비히 4세(1294년~1340년) | 오토 3세(1290년~1312년), 루트비히 3세(1290년~1296년), 슈테판 1세(1290년~1310년) | |||||
하인리히 14세(1310년~1339년) , 오토 4세(1310년~1334년) | ||||||
하인리히 15세(1312년~1333년) | ||||||
요한 1세(1339년~1340년) | ||||||
바이에른 공작 | ||||||
비텔스바흐 왕조 | 루트비히 4세 | 루트비히 5세, 슈테판 2세, 루트비히 6세, 빌헬름 1세, 알브레히트 1세, 오토 5세 | ||||
오버바이에른 공작 | 니더바이에른 공작 | |||||
비텔스바흐 왕조 | 루트비히 5세, 루트비히 6세, 오토 5세 | 슈테판 2세, 빌헬름 1세, 알브레히트 1세 | ||||
오버바이에른 공작 | 바이에른-란츠후트 공작 | 슈트라우빙-홀란트 공작 | ||||
비텔스바흐 왕조 | 루트비히 5세(1349년~1361년) | 슈테판 2세(1373년~1375년) | 빌헬름 1세(1349년~1389년) | |||
루트비히 6세(1349년~1351년) | 오토 5세(1373년~1379년) | 알브레히트 1세(1349년~1404년) | 알브레히트 2세(1387년~1397) | |||
오토 5세(1349년~1351년) | 요한 2세, 슈테판 3세, 프리드리히(1375년~1392년 ) | 빌헬름 2세(1404년~1417년) | ||||
마인하르트 3세(1361년~1363년) | 요한 3세(1404년~1425년) | |||||
바이에른-잉골슈타트 공작 | 바이에른-란츠후트 공작 | 바이에른-뮌헨 공작 | ||||
비텔스바흐 왕조 | 슈테판 3세(1392년~1413년) | 프리드리히(1392년~1393년) | 요한 2세(1392년~1397년) | |||
루트비히 7세(1413년~1443년) | 하인리히 16세(1393년~1450년) | 에른스트(1397년~1438년) | 빌헬름 3세(1397년~1435년) | |||
루트비히 8세(1443년~1445년) | 루트비히 9세(1450년~1479년) | 아돌프(1435년~1441년) | ||||
게오르크(1479년~1503년) | 알브레히트 3세(1438년~1460년) | |||||
요한 4세(1460년~1463년) | 지기스문트(1460년~1467년) | |||||
알브레히트 4세(1465년~1508년) | ||||||
바이에른 공작 | ||||||
비텔스바흐 왕조 | 알브레히트 4세 | 빌헬름 4세 | 알브레히트 5세 | 빌헬름 5세 | ||
루트비히 10세 | ||||||
막시밀리안 | ||||||
바이에른 선제후 · 바이에른 국왕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d0a0a, #CC0D0D 20%, #CC0D0D 80%, #ad0a0a);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비텔스바흐 왕조 | 룩셈부르크 왕조 | |||
루트비히 1세 | 루트비히 2세 | 오토 7세 | 벤첼 | 지기스문트 | |
룩셈부르크 왕조 | 호엔촐레른 왕조 | ||||
요프스트 | 지기스문트 | 프리드리히 1세 | 프리드리히 2세 | 알브레히트 3세 아킬레스 | |
호엔촐레른 왕조 | |||||
요한 치체로 | 요아힘 1세 네스토어 | 요아힘 2세 헥토어 | 요한 게오르크 | 요아힘 프리드리히 | |
요한 지기스문트 | 게오르크 빌헬름 |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 프리드리히 3세 |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 | |
프리드리히 4세 |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 프로이센 공작 · 프로이센 국왕 북독일 연방 · 독일 제국 · 프로이센 자유주 총리 | }}}}}}}}} |
<colbgcolor=#CDE9FF><colcolor=#000> 바이에른의 공작 루트비히 5세 Ludwig V. der Brandenburger | |
| |
출생 | 1315년 5월 |
사망 | 1361년 9월 18일 (향년 46세) |
바이에른 공국 초르네딩 | |
재위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
1323년 ~ 1351년 | |
바이에른 공국의 공작 | |
1347년 ~ 1349년 | |
오바이에른 공국의 공작 | |
1349년 ~ 1361년 | |
티롤 백작 | |
1342년 ~ 1361년 | |
배우자 | 덴마크의 마르그레테 (1324년 결혼/1340년 사망) |
티롤 여백작 마르가레테 (1342년 결혼) | |
자녀 | 베아트릭스, 헤르만, 마인하르트 3세 |
아버지 | 루트비히 4세 |
어머니 | 실레지아의 베아트릭스 |
형제 | 마틸다, 아나, 아그네스, 슈테판 2세 |
종교 | 가톨릭 |
1. 개요
바이에른 공국의 공작이자 초대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바이에른의 공작으로는 루트비히 5세로 불리고 브란덴부르크 선제후로는 루트비히 1세로 불린다.2. 생애
독일왕이자 바이에른 공작 루트비히 4세와 첫번째 부인 슈바이트니츠의 베아트릭스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날 무렵 루트비히 4세는 합스부르크 가문과 한참 독일왕위를 두고 경쟁중이었고 뮐도르프 전투에서 승리하여 패권을 굳히자 아스카니아 가문의 브란덴부르크 가계가 절손된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에 눈독을 들였다. 그는 작센비텐베르크 공작 루돌프 1세가 제기한 주장을 무시하고 자신의 장남에게 브란덴부르크를 넘겨주었다. 북독일에서 비텔스바흐 가문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덴마크 국왕 크리스토페르 2세의 딸 마르그레테(Margrethe af Danmark 1308~1340)와 결혼했으나 외교적 지원은 커녕 브란덴부르크 내에서도 비텔스바흐 가문은 지지를 받지 못했다.1336년 리투아니아 대공국 십자군에 참여했으며, 1338년 렌스 선언에 참여하여 교황 베네딕토 12세의 간섭에 맞서 아버지의 권리를 강조하였다. 1340년, 처남 발데마르 4세의 덴마크 국왕 즉위를 지지했으며 발데마르 4세가 덴마크를 안정시키는데 성공하자 같은해 마르그레테가 사망했음에도 불구하고 덴마크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나갔다.
1342년, 전 보헤미아 국왕이자 케른텐 공작 하인리히의 딸인 티롤 여백작 마르가레테 마울타슈(Margarete Maultasch 1318~1369)와 재혼했으며 이후 바이에른과 티롤에서 머물렀다. 이는 가계가 단절되기 직전인 마인하르트 가문의 영지 중 티롤을 노린 결혼이었으나 그녀는 여전히 전 남편인 모라바 변경백 얀 인드르지흐(보헤미아 국왕 얀 루쳄부르스키의 아들로 카를 4세의 동생)와 이혼하지 않은 상태라 중혼 상태였다. 루트비히 4세는 윌리엄 오컴 등을 초빙하여 이 결혼식의 정당성을 알리려했지만 교황 클레멘스 6세는 이 결혼을 무효로 선언하는 한편 부부를 파문하였다. 이 스캔들은 유럽 전역에 알려졌고 브릭센과 트리엔트 주교들이 루트비히 4세에 반대한 탓에 거금을 주고 이들의 지지를 확보하는 등 신성 로마 제국에서 비텔스바흐 가문의 영향력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은 난관에 부딪혔다.
1347년, 루트비히 4세가 사망하자 바이에른 공국과 홀란트, 젤란트, 에노 백국을 물려받았다. 1349년 9월 12일, 이 영지들을 분할하여 그와 루트비히 6세, 오토 5세는 오버바이에른을, 슈테판 2세와 알브레히트 1세, 빌헬름 1세는 니더바이에른과 홀란트, 젤란트, 에노를 받았다. 여전히 교황의 파문이 유효한 상황에서 그는 황제선거에 참여할 수 없었고 비텔스바흐 가문의 지지 세력은 베틴 가문의 마이센 변경백이자 튀링겐 방백으로 루트비히 5세의 매부인 프리드리히 2세(Friedrich II von Meißen 1310~1349)를 지지하자고 요청했으나, 그는 다른 선제후들을 불신하여 이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황제선거 출마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잉글랜드 국왕 에드워드 3세와 협상하여 보헤미아 국왕 카렐 1세에게 저항했고 실제로 에드워드 3세는 1348년 1월, 란슈타인에서 대립왕으로 선출되었으나 불과 4개월만에 자진퇴위했다. 이에 친척인 라인 궁정백 루돌프 2세, 작센라우엔부르크 공작 에리히 1세 등의 지지를 확보하여 귄터 폰 슈바르츠부르크를 대립왕으로 선출했으나 귄터는 엘트빌레에서 대패하고 역시 자진사임하였다.
독일왕 카를 4세가 된 보헤미아 국왕 카렐 1세와의 대립은 계속되었다. 1348~1350년 사이 벌어진 가짜 발데마르 사건을 덴마크 및 포메른 공국과 협력하여 진압했으나 이 사이에 비텔스바흐 가문의 지지자 상당수가 브란덴부르크에서 추방당했다. 1350년, 바우첸 조약으로 브란덴부르크에서의 내전은 끝났지만 브란덴부르크는 황폐화되었다. 1351년 12월, 동생 루트비히 6세와 오토 5세에게 브란덴부르크를 넘겨버리고 오버바이에른에 대한 단독 통치권을 얻어 뮌헨과 메란에 거주하며 오버바이에른과 티롤의 행정을 통합했다. 부친과 달리 합스부르크 가문과 우호적이었던 그는 1352년 스위스 동맹과 합스부르크 가문의 갈등을 중재하는데 기여하였으며 아들 마인하르트 3세를 오스트리아 공작 알브레히트 2세[1]의 딸 마르가레테와 결혼시켰다. 알브레히트 2세의 지원으로 그와 마르가레테 마울타슈의 파문이 해제되었다.
1361년, 티롤에서 뮌헨으로 가던 도중 뮌헨 근처 초르네딩에서 급사했으며 유해는 뮌헨 프라우엔키르헤에 안장되었다. 아들 마인하르트 3세가 오버바이에른을 계승했지만 2년 만에 사망했고, 미망인인 된 마르가레테 마울타슈는 자신의 영지였던 티롤을 오스트리아 공작 루돌프 4세에게 넘겨주었다.
3. 가족관계
3.1. 조상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바이에른 공작 루트비히 5세 (Louis V, Duke of Bavaria) | <colbgcolor=#fff3e4,#331c00> 루트비히 4세 (Ludwig IV) | <colbgcolor=#ffffe4,#323300> 바이에른 공작 루트비히 2세 (Louis II, Duke of Bavaria) | |
바이에른 공작 오토 2세 (Otto II, Duke of Bavaria) | |||
팔츠의 아그네스 (Agnes of the Palatinate) | |||
합스부르크의 마틸다 (Matilda of Habsburg) | |||
루돌프 1세 (Rudolph I) | |||
호엔베르크의 게르트루트 (Gertrude of Hohenberg) | |||
실레지아의 베아트릭스 (Beatrice of Silesia) | |||
볼코 1세 (Bolko I the Strict) | |||
볼레스와프 2세 로가트카 (Bolesław II Rogatka) | |||
안할트의 헤드비히 (Hedwig of Anhalt) | |||
브란덴부르크의 베아트리스 (Beatrice of Brandenburg) | |||
브란덴부르크잘츠베델 변경백 오토 5세 (Otto V, Margrave of Brandenburg-Salzwedel) | |||
헤네베르크코부르크의 유디트 (Judith of Henneberg-Coburg) |
3.2. 자녀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덴마크의 마르그레테 (Margrete of Denmark) | ||||
1녀 | 스웨덴의 왕비 베아트릭스 (Beatrix, Queen of Sweden) | 1344년 | 1359년 12월 25일 | 에리크 12세 |
티롤 여백작 마르가레테 (Margaret, Countess of Tyrol) | ||||
1남 | 바이에른의 헤르만 (Hermann of Bavaria) | 1343년 | 1360년 | |
2남 | 오버바이에른 공작 마인하르트 3세 (Meinhard, Duke of Upper Bavaria) | 1344년 2월 9일 | 1363년 1월 13일 |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