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고려화학}}}에 대한 내용은 [[KCC]]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KCC#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KCC#|]]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건강기능식품회사}}}에 대한 내용은 [[고려은단]]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고려은단#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고려은단#|]]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고려화학: }}}[[KCC]]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KCC#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KCC#|]]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건강기능식품회사: }}}[[고려은단]]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고려은단#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고려은단#|]]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2f2f2,#fff><colcolor=#000> 삼성 | <colbgcolor=#fff,#1c1d1f>삼성전자★ | 삼성바이오로직스★ | 삼성디스플레이★ | 삼성전기★ | 삼성SDI★ | 삼성화재 | 삼성생명 |
| SK | SK텔레콤★ | SK주식회사 | SK하이닉스 | SK아이이테크놀로지 | SK주식회사 머티리얼즈 | SK실트론 | SKC | |
| 현대자동차★ | 기아★ | 현대모비스 | 현대위아 | ||
| LG | LG에너지솔루션★ | LG이노텍★ | LG전자 | |
| 롯데 | 롯데케미칼★ | 롯데웰푸드 | 롯데칠성음료 | |
| 금융기관 | KB금융그룹 | 신한금융그룹 | 미래에셋그룹 | |
| 공기업 | 인천국제공항 | 한국수자원공사 | |
| 기타 | KT★ | 고려아연★ | HD현대사이트솔루션 | LS일렉트릭 | 카카오 | 네이버 | 아모레퍼시픽 | |
| 출처 / (★ 표시는 Gold Member) | ||
| [[대한민국|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25년 9월 15일 기준 한국거래소 집계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순위 | 기업명우선주 제외 | 시가총액 | |
| 1 | 삼성전자 | 458조 8,523억원 | |
| 2 | SK하이닉스 | 256조 9,848억원 | |
| 3 | LG에너지솔루션 | 83조 1,870억원 | |
| 4 | 삼성바이오로직스 | 74조 210억원 | |
| 5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50조 8,415억원 | |
| 6 | KB금융 | 45조 6,229억원 | |
| 7 | HD현대중공업 | 44조 2,534억원 | |
| 8 | 현대자동차 | 44조 229억원 | |
| 9 | 기아 | 40조 484억원 | |
| 10 | 셀트리온 | 39조 2,597억원 | |
| 11 | 두산에너빌리티 | 37조 6,650억원 | |
| 12 | 네이버 | 36조 7,035억원 | |
| 13 | 신한금융지주 | 33조 9,361억원 | |
| 14 | 한화오션 | 33조 5,523억원 | |
| 15 | 삼성물산 | 33조 2,984억원 | |
| 16 | 삼성생명 | 32조 1,200억원 | |
| 17 | HD한국조선해양 | 29조 1,231억원 | |
| 18 | 현대모비스 | 28조 4,106억원 | |
| 19 | 카카오 | 28조 3,056억원 | |
| 20 | SK스퀘어 | 26조 5,744억원 | |
| 21 | 하나금융지주 | 25조 8,814억원 | |
| 22 | HMM | 24조 372억원 | |
| 23 | 한국전력공사 | 23조 6,243억원 | |
| 24 | 현대로템 | 23조 4,656억원 | |
| 25 | 포스코홀딩스 | 23조 659억원 | |
| 26 | 메리츠금융지주 | 22조 1,130억원 | |
| 27 | 삼성화재 | 21조 6,252억원 | |
| 28 | HD현대일렉트릭 | 21조 4,120억원 | |
| 29 | 고려아연 | 21조 845억원 | |
| 30 | LG화학 | 20조 7,189억원 | |
| 31 | 우리금융지주 | 19조 6,415억원 | |
| 32 | 삼성중공업 | 19조 80억원 | |
| 33 | SK이노베이션 | 18조 886억원 | |
| 34 | SK | 16조 8,931억원 | |
| 35 | KT&G | 16조 6,737억원 | |
| 36 | 삼성SDI | 16조 2,380억원 | |
| 37 | 기업은행 | 15조 9,405억원 | |
| 38 | 크래프톤 | 15조 2,369억원 | |
| 39 | 삼성전기 | 14억 1,171억원 | |
| 40 | 현대글로비스 | 13조 7,475억원 | |
| 41 | 효성중공업 | 13조 2,782억원 | |
| 42 | 미래에셋증권 | 13조 317억원 | |
| 43 | KT | 13조 295억원 | |
| 44 | HD현대 | 12조 9,786억원 | |
| 45 | 삼성에스디에스 | 12조 9,685억원 | |
| 46 | LG전자 | 12조 5,585억원 | |
| 47 | LG | 12조 2,027억원 | |
| 48 | 삼양식품 | 12조 378억원 | |
| 49 | 카카오뱅크 | 12조 202억원 | |
| 50 | 하이브 | 11조 9,333억원 | |
| [[미국| | }}}}}}}}} | ||
| <colcolor=#ffffff> 고려아연 주식회사 高麗亞鉛 株式會社 | Korea Zinc Company, Ltd. | |
| | |
| <colbgcolor=#0c3482> 국가 | |
| 설립일 | 1974년 8월 1일 |
| 업종명 | 연 및 아연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
| 거래소 | 유가증권시장 (010130 / 1990년 7월~ ) |
| 편입 지수 | 코스피지수 KRX100 KOSPI200 |
| 시가총액 | 15조 1,341억원 (2025년 5월 말) |
| 매출액 | 12조 529억원 (2024년 연결) 8조 890억원 (2024년 별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ff,#1c1d1f> 아연 2조 5,605억원 (31.65%) |
은 2조 3,386억원 (29.47%) | |
연 1조 4,206억원 (17.56%) | |
금 7,482억원 (9.25%) | |
동 3,894억원 (4.81%) | |
기타 5,867억원 (7.25%) | }}}}}}}}} |
| 영업이익 | 7,235억원 (2024년 연결) 8,139억원 (2024년 별도) |
| 순이익 | 1,948억원 (2024년 연결) 4,292억원 (2024년 별도) |
| 직원 수 | 1,944명 (2024년 말) |
| 종속회사 | 79개사 (2024년 말) |
| 본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33 그랑서울 타워1 |
| 링크 | |
1. 개요
| 산업의 쌀, 아연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하는 국내 기업. 고려아연 이야기 [브랜드 스토리] |
2. 사업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비철금속 제련 사업 규모를 자랑한다.주력 제품은 회사 이름에도 쓰여 있는 아연괴를 비롯하여 납과 금, 은, 동 등이 있다. 1978년 아연 제련공장을 준공하면서 본격적으로 아연산업에 뛰어들었고, 2006년 수출 10억달러를 달성했다. 2010년 실적에서는 수출 25억달러를 달성했다. 2016년 제2비철 완공. 2021년부로 영업이익 1조원 클럽에 최초 진입했다.#
3. 지배 구조
| <rowcolor=#fff> 주주명 | 지분율 | 비고 |
| <rowcolor=#fff> 장씨 일가 측 | ||
YPC | 25.42% | |
한국기업투자홀딩스 | 5.32% | [1] |
장형진 및 친인척 | 5.03% | |
에이치씨 | 1.05% | [2] |
코리아써키트 | 0.60% | |
테라닉스 | 0.50% | |
씨케이 | 0.44% | |
시그네틱스 | 0.06% | |
영풍전자 | 0.05% | |
| <rowcolor=#fff> 최씨 일가 측 | ||
최윤범 및 친인척 | 11.81% | |
한화 | 7.75% | [3] |
HMG글로벌 | 5.05% | [4] |
LG화학 | 1.89% | [5] |
영풍정밀 | 1.85% | [6] |
유미개발 | 1.51% | [7] |
트라피구라 | 1.49% | [8] |
한국타이어 | 0.75% | [9] |
해주최씨준극경수기호종중 | 0.43% | |
조선내화 | 0.19% | [10] |
경원문화재단 | 0.04% | |
| <rowcolor=#fff> 기타 | ||
국민연금 | 4.51% | [11] |
한국투자증권 | 0.77% | [12] |
모건 스탠리 | 0.48% | [13] |
| <rowcolor=#fff> 2024년 10월 기준 | ||
4. 가문 간 경영권 분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여담
- 취준생들 사이에서 14~15년부터 이른바 고삼동풍으로 불리는 기업이다.
- '현금 부자 기업'으로 유명했다. 2021년 6월 말 기준 현금성자산은 1조 8,893억원으로 차입금 1,945억원 대비 10배에 달하는 사실상의 무차입경영을 한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신규 시설 투자도 자체 현금으로 처리했다. 다만 2022년 △이차전지 소재 △신재생에너지 및 수소 △자원 순환 등 3대 신사업 전략 '트로이카 드라이브' 추진을 본격화하면서 2021년 말 별도기준 0.3%였던 차입금의존도는 2023년 말 4.0%로 2년새 3.7%포인트 상승했다. 2024년 9월 이후 MBK·영풍의 적대적 M&A 시도에 대항하기 위하여 자기주식을 공개매수하는 과정에서 대규모 차입을 실행했고 총차입금은 2024년 말 별도기준 4조 713억원까지 급증했다. 이에 고려아연은 2025년 4월에 2·3년물 공모채를 발행하여 7,000억원을 조달했다. 확보한 자금은 대항 공개매수 과정에서 발행했던 사모사채를 갚는데 쓰였다. 채무 상환을 계기로 이자비용을 크게 줄이는 한편 당기순이익 회복에 청신호가 켜질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 주력 상품은 회사명에 걸맞게 2019년 기준으로 650,000톤을 생산한 아연이다. 그 다음은 각각 413,000톤인 납, 25,800톤의 동 순서이다. 그런데 의외로 금과 은도 많이 생산한다. 금은 7,560kg, 은은 2,080톤을 생산하였다. 금과 은은 아연제련 과정에서 부산물로 나오게 되기 때문인데. 이 덕분에 고려아연은 세계 제1위의 은 생산 기업이다.
- 한국바둑리그에 2022-23 시즌부터 사업장이 있는 울산광역시를 연고로 '울산 고려아연' 팀을 만들어 참가 중이다. 2023-24 시즌에 정규리그 2위를 차지하고 포스트시즌에선 3위 한국물가정보와 1위 원익을 꺾고 최종 우승을 차지하여 창단 첫 우승을 달성했다.
- 경영권 분쟁이 벌어지는 가운데 고려아연의 백기사로 한화가 거론되며 고려아연 최윤범 회장과 한화 김동관 부회장이 미국 세인트폴 고등학교 동문이라는 점이 언론을 통해 언급되었다. 세인트폴 고등학교 국내 동문으로는 효성그룹 조현준 회장 등이 있으며, 영풍과 함께 하는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도 자녀가 세인트폴 고등학교를 졸업하여 동문 학부모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부울경을 근거지로 하는 고려제강과 사명이 유사하여 종종 헷갈리는 사람들이 있다. 고려제강은 1945년에 설립된 중견기업으로 와이어로프, 경강선 등 특수선재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고려아연은 1974년에 설립된 대기업으로 아연, 연 등 기초금속 뿐 아니라 금·은 등 귀금속, 안티모니·인듐·비스무트 등 전략광물(희소금속), 반도체 세정 공정에 쓰이는 반도체황산 제품 등을 생산하는 비철금속 제련업을 영위하고 있다.
[1] MBK파트너스와 영풍이 고려아연 주식 공개매수를 위해 공동설립한 투자목적회사. 2024년 10월 14일 공개매수를 통해 고려아연 지분 5.32%를, 영풍도 0.02%를 취득했다.[2] 장형진의 개인회사.[3] 지주사인 한화와 한화임팩트, 임팩트 자회사인 H2에너지 3사를 통해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2022년 8월 19일, 제3자배정 유상증자 방식으로 의무보유기간 1년이 유효한 신주 5%를 4,718억원에 한화H2에너지에 매각하고 신재생에너지/수소 분야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또한 동년도 9월에는 고려아연의 호주 자회사 아크에너지와 한화의 HPSG의 3,240만 달러 규모의 신주를 맞교환했기 때문에 현 고려아연 경영진 측의 우군으로 분류된다.[4] 현대자동차그룹의 해외법인으로 2023년 9월 13일 5,272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지분 5%를 취득하여 우군으로 분류된다.[5] 2022년 11월 지분을 맞교환하고 전구체 사업 합작법인을 설립하여 현 경영진의 우군으로 분류된다.[6] 영풍이지만, 최씨 일가가 경영권을 갖고 있다.[7] 명예회장인 최창근이 운영하는 기업.[8] 세계 최대 원자재 중개 업체 중 하나로, 2022년 고려아연의 지분 1.49%에 달하는 자사주를 2,000억원에 사들였다. 이후 2024년 고려아연 현 경영진에 호평을 보내며 지지를 선언했다.[9] 2021년 4월 주식 0.22%를 400억원에, 고려아연과 영풍의 갈등이 수면 위로 올라온 2022년 3분기 지분 0.56%를 550억원에 매입하면서 현 경영진의 우군으로 분류된다.[10] 고려아연과 영풍의 갈등이 수면 위로 올라온 2022년 3분기에 지분 0.21%를 210억원에 매입하며 현 경영진 우군으로 분류된다.[11] 경영권 분쟁의 향방을 결정지을 캐스팅보드로 평가받고 있다. 2025년 1월 7일 공시된 자료를 보면 2024년 10월 28일 지분2.98%를 처분하여 현재는 4.51%를 보유하고 있다[12] 2022년 고려아연의 지분 0.77%에 달하는 자사주를 1,045억원에 사들였다.[13] 트라피구라, 한국투자증권과 함께 2022년 고려아연의 자사주 매각 당시 투자자로 합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