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5 00:45:37

에밀리아 페레즈


자크 오디아르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width=200> 파일:1994 그들이 어떻게 추락하는지 보라 로고.png ||<width=200> 파일:1996 위선적 영웅 로고.png ||<width=200> 파일:2001 내 마음을 읽어봐 로고.png ||
파일:2005 내 심장이 건너뛴 박동 로고.png 파일:2009 예언자 로고.png 파일:2012 러스트 앤 본 로고.png
파일:2015 디판 로고.png 파일:2018 시스터스 브라더스 로고.png 파일:2021 파리 13구역 로고.png
파일:2024 에밀리아 페레스 로고.png

상세정보 링크 열기
에밀리아 페레즈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역대 칸 영화제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
심사위원상
제76회
(2023년)
제77회
(2024년)
제78회
(2025년)
사랑은 낙엽을 타고 에밀리아 페레즈 -

역대 골든글로브 시상식
파일:goldenglobe.png
영화 작품상 - 뮤지컬·코미디
제81회
(2024년)
제82회
(2025년)
제83회
(2026년)
가여운 것들 에밀리아 페레즈
비영어 영화상
제81회
(2024년)
제82회
(2025년)
제83회
(2026년)
추락의 해부 에밀리아 페레즈

}}} ||
에밀리아 페레즈 (2024)
Emilia Pérez
파일:2024 에밀리아 페레즈 국내 티저 포스터.jpg
<colbgcolor=#000000><colcolor=#FF0A97> 장르 뮤지컬, 범죄, 코미디, 스릴러
감독 자크 오디아르
각본 자크 오디아르
토마스 비더게인
니콜라 리베치
제작 자크 오디아르
파스칼 코셰토
발레리 셔만
안토니 바카렐로
주연 카를라 소피아 가스콘
셀레나 고메즈
조 샐다나
아드리안나 파즈
촬영 폴 기욤
편집 쥘리에트 웰플링
미술 비르지니 몬텔
음악 클레망 뒤콜
주제곡 카미유 달메
의상 안토니 바카렐로
비르지니 몬텔
촬영 기간 2023년 5월 ~ 2023년 7월 5일
제작사 파일:프랑스 국기.svg 와이 낫 프로덕션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페이지 114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 시네마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테
파일:프랑스 국기.svg 생 로랑 프로덕션
파일:멕시코 국기.svg 피미엔타 필름스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그린나래미디어
배급사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그린나래미디어
파일:투명.png레드아이스엔터테인먼트
파일:투명.png롯데시네마
제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레드아이스엔터테인먼트
공동제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키노라이츠
개봉일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 2024년 5월 18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2024년 8월 2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년 3월 12일
화면비 1.85 : 1
상영 시간 133분 (2시간 12분 40초)
제작비 2,100만 유로
월드 박스오피스 $13,572,157 (2025년 2월 6일 기준)
북미 박스오피스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명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R등급 로고.svg

1. 개요2. 포스터3. 예고편4. 시놉시스5. 등장인물6. 줄거리7. 사운드트랙8. 평가
8.1. 비판
9. 흥행10. 수상 및 후보 이력11. 기타

[clearfix]

1. 개요

자크 오디아르 감독 및 각본, 카를라 소피아 가스콘, 셀레나 고메즈, 조 샐다나, 아드리안나 파즈 주연의 프랑스-멕시코 합작의 스페인어 뮤지컬 영화.

제77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받아 심사위원상과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작품으로, 본상 외에 사운드트랙상도 수상하였다.

2. 포스터

파일:2024 에밀리아 페레스 포스터.jpg
파일:2024 에밀리아 페레스 메인 포스터.jpg
티저 포스터 메인 포스터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folding 국내 포스터 ▼
{{{#!wiki style="margin: -10px -1px -11px"
파일:2024 에밀리아 페레즈 국내 티저 포스터.jpg
파일:2024 에밀리아 페레즈 국내 캐릭터 포스터 1.jpg
국내 티저 포스터 캐릭터 포스터 }}}}}}}}}

3. 예고편

▲ 프랑스 티저 예고편
▲ 프랑스 공식 예고편
▲ 국내 30초 예고편
▲ 국내 메인 예고편

4. 시놉시스

능력 있는 변호사 '리타(조 샐다나)'는 '큰돈을 벌게 해주겠다'는 비밀 의뢰를 받고
멕시코 카르텔의 수장 '델 몬테'를 만나러 간다.
그의 요청은 놀랍게도 "자신을 여자로 다시 태어나게 해달라는 것.
아내(셀레나 고메즈)도 모르게 새로운 삶을 살 수 있게 세팅하라는 것."
얼마 뒤, 새로운 그녀 ‘에밀리아 페레즈’(카를라 소피아 가스콘)가 나타나면서
모두의 인생에 2막이 오른다.

5. 등장인물

  • 카를라 소피아 가스콘[1] - 에밀리아 페레즈 / 후안 마니타스 델 몬테 역
  • 조 샐다나 - 리타 카스트로 역
  • 셀레나 고메즈 - 제시 델 몬테 역
  • 아드리안나 파즈 - 에피파니아 역
  • 에드가 라미레즈 - 구스타보 역
  • 마크 이바니어 - 와서만 박사 역

6. 줄거리

7. 사운드트랙

<rowcolor=#fff> Emilia Pérez (Selections from the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 EP
파일:Emilia Pérez Selections from the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 EP cover.jpg
<rowcolor=#FF0A97> 프로듀서: 카미유 달메, 클레망 뒤콜
<rowcolor=#FF0A97> 발매일: 2024년 9월 5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트랙 리스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0A97> 트랙 제목 아티스트 재생시간 듣기 비고
1 El Alegato Zoe Saldaña 3:3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Para Aitza Terán · Iván Ruiz De Velasco · Mexican Choir 2:5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Papa Juan Pablo Monterrubio · Karla Sofia Gascón 2:2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El Mal Zoe Saldaña · Karla Sofia Gascón · Camille 3:4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Las Damas que Pasan Adriana Paz · Mexican Choir 4:0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전체 듣기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 | 파일:Apple Music 아이콘.svg
}}} }}} }}} ||
<rowcolor=#fff> Emilia Pérez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파일:Emilia Pérez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cover.png
<rowcolor=#FF0A97> 프로듀서: 카미유 달메, 클레망 뒤콜
<rowcolor=#FF0A97> 발매일: 2024년 10월 31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트랙 리스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0A97> 트랙 제목 아티스트 재생시간 듣기 비고
<rowcolor=#FF0A97> DISC 1
1 El Alegato Zoe Saldaña 3:3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Todo y Nada Zoe Saldaña 2:1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El Encuentro Karla Sofia Gascón 1:1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La Vaginoplastia Zoe Saldaña 2:3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Lady Zoe Saldaña · Mark Ivanir 2:4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Deseo Camille · Karla Sofia Gascón 2:3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Por Casualidad Camille · Karla Sofia Gascón · Zoe Saldaña 2:0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 Bienvenida Selena Gomez 2:1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 Mis Siete Hermanas y Yo Xiomara Ahumada Quito 1:4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 Papá Juan Pablo Monterrubio · Karla Sofia Gascón 2:2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 Para Aitza Terán · Iván Ruiz de Velasco · Mexican Choir 2:4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 El Mal Camille · Zoe Saldaña · Karla Sofia Gascón 3:3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 El Amor Camille · Karla Sofia Gascón · Adriana Paz 3:2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 Mi Camino Selena Gomez 3:4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5 Perdóname Camille · Karla Sofia Gascón 2:1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 Las Damas que Pasan Adriana Paz · Mexican Choir 4:0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7 Fierro Viejo (choir version) Camille · Mexican Choir 1:1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8 El Alegato (piano version) Camille · Zoe Saldaña · Karla Sofia Gascón 1:3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FF0A97> DISC 2
1 Subiendo (Part 1) Camille · Clément Ducol · Mexican Choir 2:2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Fierro Viejo / La Ciudad Camille · Mexican Choir 1:4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Fantasmas Camille · Mexican Choir 0:2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El Rapto Camille · Clément Ducol 1:5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Claroscuro (Part 1) Clément Ducol 2:0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Claroscuro (Part 2) Karla Sofia Gascón · Mark Ivanir 1:5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El Rayo Clément Ducol 0:3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 El Despertar Camille 1:4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 Subiendo (Part 2) Camille 2:0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 Cara a Cara Clément Ducol 1:0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 Desire (alternate version) Camille 1:3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 El Reclutamiento Camille · Clément Ducol · Mexican Choir 1:4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 Disonancia (Part 1) Camille 1:0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 Disonancia (Part 2) Karla Sofia Gascón 2:2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5 La Pelea Camille · Clément Ducol · Mexican Choir 2:2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 El Trio Karla Sofia Gascón · Zoe Saldaña 2:0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7 3 Dedos Camille · Clément Ducol · Mexican Choir 2:0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8 Beatificación (Part 1) Camille · Clément Ducol · Mexican Choir 5:0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 Beatificación (Part 2) Camille · Clément Ducol · Mexican Choir 2:1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 El Fuego Camille 1:3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1 Desire Camille 2:0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2 Subiendo (strings version) Clément Ducol 1:0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3 Subiendo (choir version) Camille · Mexican Choir 1:0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4 Desire (strings version) Clément Ducol 1:5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5 Desire (choir version) Camille · Yadam · Paloma Pradal 1:5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전체 듣기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 | 파일:Apple Music 아이콘.svg
}}} }}} }}} ||

8.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IMDb=tt20221436, IMDb_user=5.6, IMDb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emilia_perez, 로튼토마토_tomato=73, 로튼토마토_popcorn=17,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메타크리틱=emilia-perez, 메타크리틱_critic=70, 메타크리틱_user=6.3,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emilia-perez, 레터박스_user=2.2,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알로시네=304508, 알로시네_presse=4.1, 알로시네_spectateurs=4.2,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Filmarks=116041, Filmarks_user=3.6,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35900114, 도우반_user=6.4,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왓챠=mdj2eLl, 왓챠_user=3.7, ##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33253, 키노라이츠_light=90.91, 키노라이츠_star=3.7,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MRQE=emilia-perez-m100148429, MRQE_user=60, ## MRQE_highlight=display,
TMDB=974950-emilia-perez, TMDB_user=72, ## TMDB_highlight=display,
무비파일럿=emilia-perez, 무비파일럿_user=6.3,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RogerEbertcom=emilia-perez-netflix-film-review, RogerEbertcom_user=3, ## RogerEbertcom_highlight=display,
엠파이어=emilia-perez, 엠파이어_user=3, ## 엠파이어_highlight=display,
Karla Sofía Gascón is Emilia Perez in a swaggering musical crime thriller of genre-bending fascination that is also an unapologetically trans story.
이토록 장르를 넘나드는 매혹적인 뮤지컬 범죄 스릴러 영화이자 의심의 여지없이 트랜스젠더 이야기이기도 한 <에밀리아 페레즈> 속에서 카를라 소피아 가스콘은 에밀리아 페레즈라는 캐릭터 그 자체이다.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스릴러의 대가 자크 오디아르는 <에밀리아 페레즈>에서 여성과 여배우를 전면에 내세우며 트랜스젠더라는 테마를 다룬다. 범죄 생활을 청산하고 본인이 원하는 성으로 살기로 결심한 멕시코 카르텔의 대부는 성전환 수술을 받는다. 후안 마니타스 델 몬테는 이렇게 에밀리아 페레즈가 된다. 에밀리아는 나르코가 살해한 수많은 멕시코인의 시신을 수습하는 협회의 설립자로 거듭난다. <에밀리아 페레즈>는 스릴러와 코미디 뮤지컬이 경이롭게 혼합된 작품으로, 카를라 소피아 가스콘이 잊히지 않는 에밀리아 역을, 조이 살다나가 주인공의 조력자인 변호사 리타 역을 맡아 열연한다. <아바타>의 히로인은 <에밀리아 페레즈>를 통해 뛰어난 가수이자 댄서임을 다시 한번 입증한다. 에밀리아 페레즈의 특별한 운명을 흥미진진하면서도 밀도 있게 그리는 자크 오디아르는 음악과 멜로드라마 적인 요소, 다채로운 색으로 가득한 멕시코 문화를 오마주하며 본인의 작품 중 가장 대범하고 스펙터클한 영화를 완성한다.
출처 : 2024년 제29회 부산국제영화제 서승희 프로그래머 소개

칸 영화제 첫 공개 당시 9분 간의 기립박수를 받으며 칸 영화제 공식 평점 잡지 스크린 데일리에서 평균 2.5점을 받고# 프랑스 현지 기자단들의 열렬한 반응을 얻는 끝에 심사위원상[2]과 여우주연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특히 카를라 소피아 가스콘의 경우 출연진 중 가장 큰 연기 호평을 받아 칸 영화제 기간 동안 여우주연상 유력 후보로 거론되었는데 예상과는 살짝 다르게 주연 4인 앙상블 캐스트 공동 여우주연상 수상이 되었다.[3]

8.1. 비판

《에밀리아 페레즈》 논란 정리
《에밀리아 페레즈》가 해외에서 욕을 먹는 이유

영화 개봉 후 멕시코 현지 반응은 최악이다. 자국의 아픈 시사 문제를 이용해 멕시코인들은 배제된 유럽인들만의 수박 겉핥기식 문화적 전유를 했으며, 멕시코에 대한 스테레오 타입이 가득하다는 격앙된 반응이 대세.[4] 실제 멕시코의 사건을 다룬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감독은 멕시코에 대한 사전 조사나 자문을 구하지 않았으며, 제작 과정에 멕시코 사람이 전혀 참여하지 않았고, 현지 로케이션 촬영없이 프랑스에서 모든 촬영을 진행하는 등 진정으로 멕시코에 대해 다룬 영화가 맞냐라는 부정적인 평가가 대부분이다.

또 멕시코 배우인 아드리안나 파즈를 제외한 주연 배우들의 어색한 스페인어 억양을 지적하는 사람도 많다. 카를라 소피아 가스콘은 스페인 출신이되 멕시코 중심으로 활동하는 배우라 지역간 억양 차이가 있는 정도지만 미국 배우인 조 샐다나셀레나 고메즈의 스페인어는 그들의 연기력과는 별개로 어색하다는 평가가 다수.

그나마 조 샐다나는 도미니카 억양 스페인어를 쓰는게 문제이지 스페인어 자체를 못하는 것은 아니었는데, 셀레나 고메즈는 스페인어 모어 화자가 거의 알아들을 수 없는 수준의 언어를 구사하는데다 기본적으로 그녀가 읊는 대사 자체도 말이 안 된다. 부모가 히스패닉계(+흑인)고 성장기를 도미니카에 돌아가 보낸 샐다나랑 달리 고메즈는 문화적 배경은 이탈리아계에 가깝고 라틴 팝을 차용하는 정도의 모양새라 멕시코에서는 딱히 자국계라는 인식이 크지 않다.

여기에 개봉 이후 한 멕시코 배우가 고메즈 자신의 연기를 비판하자 그를 틱톡에서 팬들과 조리돌림하는 모습을 보여 구설수에 올랐다. 또한 라틴 아메리카인들은 라틴 아메리카계 미국인들이 자국인 역할을 연기하는 걸 상당히 싫어한다.

대본은 물론 음악에 대한 평가 역시 좋지 않다. 작가와 작곡가 모두 스페인어권 출신이 아닌 프랑스 출신이어서인지 스페인어권 관객 사이에서는 대사와 가사들이 모두 구글 번역기나 AI로 쓴 것 마냥 굉장히 어색하다고 혹평을 받았다.

결국 자크 오디아르 감독이 '만약 영화속에서 멕시코 분들에게 불명예스럽게 보이는 부분들이 있다면 사과드립니다. 저는 영화를 통해 답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질문을 남겨드리고 싶었습니다.'는 말을 하기까지 했다. #

미국에서도 영화가 공개된 이후 관객 평은 발칵 뒤집어졌다. 제97회 아카데미 시상식 최다 노미네이트는 물론 작품상 후보에 오른 것조차 아카데미의 실수라는 비난이 거세고, 가뜩이나 말이 많은 내용 중 'La Vaginoplastia'라는 삽입곡은 가사가 사우스 파크 급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그쪽 제작자들은 브로드웨이 히트작까지 만들었는데 비교가 실례다 조롱받으며 인터넷 밈에 등극했다.# 북미 공개 후 평점은 더욱 급락했으며, 로튼 토마토의 팝콘 점수나 Letterboxd에서의 평점은 각종 상을 휩쓴 영화의 점수라 보기 힘든 점수대까지 떨어졌다.

9.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최초개봉일) $(세계누적) (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미국 캐나다|]][[틀:국기|]][[틀:국기|]]북미
미정 미개봉 미정

[[중국|]][[틀:국기|]][[틀:국기|]]
미정 미개봉 미정

[[틀:국기|]][[틀:국기|]][[틀:국기|]]
미정 미개봉 미정

9.1. 대한민국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rowcolor=#ffffff,#fff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명 -명 미집계 -원 -원
1주차 20XX-XX-XX. 1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3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4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5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6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7일차(화) -명 -위 -원
2주차 20XX-XX-XX. 8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9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0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1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2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13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14일차(화) -명 -위 -원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16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7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8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9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0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1일차(화) -명 -위 -원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3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24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25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26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7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8일차(화) -명 -위 -원
합계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5]


손익분기점은 22만~25만 명이다. 2차 시장에서의 추가 수익을 감안해도, 팬데믹 이후 저 성적을 넘긴 독립/예술 영화는 괴물서브스턴스 단 2편밖에 없기 때문에[6] 사실상 손실 위험을 감수하고 야수의 심장으로 과감한 투자를 감행한 것으로 보인다. 수입사인 그린나래미디어 측에서도 흥행 실패 시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롯데시네마와 공동 배급을 택하는 한편, 흥행 성공 가능성을 높히기 위해 그린나래 창립 이래 최대 규모의 마케팅 공세를 펼치고 있다.

흥행의 요소로는 2024년 존 오브 인터레스트와 서브스턴스를 필두로 여러 예술 영화 흥행작이 배출되며 국내 예술 영화 시장의 부흥기를 맞이한 점, 비교적 대중성이 높은 뮤지컬 장르, 일정 수준의 인지도를 보유한 조 샐다나의 출연, 칸 영화제와 골든 글로브를 비롯한 각종 시상식에서의 수상으로 씨네필 계층의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 국내 프리미어 상영을 통해 얻어낸 좋은 평가 등이 있다.

반면 흥행에 우려되는 점은 역시 본작을 둘러싼 논란과,[7] 아카데미 특수를 노리는 여러 경쟁작들[8] 및 씨네필 계층에게도 어필할 수 있는 상업 영화 미키 17의 존재, 국내에선 비교적 낯선 트랜스젠더라는 소재 등이 있다.

9.2. 북미 (미국·캐나다)

9.3. 중국

9.4. 대만

9.5. 일본

9.6. 영국

9.7. 기타 국가

10. 수상 및 후보 이력

  • 제77회 칸 영화제 심사위원상, 여우주연상(카를라 소피아 가스콘/조 샐다나/셀레나 고메즈/아드리안나 파즈), 사운드트랙상 수상
  • 제82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작품상-뮤지컬·코미디 부문, 여우조연상(조 샐다나), 주제가상("El Mal"), 비영어 영화상 수상, 감독상, 여우주연상-뮤지컬·코미디 부문(카를라 소피아 가스콘) 여우조연상(셀레나 고메즈), 각본상, 음악상, 주제가상("Mi Camino") 후보
  • 제30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작품상, 감독상, 여우주연상(카를라 소피아 가스콘), 여우조연상(조 샐다나), 앙상블상, 각색상, 음악상, 주제가상("El Mal"), 주제가상("Mi Camino"), 비영어 영화상 후보
  • 제78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작품상, 감독상, 여우주연상(카를라 소피아 가스콘), 여우조연상(조 샐다나), 여우조연상(셀레나 고메즈), 각색상, 비영어영화상, 촬영상, 편집상, 분장상, 음음악상 후보
  • 제31회 미국 배우조합상 앙상블상, 여우주연상, 여우조연상 후보
  • 제97회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 감독상, 여우주연상(카를라 소피아 가스콘), 여우조연상(조 샐다나), 각색상, 국제영화상, 촬영상, 편집상, 음악상, 주제가상("El Mal"), 주제가상("Mi Camino"), 음향상, 분장상 후보[9]

11. 기타

  • 원래는 4장 구성의 오페라로 기획되어 있었던 작품이었다고 한다. 또한 커리어 최초로 오디아르 단독으로 쓴 각본작이다. 대신 주 협업자였던 토마 비드갱은 자문 역으로 크레딧에 올렸다.
  • 스페인어로 z는 스로 발음하므로 에밀리아 페레즈가 아닌 '에밀리아 페레스'가 맞는 표기이다. 미국 배급을 맡은 넷플릭스 역시 이 표기를 채택해서, 미국 넷플릭스에서 한국어 설정 계정으로 본작을 감상하면 제목이 '에밀리아 페레스'로 뜬다. 다만 부산국제영화제 상영 당시에는 에밀리아 페레'즈'로 제목이 들여온만큼 정식 개봉시 에밀리아 페레즈로 개봉할 가능성이 높았고, 실제로 '에밀리아 페레즈'로 개봉했다. 미국 배급사와 한국 배급사가 서로 다른 한국어 제목을 밀고 있는 형국이 됐다.[10]
  • 극 중 등장하는 멕시코 장면들은 전부 실내 스튜디오에서 촬영되었다고 한다. 본래는 멕시코 현지 로케이션으로 촬영이 진행 될 예정이었으나, 오디아르 감독이 로케이션 헌팅을 세 차례 진행해본 뒤 과밀된 인구밀집도와 건축물, 조명의 문제 등으로 오히려 실내에서 찍는 것이 노래하고 춤 추는 장면을 찍는 데 더 많은 자유를 부여할 수 있다고 주장해 바뀌었다고. # 다만 상술했듯 이런 점이 오히려 현지 멕시코인들에게 반발감을 사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 러스트 앤 본》 이후로 12년 만에 프랑스에서 100만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한 자크 오디아르 감독 영화이다.[11] 비평과 흥행 양면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거둔것에 탄력을 받았는지, 프랑스의 제97회 아카데미 시상식 국제영화상 공식 출품작으로 선정되었다.
  • 영화의 주연 배우인 카를라 소피아 가스콘이 과거 X(구 트위터)에 남긴 무슬림 및 흑인 차별 발언, 외국인 배우들 비하(윤여정 배우 포함)[12], 심지어 히틀러 옹호 발언 등이 재발굴 되면서 논란이 커졌다. 결국 해당 배우는 사과문을 업로드하고, X(구 트위터) 계정은 삭제하기까지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인이 나중에 스페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부당한 비난을 받고 있다'며 피해자처럼 구는 탓에 여론이 매우 좋지 못해, 인스타그램에서 아카데미 계정이 그를 언팔로우하는 등 여러 유명인들도 그녀를 언팔로우하며 손절하는 모습을 보이고 넷플릭스 측도 카를라 소피아 가스콘(여우주연상 후보)에 대한 캠페인을 진행하지 않기로 했다. 오디아르 감독 또한 '왜 입을 다물지 않는지 모르겠다'며 깊은 실망감을 표했다. # 이를 의식했는지 한국 홍보 역시 논란 이후 카를라 소피아 가스콘 관련 내용은 최소화하고 조 샐다나 위주로 하고 있다. 이 논란을 아카데미 측도 의식해서 2023년부터 진행해온 지난 회 시상식 주연상, 조연상 후보들이 이번 회 시상식 주연상, 조연상 후보들을 한 명씩 소개하는 전통이 2025 시상식에서는 사라질 예정이라 한다.
  • 브루탈리스트와 함께 배우들의 뮤지컬 장면에서 스페인어 발음을 정확하게 만들기 위해 AI를 사용했다는 논란이 있다. 단 이쪽은 멕시코 관련 어그로가 크다보니 상대적으로 AI 사용 논란은 덜 주목받는 편.

[1] 넷플릭스 시리즈인 '반항아들'에 출연한 바 있는 트랜스젠더 배우.[2] 자크 오디아르 감독에게는 네 번째 칸 영화제 본상 수상작이 되었다.[3] 칸 영화제에서 앙상블 여우주연상 수상은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의 《귀향》 이후로 18년 만이고, 칸 영화제에서 뮤지컬 영화로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것도 라스 폰 트리에 감독의 《어둠 속의 댄서》 이후로 24년 만의 기록이었다.[4] 특히 영화 삽입곡인 "Papa"에 이러한 스테레오 타입이 가득하다고 비판을 받는다.[5] ~ 20XX/XX/XX 기준[6] 심지어 괴물의 경우 국내에서 상당한 고정 관객층을 형성한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네임 밸류가 존재했고, 서브스턴스는 본작의 수입이 결정된 이후에 개봉하여 투자의 선례가 되어 주진 못했다.[7] 특히 논란이 된 주연 배우 카를라 소피아 가스콘의 트위터 글 중 한국에 대한 비하 발언도 존재함이 발굴되면서 미운털이 박혔다.[8] 초장기 흥행 중인 서브스턴스, 평가가 매우 좋은 브루탈리스트, 강력한 티켓 파워를 보유한 컴플리트 언노운, 한 주 전에 개봉하는 콘클라베 등이 있다.[9] 12개 부문에서 총 13개 후보에 올랐으며, 이는 아카데미 시상식 역사상 비영어권 영화 최다 노미네이트 기록이다.[10] 마리아와 같은 상황이다.[11] 프랑스도 수백만 관객을 모으는 영화는 상업 오락 영화들이고 오디아르 같이 3대 영화제 용 영화는 30만 관객 돌파가 성공 기준이다.[12] 아카데미 시상식에 관해서 '흑인과 한국인의 축제'(Afro-Korean festival)가 되어가는 것 같다는 발언을 했다. 한국 관련 언급은 2020년 기생충, 2021년 미나리를 염두에 둔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