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10:22:09

FCAS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의 제트전투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87CEFA>
1940년대
<colbgcolor=#EEE,#333>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colbgcolor=#fefefe,#191919>미티어 | 뱀파이어 | 어태커 | 시호크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Me 262 | He 162 | He 280
1950년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라이트닝 | 베놈 | 시빅슨 | 스위프트 | 자벨린 | 헌터 | 시미터 | 버캐니어 | 폴랜드 냇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피아트 G.91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EFW N-20.10 에귀용 | FFA P-16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J 21R | J 29 툰난 | J 32 란센
1960년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호커 P.1121 | 호커 시들리 P.1154 | BAC TSR-2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EWR VJ 101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J 35 드라켄
파일:유럽 아이콘.png
유럽합작
SEPECAT 재규어파일:영국 국기.svg-파일:프랑스 국기.svg
1970년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해리어 | 시해리어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VFW VAK 191B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AJ 37 비겐
파일:유럽 아이콘.png
유럽합작
파나비아 토네이도파일:영국 국기.svg-파일:독일 국기.svg-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J-22 오라오 / IAR 93 불투르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1980년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해리어 II | 토네이도 ADV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MBB 람피리데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PZL-230
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루마니아
IAR 95
1990년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호크 200 시리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이탈리아-브라질
AMX 인터내셔널 AMX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JAS 39 그리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L-159 ALCA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노비 아비온
2000년대
파일:유럽 아이콘.png
유럽합작
유로파이터 타이푼파일:영국 국기.svg-파일:독일 국기.svg-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스페인 국기.svg
2010년대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M-346FA
2020년대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FS202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휴르제트 공격형 | TAI 칸
2030년대
GCAP
파일:유럽 아이콘.png
유럽합작
FCAS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독일 국기.svg
취소선: 개발 취소 기종
}}}}}}}}}

파일:da00037245_m.jpg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Future Combat Air System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국가별 명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프랑스 국기.svg Système de Combat Aérien du Futur
파일:독일 국기.svg Zukünftiges Luftkampfsystem
파일:스페인 국기.svg Futuro Sistema Aéreo de Combate
}}}}}}}}}

1. 개요2. 특징3. 개발 국가4. 개발
4.1. 사업 초기4.2. 페이즈 1A4.3. 페이즈 1B
5. 대중매체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1. 개요

유럽의 차세대 항공 우세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 2017년 7월, 에어버스에서 정식으로 제안되었다. 프랑스어로 SCAF[1]라고 불리기도 한다. 프로젝트 내에 포함된 6세대 전투기 개발 부분은 NGF(Next Generation Fighter)로 불린다.

프랑스독일이 초기 계획 단계에서부터 참여하고 있으며, 스페인이 합류했다. 6세대 스텔스 전투기 개발을 목표로 2040년부터 각자 운용하고 있는 유로파이터 타이푼라팔 전체[2], F/A-18C을 대체할 예정이다.

2. 특징

FCAS는 하나의 거대한 시스템으로 차세대 전투기(Next Generation Fighter) 뿐만 아니라 수많은 다목적 UAV들과 그 UAV들을 싣고 공중 전개시켜주는 A400M 수송기, A330 기반 신형 조기경보통제기, 차세대 정찰위성과 통신위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투기는 통합 네트워크로 이들을 모두 연결하고, 상황을 분석해 지령을 내리는 노드 역할을 하며, 특별한 상황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공세 임무는 전부 UAV가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FCAS의 각 시스템은 기둥(Pillar)로 불리고 있으며, NGF는 7개의 기둥 중 첫 번째(Pillar 1)이다.
파일:EeE-FnOUwAAQWA-.jpg
파일:DA00037244_M.png
다쏘가 제시한 기체 컨셉 시안

전투기 디자인의 경우 처음 에어버스에서 발표되었을 땐 수직미익이 존재하는 평범한 5세대급 델타익 디자인이었지만 다쏘가 개발 주도권을 쥔 후에 공개된 컨셉 형상은 대형 측면 고정 레이더와 스텔시한 2차원 추력 편향 엔진 노즐을 탑재하고 수직미익이 사라진, 급진적인 6세대급 전투기 디자인으로 바뀌었다.# 이후 공개된 목업은 람다 형상의 주익과 함께 미익을 완전히 없앴던 기존 컨셉 형상과는 달리 YF-23의 것과 비슷한 일체형 경사 미익이 적용되었고, 기수가 좀 더 길어졌으며, 인테이크의 형상 역시 F-35의 것과 비슷한 DSI(Diverterless Supersonic Inlet)가 적용된 것으로 변경되었다.
파일:ngf4.png
파일:ngf5.png
다쏘가 제시한 조종석 구성 시안

또한 조종석에는 BAE 템페스트와 마찬가지로 증강현실을 이용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해 전장상황 파악을 용이하게 하고 네트워크전 능력을 극대화할 예정이다.

총 예산은 550억 유로(약 68조원)로 예상되며 2019년도 EU 통합 예산안에 반영될 예정이다.

라팔과 마찬가지로 함재기 버전 역시 계획되고 있으며, 프랑스 해군 차세대 항공모함 PANG에 탑재될 예정이다.
파일:PANG-Frances-New-Aircraft-Carrier-Will-be-Nuclear-Powered-2.jpg

3. 개발 국가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 프로젝트 관리 국가(prime contractor, MOE)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 주요 파트너 국가(main partner)
  •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 주요 파트너 국가(main partner)
  •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 옵저버 파트너 국가(observer partner)

4. 개발

FCAS는 개발 일정을 단계별로 나누어 개발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4.1. 사업 초기

에어버스유로파이터 타이푼 후계기에 대한 구상은 2016년 중반에 시작되었고, 1년 후 베를린에서 열린 IQPC(국제품질생산성센터)가 주관하는 밀리터리 컨퍼런스 전투기 부문에서 정식으로 상세 사항이 발표되었다.

2017년 7월 13일, 독일과 프랑스는 차세대 전투기의 공동개발에 합의했다. 유로파이터 개발을 주도했던 영국의 경우 역시 FCAS로 명명된 프랑스와의 UCAV 공동개발 계획 외에 유인기 개발에는 뚜렷한 참여 의사[3]를 나타내지 않고 있다.#

2018년 4월 25일, 에어버스 독일과 프랑스 다쏘는 ILA(베를린 국제 항공 우주쇼)에서 독일 공군의 유로파이터와 프랑스 라팔을 대체하는 차세대 전투기 개발에 합의했다. 첫 기술실증기는 기존 기체를 기반으로 2025년까지 개발되며, 실기는 2035년까지 개발을 완료한 후 2040년 경까지 생산될 예정이다.#

보도에 따르면 프랑스 다쏘가 FCAS 계획을 주도할 것이라고 한다. 또한 독일 정부의 양해각서에 의하면 2018년 말까지 공동 개념 연구를 위한 요구조건을 마련하기 위해 프랑스와 독일 양국의 인원으로 구성될 FCAS 프로젝트 팀이 프랑스에 설립될 것이라고 한다.#

2018년 11월 21일, FCAS의 설계와 디자인에 대해 프랑스와 독일이 공동 합의를 이루었다. 계획을 주도하는 다쏘사가 2019년 중순까지 양국 정부에 기초 설계안을 제시할 예정이며, 전투기 엔진은 프랑스 사프란독일MTU가 공동으로 팀을 꾸려 프로토타입 제작에 착수하게 된다. 또한 2019년 2월 14일, 스페인이 독-프 전투기 개발 계획에 참여하는 것에 공식적으로 서명하였다.#
파일:h_55277846.png
2019년 6월 17일에 열린 파리 에어쇼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참관 하에 새로운 형상의 목업이 공개되었고, 3국이 개발에 공식 합의했다.#

4.2. 페이즈 1A

2020년 2월, 1A 단계의 개발이 시작되었다.

2020년 말, 다쏘와 에어버스가 요구성능, 기반 기술실증기, 개발된 기술에 대한 지적 재산권 공유 문제 등으로 대립하면서 개발이 교착상태에 빠졌다. 독일 측은 특히 자국에 낮은 분담률에 상당한 불만을 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반 기술실증기도 라팔이 아닌 유로파이터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새로 참여한 스페인 역시 자국에 대한 충분한 분담과 엔진개발 참여를 요구했다. 이에 2021년 2월 17일, 독일/프랑스/스페인의 국방부외 다쏘, 에어버스, 인드라 관계자들이 파리에서 현상 타개를 위한 협상을 벌였다. 상황이 좋지 않은지 다쏘에서 플랜B를 운운하며 독자 개발할 수도 있다는 소리도 나왔다.## #

그러나 이후 삼국간 협의는 원만하게 진행되어 2021년 5월, 상당히 빠르게 교통정리를 끝마쳤다. FCAS 프로그램의 개발 체제는 3개국에 의한 평등한 참여를 보장하며, NGF의 개발과 생산은 프랑스(다쏘)가, 독일과 스페인(에어버스)은 무인전투기 및 센서류 개발을 주도하게 된다.

엔진의 개발은 프랑스 사프란과 독일의 MTU가 합작 회사 EUMET을 설립하고 스페인의 엔진 개발·제조 기업인 ITP를 프라임 파트너의 지위로 영입함으로써 33: 33: 33의 분담을 약속했다. NGF의 신형 엔진을 개발하는 독점적인 지위와 권리는 EUMET이 보유한다.

NGF의 기술 실증기 개발에도 프랑스, ​​독일, 스페인이 35억 유로를 서로 균등하게 기여하기로 합의했다. 기술 실증기는 2027년까지 첫 비행할 예정이다.#

2022년, 다시금 프랑스와 독일 간에 잡음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독일 정치권은 다쏘가 에어버스를 동등한 파트너로 여기고 있지 않는 것에 반발하고 있으며, 2020년대 들어 라팔 전투기의 해외 수주가 폭주하면서 라팔의 업그레이드와 판매에만 집중하고 차세대 전투기 개발은 도외시하고 있다는 불만도 제기하고 있다. 그리고 프랑스에 대한 항의의 메시지 겸 대체 옵션(fall-back option)으로 F-35의 도입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그와 별개로 사프란은 1월, FCAS 엔진에 탑재할 터빈 블레이드 및 디스크를 장착한 M88(라팔 엔진) 엔진의 지상 시험을 수행했다. 프랑스 상원 기록에 따르면 최소한 최대 추력 12톤의 성능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한다.# #

1월 28일, 다쏘의 CEO 에릭 트라피에는 다시 한 번 플랜B(독자 개발)를 실행할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독일에게 프랑스의 주도권을 인정하고 자신의 개발 비전을 따르라고 압박했다.#

2월 27일, 독일의 올라프 숄츠 총리2022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을 계기로 1000억 유로(약 134조원) 규모의 재무장 계획을 발표하면서 프랑스와의 FCAS 및 EMBT(차세대 유럽 주력전차) 공동개발 사업을 최우선 순위로 꼽았으나 정작 독일, 프랑스, 스페인 정부와 기업들 모두 워크쉐어의 비율, 기술권에 대한 권리 등 아무것도 합의에 이른 것이 없어 개발 진행을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주된 쟁점은 비행제어시스템과 스텔스 기술을 3국의 관련 기업들이 어떻게 공유할 것이냐는 것으로 이 부분에 대해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해 2022년 4월 기준으로 9개월 동안 교착 상태에 빠져있는 상황이라고 한다.#

에릭 트라피에 다쏘 CEO는 원래 2021년 여름경에 프로토타입 개발 단계인 페이즈 1B를 시작해야 했으나 에어버스와의 주도권 다툼으로 반년이나 지연되고 있다고 밝히면서 이 때문에 다쏘는 FCAS를 위해 마련된 기술진 등 인력을 다른 프로그램으로 돌릴 수 밖에 없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다쏘가 리더이자 주요 계약자가 되어야 한다고 재차 주장했으며, 독일에게는 넘지 말아야 할 레드라인이 있다면서 독일이 공언한대로 1000억 유로를 FCAS에 먼저 투입할 것인지 아니면 프랑스의 기대를 배반하고 F-35를 도입을 할 것인지 지켜볼 것이라고 경고했다.#

결국 3월 14일, 독일이 F-35A를 35대 구매하는 것을 결정지으며 FCAS 사업에도 큰 타격을 줄 전망이다. 올라프 숄츠 총리는 FCAS 개발이 '절대적인 우선순위'라고 말하면서도, 그럼에도 노후화한 토네이도 전투기 교체는 당장 필요한 사업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독일연방군의 람브레히트 국방장관도 이날 F-35 구매와 관계없이 진행될 것이라며 프랑스를 안심시키려는 모습을 보였으나, F-35와 함께 유로파이터까지 신규 구매하기로 결정되며 FCAS는 장기적인 과제로서 국방정책 상 후순위로 밀려난 것으로 추측된다.#

4월 13일, TASS 통신에 의하면 현 마크롱 대통령과 2차 경선에서 맞붙게 된 마린 르펜 후보가 자신이 당선될 시 프랑스의 NATO 탈퇴와 함께 FCAS 프로그램에서도 탈퇴할 것이며, 이를 라팔 고도화 개수로 대체하겠다고 공약했다고 한다.# #

이는 2022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서 마린 르펜 후보가 낙선하면서 무산되었지만 MGCS는 독일이 주도하고, FCAS는 프랑스가 주도한다는 양측의 합의가 흔들리면서 이 시점에서도 FCAS의 진행은 사실상 중단되어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특히 다쏘 측은 FCAS 계획에 투입된 자사의 엔지니어들을 그냥 방치해 둘 수 없다며 다른 분야로 재배치하겠다고 독일을 압박하고 있다.#

2022년의 중반에 접어드는 6월에도 여전히 개발이 중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다쏘의 CEO '에릭 트라피에'는 인터뷰에서 재차 독일 에어버스의 무리한 기술 및 지적 재산권 공유와 일거리 분담 요구에 차질을 빚고 있음을 인정하면서 다쏘 측은 아무런 양보도 해줄 수 없음을 분명히 했다.#

이어 파리 에어포럼에 참석한 에릭 트라피에 사장은 이미 2040년대에 개발 일정을 마무리하는 것은 이미 물건너 갔고, 2050년대를 바라보고 있다고 밝혔으며 자신들에게도 플랜 B가 존재한다는 공개적인 경고 메세지를 재차 전했다. 또한 공동 개발국인 독일을 포함한 여러 유럽 국가들이 F-35를 사들이는 것에 대해 "유럽인들이 F-35를 사들인다"며 유감을 표명하기도 했다.# #

이에 에어버스 우주 방위부서 수장 미하엘 숄혼은 다쏘가 하는 짓은 우리가 생각하는 유럽식 협력과 거리가 멀고 받아들일 수 없는 지휘통제식 리더쉽의 전형이라고 비판했다. 이로써 FCAS 개발에 대한 양사의 협상은 사실상 파토 수순에 접어들고 있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다만 프랑스 역시 FCAS의 대안으로 자체 스텔스기나 6세대 기종을 개발하는 것이 아닌 라팔을 고도화하는 개수를 플랜 B로 취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기에 자칫 프랑스의 전투기 개발 기술계보가 4.5세대에 장기간 머물게 되는 것 아니냐는 내부의 우려도 존재했다. 한편 독일F-35 추가 도입이나 BAE 템페스트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옵션을 선택할 수도 있다는 의사를 내비치고 있다.

다만 스페인은 2023년 스페인 국방예산에 FCAS 개발 비용을 편성함으로서 아직 사업을 계속하고자 하는 의지는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독일 또한 의회의 예산 심의 과정에서 FCAS 관련 예산이 전액 삭감될 뻔 했지만, 프랑스-독일 관계 등을 고려한 총리 측의 요구로 2023년 국방예산에 FCAS 개발 비용을 편성했다고 한다.

2022년 11월 18일, 정부 간 합의에 더해 산업계까지 합의에 도달했다.#

2022년 12월 2일, 다쏘사의 CEO 에릭 트라피어는 FCAS의 시제기가 2029년에 첫비행할것이며 이르면 2040년에 양산기가 초도배치되어 라팔과 유로파이터를 대체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하여, FCAS는 기존에 설정된 2040년 초도배치라는 초기일정을 유지할 것이라 발언했다. #

이는 자신이 5개월 전 "2040년대에 개발 일정을 마무리하는 것은 이미 물건너 갔고, 2050년대를 바라보고 있다"고 발언했던 자신의 주장을 정면으로 뒤집은 것인데, 이는 결국 해당발언이 지난 협상과정에서 독일 합의를 유도하기 위한 압박성 멘트였다는 것을 인정한 셈이다. 또한 FCAS 개발과 별도로, 자사의 전투기인 라팔 또한 끊임없이 진화하고 해외고객에 계속 판매될 것이라면서 FCAS 개발 때문에 라팔 개량 작업 및 해외 판매를 게을리하지 않을 것임을 확인했다.#

2023년 1월, 독일이 FCAS 개발을 위해 400억 유로의 예산을 배정하였다.

4.3. 페이즈 1B

2023년 4월, 공식적으로 1B 단계의 개발이 시작되었다.

2023년 6월 19일, 벨기에가 옵저버 자격으로 프로그램에 합류했다.

2023년 11월 1일, 독일이 프랑스와의 FCAS 프로젝트를 중단하고 GCAP에 합류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이 영국 타임즈에서 보도되었다. 그러나 바로 다음날인 11월 2일, 독일 국방부 대변인이 독일은 FCAS를 탈퇴하지 않을 것이며, 해당 보도 내용은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하지만 일부 외교 전문가들은 해당 보도가 프랑스 측에 압력을 가하고 FCAS에 대한 더 많은 영향력을 얻기 위해 독일이 고의적으로 흘린 내용일 것이라는 추측을 내놓기도 했다.# #

2023년 11월 10일, 프랑스 항공우주군 관계자에 의하면 4가지 형태의 설계가 검토 중이라고 한다. 2024년 6월까지 2가지 설계를 추리고, 2025년 3월까지 전투기의 최종 설계를 선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3년 11월 27일, 벨기에는 2025년 6월 안에 FCAS 프로그램에 정식 합류하여 4번째 파트너 국가가 될 것이라고 벨기에 국방장관이 발표했다.#

5. 대중매체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의 제트전투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87CEFA>
1940년대
<colbgcolor=#EEE,#333>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colbgcolor=#fefefe,#191919>미티어 | 뱀파이어 | 어태커 | 시호크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Me 262 | He 162 | He 280
1950년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라이트닝 | 베놈 | 시빅슨 | 스위프트 | 자벨린 | 헌터 | 시미터 | 버캐니어 | 폴랜드 냇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피아트 G.91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EFW N-20.10 에귀용 | FFA P-16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J 21R | J 29 툰난 | J 32 란센
1960년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호커 P.1121 | 호커 시들리 P.1154 | BAC TSR-2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EWR VJ 101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J 35 드라켄
파일:유럽 아이콘.png
유럽합작
SEPECAT 재규어파일:영국 국기.svg-파일:프랑스 국기.svg
1970년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해리어 | 시해리어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VFW VAK 191B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AJ 37 비겐
파일:유럽 아이콘.png
유럽합작
파나비아 토네이도파일:영국 국기.svg-파일:독일 국기.svg-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J-22 오라오 / IAR 93 불투르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1980년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해리어 II | 토네이도 ADV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MBB 람피리데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PZL-230
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루마니아
IAR 95
1990년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호크 200 시리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이탈리아-브라질
AMX 인터내셔널 AMX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JAS 39 그리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L-159 ALCA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노비 아비온
2000년대
파일:유럽 아이콘.png
유럽합작
유로파이터 타이푼파일:영국 국기.svg-파일:독일 국기.svg-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스페인 국기.svg
2010년대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M-346FA
2020년대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FS202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휴르제트 공격형 | TAI 칸
2030년대
GCAP
파일:유럽 아이콘.png
유럽합작
FCAS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독일 국기.svg
취소선: 개발 취소 기종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의 제트전투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e9e9e9,#191919> 1940년대 VG 90 | 노르 2200
1950년대 우라강 | 미스테르 I/II/III | 미스테르 IV | 아퀼롱 | 보투르 | 쉬페르 미스테르 | 에탕다르 IV | 에탕다르 II | SE.210 듀랑달 | 노르 1500 | SO.9000 트라이던트
1960년대 미라주 III | 미라주 IV | 미라주 V
1970년대 미라주 G4 | 미라주 G8 | 미라주 F1 | 쉬페르 에탕다르
1980년대 미라주 2000 | 미라주 4000
1990년대
2000년대 라팔
2030년대 FCAS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다쏘 항공 로고.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 {{{#!folding 다쏘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000,#e5e5e5
민항기
머큐리
군용기
전투기 1세대 우라강 · 미스테르 I/II/III · 미스테르 IV
2세대 쉬페르 미스테르 · 에탕다르 IVM
3세대 미라주 III · 미라주 F1 · 미라주 G8
4세대 미라주 2000 · 미라주 4000
4.5세대 라팔
6세대 FCAS
폭격기 미라주 IV
공격기 미라주 V · 쉬페르 에탕다르
정찰기 에탕다르 IVP · 미라주 IV
대잠초계기 아틀란틱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파일:에어버스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2px; color:#315288,#fff"
{{{#!folding [ 에어버스 항공기 목록 ]
{{{#!wiki style="margin-bottom:-26px"
에어버스 민항기
협동체 광동체
쌍발기 A220B · A320 패밀리 (A318, A319, A320, A321) · A320neo 패밀리 (A319neo, A320neo, A321neo) A300 · A310 · A330 (neo) · A350 XWB (neo)
4발기 - A340 · A380 (plus)
특수 화물기 A300-600ST Beluga · Beluga XL
에어버스 디펜스 앤 스페이스 군용기
전투기 유로파이터 타이푼 · FCAS
수송기 CN-235 · C-295 · A400M
공중급유기 A310 MRTT · A330 MRTT · KC-45
무인기 유로드론 · 제피르 UAV · SIRTAP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헬리콥터
민간용 H125 · H130 · H135 · H145 · AS365 · H155 · H160 · H175 · H215 · H225
군용 H125M · H145M/UH-72 · AS565 · H160M · H215M · H225M · 타이거 · NH90
ATR 민항기
ATR 42 · ATR 42-600S · ATR 72
아에로스파시알 및 그 이전 민항기
Sud Aviation Caravelle · Concorde
B: 봉바르디에에서 개발 및 제작한 항공기 }}}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현대 프랑스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008080> 프랑스 항공우주군
Armée de l'Air et de l'Espace

프랑스 해군 항공대
Aéronavale
회전익기 <colbgcolor=#008080> 공격헬기 HSS-1육/해/공/R, SA 313B 알루에트 II육/해/R, SA 341F 가젤, SA 342M 가젤, AS565 AA해/공, AS565 AB/CA해/공, 타이거 HAP, 타이거 HAD
다목적 헬기 알루에트 III육/해, AS332 쉬페르 푸마해/공, AS565 팬서해/공 AS532 쿠거
수송헬기 SA 321쉬페르 프렐롱 해/공/R, AS330 푸마육/공, EC725 카라칼, NH90 TTH 카이만, SE.3000R
대잠헬기 AS332F 쉬페르 푸마, AS532 SC, NH90 NFH 카이만
프롭 전투기 스핏파이어 LF.Mk. IXR, Ki-43원정군/C/R, A6M2-N원정군/C/R, 시파이어해/R , F8F-1B해/R, F4U-7해/R
제공 전투기 1세대 M.D.450 우라강R, S.O. 4050 보투르 NR, F-84F/GR, 미스테르 IIR, 미스테르 IVR, 아퀼롱 203해/R
2세대 F-100DR, F-86KR, 쉬페르 미스테르 B.2R, 에탕다르 IVM해/R, F-8E (FN)해/R
3세대 미라주 III C/ER, 미라주 F1R
4세대 미라주 2000
4.5세대 라팔 C 스탕다르 F3/F3R, 라팔 M
6세대 {FCAS}
공격기 SB2C-5, A-1 스카이레이더R, 1050 알리제해/R, S.O.4050 보투르 IIAR, 재규어 AR, 쉬페르 에탕다르해/R, 미라주 V, 미라주 2000 N/D,
폭격기 PB4Y-2해/R, S.O.4050 보투르 IIBR, 미라주 IVR, AAS 01X
수송기 C-160R, C-119R, C-124, C-130(H/H-30/J-30), A400M 아틀라스
지원기 조기경보기 E-2C 호크아이, E-3F 센트리
대잠초계기 아틀란틱해/R, 아틀란틱 II, {MAWS}
정찰기 브레게 1150 아틀란틱, 다쏘 팔콘, Fi 156해/공/R
신호정보 수집기 C-160G 가브리엘
공중급유기 A330 피닉스, C-135FR, KC-130J
무인기 UCAV MQ-9, {유로드론}
훈련기 EMB 312FR, 푸가 CM.175 제피르R, Ar 96R, 무드리 CAP 10해/공, 미라주 2000B-S5, 다쏘-도르니에 알파 젯, SIPA S.10R
다목적기 다쏘 팔콘 10M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C: 노획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현대 독일 연방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808080,#7f7f7f> 독일 연방군 (1955~현재)
Bundeswehr
회전익기 <colbgcolor=#808080,#914852> 경헬기 SA.319 알루에트-IIIR, SA.313 알루에트-IIR, Bo 105P/M, H145M
다목적 헬기 UH-1D
수송헬기 CH-53(G/GS/GA/GE), NH90 TTH, {CH-47F}
공격헬기 EC-665 타이거 UHT
대잠헬기 Mk.88A 시 링스, SH-3GR, NH90 NMRH
전투기 1세대 시호크 Mk.100/Mk.101해/R, CL-13A Mk.5/6, F-86KR, G.91 R/3R, G.91 R/4R
2세대 F-104GR
3세대 MiG-21(M/MF/SMT/Bis)동/R, MiG-23(S/BN/UB/MF/ML)동/R, F-4F/F-4F ICER
4세대 / 4.5세대 MiG-29G/GT동/R, PA-200 토네이도 IDS, EF-2000 유로파이터
5세대 {F-35A}
6세대 {FCAS}
수송기 C-160R, C-130J, A400M
지원기 조기경보기 E-3ANAEW&CF, {E-7}NAEW&CF
대잠초계기 Br 1150 아틀란틱해/R, P-3C, {P-8}, {MAWS}
정찰기 RF-4ER
신호정보수집기 Br 1150M 아틀란틱해/R, {PEGASUS}
공중급유기 A310 MRTTR, A330 MRTTMMF, {KC-130J}
전자전기 HFB 320 ECMR, PA-200 토네이도 ECR, {EF-2000 유로파이터 EK}
무인기 UAV IAI 헤론L, RQ-4E
UCAV EADS 바라쿠다, IAI 헤론 TPL, {유로드론}
훈련기 프롭 T-6R, 그롭 G120A
제트 다쏘 & 도르니에 알파제트AR, T-38AR, T-38C, PA-200 토네이도 IDS
특수목적기 AS532 쿠거, A321L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MMF: NATO MM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 해군 운용기
※ 윗첨자: 구 동독 공군 편입 기체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도입 취소 기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현대 스페인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373a3c> 스페인군 (1945 ~ 현재)
Las Fuerzas Armadas Españolas
회전익기 경헬기 <colbgcolor=#fefefe,#393b42>Z.2R | XZ.3R | XZ.4R | Z.5R | Z.6R | Z.7(A/B)R | HD.11R | HE.20R | HE.25
정찰헬기 HR.12R | HR/HRA-15R
다목적 헬기 Z.1(A/B/C)R | HU.8R | HU.10R | HD/HE-16R | HU.18 | HU.21 | HU.22 | HE.24 | HE/HU.26 | HU.27 | HU.30
<colcolor=#373a3c> 수송헬기 HT.17 | HT/HD-19R | HD/HT.21 | HT.27 | HT.29
공격헬기 HA.14R | HA.15R | HA.16R | HA.28 티그레
대잠헬기 HS.9R | HS.13R | HS.23
전투기 프롭 C.1R | C.2R | C.3R | C.4(E/J)R | C.6 (1939)R | C.6 (1954)R | C.7R | C.8 (1939)R | C.9 (1939)R | C.11 (1938)R
1세대 C.5 (1955)R
2세대 C.8 (1965)R
3세대 A.9R | C.11R | C.12R | C.14(B)R
4세대 / 4.5세대 C.15 | C.16(M) 타이푼
6세대 {FCAS}
폭격기 BV.1R | B.2R | B.3R | B.4R | B.5R | B.6R | B.7R
공격기 A.1R | A.2R | A.3R | A.4R | A.10(B/C) 사에타R | VA.1 마타도어R | VA.1(A/B)
정찰기 프롭 TR.12A | TR.19
제트 TR.20 | AR.9 | CR.12
수송기 T.1R | T.2R | T.3R | T.4(I/II/III)R | T.5R | T.6R | T.7R | T.8R | T.9(I/II)R | T/TL.10 | TM.11 | T.12(B/C/D) | T.15R | T.16R | T/TK/TM.17R | T.18 | T/TM.19 | | TM.20 | T.21 | T.22 | T/TK.23 | T/TK.24
지원기 조기경보기 E-3ANAEW&CF | {E-7}NAEW&CF
대잠초계기 P.3(M)R | {C-295 MPA/ASW}
공중급유기 TK.10 | {A330 MRTT}
의무후송기 D.2 | D.3A | D.4
전자전기
무인기 UR.01 | NR.03 | NR.04 | NR.05 | {SIRTAP} | {유로드론}
훈련기 프롭 EE.1(I, II)R | EE.2R | EE.3R | EE.4R | EE.5R | E.6(I, II)R | E.16R | E.17R | XE.18R | E.18R | E.19R | E.20 | E.21 | E.22 | E.23 | E.24 | E.26 | E.27 | E.30 | E.31 | TE.12B
제트 VAE.1 | VAE.1B | CE.8R | AE.9 | XE.12R | E.14(B)R | CE.11R | CE.14R | CE.15(M) | E.15R | E-25 미를로
수상기 HR.1R | HR.2R | HR.3R | HR.4R | HR.5R | HR.6R | HR.7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도입 취소 기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1] Système de Combat Aérien Futur[2] 구형 라팔들은 우선적으로 FCAS로 대체되지만 신형 기체들은 FCAS의 기술을 접목시켜 사실상 FCAS와 유사한 성능을 가지도록 개량해서 한동안 FCAS과 함께 운용할 예정이다. 최종적으로는 해당 기체들도 FCAS로 전부 교체된다.[3] 이 FCAS 계획도 브렉시트가 본격화되면서 사실상 취소되었다. 영국은 브렉시트 이후를 바라보고 독자적으로 템페스트 - GCAP라고 명명된 6세대 전투기를 계획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