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4 11:28:29

죽을 사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죽을 사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죽을 사'를 한자권 나라에서 금기시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은 4자 금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죽을 사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2획
총획수
<colbgcolor=#fff,#1f2023>
6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し-ぬ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 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 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파일:Juk-ull Sa hweksun.gif
획순
1. 개요2. 용례3. 유의자4. 상대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6. 인터넷 은어7. 관련 문서8. 여담

[clearfix]

1. 개요

死은 '죽을 사'라는 한자로, '죽음'을 뜻한다. 죽음을 의미하는 다른 한자인 (몰), (붕), (서) 등과 달리 하층민의 죽음을 뜻했다. 존비의 개념에서는 가장 낮은 수준의 한자이기 때문에 윗사람의 죽음을 나타낼 때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한자 문화권에서는 숫자 4와 음이 같기에 숫자 4가 안 좋은 의미를 가지게 된 원인을 제공한 한자다.[1] 참고로 표준 중국어에서 si(쓰)라는 발음을 가진 한자 중 3성(sǐ)인 글자는 死밖에 없다고 한다.

갑골문을 보면, 시체(歹, 뼈마디에 살점이 붙어 있는 모양의 상형) 옆에서 꿇어앉아 있는 사람이 소리 내어 우는 것(口)을 나타냈다. 口는 생략되고, 꿇어앉은 사람은 匕로 변했다.

참고로 死를 포함해 (뼈 알)이 부수인 한자들은 다를 수/뛰어날 수(殊)[2], 불릴 식(殖), 남을 잔(殘)[3] 자 정도를 제외하면 전부 다 뜻이 나쁘다.

유니코드에는 U+6B7B 에 배정되었다.

2. 용례

상도에서 임상옥이 석숭 스님의 세 가지 선물을 받았다: 死가 쓰인 종이, 鼎이 쓰인 종이, 그리고 계영배(戒盈杯)이다. 임상옥은 죽을 사 자를 보고, 약령시에서 홍삼을 불태우는 결단을 할 수 있었다(36화).

2.1. 단어

2.2. 고사성어/숙어

2.3. 인명

2.4. 창작물

2.5. 기타

3. 유의자

  • 歿(죽을 몰)
  • (잃을 상)
  • (죽을 에)
  • (죽을 운)
  • (죽을 폐)
  • (훙서 훙)

4. 상대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인터넷 은어

7. 관련 문서

8. 여담

파일:死 우회적 용례.jpg
위 예처럼 방송에서 '죽다'를 직접적으로 말하는 대신 '죽' 부분을 死로 대체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1] 같은 이유로, 일본의 차량 번호판에서도 용도 기호에 ‘し’가 쓰이지 않는다.[2] 歹 부수 중에서 보기 드물게 긍정적인 뜻을 가진 한자. 그러나 '베어 죽이다'라는 뜻도 존재한다.[3] '잔인할 잔' 및 '해칠 잔'이라는 부정적인 뜻도 존재하지만, 중립적인 의미의 남을 잔(殘)이 더 많이 쓰인다.[4] 재플리시인 데드 볼 (Dead Ball)에서 왔다. 원어는 몸에 맞는 투구 (Hit By a Pitched Ball).[5] ex) '사마귀' → '死마귀' / '4호선' → '死호선' 등. 근데 사실 호성드립 훨씬 이전에도 '사랑해'를 '4랑해'라고 쓴다든지, '사로잡다'를 표현하기 위해 특정 단어를 4로 포위하는 식의 개그가 있긴 했었다. 심지어 언론에서도 제목을 뽑을 때 종종 활용하기도 하며, 4월역이라는 광고 카피도 있다(...)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