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역대 우승팀
- V-리그 챔피언결정전 문서 참조.
1.1. 남자부
1.1.1. 역대 전적
연도 | 우승팀 | 감독 | 전적 | 승패 현황 | 준우승팀 | 감독 | MVP |
2005 | 삼성화재 | 신치용 | 3승 1패 | OXOO | 현대캐피탈 | 김호철 | 김세진 (삼성화재 라이트) |
2005-06 | 현대캐피탈 | 김호철 | 3승 2패 | XOOXO | 삼성화재 | 신치용 | 숀 루니 (현대캐피탈 레프트) |
2006-07 | 현대캐피탈 | 김호철 | 3승 | OOO | 삼성화재 | 신치용 | 숀 루니 (현대캐피탈 레프트) |
2007-08 | 삼성화재 | 신치용 | 3승 | OOO | 현대캐피탈 | 김호철 | 안젤코 (삼성화재 라이트) |
2008-09 | 삼성화재 | 신치용 | 3승 1패 | OXOO | 현대캐피탈 | 김호철 | 최태웅 (삼성화재 세터) |
2009-10 | 삼성화재 | 신치용 | 4승 3패 | OXOOXXO | 현대캐피탈 | 김호철 | 가빈 (삼성화재 라이트) |
2010-11 | 삼성화재 | 신치용 | 4승 | OOOO | 대한항공 | 신영철 | 가빈 (삼성화재 라이트) |
2011-12 | 삼성화재 | 신치용 | 3승 1패 | OOXO | 대한항공 | 신영철 | 가빈 (삼성화재 라이트) |
2012-13 | 삼성화재 | 신치용 | 3승 | OOO | 대한항공 | 김종민 | 레오 (삼성화재 레프트) |
2013-14 | 삼성화재 | 신치용 | 3승 1패 | XOOO | 현대캐피탈 | 김호철 | 레오 (삼성화재 레프트) |
2014-15 | OK저축은행 | 김세진 | 3승 | OOO | 삼성화재 | 신치용 | 송명근 (OK저축은행 레프트) |
2015-16 | OK저축은행 | 김세진 | 3승 1패 | OOXO | 현대캐피탈 | 최태웅 | 시몬 (OK저축은행 라이트) |
2016-17 | 현대캐피탈 | 최태웅 | 3승 2패 | XOXOO | 대한항공 | 박기원 | 문성민 (현대캐피탈 라이트) |
2017-18 | 대한항공 | 박기원 | 3승 1패 | XOOO | 현대캐피탈 | 최태웅 | 한선수 (대한항공 세터) |
2018-19 | 현대캐피탈 | 최태웅 | 3승 | OOO | 대한항공 | 박기원 | 전광인 (현대캐피탈 레프트) |
1.1.2. 우승횟수
팀 | 우승 | 준우승 | 우승 연도 | 준우승 연도 |
삼성화재 | 8 | 3 | 2005,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 2006, 2007, 2015 |
현대캐피탈 | 4 | 7 | 2006, 2007, 2017, 2019 | 2005, 2008, 2009, 2010, 2014, 2016, 2018 |
OK저축은행 | 2 | 0 | 2015, 2016 | - |
대한항공 | 1 | 5 | 2018 | 2011, 2012, 2013, 2017, 2019 |
1.2. 여자부
1.2.1. 역대 전적
연도 | 우승팀 | 감독 | 전적 | 승패 현황 | 준우승팀 | 감독 | MVP |
2005 | KT&G | 김형실 | 3승 1패 | XOOO | 한국도로공사 | 김명수 | 최광희 (KT&G 레프트) |
2005-06 | 흥국생명 | 김철용[1] | 3승 2패 | XOXOO | 한국도로공사 | 김명수 | 김연경 (흥국생명 레프트) |
2006-07 | 흥국생명 | 황현주 | 3승 1패 | XOOO | 현대건설 | 홍성진 | 김연경 (흥국생명 레프트) |
2007-08 | GS칼텍스 | 이성희 | 3승 1패 | XOOO | 흥국생명 | 황현주 | 정대영 (GS칼텍스 센터) |
2008-09 | 흥국생명 | 어창선 | 3승 1패 | XOOO | GS칼텍스 | 이성희 | 김연경 (흥국생명 레프트) |
2009-10 | KT&G | 박삼용 | 4승 2패 | XOXOOO | 현대건설 | 황현주 | 몬타뇨 (KT&G 라이트) |
2010-11 | 현대건설 | 황현주 | 4승 2패 | OXOXOO | 흥국생명 | 반다이라 | 황연주 (현대건설 라이트) |
2011-12 | KGC인삼공사 | 박삼용 | 3승 2패 | OXOXO | 현대건설 | 황현주 | 몬타뇨 (KGC인삼공사 라이트) |
2012-13 | IBK기업은행 | 이정철 | 3승 1패 | OOXO | GS칼텍스 | 이선구 | 알레시아 (IBK기업은행 라이트) |
2013-14 | GS칼텍스 | 이선구 | 3승 2패 | OXXOO | IBK기업은행 | 이정철 | 베띠 (GS칼텍스 라이트) |
2014-15 | IBK기업은행 | 이정철 | 3승 | OOO | 한국도로공사 | 서남원 | 김사니 (IBK 기업은행 세터) |
2015-16 | 현대건설 | 양철호 | 3승 | OOO | IBK기업은행 | 이정철 | 양효진 (현대건설 센터) |
2016-17 | IBK기업은행 | 이정철 | 3승 1패 | XOOO | 흥국생명 | 박미희 | 메디 (IBK기업은행 레프트) |
2017-18 | 한국도로공사 | 김종민 | 3승 | OOO | IBK기업은행 | 이정철 | 박정아 (한국도로공사 레프트) |
2018-19 | 흥국생명 | 박미희 | 3승 1패 | OXOO | 한국도로공사 | 김종민 | 이재영 (흥국생명 레프트) |
1.2.2. 우승횟수
팀 | 우승 | 준우승 | 우승 연도 | 준우승 연도 |
흥국생명 | 4 | 3 | 2006, 2007, 2009, 2019 | 2008, 2011, 2017 |
IBK기업은행 | 3 | 3 | 2013, 2015, 2017 | 2014, 2016, 2018 |
KGC인삼공사 | 3 | 0 | 2005, 2010, 2012 | - |
현대건설 | 2 | 3 | 2011, 2016 | 2007, 2010, 2012 |
GS칼텍스 | 2 | 2 | 2008, 2014 | 2009, 2013 |
한국도로공사 | 1 | 4 | 2018 | 2005, 2006, 2015, 2019 |
2. 개인 수상
2.1. 역대 신인왕과 MVP
연도 | 남자부 MVP | 여자부 MVP | 남자부 신인왕 | 여자부 신인왕 |
2005 | 후인정 (현대캐피탈) | 정대영 (현대건설) | 하현용 (LG화재) | 황연주 (흥국생명) |
2005-06 | 숀 루니 (현대캐피탈) | 김연경 (흥국생명) | 없음[2] | 김연경 (흥국생명) |
2006-07 | 레안드로 (삼성화재) | 김연경 (흥국생명) | 김학민 (대한항공) | 한수지 (GS칼텍스) |
2007-08 | 안젤코 (삼성화재) | 김연경 (흥국생명) | 없음[3] | 배유나 (GS칼텍스) |
2008-09 | 박철우 (현대캐피탈) | 데라크루즈[4] (GS칼텍스) | 황동일 (LIG손해보험) | 염혜선 (현대건설) |
2009-10 | 가빈 슈미트 (삼성화재) | 케니 (현대건설) | 신영석 (우리캐피탈) | 양유나 (GS칼텍스) |
2010-11 | 김학민 (대한항공) | 황연주 (현대건설) | 없음[5] | 표승주 (한국도로공사) |
2011-12 | 가빈 (삼성화재) | 몬타뇨 (인삼공사) | 최홍석 (드림식스) | 박정아 (IBK기업은행) |
2012-13 | 레오 (삼성화재) | 알레시아 (IBK기업은행) | 양준식 (한국전력) | 이소영 (GS칼텍스) |
2013-14 | 레오 (삼성화재) | 이효희 (IBK기업은행) | 전광인 (한국전력) | 고예림 (한국도로공사) |
2014-15 | 레오 (삼성화재) | 니콜, 이효희 (한국도로공사) | 오재성 (한국전력) | 이재영 (흥국생명) |
2015-16 | 문성민 (현대캐피탈) | 맥마혼 (IBK기업은행) | 나경복 (우리카드) | 강소휘 (GS칼텍스) |
2016-17 | 문성민 (현대캐피탈) | 이재영 (흥국생명) | 황택의 (KB 손해보험) | 지민경 (KGC 인삼공사) |
2017-18 | 신영석 (현대캐피탈) | 이바나 (한국도로공사) | 이호건 (한국전력) | 김채연 (흥국생명) |
2018-19 | 정지석 (대한항공) | 이재영 (흥국생명) | 황경민 (우리카드) | 정지윤 (현대건설) |
2.2. 라운드 MVP
2.2.1. 남자부 라운드 MVP
- 2005 시즌
- 3월 : 이경수 (LG화재)
- 4월 : 후인정 (현대캐피탈)
- 2005-06 시즌
- 12월 : 숀 루니 (현대캐피탈)
- 1월 : 이경수 (LG화재)
- 2월 : 장병철 (삼성화재)
- 2006-07 시즌
- 1월 : 보비 (대한항공)
- 3월 : 박철우 (현대캐피탈)
- 2007-08 시즌
- 12월 : 안젤코 (삼성화재)
- 1월 : 장광균 (대한항공)
- 2월 : 안젤코 (삼성화재)
- 3월 : 한선수 (대한항공)
1R | 2R | 3R | 4R | 5R | 6R | 7R | |
2008-09 | 김학민 (대한항공) | 안젤코 (삼성화재) | - | 최태웅 (삼성화재) | 박철우 (현대캐피탈) | 안젤코 (삼성화재) | 칼라 (대한항공) |
연도 | 11월 | 12월 | 1월 | 2월 | 3월 | ||
2009-10 | 김요한 (LIG손해보험) | 가빈 (삼성화재) | 한선수 (대한항공) | 최태웅 (삼성화재) | 석진욱 (삼성화재) | ||
2010-11 | 김학민 (대한항공) | 에반 (대한항공) | 가빈 (삼성화재) |
연도 | 1R | 2R | 3R | 4R | 5R | 6R |
2011-12 | 가빈 | 수니아스 | 마틴 | 김학민 | 안젤코 | 김요한 |
2012-13 | 레오 | 문성민 | 신영석 | 박철우 | 레오 | 김학민 |
2.2.2. 여자부 라운드 MVP
- 2005 시즌
- 3월 : 김민지 (GS칼텍스)
- 4월 : 정대영 (현대건설)
- 2005-06 시즌
- 12월 : 김연경 (흥국생명)
- 1월 : 황연주 (흥국생명)
- 2월 : 임유진 (도로공사)
- 2006-07 시즌
- 1월 : 김연경 (흥국생명)
- 2월 : 윌킨스 (흥국생명)
- 3월 : 레이첼 (도로공사)
- 2007-08 시즌
- 12월 : 김연경 (흥국생명)
- 1월 : 김사니 (KT&G)
- 2월 : 한송이 (도로공사)
1R | 2R | 3R | 4R | 5R | 6R | 7R | |
2008-09 | 데라크루즈 (GS칼텍스) | 카리나 (흥국생명) | 김연경 (흥국생명) | 밀라 (도로공사) | 마리안 (KT&G) | 김사니 (KT&G) | 이숙자 (GS칼텍스) |
연도 | 11월 | 12월 | 1월 | 2월 | 3월 | ||
2009-10 | 케니 (현대건설) | 몬타뇨 (KT&G) | 데스티니 (GS칼텍스) | 양효진 (현대건설) | 몬타뇨 (KT&G) | ||
2010-11 | 황민경 (도로공사) | 임효숙 (도로공사) | 몬타뇨 (인삼공사) |
연도 | 1R | 2R | 3R | 4R | 5R | 6R |
2011-12 | 몬타뇨 (인삼공사) | 몬타뇨 (인삼공사) | 김사니 (흥국생명) | 양효진 (현대건설) | 이바나 (도로공사) | 이바나 (도로공사) |
2012-13 | 베띠 (GS칼텍스) | 김희진 (기업은행) | 양효진 (현대건설) | 양효진 (현대건설) | 니콜 (도로공사) | 알레시아 (기업은행) |
2013-14 | 조이스 (인삼공사) | 베띠 (GS칼텍스) | 베띠 (GS칼텍스 | 김희진 (기업은행) | 김희진 (기업은행) | |
2014-15 | 폴리 (현대건설) | 폴리 (현대건설) | 데스티니 (기업은행) | 문정원 (도로공사) | 니콜 (도로공사) | 이재영 (흥국생명) |
2015-16 | 이재영 (흥국생명) | 양효진 (현대건설) | 양효진 (현대건설) | 맥마혼 (기업은행) | 맥마혼 (기업은행) | 박정아 (기업은행) |
2016-17 | 박정아 (기업은행) | 이재영 (흥국생명) | 황연주 (현대건설) | 알레나 (인삼공사) | 이고은 (기업은행) | 알레나 (인삼공사) |
2017-18 | 이다영 (현대건설) | 이바나 (도로공사) | 이바나 (도로공사) | 메디 (기업은행) | 이바나 (도로공사) | 파튜 (GS칼텍스) |
2018-19 | 이소영 (GS칼텍스) | 어나이 (기업은행) | 이재영 (흥국생명) | 알리 (GS칼텍스) | 문정원 (도로공사) | 이재영 (흥국생명) |
2019-20 | 강소휘 (GS칼텍스) | 러츠 (GS칼텍스) | 이다영 (현대건설) | 양효진 (현대건설) |
2.3. V-리그 기록상
2.3.1. 남자부 기록상
연도 | 득점상[6] | 공격상[7] | 블로킹상 [8] | 서브상[9] | 세터상[10] | 수비상[11] |
2005 | 이경수 (구미 LG) | 후인정 (천안 현대) | 이선규 (천안 현대) | 이경수 (구미 LG) | 권영민 (천안 현대) | 여오현 (삼성화재) |
2005-2006 | 이경수 (구미 LG) | 이경수 (구미 LG) | 이선규 (천안 현대) | 이경수 (구미 LG) | 최태웅 (삼성화재) | 여오현 (삼성화재) |
2006-07 | 레안드로 (삼성화재) | 보비 (대한항공) | 방신봉 (LG) | 보비 (대한항공) | 최태웅 (삼성화재) | 여오현 (삼성화재) |
2007-08 | 안젤코 (삼성화재) | 장광균 (대한항공) | 이선규 (현대캐피탈) | 안젤코 (삼성화재) | 최태웅 (삼성화재) | 김주완 (상무) |
2008-09 | 안젤코 (삼성화재) | 박철우 (현대캐피탈) | 이선고 (현대캐피탈) | 안젤코 (삼성화재) | 최태웅 (삼성화재) | 이강주 (상무) |
2009-10 | 가빈 (삼성화재) | 가빈 (삼성화재) | 하경민 (현대캐피탈) | 가빈 (삼성화재) | 한선수 (대한항공) | 여오현 (삼성화재) |
2010-11 | 가빈 (삼성화재) | 김학민 (대한항공) | 방신봉 (KEPCO) | 에반 (대한항공) | 한선수 (대한항공) | 최부식 (대한항공) |
2011-12 | 가빈 (삼성화재) | 가빈 (삼성화재) | 신영석 (드림식스) | 마틴 (대한항공) | 유광우 (삼성화재) | 곽승석 (대한항공) |
2012-13 | 레오 (삼성화재) | 레오 (삼성화재) | 신영석 (러시앤캐시) | 마틴 (대한항공) | 유광우 (삼성화재) | 임동규 (현대캐피탈) |
2013-14 | 레오 (삼성화재) | 레오 (삼성화재) | 신영석 (우리카드) | 마이클 (대한항공) | 유광우 (삼성화재) | 곽승석 (대한항공) |
2.3.2. 여자부 기록상
연도 | 득점상[12] | 공격상[13] | 블로킹상 [14] | 서브상[15] | 세터상[16] | 수비상[17] |
2005 | 정대영 (수원 현대건설) | 김세영 (대전 KT&G) | 정대영 (수원 현대건설) | 황연주 (천안 흥국생명) | 김사니 (구미 도로공사) | 남지연 (LG정유) |
2005-06 | 김연경 (천안 흥국생명) | 김연경 (천안 흥국생명) | 김세영 (대전 KT&G) | 김연경 (천안 흥국생명) | 김사니 (구미 도로공사) | 남지연 (인천 GS칼텍스) |
2006-07 | 레이첼 (구미 도로공사) | 김연경 (천안 흥국생명) | 안드레이아 (인천 GS칼텍스) | 황연주 (천안 흥국생명) | 이영주 (천안 흥국생명) | 남지연 (인천 GS칼텍스) |
2007-08 | 한송이 (구미 도로공사) | 김연경 (천안 흥국생명) | 정대영 (인천 GS칼텍스) | 하께우 (인천 GS칼텍스) | 이효희 (천안 흥국생명) | 김해란 (구미 도로공사) |
2008-09 | 밀라 (구미 도로공사) | 베띠 (인천 GS칼텍스) | 김세영 (대전 KT&G) | 김연경 (천안 흥국생명) | 이효희 (천안 흥국생명) | 김해란 (구미 도로공사) |
2009-10 | 케니 (수원 현대건설) | 몬타뇨 (대전 KT&G) | 양효진 (수원 현대건설) | 케니 (수원 현대건설) | 한수지 (수원 현대건설) | 남지연 (서울 GS칼텍스) |
2010-11 | 몬타뇨 (대전 인삼공사) | 몬타뇨 (대전 인삼공사) | 양효진 (수원 현대건설) | 황연주 (수원 현대건설) | 염혜선 (수원 현대건설) | 임명옥 (대전 인삼공사) |
2011-12 | 몬타뇨 (대전 인삼공사) | 몬타뇨 (대전 인삼공사) | 양효진 (수원 현대건설) | 황민경 (성남 도로공사) | 염혜선 (수원 현대건설) | 김해란 (성남 도로공사) |
2012-13 | 니콜 (성남 도로공사) | 알레시아 (화성 기업은행) | 양효진 (수원 현대건설) | 니콜 (성남 도로공사) | 염혜선 (수원 현대건설) | 남지연 (서울 GS칼텍스) |
2013-14 | 조이스 (대전 인삼공사) | 양효진 (수원 현대건설) | 양효진 (수원 현대건설) | 백목화 (대전 인삼공사) | 염혜선 (수원 현대건설) | 임명옥 (대전 인삼공사) |
연도 | 백어택상[18] | 수비상[19] |
2005 | 황연주 (천안 흥국생명) | 정대영 (수원 현대건설) |
2005-06 | 정대영 (수원 현대건설) | |
2006-07 | 레이첼 (구미 도로공사) | |
2007-08 | 한송이 (구미 도로공사) |
2.4. V-리그 베스트7
한국배구연맹은 V-리그 10주년을 맞이해 프로배구의 발전과 도약을 위해 변화를 모색, 그 일환으로 시상제도를 개편하여 남자부/여자부 각각 V-리그 포지션별 시즌 베스트7상을 신설하였다. 기존의 기록상(득점·공격·블로킹·서브)을 폐지함과 동시에 수여되던 세터상, 수비상(리베로)을 베스트7상에 흡수하였다. 시상기준은 기록+기자단투표에 의하여 수상한다.2.4.1. 남자부 베스트7
연도 | 라이트 | 레프트 | 센터 | 세터 | 리베로 | ||
2014-15 | 시몬 (OK저축은행) | 레오 (삼성화재) | 전광인 (한국전력) | 최민호 (현대캐피탈) | 박진우 (우리카드) | 유광우 (삼성화재) | 여오현 (현대캐피탈) |
2015-16 | 그로저 (삼성화재) | 오레올 (현대캐피탈) | 송명근 (OK저축은행) | 최민호 (현대캐피탈) | 이선규 (삼성화재) | 한선수 (대한항공) | 여오현 (현대캐피탈) |
2016-17 | 문성민 (현대캐피탈) | 타이스 (삼성화재) | 전광인 (한국전력) | 신영석 (현대캐피탈) | 윤봉우 (한국전력) | 김광국 (우리카드) | 부용찬 (삼성화재) |
2017-18 | 파다르 (우리카드) | 타이스 (삼성화재) | 전광인 (한국전력) | 신영석 (현대캐피탈) | 김규민 (삼성화재) | 유광우 (우리카드) | 부용찬 (삼성화재) |
2018-19 | 아가메즈 (우리카드) | 정지석 (대한항공) | 전광인 (현대캐피탈) | 신영석 (현대캐피탈) | 김규민 (대한항공) | 한선수 (대한항공) | 정민수 (KB손해보험) |
2.4.2. 여자부 베스트7
연도 | 라이트 | 레프트 | 센터 | 세터 | 리베로 | ||
2014-15 | 니콜 (한국도로공사) | 폴리 (현대건설) | 박정아 (IBK기업은행) | 양효진 (현대건설) | 김희진 (IBK기업은행) | 이효희 (한국도로공사) | 나현정 (GS칼텍스) |
2015-16 | 맥마혼 (IBK기업은행) | 이재영 (흥국생명) | 에밀리 (현대건설) | 양효진 (현대건설) | 캣 벨 (GS칼텍스) | 김사니 (IBK기업은행) | 나현정 (GS칼텍스) |
2016-17 | 알레나 (KGC인삼공사) | 이재영 (흥국생명) | 리쉘 (IBK기업은행) | 양효진 (현대건설) | 김수지 (흥국생명) | 조송화 (흥국생명) | 한지현 (흥국생명) |
2017-18 | 이바나 (한국도로공사) | 이재영 (흥국생명) | 메디 (IBK기업은행) | 양효진 (현대건설) | 배유나 (한국도로공사) | 이다영 (현대건설) | 오지영 (KGC인삼공사) |
2018-19 | 톰시아 (흥국생명) | 이재영 (흥국생명) | 박정아 (한국도로공사) | 양효진 (현대건설) | 정대영 (한국도로공사) | 이다영 (현대건설) | 오지영 (KGC인삼공사) |
2.5. 트리플 크라운
한국배구연맹(KOVO) V-리그에 한정된 기록으로, 한 경기에서 개인이 서브 에이스, 블로킹 득점, 후위공격 득점을 각 3회 이상 성공했을 때 트리플 크라운이라 칭한다. 이 상은 2013-14 시즌에 은퇴한 김건태 前 심판이 V-리그 출범 때 제안하여 만들었다.3. 항목별 기록
3.1. 남자부 기록
3.1.1. 득점 1위
연도 | 선수명 | 소속팀 | 득점 | 비고 |
3.2. 여자부 기록
3.2.1. 득점 1위
연도 | 선수명 | 소속팀 | 득점 | 비고 | |
2005 | | 정대영 | 현대건설 | 319 | [20] |
2005-06 | | 김연경 | 흥국생명 | 756 | [21] |
2006-07 | | 레이첼 밴 미터 | 도로공사 | 666 | [22] |
2007-08 | | 한송이 | 도로공사 | 692 | [23] |
2008-09 | | 밀라그로스 카브랄 | 도로공사 | 774 | |
2009-10 | | 케니 모레노 | 현대건설 | 699 | |
2010-11 | | 마델라이네 몬타뇨 | 인삼공사 | 591 | |
2011-12 | | 마델라이네 몬타뇨 | 인삼공사 | 1076 | |
2012-13 | | 니콜 포셋 | 도로공사 | 875 | |
2013-14 | | 조이스 고메즈 다 실바 | 인삼공사 | 1009 | |
2014-15 | | 폴리나 라히모바 | 현대건설 | 982 | |
2015-16 | | 헤일리 스펠만 | 인삼공사 | 776 | |
2016-17 | | 알레나 버그스마 | 인삼공사 | 854 | |
2017-18 | | 알레나 버그스마 | 인삼공사 | 864 | |
2018-19 | | 어도라 어나이 | IBK기업은행 | 792 |
V-리그 초창기의 2점 백어택 제도로 인해 실제로 얻은 득점과 당시 시스템으로 얻은 점수의 괴리가 크다. 참고로 05-06 시즌은 2점 백어택이 무제한이었다. 깨끗하게 공격을 성공시킬 경우 2점, 그렇지 않고 상대방 수비수의 두 번 이상의 터치 후 득점된 것은 1점. 06-07 시즌 외국인 선수 제도가 도입되자 백어택의 위력이 더 강력해질 것을 우려한 KOVO는 결국 2점 백어택을 한 세트당 두 번씩으로 제한하였다. 한 세트에 2회의 백어택 점수를 획득[24]하고 그 이상의 백어택 득점은 1점만 부여. 05-06시즌에 적용됐던 제한적 1점 백어택은 사라졌다. 그러다 08-09시즌에 그 동안 많은 백어택으로 안한 국내 선수들의 부상이 문제가 되자 폐지.
V-리그의 득점수는 당시 룰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득점 관련해서 08-09 시즌에 다시 백어택 점수가 1점으로 환원된 이후로 변화된 것은 없다.
참고로 10-11시즌에는 유일하게 3세트를 국내 선수로만 경기에 출전할 수 있는 조항이 있었고 24경기밖에 치르지 않아 외국인선수의 득점수에서 상대적으로 손해가 크다.
국내 선수 중에서 현재 시스템 기준으로 역대 한 시즌 득점 1위는 05-06 시즌의 김연경.[25] 다만 앞의 김연경 득점은 백어택 2점이 포함된 점수가 있어 현재 기준을 적용한다면 순수 득점수 1위는 08-09 시즌의 김연경으로 바뀐다.[26]
외국인 선수 중에서 역대 한 시즌 득점 1위는 11-12 시즌의 마델라이네 몬타뇨이며 무려 1076점, 경기당 평균 35.87득점이다.
3.2.2. 공격 1위
연도 | 선수명 | 소속팀 | 공성 % | 비고 | |
2005 | | 김세영 | KT&G | 39.04% | |
2005-06 | | 김연경 | 흥국생명 | 39.68% | |
2006-07 | | 김연경 | 흥국생명 | 45.07% | |
2007-08 | | 김연경 | 흥국생명 | 47.59% | |
2008-09 | | 베타니아 데 라 크루스 | GS칼텍스 | 49.26% | |
2009-10 | | 마델라이네 몬타뇨 | KT&G | 46.75% | |
2010-11 | | 마델라이네 몬타뇨 | 인삼공사 | 50.42% | |
2011-12 | | 마델라이네 몬타뇨 | 인삼공사 | 50.69% | |
2012-13 | | 알레시아 리귤릭 | IBK기업은행 | 50.73% | |
2013-14 | | 양효진 | 현댄건설 | 51.38% | |
2014-15 | | 폴리나 라히모바 | 현대건설 | 45.77% | |
2015-16 | | 리즈 맥마혼 | IBK기업은행 | 41.27% | |
2016-17 | | 메디슨 리쉘 | IBK기업은행 | 44.19% | |
2017-18 | | 메디슨 리쉘 | IBK기업은행 | 43.36% | |
2018-19 | | 양효진 | 현대건설 | 47.79% |
3.2.3. 서브 1위
연도 | 선수명 | 소속팀 | 세트당 평균 | 비고 | |
2005 | | 황연주 | 흥국생명 | 0.306 | |
2005-06 | | 김연경 | 흥국생명 | 0.409 | |
2006-07 | | 황연주 | 흥국생명 | 0.358 | |
2007-08 | | 하께우 다 실바 | GS칼텍스 | 0.317 | |
2008-09 | | 황연주 | 흥국생명 | 0.368 | |
2009-10 | | 케니 모레노 | 현대건설 | 0.290 | |
2010-11 | | 황연주 | 현대건설 | 0.523 | |
2011-12 | | 황민경 | 도로공사 | 0.433 | |
2012-13 | | 니콜 포셋 | 도로공사 | 0.566 | |
2013-14 | | 백목화 | KGC인삼공사 | 0.461 | |
2014-15 | | 폴리나 라히모바 | 현대건설 | 0.629 | |
2015-16 | | 김희진 | IBK기업은행 | 0.32 | |
2016-17 | | 문정원 | 도로공사 | 0.34 | |
2017-18 | 김희진 | IBK기업은행 | 0.40 | ||
2018-19 | 문정원 | 도로공사 | 0.33 |
14-15 시즌의 폴리나 라히모바가 역대 1위, 12-13 시즌의 니콜 포셋이 역대 2위이며 역대 3위는 14-15시즌의 문정원이다.
비공인 기록으로, 11-12 시즌 후반기에 한국도로공사에서 뛰었던 이바나가 대체 선수로 0.85의 서브득점 수치를 찍긴 했다. 다만 12경기밖에 출전하지 못해 서브횟수에서 기준을 넘지 못해 공인 기록으로 인정받지는 못했다.
3.2.4. 블로킹 1위
연도 | 선수명 | 소속팀 | 세트당 평균 | 비고 | |
2005 | | 정대영 | 현대건설 | 0.762 | |
2005-06 | | 김세영 | KT&G | 0.696 | |
2006-07 | | 안드레이아 스포르진 | GS칼텍스 | 0.674 | |
2007-08 | | 정대영 | GS칼텍스 | 0.649 | |
2008-09 | | 김세영 | KT&G | 0.789 | |
2009-10 | | 양효진 | 현대건설 | 0.980 | |
2010-11 | | 양효진 | 현대건설 | 0.813 | |
2011-12 | | 양효진 | 현대건설 | 0.958 | |
2012-13 | | 양효진 | 현대건설 | 0.98 | |
2013-14 | | 양효진 | 현대건설 | 1.044 | |
2014-15 | | 양효진 | 현대건설 | 0.922 | |
2015-16 | | 양효진 | 현대건설 | 0.74 | |
2016-17 | | 양효진 | 현대건설 | 0.84 | |
2017-18 | | 양효진 | 현대건설 | 0.87 | |
2018-19 | | 양효진 | 현대건설 | 0.88 | [27] |
13-14 시즌의 양효진은 V-리그 역사상 유일하게 세트 수보다 블로킹 득점이 많은 역대급 기록을 만들어냈다. 또한, 10년 연속으로 블로킹 1위는 양효진의 몫이다.
3.2.5. 디그 1위
연도 | 선수명 | 소속팀 | 세트당 평균 | 비고 | |
2005 | | 김해란 | 도로공사 | 7.10 | |
2005-06 | | 김해란 | 도로공사 | 7.29 | |
2006-07 | | 김해란 | 도로공사 | 6.38 | |
2007-08 | | 김해란 | 도로공사 | 5.78 | |
2008-09 | | 김해란 | 도로공사 | 5.53 | |
2009-10 | | 남지연 | GS칼텍스 | 6.51 | |
2010-11 | | 김해란 | 도로공사 | 6.08 | |
2011-12 | | 전유리 | 흥국생명 | 6.00 | |
2012-13 | | 남지연 | 기업은행 | 4.78 | |
2013-14 | | 김해란 | 도로공사 | 5.60 | |
2014-15 | | 임명옥 | 인삼공사 | 5.76 | |
2015-16 | | 김해란 | 인삼공사 | 6.31 | |
2016-17 | | 나현정 | GS칼텍스 | 6.63 | |
2017-18 | | 김해란 | 흥국생명 | 6.70 | |
2018-19 | | 김해란 | 흥국생명 | 6.75 |
3.2.6. 리시브 1위
연도 | 선수명 | 소속팀 | 리시브효율 | 비고 | |
2005 | | 구기란 | 흥국생명 | 68.12% | [28] |
2005-06 | | 구기란 | 흥국생명 | 71.25% | [29] |
2006-07 | | 구기란 | 흥국생명 | 62.83% | [30] |
2007-08 | | 남지연 | GS칼텍스 | 67.81% | [31] |
연도 | 선수명 | 소속팀 | 세트당평균[32] | 비고 | |
2008-09 | | 김해란 | 도로공사 | 4.07 | [33] |
2009-10 | | 남지연 | GS칼텍스 | 3.87 | [34] |
2010-11 | | 윤혜숙 | 현대건설 | 3.36 | [35] |
2011-12 | | 주예나 | 흥국생명 | 3.00 | [36] |
2012-13 | | 김주하 | 현대건설 | 3.08 | [37] |
2013-14 | | 채선아 | 기업은행 | 4.65 | [38] |
2014-15 | | 채선아 | 기업은행 | 4.10 | [39] |
2015-16 | | 채선아 | 기업은행 | 3.63 | [40] |
2016-17 | | 이재영 | 흥국생명 | 3.86 | [41] |
2017-18 | | 문정원 | 도로공사 | 5.00 | [42] |
연도 | 선수명 | 소속팀 | 리시브효율 | 비고 | |
2018-19 | | 오지영 | 인삼공사 | 56.22% | [43] |
리시브효율이 가장 높았던 선수는 2005-06 시즌 흥국생명의 구기란이다. 세트당 평균 3.63에 리시브효율이 71.25%에 달했다.
세트당평균이 가장 높았던 선수는 2017-18 시즌 한국도로공사의 문정원이다. 세트당 평균 5.00에 리시브효율이 48.03%으로 지금까지 리시브 1위를 해본 리베로 아닌 윙으로썬 가장 높은 스탯이다.
4. 달성 기록
4.1. 남자부 기록
4.2. 여자부 기록
4.2.1. 누적 득점
달성기록 | 구분 | 선수 | 경기 | |||
선수명 | 팀명 | 시즌 | 경기일자 | 상대팀 | ||
500점 | 1호 | 정대영 | 현대건설 | 2005-2006 | 2005-12-25 | GS칼텍스 |
2호 | 김민지 | GS칼텍스 | 2005-2006 | 2006-01-03 | 도로공사 | |
3호 | 황연주 | 흥국생명 | 2005-2006 | 2006-01-21 | 현대건설 | |
1000점 | 1호 | 정대영 | 현대건설 | 2005-2006 | 2006-03-12 | GS칼텍스 |
2호 | 김민지 | GS칼텍스 | 2006-2007 | 2007-01-11 | 현대건설 | |
3호 | 김연경 | 흥국생명 | 2006-2007 | 2007-01-20 | GS칼텍스 | |
1500점 | 1호 | 정대영 | 현대건설 | 2006-2007 | 2007-03-10 | 흥국생명 |
2호 | 김연경 | 흥국생명 | 2007-2008 | 2007-12-30 | KT&G | |
3호 | 김민지 | GS칼텍스 | 2007-2008 | 2008-01-25 | 도로공사 | |
2000점 | 1호 | 김연경 | ||||
2호 | 정대영 | |||||
3호 | 황연주 | |||||
2500점 | 1호 | 김연경 | ||||
2호 | 황연주 | |||||
3호 | 김민지 | |||||
3000점 | 1호 | 황연주 | ||||
2호 | 정대영 | |||||
3호 | 한송이 | |||||
3500점 | 1호 | 황연주 | ||||
2호 | 한송이 | |||||
3호 | 정대영 | |||||
4000점 | 1호 | 황연주 | ||||
2호 | 한송이 | |||||
3호 | 정대영 | |||||
4500점 | 1호 | 황연주 | ||||
2호 | 양효진 | |||||
3호 | 한송이 | |||||
5000점 | 1호 | 양효진 | ||||
2호 | 황연주 | |||||
3호 | ||||||
5500점 | 1호 | 양효진 | ||||
2호 | ||||||
3호 |
[1] 다만 정규시즌은 황현주 감독이 지도했다. 흥국생명의 병크 중 하나.[2] 승부조작 혐의자로, 기록 말소[3] 승부조작 혐의자로, 기록 말소[4] 12-13, 13-14 시즌에는 '베띠'로 등록했다.[5] 승부조작 혐의자로, 기록 말소[6] 다득점(공격, 블로킹, 서브 득점의 합계)[7] 공격성공률 (성공횟수/시도횟수) * 점유율 20% 이상[8] 세트당 평균 성공횟수 (성공횟수/출전세트수) * 점유율 15% 이상[9] 세트당 평균 성공횟수 (성공횟수/출전세트수) * 점유율 10% 이상[10] 세트당 평균 성공횟수 (성공횟수/출전세트수) * 점유율 50% 이상[11] 리베로만 해당
세트당 평균 성공횟수: (디그성공횟수+(리시브성공횟수-리시브실패수))/출전세트수
점유율 : 디그 - 팀내 점유율 15% 이상, 리시브 - 팀내 점유율 25% 이상)[12] 다득점(공격, 블로킹, 서브 득점의 합계)[13] 공격성공률 (성공횟수/시도횟수) * 점유율 20% 이상[14] 세트당 평균 성공횟수 (성공횟수/출전세트수) * 점유율 15% 이상[15] 세트당 평균 성공횟수 (성공횟수/출전세트수) * 점유율 10% 이상[16] 세트당 평균 성공횟수 (성공횟수/출전세트수) * 점유율 50% 이상[17] 리베로만 해당
세트당 평균 성공횟수: (디그성공횟수+(리시브성공횟수-리시브실패수))/출전세트수
점유율 : 디그 - 팀내 점유율 15% 이상, 리시브 - 팀내 점유율 25% 이상)[18] 다득점 (여자만 해당, 성공수(2점후위개수))[19] 세트당 평균 성공횟수 (디그성공횟수+(리시브성공횟수-리시브실패수))/출전세트수
점유율 : 디그 - 팀내 점유율 15% 이상, 리시브 - 팀내 점유율 25% 이상[20] 상대적으로 수치가 적은 이유는 사실상 세미프로 시절의 시스템으로 진행된 과도기 시즌이라서, 16경기만 진행했기 때문. 즉, 경기당 평균 20득점이다.[21] 국내선수 최다 득점 기록. 단, 05-06 ~ 07-08 시즌까지는 여자부 한정 백어택 2점이 포함된 기록으로 현재의 점수를 기준으로 하면 143회 성공이고 당시에는 2점 백어택 점수가 무제한이었다. 다만 2회 이상의 터치가 이루어지면 2점이 아닌 1점만 준다. 그런 과정으로 1점만 얻은 것을 고려한 실제 점수는 623점이다. 참고로 이 시즌은 7라운드 28경기로 진행되었다.[22] 직전 시즌에 비해 4경기가 줄어서 24경기만 진행했으며 경기당 평균 득점은 05-06 시즌의 김연경보다 더 높다. 현재 득점 기준으로 바꾸면 535점.[23] 현재 득점 기준으로 바꾸면 591점.[24] 24점을 선취한 상황에서 듀스 상황이 아니고 그 때 백어택 득점을 할 경우 1점만 준다. 물론 24-24 상황이라면 2점 백어택 요건이 인정될 경우 그대로 세트가 끝난다.[25] 당시 28경기 756점 - 경기당 27.00점(현재 KOVO가 공인하는 국내 선수 역대 최고 점수), 현재 기준 623점 - 경기당 22.25점[26] 28경기 670점, 경기당 23.93점[27] 10번 연속 블로킹 1위 달성[28] 세트당평균 4.70[29] 세트당평균 3.63[30] 세트당평균 3.97[31] 세트당평균 4.05[32] (리시브 성공 - 리시브 실패) / 세트수[33] 리시브효율 62.82%[34] 리시브효율 66.72%[35] 리시브효율 47.59%[36] 리시브효율 41.03%[37] 리시브효율 46.55%[38] 리시브효율 40.94%[39] 리시브효율 40.40%[40] 리시브효율 40.98%[41] 리시브효율 45.91%[42] 리시브효율 48.03%[43] 세트당평균 3.66
세트당 평균 성공횟수: (디그성공횟수+(리시브성공횟수-리시브실패수))/출전세트수
점유율 : 디그 - 팀내 점유율 15% 이상, 리시브 - 팀내 점유율 25% 이상)[12] 다득점(공격, 블로킹, 서브 득점의 합계)[13] 공격성공률 (성공횟수/시도횟수) * 점유율 20% 이상[14] 세트당 평균 성공횟수 (성공횟수/출전세트수) * 점유율 15% 이상[15] 세트당 평균 성공횟수 (성공횟수/출전세트수) * 점유율 10% 이상[16] 세트당 평균 성공횟수 (성공횟수/출전세트수) * 점유율 50% 이상[17] 리베로만 해당
세트당 평균 성공횟수: (디그성공횟수+(리시브성공횟수-리시브실패수))/출전세트수
점유율 : 디그 - 팀내 점유율 15% 이상, 리시브 - 팀내 점유율 25% 이상)[18] 다득점 (여자만 해당, 성공수(2점후위개수))[19] 세트당 평균 성공횟수 (디그성공횟수+(리시브성공횟수-리시브실패수))/출전세트수
점유율 : 디그 - 팀내 점유율 15% 이상, 리시브 - 팀내 점유율 25% 이상[20] 상대적으로 수치가 적은 이유는 사실상 세미프로 시절의 시스템으로 진행된 과도기 시즌이라서, 16경기만 진행했기 때문. 즉, 경기당 평균 20득점이다.[21] 국내선수 최다 득점 기록. 단, 05-06 ~ 07-08 시즌까지는 여자부 한정 백어택 2점이 포함된 기록으로 현재의 점수를 기준으로 하면 143회 성공이고 당시에는 2점 백어택 점수가 무제한이었다. 다만 2회 이상의 터치가 이루어지면 2점이 아닌 1점만 준다. 그런 과정으로 1점만 얻은 것을 고려한 실제 점수는 623점이다. 참고로 이 시즌은 7라운드 28경기로 진행되었다.[22] 직전 시즌에 비해 4경기가 줄어서 24경기만 진행했으며 경기당 평균 득점은 05-06 시즌의 김연경보다 더 높다. 현재 득점 기준으로 바꾸면 535점.[23] 현재 득점 기준으로 바꾸면 591점.[24] 24점을 선취한 상황에서 듀스 상황이 아니고 그 때 백어택 득점을 할 경우 1점만 준다. 물론 24-24 상황이라면 2점 백어택 요건이 인정될 경우 그대로 세트가 끝난다.[25] 당시 28경기 756점 - 경기당 27.00점(현재 KOVO가 공인하는 국내 선수 역대 최고 점수), 현재 기준 623점 - 경기당 22.25점[26] 28경기 670점, 경기당 23.93점[27] 10번 연속 블로킹 1위 달성[28] 세트당평균 4.70[29] 세트당평균 3.63[30] 세트당평균 3.97[31] 세트당평균 4.05[32] (리시브 성공 - 리시브 실패) / 세트수[33] 리시브효율 62.82%[34] 리시브효율 66.72%[35] 리시브효율 47.59%[36] 리시브효율 41.03%[37] 리시브효율 46.55%[38] 리시브효율 40.94%[39] 리시브효율 40.40%[40] 리시브효율 40.98%[41] 리시브효율 45.91%[42] 리시브효율 48.03%[43] 세트당평균 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