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00:36:27

톰 블롬퀴비스트


파일:ELMS 로고.jpg
2025 ELMS 참가 팀 및 드라이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MP2
No. 소속 섀시 클래스 성명 참가 라운드
3 DKR 엔지니어링 오레카 07 LMP2 파일:독일 국기.svg 로렌츠 회르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9 아이언 링스-프로톤 오레카 07 LMP2 파일:독일 국기.svg 요나스 리드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77 프로톤 컴페티션 LMP2
Pro-Am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조르지오 로다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10 벡터 스포트 오레카 07 LMP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라이언 컬렌 미정
파일:프랑스 국기.svg 블라디슬라브 롬코[1]
파일:국기.svg 미정
18 IDEC 스포트[2] 오레카 07 LMP2 파일:영국 국기.svg 제이미 채드윅 미정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티스 자우베르
파일:국기.svg 미정
28 LMP2 파일:프랑스 국기.svg 폴루 샤탕 미정
파일:프랑스 국기.svg 폴 라파르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욥 반 우이테르트
20 알가르브 프로 레이싱 오레카 07 LMP2
Pro-Am
파일:영국 국기.svg 올리 칼드웰 미정
파일:그리스 국기.svg 크리톤 렌두디스
파일:영국 국기.svg 알렉스 퀸
25 LMP2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마티아스 카이저 미정
파일:스페인 국기.svg 로렌초 플럭사
파일:국기.svg 미정
21 유나이티드 오토스포츠 오레카 07 LMP2
Pro-Am
파일:영국 국기.svg 올리버 자비스 미정
파일:일본 국기.svg 사토 마리노
파일:브라질 국기.svg 다니엘 슈나이더
22 LMP2 파일:영국 국기.svg 벤 핸리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24 닐슨 레이싱 오레카 07 LMP2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젬 볼룩바시 미정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페르디난트 합스부르크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필리페 알버커키
27 LMP2
Pro-Am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비오 쉬어러 미정
파일:영국 국기.svg 앤서니 웰즈
파일:국기.svg 미정
29 TDS 레이싱 오레카 07 LMP2
Pro-Am
파일:미국 국기.svg 로드리고 세일즈 미정
파일:스위스 국기.svg 마티아스 베체
파일:프랑스 국기.svg 클레멘 노발락
48 VDS 패니스 레이싱 LMP2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밀레시 미정
파일:프랑스 국기.svg 에스테반 마송
파일:영국 국기.svg 올리버 그레이
34 듀퀸 팀 오레카 07 LMP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프란체스코 시모나치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34 인터 유로폴 컴페티션 오레카 07 LMP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루카 기오토 미정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페드로 페리노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바티스타 지메나우어
43 파일:프랑스 국기.svg 톰 딜먼 미정
파일:폴란드 국기.svg 야코프 스미에초우스키
파일:영국 국기.svg 닉 옐로리
37 CLX-퓨어 RXCING 오레카 07 LMP2 파일:영국 국기.svg 알렉산더 말리킨[3] 미정
파일:영국 국기.svg 해리 킹
파일:영국 국기.svg 톰 블롬퀴비스트
47 CLX 모터스포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마누엘 에스피리투 산투 미정
파일:브라질 국기.svg 피포 데라니
파일:브라질 국기.svg 엔조 피티팔디
83 AF 코르세 오레카 07 LMP2
Pro-Am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수아 페로도 미정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알레시오 로베라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티유 벡시비에르
99 AO by TF 오레카 07 LMP2
Pro-Am
파일:미국 국기.svg 필립 제퍼리 하이엣 미정
파일:스위스 국기.svg 루이 델레트라즈
파일:국기.svg 미정

LMP3
No. 소속 섀시 클래스 국적 성명 참가 라운드
4 DKR 엔지니어링 지네타 G61-LT-P3 EVO LMP3 파일:미국 국기.svg 와이엇 브리챠첵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8 RLR M스포트 리지에 JS P325 LMP3 파일:스페인 국기.svg 다니엘 노갈레스 미정
파일:폴란드 국기.svg 야체크 지엘론카
파일:국기.svg 미정
11 유로인터내셔널 리지에 JS P325 LMP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안 아길레라 미정
파일:영국 국기.svg 매튜 리처드 벨
파일:덴마크 국기.svg 세바스티안 그라브룬드
12 WTM by 리날디 레이싱 듀퀸 009 LMP3 파일:독일 국기.svg 토르트텐 크래츠 ALL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오스카 툰조
파일:독일 국기.svg 레오나르도 바이스
15 RLR M스포트 리지에 JS P325 LMP3 파일:덴마크 국기.svg 미켈 옌센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17 CLX 모터스포트 리지에 JS P325 LMP3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드리안 클로스메닐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31 레이싱 스피릿 오브 르망 리지에 JS P325 LMP3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리우스 포사르 미정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루도비치 포베르
파일:프랑스 국기.svg 자크 볼프
35 얼티메이트 리지에 JS P325 LMP3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바티스타 라헤이 미정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티외 라헤이
파일:프랑스 국기.svg 루이 스테른
68 M 레이싱 리지에 JS P325 LMP3 파일:프랑스 국기.svg 얀 에흐라처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88 인터 유로폴 컴페티션 리지에 JS P325 LMP3 파일:영국 국기.svg 팀 크레스윅 미정
파일:벨기에 국기.svg 도위 더덱커
파일:국기.svg 미정
LMGT3
No. 소속 차량 엔진 성명 참가 라운드
23 유나이티드 오토스포츠 맥라렌 720S GT3 EVO 맥라렌 M840T 4.0L V8 터보 파일:독일 국기.svg 마빈 커흐회퍼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50 리처드 밀 AF 코르세 페라리 296 GT3 페라리 F163CE 3.0L V6 터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리카르도 아고스티니 미정
파일:브라질 국기.svg 쿠스토디오 톨레도
파일:프랑스 국기.svg 릴루 와두
51 AF 코르세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앙리 사마니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55 스피릿 오브 레이스 파일:영국 국기.svg 던컨 캐머론 미정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맷 그리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데이비드 페렐
57 케셀 레이싱 페라리 296 GT3 페라리 F163CE 3.0L V6 터보 파일:일본 국기.svg 키무라 타케시 미정
파일:브라질 국기.svg 다니엘 세라
파일:영국 국기.svg 벤 턱
74 파일:영국 국기.svg 앤드류 길버트 미정
파일:스페인 국기.svg 프란 루에다
파일:국기.svg 미정
59 레이싱 스피릿 오브 르망 애스턴 마틴 밴티지 AMR GT3 EVO 애스턴 마틴 M177 4.0L V8 터보 파일:프랑스 국기.svg 에흐완 바스타드 미정
파일:프랑스 국기.svg 발랑탱 하세클로
파일:프랑스 국기.svg 클레멘 마티외
60 프로톤 컴페티션 포르쉐 911 GT3 R (992) 포르쉐 M97/80 4.2L 플랫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테오 크레소니 미정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클라우디오 스키아보니
파일:국기.svg 미정
85 아이언 데임즈 파일:벨기에 국기.svg 사라 보비 미정
파일:덴마크 국기.svg 미셸 가팅
파일:프랑스 국기.svg 셀리아 마탕
63 아이언 링스 메르세데스-AMG GT3 EVO 메르세데스-AMG M159 6.2L V8 파일:미국 국기.svg 구스타보 메네제스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66 JMW 모터스포트 페라리 296 GT3 페라리 F163CE 3.0L V6 터보 파일:미국 국기.svg 스콧 노블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82 TF 스포트 쉐보레 콜벳 Z06 GT3.R 쉐보레 LT6.R 5.5L V8 파일:일본 국기.svg 코이즈미 히로시 미정
파일:앙골라 국기.svg 루이 안드라데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찰리 이스트우드
86 GR 레이싱 페라리 296 GT3 페라리 F163CE 3.0L V6 터보 파일:영국 국기.svg 마이클 웨인라이트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1] 러시아 국적 대신 프랑스 국적으로 출전[2] 18번 차량은 제네시스가 지원[3] 벨라루스 국적 대신 영국 국적으로 출전

}}}}}}}}} ||

파일:WeatherTech_SportsCar_Championship_logo.png 파일:IMSA_GTP_class_logo.png
2025 IMSA GTP 참가 팀/드라이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 제조사 / 번호 <colbgcolor=#fff> 팀 / 드라이버 <colbgcolor=#fff> 제조사 / 번호 <colbgcolor=#fff> 팀 / 드라이버
파일:포르쉐 로고(엠블럼, 워드마크).svg
5번
파일:25_WT_GTP_5_PROTON_PORSCHE_963-922x235.webp
파일:포르쉐 로고(엠블럼, 워드마크).svg
6번
파일:25_WT_GTP_6_PENSKE_PORSCHE_963-922x235.png
파일:UEFA CHI.png 니코 피노
파일:UEFA FRA.png 트리스탄 보티에
파일:UEFA FRA.png 줄리앙 앙들라우어
파일:UEFA SUI.png 닐 야니[1R]
파일:UEFA AUS.png 맷 캠벨
파일:UEFA FRA.png 마티유 자미네
파일:UEFA FRA.png 케빈 에스트레
파일:포르쉐 로고(엠블럼, 워드마크).svg
7번
파일:25_WT_GTP_7_PENSKE_PORSCHE_963-922x235.png
파일:캐딜락 로고.svg
10번
파일:25_WT_GTP_10_WTR_CADILLAC_V_LMDH-922x235.png
파일:UEFA BRA.png 펠리페 나스르
파일:UEFA GBR.png 닉 탠디
파일:UEFA BEL.png 로렌스 반투르
파일:UEFA USA.png 리키 테일러
파일:UEFA POR.png 필리페 알버커키
파일:UEFA GBR.png 윌 스티븐스
파일:UEFA NZL.png 브렌던 하틀리[1R]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svg
23번
파일:cecc2147d807a9a19109229a4fb4d3a98187d57a221c9e4fc2babfef272160fb-removebg-preview.png
파일:BMW 로고 그레이.svg
24번
파일:25_WT_GTP_24_RLL_BMW_M_hybrid_DIS-922x235.png
파일:UEFA GBR.png 로스 건
파일:UEFA CAN.png 로만 드 안젤리스
파일:UEFA AUT.png 필립 엥
파일:UEFA RSA.png 셸든 반더린데
파일:UEFA DEN.png 케빈 마그누센[10+]
파일:UEFA SUI.png 라파엘레 마르치엘로[1R]
파일:BMW 로고 그레이.svg
25번
파일:25_WT_GTP_25_RLL_BMW_M_hybrid_DIS-922x235.png
파일:캐딜락 로고.svg
31번
파일:25_WT_GTP_31_AX_CADILLAC_V_LMDH-922x235.png
파일:UEFA GER.png 마르코 비트만
파일:UEFA BEL.png 드리스 반투르
파일:UEFA NED.png 로빈 프라인스[10+]
파일:UEFA GER.png 르네 라스트[1R]
파일:UEFA GBR.png 잭 에이킨
파일:UEFA NZL.png 얼 밤버
파일:UEFA DEN.png 프레데릭 베스티
파일:UEFA BRA.png 펠리페 드루고비치[1R]
파일:캐딜락 로고.svg
40번
파일:25_WT_GTP_40_WTR_CADILLAC_V_LMDH-922x235.png
파일:아큐라 로고.svg
60번
파일:25_WT_GTP_60_MSR_ACURA_ARX06-922x235.png
파일:UEFA USA.png 조던 테일러
파일:UEFA SUI.png 루이 델레트라즈
파일:UEFA GBR.png 알렉스 린
파일:UEFA JPN.png 고바야시 카무이[1R]
파일:UEFA GBR.png 톰 블롬퀴비스트
파일:UEFA USA.png 콜린 브라운
파일:UEFA NZL.png 스콧 딕슨
파일:UEFA SWE.png 펠릭스 로젠퀴비스트[1R]
파일:람보르기니 로고.svg
63번
파일:25_WT_GTP_63_RILEY_LAMBO_SC63-922x235.png
파일:포르쉐 로고(엠블럼, 워드마크).svg
85번
파일:25_WT_GTP_85_JDC_MILLER_PORSCHE_963-922x235.png
파일:UEFA ITA.png 미르코 보톨로티
파일:UEFA FRA.png 로맹 그로장
파일:국기.svg 다닐 크비얏
파일:UEFA SUI.png 에두아르도 몰타라
파일:UEFA USA.png 브라이스 아론
파일:UEFA NED.png 티멘 반더헬름
파일:UEFA GER.png 파스칼 베를라인
파일:UEFA ITA.png 지안마리아 브루니
파일:아큐라 로고.svg
93번
파일:25_WT_GTP_93_MSR_ACURA_ARX06-922x235.webp
파일:UEFA NED.png 렝어르 판더르잔더
파일:UEFA GBR.png 닉 옐로리
파일:UEFA ESP.png 알렉스 팔로
파일:UEFA JPN.png 오타 카쿠노신[OK]
* 제조사 및 번호칸이 회색인 차량은 IMSA 측에서 지정한 미쉐린 인듀어런스 레이스만 참가하는 엔트리이다.
각주 [ 펼치기 · 접기 ]

[1R] 데이토나 24시 한정 참가[1R] 데이토나 24시만 참가[10+] 1라운드 데이토나 24시, 2라운드 세브링 12시, 11라운드 쁘띠 르망 참가[1R] [10+] 1라운드 데이토나 24시, 2라운드 세브링 12시, 11라운드 쁘띠 르망 참가[1R] [1R] [1R] [1R] [OK] 데이토나 24시, 글렌 6시, 배틀 온 더 브릭스 참가
}}}}}}}}}

파일:톰 블롬퀴비스트.webp
IWSC - 아큐라 마이어 섕크 레이싱 No.60
톰 블롬퀴비스트
Tom Leonard Blomqvist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생년월일 1993년 11월 30일 ([age(1993-11-30)]세)
출생지 영국 캠브리지셔 캠브리지
챔피언십
타이틀
포뮬러 르노 UK (2010)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 (2022)
소속 팀 WEC 익스트림 스포트 모터스포츠 (2016)LMP2
BMW 팀 MTEK (2018-19)LMGTE-Pro
죠타 스포트 (2021)LMP2
유나이티드 오토스포츠 (2023)LMP2
IMSA BMW 팀 RLL (2018-19)GTLM
마이어 섕크 레이싱 with 커브-아가자니안 (2022)DPi
마이어 섕크 레이싱 with 커브-아가자니안 (2023)GTP
휠렌 캐딜락 레이싱 (2024)GTP
아큐라 마이어 섕크 레이싱 with 커브-아가자니안 (2025)GTP
포뮬러 E MS&AD 안드레티 포뮬러 E (2017-18)
파나소닉 재규어 레이싱 (2019-20)
니오 333 FE 팀 (2020-21)
엔비전 레이싱 (2021-22)리저브
인디카 시리즈 마이어 섕크 레이싱 (2023-24)
ELMS CLX 모터스포트 (2025~ )


1. 개요2. 커리어
2.1. 초기 커리어2.2. 포뮬러 3 유로 시리즈 (2010-14)2.3. DTM (2015-17)
2.3.1. 2015 시즌2.3.2. 2016 시즌2.3.3. 2017 시즌
2.4. 포뮬러 E
2.4.1. 2017-18 시즌2.4.2. 2019-20 시즌2.4.3. 2020-21 시즌
2.5. WEC (2018-현재)
2.5.1. 2018 시즌2.5.2. 2021 시즌2.5.3. 2023 시즌
2.6. IMSA
2.6.1. 2019 시즌2.6.2. 2022시즌2.6.3. 2023시즌2.6.4. 2024 시즌
2.7. 인디카 시리즈 (2023-24)
2.7.1. 2022 시즌2.7.2. 2023 시즌2.7.3. 2024 시즌
2.8. ELMS (2025~ )
2.8.1. 2025 시즌

[clearfix]

1. 개요

영국 국적의 마이어 섕크 레이싱 소속의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 드라이버이다.

2. 커리어

2.1. 초기 커리어

블롬퀴비스트는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카트 레이싱으로 레이싱 커리어를 시작하여 뉴질랜드에서 8번의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다. 2009년 15세의 나이에 뉴질랜드에 있는 집을 떠나 포뮬러 르노 2.0 스웨덴에 출전하기 위해 유럽으로 이주했다.

블롬퀴비스트는 14번의 레이스에서 5번의 포디움 완주와 1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순위 3위를 차지했다. 또한 포뮬러 르노 NEZ 챔피언십에서 3위를 차지했다. 시즌이 끝날 무렵, 아직 15세에 불과하기 때문에 먼저 특별 출전 허가를 신청해야 했던 그는 로킹엄 모터 스피드웨이에서 열린 두 번의 레이스에서 모두 우승한 포뮬러 르노 영국 윈터 시리즈의 네 번의 레이스 중 두 번에 출전했다.

2010년에는 포텍 모터스포츠 소속으로 포뮬러 르노 영국 시즌 에 출전하여 16세의 나이로 시리즈 역사상 최연소 챔피언에 오르며 18세의 나이로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루이스 해밀턴이 세운 기록을 뛰어넘었다.

2010년 11월, 블롬퀴비스트는 상징적인 마카오 그랑프리에 출전했다. 유로 인터내셔널 소속으로 출전한 그는 포뮬러 BMW 퍼시픽 레이스에서 패스티스트 랩타임을 기록하며 3위를 차지했다.

2010년 12월, 블롬쿠;비스트는 맥라렌 오토스포츠 BRDC 어워드 최종 후보에 올랐고 브리티시 클럽 올해의 드라이버상을 수상했다.

2011년 11월 30일, 블롬퀴비스트는 전 F1 드라이버 마크 블런델이 소유한 MB 파트너스 팀과 계약했다. 블롬퀴비스트는 2011년 말 맥라렌 오토스포츠 BRDC 어워드 최종 후보에 다시 올랐다.

2012년 2월, 블롬크비스트는 맥라렌 드라이버 개발 프로그램의 영 드라이버로써 합류하였다.

같은 달에, 블롬퀴비스트는 포르쉐 카레라 컵에 출전할 두 명의 새로운 주니어 드라이버를 찾는 대규모 선발 과정에서 6명의 후보군 중 한 명이었다. 드라이버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는 소식에도 불구하고 블롬퀴비스트는 싱글 시터에 머물기로 결정했고, 몇 주 후 유럽 F3 폭스바겐 팩토리 드라이버로 선정된 후 마콘 모터스포츠팀과 계약하여 F3 유로 시리즈에 출전했다.

2.2. 포뮬러 3 유로 시리즈 (2010-14)

2010년 마카오에서 뛰어난 성공을 거둔 블롬퀴비스트는 2011년 퍼포먼스 레이싱과 함께 독일 F3에 출전했다. 더 강한 팀들과 경쟁했음에도 불구하고 유로스피드웨이 라우지츠에서 레이스를 시작할 때 다른 차에 치여 벽에 부딪혀 레이스에서 리타이어하는 동시에 허리가 부러지는 등 부상을 입고 결국 챔피언십에서 3위를 차지했다. 블롬퀴비스트가 다시 출전하기 위해서는 몇 달의 회복이 필요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로 인터내셔널은 블롬퀴비스트를 2012 독일 F3 챔피언십에 초청하여 F3 유로 시리즈 일정에 맞춰 출전시켰다. 블롬크비스트는 이전 부상으로 인해 단 5라운드만 출전했지만 인상적인 성적을 거두며 챔피언십 5위에 올랐다..

2012년 말, 블롬크비스트는 레드불 주니어 팀에 선발되었고, 올해 새로 결성된 FIA 유럽 포뮬러 3 챔피언십에 참가하여 2013 시즌의 유일한 드라이버로 전 소속팀인 유로 인터내셔널에 합류했다.

포뮬러 3를 처음 접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블롬퀴비스트는 시즌을 7위로 마감했고 유로 인터내셔널은 팀 챔피언십에서 5위를 차지했다. 블롬퀴비스트는 모든 포인트를 혼자 획득한 반면, 앞서 결승에 진출한 팀은 각각 여러 명의 드라이버를 보유하고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큰 성과를 기록했다.

2013년 11월, 블롬크비스트는 마카오 그랑프리에 출전했고, 이번에는 전 소속팀인 포텍 모터스포츠 팀 소속으로 출전했다. 하지만 세션이 끝날 무렵 블롬크비스트는 또 한 번의 실수로 폴 포지션을 잃고 6위에 그쳤다. 예선 레이스 도중 포텍 차량의 잘못된 스타트로 인해 레이스 스타트가 지연되었다.

2014년 블롬퀴비스트는 팀메이트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숀 겔라엘과 함께 칼린 소속으로 유럽 포뮬러 3 챔피언십에 출전하였다. 주니어 시절의 재능을 바탕으로 스릴 넘치는 시즌 레이스를 펼친 블롬퀴비스트는 엔진 교체 페널티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챔피언십에서 2위를 차지했다.

2.3. DTM (2015-17)

2.3.1. 2015 시즌

2015년 2월 2일, 블롬크비스트는 조이 핸드의 퇴사로 공석이 된 자리를 대신해 여러 시즌 동안 BMW DTM 드라이브를 확보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발표는 2014년 12월 제레즈에서 블롬크비스트, 잭 하비, 로빈 프렌즈, 루카스 루어, 리치 스타나웨이, 알렉스 린, 샘 버드, 알렉스 거니가 실시한 선발 테스트에 이어 이루어졌습니다. 블롬크비스트는 오거스토 파퍼스와 함께 RBM 팀에 합류하여 첫 시즌 오셔슬레벤에서 열린 레이스에서 우승한 최연소 BMW 드라이버이자 제조업체 중 두 번째로 최연소 레이스 우승자로 DTM 역사를 세운 14위로 시즌을 마감했습니다.

2.3.2. 2016 시즌

2016 시즌 동안 블롬크비스트는 RBM 팀에 남아 있었지만 새로운 팀메이트인 맥심 마틴과 함께했다. 그는 호켄하임에서 열린 시리즈 피날레에서 성공적인 2016 DTM 시즌을 마무리하며 시즌 최종 순위 상위 10위 안에 든 최연소 드라이버이자, 드라이버 챔피언십 6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2.3.3. 2017 시즌

2017년, 블롬퀴비스트는 BMW 팀 RBM에 남아 있었으나, 새로 구성된 팀 RBR에는 전 포뮬러 원 드라이버 티모 글록이 팀메이트로 참여했다.

2.4. 포뮬러 E

2.4.1. 2017-18 시즌

그는 2017-18시즌 MS&AD 안드레티 포뮬러 E 팀 소속으로 포뮬러 E에 참가했다. 그는 코바야시 카무이를 대신해 마라케시 ePrix에서 데뷔했다. 그의 팀메이트는 2014-15 시즌부터 포뮬러 E에 출전했던 안토니오 펠릭스 다 코스타였다. 마라케시에서 데뷔를 했지만, 팀은 그의 성적이 좋지 않다고 판단했고 시즌 마지막 네 번의 레이스를 앞두고 스테판 사라진과 교체되었다. 블롬크비스트는 2019 인디 500에 참가했던 정규 다리오 프랑키티 대신 2019 베를린 ePrix의 포뮬러 E 패독으로 돌아와 해설가로 활동했다.

2.4.2. 2019-20 시즌

블롬퀴비스트는 2019-20 시즌을 마감하는 2020 베를린 ePrix의 마지막 두 레이스에서 재규어의 제임스 칼라도를 대신해 레이스에 복귀했다.

2.4.3. 2020-21 시즌

그 후 블롬퀴비스트는 2020-21 포뮬러 E 월드 챔피언십 니오 333 FE 팀에서 팀메이트인 올리버 터비와 함께 출전하며 풀타임 시트를 얻었다. 이 팀 소속으로 블롬퀴비스트가 6점, 터비가 13점을 기록하며 컨스트럭터 중 최하위를 기록하며 그리드에서 가장 느린 팀 중 하나였다.

2021-22 시즌을 맞아 블롬크비스트는 니오를 떠나기로 결정하고 리저브 드라이버로 엔비전 레이싱에 합류했다.

2.5. WEC (2018-현재)

2.5.1. 2018 시즌

2018 블랑팡 GT 시리즈 인듀어런스 컵을 팀 발켄호스트 모터스포 팀 소속으로 출전 블롬퀴비스트, 필립 엥과 크리스찬 크로네스가 BMW M6 GT3를 몰고 2018 스파 24시에서 우승했다.

2.5.2. 2021 시즌

2021 FIA WEC에서 블롬퀴비스트와 전 F3 팀메이트였던 숀 겔라엘, 그리고 전 포뮬러 1 드라이버 스토펠 반두른은 죠타 스포츠 소속으로 LMP2 클래스에 출전했다.

이들은 5개의 레이스 중 유명한 르망 24시에서 2위를 차지하는 등 4번의 포디움을 차지하며 LMP2 클래스에서 2위를 차지했다.

2.5.3. 2023 시즌

블롬퀴비스트는 올리버 자비스, 조쉬 피어슨과 함께 LMP2 클래스를 유나이티드 오토스포츠 소속으로 2023 FIA WEC에 출전하였다. 그는 칩 가나시 레이싱에서 하이퍼카 클래스로 자리를 옮긴 알렉스 린의 빈자리를 대신하여 출전했다. 블롬퀴비스트는 전년도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에서 DPI 클래스 우승을 차지한 자비스의 존재가 우승에 큰 비중을 차지했다고 말했다.

2.6. IMSA

2.6.1. 2019 시즌

블롬크비스트는 왓킨스 글렌 인터내셔널에서 열린 2018 IMSA에서 BMW M8 GTE를 몰고 일회성 출전으로 데뷔했으며, GTLM 클래스에서 8위를 차지했다.

2019년에는 라할 레터맨 래니건 레이싱의 M8 GTE를 주행하며 풀 시즌 출전했다. 그는 시즌 내내 좋은 모습을 보였으며, 2019 쁘띠 르망에서 열린 시즌 피날레에서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다. 그는 258점으로 GTLM 클래스에서 9위를 차지하며 시즌을 마감했다.

2.6.2. 2022시즌

포뮬러 E 시즌 이후, 블롬퀴비스트는 2021년 11월 2022 IIMSA에 마이어 섕크 레이싱의 드라이버 중 한 명으로 발표되어 팀메이트 올리버 자비스와 함께 아큐라 ARX-05를 주행했다 그는 롤렉스 24시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시즌을 시작했고, 로드 애틀랜타에서 또다시 우승했다.
그래서, 22시즌 챔피언십 타이틀을 획득하게 되었다.

2.6.3. 2023시즌

2023년에 블롬퀴비스트는 마이어 섕크 레이싱 팀에 남아있었으며, 이번에는 부활한 GTP 클래스에서 새로운 아큐라 ARX-06을 운전하며 콜린 브라운과 팀을 맺었다.

블롬크비스트는 작년과 동일하게 롤렉스 24시에서 우승했다. 또한 두 선수는 2023 시즌에 캐나다 타이어 모터스포츠 파크에서 열리는 쉐보레 스포츠카 그랑프리에서 우승하였다.

2.6.4. 2024 시즌

마이어 섕크 레이싱은 2024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을 위해 IMSA를 떠나고 블롬퀴비스트가 인디카 풀타임 드라이버가 되었지만, 2024년 피포 데라니, 잭 에잇켄과 함께 31번 휠렌 엔지니어링 액션 익스프레스 레이싱 캐딜락 V-시리즈.R LMDh를 타고 미쉐린 인듀어런스 컵 레이스에 출전하기로 계약했다.

2.7. 인디카 시리즈 (2023-24)

2.7.1. 2022 시즌

마이어 섕크 레이싱 소속으로 IMSA에서 성공적인 시즌을 보낸 그는 2022년 10월 세브링에서 열린 비공개 인디카 드라이버 테스트에서 팀 차량 중 한 대를 테스트했다. 그는 5명의 참가자 중 가장 빨랐다.

2.7.2. 2023 시즌

2023년 7월 11일, 마이어 섕크 레이싱은 오하이오주 미드에서 사고를 당한 후 레이스 출전 허가를 받지 못한 사이먼 파제노를 대신해 블롬퀴비스트가 토론토에서 60번 차량으로 출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첫 인디카 레이스에서 블롬퀴비스트는 전체 순위 중 20위를 차지했다. 2023년 8월 11일, 마이어 섕크 레이싱은 블롬퀴비스트가 2024 인디카 시리즈의 마이어 섕크 팀에서 풀타임 드라이버로 활약할 것이며, 헬리오 카스트로네베스는 2024 인디애나폴리스 500부터 파트타임 역할로 변경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2.7.3. 2024 시즌

블롬퀴비스트는 펠릭스 로젠퀴비스트와 함께 2024 인디카 시즌을 시작하였다. 블롬퀴비스트는 개막전에서 두 번의 톱20 완주를 기록했지만, 인디애나폴리스 500에서 자신과 마르쿠스 에릭손, 피에트로 피티팔디가 1랩 때 충돌한 후 다음 두 번째 레이스부터 헬리오 카스트로네베스와 교체되었다.

2.8. ELMS (2025~ )

2.8.1. 2025 시즌

2025년 1월 29일, CLX 모터스포트 소속으로 해리 킹, 알렉산더 말리킨과 팀을 맺고 ELMS에 데뷔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