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19:12:14

마당을 나온 암탉(애니메이션)

마당을 나온 암탉 (2011)
Leafie, A Hen into the Wild
鸡妈鸭仔
파일:잎싹 재개봉 포스터.jpg
장르 애니메이션, 가족, 모험, 드라마, 사회고발
감독 오성윤
각본 김은정, 나현
원작 황선미마당을 나온 암탉
제작 이은, 심재명, 김선구, 소호성, 이하나
성우 문소리, 유승호, 최민식, 박철민
음악 이지수
제작 기간 2009년 3월 1일 ~ 2010년 3월 17일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오돌또기, 명필름
수입사 파일:중국 국기.svg 차이나 필름 그룹
파일:프랑스 국기.svg Cinéma Public Films
파일:캐나다 국기.svg 108 Media
파일:영국 국기.svg Signature Entertainment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롯데엔터테인먼트
파일:투명.png 메가박스중앙 (주) 메가박스(MAGABOX) 재개봉
파일:중국 국기.svg 차이나 필름 그룹
파일:프랑스 국기.svg Cinéma Public Films
파일:캐나다 국기.svg 108 Media
파일:영국 국기.svg Signature Entertainment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년 7월 28일
파일:투명.png 2025년 1월 22일 4k 재개봉
파일:중국 국기.svg 2011년 9월 30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2012년 10월 31일
파일:캐나다 국기.svg 미개봉
파일:영국 국기.svg 2014년 3월 31일
상영 시간 93분 (1시간 33분)
월드 박스오피스 $12,778,833 (2014년 10월 19일 기준)
대한민국 총 관객 수 2,204,580명(최종)
스트리밍
[[넷플릭스|
NETFLIX
]]
,


상영등급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초기.svg 전체 관람가

1. 개요2. 포스터3. 예고편4. 시놉시스5. 등장인물
5.1. 주역5.2. 조연5.3. 기타 인물
6. 줄거리7. 명대사8. 사운드트랙
8.1. 엔딩곡 '바람의 멜로디'
9. 평가10. 흥행
10.1. 관객수 통계10.2. 흥행 순위
11. 기타

[clearfix]

1. 개요

2011년 7월 27일에 개봉한 황선미가 쓴 장편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을 원작으로 한 한국 애니메이션. 명필름과 오돌또기의 공동제작으로 감독은 한국 애니메이션 판에서 프로듀서 활동을 하다 이 작품으로 처음 감독을 맡은 오성윤. 한국과 중국 동시개봉할 예정이었으나 중국에서는 국경절 연휴를 겨냥해 9월 30일로 일정을 늦춰 개봉했다.

《제작진》
* 제공: 명필름/롯데쇼핑(주)롯데엔터테인먼트
  • 공동제공: (재)경기디지털콘텐츠진흥원/소빅창업투자(주)/(주)다양상회
  • 배급: 롯데쇼핑(주)롯데엔터테인먼트
  • 제작지원: 한국콘텐츠진흥원
  • 제작: 명필름/오돌또기
  • 스텝
    • 감독: 오성윤
    • 제작: 이은/심재명/김선구
    • 제작투자: 이은/심재명/손광익
    • 공동투자: 성열홍/박현태
    • 투자총괄: 이성관
    • 투자기획: 오희성
    • 투자책임: 방옥경
    • 원작: 황선미
    • 각본: 김은정
    • 각색: 나현
    • 애니메이션 감독: 이춘백
    • 시각미술/촬영감독: 이종혁
    • 미술감독: 유승배
    • 미술조감독 : 박현미
    • 편집: 김상범/김재범
    • 음악: 이지수
    • 주제가: 안지영(OST)/아이유(극장판)[1]
    • 사운드: 김석원/김창섭
    • 미술 : 이현미
    • 부제작: 이하나
    • 제작실장: 최우현/최윤진

2. 포스터

파일:mov_J3FA9H_20110428133502_1.jpg
파일:잎싹 재개봉 포스터.jpg
메인 포스터 4K 재개봉 포스터

3. 예고편

메인 예고편
재개봉 메인 예고편

4. 시놉시스

"나 마당으로 나가고 말 거야 꼭!"

좁은 양계장에 갇혀 품지도 못할 알만 낳던 암탉 '잎싹'
진짜 알을 품어보겠다는 꿈을 위해 용기 있게 양계장을 탈출한다.
듬직한 친구 '나그네'와 '달수'의 도움으로 버려진 알을 품어낸 ‘잎싹’.
그 품에서 태어난 아기 청둥오리 '초록'은 '잎싹'을 단 하나뿐인 엄마로 여긴다.
하지만 겨울이 다가오고, 굶주린 족제비의 위협이 가까워지자
'잎싹'과 '초록'은 더 넓은 세상을 찾아 여정을 떠나게 되는데...

과연 이들은 자유를 향해 날아갈 수 있을까?

5.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5.1. 주역

파일:마당을 나온 암탉 잎싹.png}}} ||
주인공. 작중 내에서 본인 외에 이름이 직접 언급된 적은 없고 암탉이라고만 불린다. 농장에서 알을 낳는 암탉이지만 바깥 세상(마당 밖)에 나가고 또 알을 품어 새끼를 키우고 싶어한다. 일부러 밥을 굶어 비쩍 말라 버려지는 방법을 써서 마당 밖으로 나왔다. 그렇게 새로운 친구들을 만나고 많은 일을 겪게 된다. 원작에 비해 훨씬 젊어졌으며 성격 또한 보다 발랄해졌다. 다만, 이건 초반부 한정으로 초록이와 함께 다니면서 어머니로서 책임감을 느꼈는지 상당히 성숙해지고 위기상황에서 초록이를 챙기고 그의 건강을 우선시 하는 전형적인 모성애 강한 어머니의 모습을 보여준다. 파수꾼 시합을 할 때도 아들을 위해 빨간 끈을 부리가 빨갛게 달아오를 정도로 쪼아 거의 다 잘라준다.[3] 애꾸눈의 습격을 받았을 때 초록이를 보호하고 홀로 애꾸눈을 막기도 한다. 마지막에 초록이를 떠나보낼 때 보면 예전에 발랄한 모습은 간데 없고 상당히 어른스럽고 차분한 말투로 아들에게 작별을 고한다. 그러나 작중 결말이 원작과 같았기 때문에 결국 애꾸눈에게 잡아먹혀 사망하는 결말을 피하지 못했다. 정확히는 애꾸눈이 새끼들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새끼들을 위해 자신을 잡아먹도록 희생해 준 것. 사실 애꾸눈에게 죽지 않았어도 내용이 전개되어갈 때마다 자신이 꽁지에 달은 꽃이 시들어가는 것이 사실 잎싹의 생명이 점점 닳아가고 있으며 그녀는 죽음을 맞이할 준비를 하는 늙은 몸으로 변해가고 있다라는 것을 암시한다[4]는 걸 생각해보면, 애꾸눈에게 잡아먹히지 않았다고 해도 결국 늙어서 죽었을 가능성도 충분하다. 엔딩은 잎싹을 물고 가는 족제비를 비롯한 여러 등장인물들을 위에서 내려다보는 구도로 비추는데, 소설의 결말 부분에서 잎싹이 죽은 뒤 영혼이 위로 날아올라서 하늘을 나는 소원을 이룬다는 내용을 대입해보면 이는 그토록 원했던 소원을 이루는데 성공했다는 증거이자 하늘을 나는 잎싹의 영혼이 그들을 보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 초록이(원작이름: 초록머리) (CV. 한신정(유년 시절) / 유승호(사춘기 ~ 청년기))
파일:초록이 copy.jpg}}} ||
나그네와 뽀얀 오리의 새끼. 즉 순종 청둥오리가 아니라 집오리와 청둥오리의 잡종 개체라고 할 수 있다. 태어나기 전 어미인 뽀얀 오리가 애꾸눈에게 죽는 바람에 잎싹에 의해 부화하지만, 태어날 때 아버지 나그네마저 족제비에게 죽으면서 그대로 잎싹 하나만을 부모로 생각하고 자라난다. 성장하면서 차츰 자신과는 달리 날 수도, 헤엄칠 수도 없는 잎싹을 멀리하고[5][6] 족제비를 피하기에는 인간들이 사는 곳이 더 안전할 거란 생각과 호기심에 마당에 들어갔다가 양계장 주인에게 잡혀 발목이 묶이고 그대로 윙컷당할 뻔한데다 애꾸눈에게 목숨이 노려지는 위기에 처하지만 잎싹이 목숨을 걸고 자신을 구해주는 것을 보며 반성하고 다시 잎싹을 엄마로 받아들인다.
이후 가을이 되어 청둥오리 무리가 몰려오는데 족제비의 습격으로 새 파수꾼을 뽑으려고 하자, 경주에 참가하여 승리를 쟁취하고 청둥오리 무리의 새 파수꾼이 되어 잎싹의 곁을 떠나게 되며[7] 다음 해에 청둥오리 무리가 초록의 고향이 있는 곳으로 돌아올 때 잎싹과 만나기를 기약하고 달수에게 잎싹을 부탁하며 떠나지만... [8]
설정상 아빠를 매우 쏙 빼닮았는지 마당의 집오리들도 초록이를 보자마자 어디서 많이 본 거 같다고 하다 옛날에 자기 마당에 살았던 청둥오리(나그네)랑 아주 똑같다고 언급한데다가, 달수도 초록이가 나그네를 닮았다며 직접 인증했을 정도. 초롱초롱한 눈망울은 친엄마인 뽀얀오리와 똑같다.
  • 애꾸눈 (김상현)
    작품 전반에 걸쳐 잎싹을 위협하는 쇠족제비. 이름처럼 애꾸눈으로 원작에서는 잎싹에 의해서, 애니메이션에서는 과거에 나그네와 싸우다가 오른쪽 눈을 잃었고, 애꾸눈까지 나그네에게 부상을 입혀 나그네가 부상으로 인해 날개를 못 쓰게 만들었다. 일단 중반부까지는 그냥 배고파서 남을 잡아먹은 나쁜 놈으로만 묘사되며,[9][10] 이 영화에서 유일하게 대놓고 악역스럽게 디자인된 외모[11]를 하고 있는데다, 초반부터 나그네가 족제비를 가리켜서 '살아 있는 먹이만 노리는 악독한 놈'이라며 디스하는 등[12][13] 전형적인 악역으로만 묘사되었지만...

    작품 후반부에서 나름 사정이 있는 캐릭터라는 점이 밝혀지는데 사실 애꾸눈 역시 새끼들을 양육하는 어미였다. 후반의 그녀의 동굴 속에서 갓 태어난 새끼 족제비들[14]이 나오고 잎싹이 그녀의 새끼들을 인질로 삼아서 초록을 살려내려고 하는 내용이 나올 때 새끼들에게 젖을 먹여야 했기에 두드러진 유두가 부각되는 장면이 증거. 결국 후반부에서 자신의 새끼들을 기르기 위해 초록(+초록이가 속한 청둥오리 무리)을 공격해서 잡아먹으려고 했지만 이를 눈치챈 잎싹이 간발의 차로 애꾸눈의 보금자리를 찾아내고, 잎싹은 평소의 성격이라면 절대로 하지 않았을 그녀의 새끼들을 자신의 발톱으로 쥐고 그 상태로 새끼들을 (자신의 발로) 졸라서 죽이겠다라는 초강수를 애꾸눈의 눈앞에서 둔다.[15] 그만큼 자신의 자식인 초록을 구하는 것이 잎싹에게 있어서도 자신의 아이를 구하기 위해 남의 아이를, 그것도 아직 눈도 못 뜨고 저항조차 못 하는 아주 어린 아이를 죽인다라는 선택을 반쯤 실행에 옮기게 할 정도로 절실했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사냥 대신 눈앞에서 죽을 위기에 처한 새끼들을 살리는 것을 택한 애꾸눈은 잎싹의 협박에 굴복해서 초록과 초록이 소속된 무리를 공격하지 않았지만, 작품의 최후반부에 다다랐을 때는 결국 허기와 새끼들의 양육을 해결하기 위해 잎싹을 잡아 먹으려고 쫓는다. 그러나 초록이를 떠나보낸 잎싹은 족제비도 자식을 둔 어머니임을 깨달아, 저항하지도 도망치지도 않으며 "그래... 날 먹어. 네 아가들이 배고프지 않게..."라면서 자신의 목숨을 내놓아준다. 이 말에 애꾸눈은 눈물을 쏟은 채 절규하며 잎싹을 향해 달려들고 결국 잡아먹는다.[16] 선역 악역의 흑백논리로 나눌 수 없는, 자신의 자식을 먹여살리기 위해 자연의 섭리를 따를 수 밖에 없는 어미이자, 작중 등장인물들 중 가장 현실적인 야생동물[17]의 삶을 살고 있는 또 다른 주인공이자 숨겨진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다.

    성우의 목소리가 굉장히 허스키하기 때문에 작품 후반까지 애꾸눈을 수컷으로 생각하고 있었던 관객들이 많았던 듯하다. 사실 원작의 족제비도 후반부가 될 때까지 성별에 관한 언급이 나온 적이 없다. 어쩌면 '애꾸눈(족제비)의 성별이 후반부에나 가서 밝혀진다' 라는 특징을 성우를 통해 잘 재현한 케이스에 속할지도. 제대로 암컷으로 인지했다 하더라도 스탭롤에 뜨는 김상현씨를 남성으로 오인하여 '남자 성우가 여자 목소리로 연기했다" 고 착각한 이들도 있다. 남성적인 이름인데다 하필 같은 작품에 상현도 출연했기 때문. 한편으로는 성우 연기에 있어 이견이 없는 최고의 캐릭터로, 잎싹과 나그네를 위협하는 빌런으로 등장할 때의 카리스마도 압도적이지만 자식을 두고 잎싹과 대립하는 장면에서 절규에 가까운 성우의 연기가 절정에 달한다. 나그네와 더불어 작품의 긴장감을 살린 캐릭터.

    참고로 원작에서는 이녀석 말고 족제비가 여러마리 더 등장하지만, 계속된 사냥의 실패로 결국 지쳐 떠나갔다고 한다. 이로 인해 애니에서도 분량 조절을 위해 삭제한 듯.

5.2. 조연

  • 나그네 (CV. 최민식)
    파일:청둥오리 나그네.jpg
    초록의 아버지. 본래 청둥오리 무리에서 가장 뛰어난 파수꾼이었으나 애꾸눈과 싸우다가 물려 오른쪽 날개를 부상당하고 자신은 애꾸눈의 오른쪽 눈을 발로 할퀴어 실명시켰다.[18][19] 그 후 한쪽 날개의 부상 때문에 나는 게 힘들어져서[20][21] 청둥오리 무리에 끼지 못하게 되었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인간들에게 잡혀 마당에서 살았던 적이 있었다.[22] 마당을 어떻게 나왔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아마 문이 열려 있었을 때 탈출한 듯 하다.
    초반에 막 농장을 나와 폐계 처리 구덩이에 버려졌던 애꾸눈에게 잡아먹힐 뻔한 잎싹을 구해주는 것으로 인연을 맺으며, '뽀얀오리'[23]를 아내로 두고 있었으나 얼마 못가 애꾸눈에게 잃고 만다. 하지만 뽀얀오리가 남긴 알을 정성껏 품는 잎싹을 보며 자신의 아이도 아닌데도 그와 뽀얀오리의 알을 돌봐주는 잎싹에게 고마움이나 공감대 비슷한 것을 느꼈는지 목숨 걸고 잎싹을 보호하기로 마음 먹고 매일 밤 둥지를 습격하는 애꾸눈에게 맞서 싸웠으나 끝내 목숨을 잃고[24] 애꾸눈의 먹이가 된다. 작품 최후반부에 애꾸눈의 굴에서 나그네의 것으로 추정되는 오리 모양의 해골이 등장한다. 간지나는 외형과 카리스마 넘치는 목소리, 안쓰러운 과거사 덕에 성인 팬이 굉장히 많다.
파일:마당을 나온 암탉 달수.jpg}}} ||
늪의 공인중개사 수달. 원작 소설에 없던 오리지널 캐릭터이다. 사실 달수란 이름은 원래 이름이 아니라 잎싹이 지은 건데 초록이도 얘를 달수라고 부르며 어찌 된 일인지 나중에는 다른 캐릭터 들도 모두 달수라고 부른다. 나그네의 소개로 잎싹과 초록이 모자를 여러 모로 도와주는 등 둘에게 호의적인 조력자. 성우 특유의 애드립이 여기서도 꽤 빛을 발했는데 잎싹 역을 맡은 문소리, 초록이 역을 맡은 유승호와는 확실히 연기 수준이 다르다. 자칫 무거울 수 있는 작품의 분위기를 밝게 만들어주는 캐릭터.[25][26]
등장인물들 중 얼마 안 되는 해피엔딩을 맞이한 캐릭터로, 영화 마지막[27]에서 여친과 행복하게 노는 모습이 나오는 게 바로 그 증거다. 다만 달수가 잎싹이 어떤 결말을 맞이했는지에 대해 아는지 모르는지는 끝내 나오지는 않았지만, 둘이 워낙 가깝게 지냈던 걸로 보아 적어도 잎싹이 죽었다는 사실을 알았을 것으로 보인다. 만약 그렇다면 잎싹과 그간 쌓아온 정이 있는 만큼 꽤나 슬퍼할 듯.

5.3. 기타 인물

  • 양계장 관련 인물
    • 양계장 암탉들(김지혜)
      영화 초반에 나온 양계장 닭들로 사실상 잎싹의 동기들. 중반부에서 달수, 잎싹의 활약으로 마당을 뛰쳐 나간다. 그 이후에 어떻게 되었는지는 불명.
    • 양계장 주인(홍범기)
      작중 유일한 인간 캐릭터. 부부로 나오는 원작과 달리 여기서는 혼자 나온다. 작중 모습을 보면 욕심이 많은 성격으로 묘사된다. 중반에 초록을 잡아서 윙컷을 해버리려고 하지만,[28] 잎싹과 달수, 짹에 의해 실패한다.
  • 마당 식구들
    • 수탉 (엄상현) - 주인 어른을 제외한 마당의 모든 동물들의 왕. 심지어 개마저도 그의 기세에 눌려 지낸다. 크고 아름다운 벼슬을 달고 두 마리의 암탉을 거느리며 지배자 행세를 하고 지냈으나 잎싹과의 대결에서 벼슬이 벗겨짐으로 인해 가짜라는 게 밝혀진 후 마당에서의 서열은 밑바닥까지 추락하고[29] 작품 후반에는 마당을 나온 수탉을 자칭하며 양계장을 나와 달수에게 살 집을 추천받지만 그놈의 까다로운 성격 때문에[30] 집을 구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 집오리 4형제 - 마당에 사는 집오리 4형제.잎싹이 '도 미 솔 도~'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31] 이유는 늘 줄지어 다니는 모습이 음표 같아서라고... 중반부에서 '솔'역할을 하는 놈이 수탉의 벼슬을 끼워 지배자 역할을 뺏는다. 그러고선 수탉 혼자 청소하게 두고, 다른 닭과 오리들은 자유롭게 놀게 해줬다.
    • 마당 암탉들 - 마당에서 수탉, 집오리 4형제와 함께 사는 2마리 암탉들이다.
    • 문지기(사성웅) - 마당을 지키는 개. 처음 보는 상대 앞에서 강한 척, 무서운 척을 하지만 상대방이 자기 머리를 쓰다듬어 주면 기분이 좋아진다. 개임에도 수탉의 기세에는 눌려 지낸다. 원작 중반부에 마당 암탉이 낳은 마지막 병아리를 지키지 못한 죄로 쫓겨나고 그 자리를 불독이 대체하게 된다.
  • 짹 (전숙경) - 잎싹의 양계장에 놀러와서 사료를 쪼아먹는 참새로, 원작에는 없는 오리지널 캐릭터. 잎싹과 그나마 친하게 지내는 관계로, 잎싹이 오리인 초록이를 키운다고 했을 때 엄청나게 웃어댔다. 그래도 잎싹이 붙잡힌 초록을 구하러 양계장에 왔을 때에 다른 참새 동료들과 함께 새똥 폭격을 퍼부으며[32] 도와주었다.
  • 청둥오리 무리
    • 빨간머리(사성웅)
      파일:청둥오리 빨간머리.jpg
      이름 그대로 빨간색 머리 깃털을 가지고 있는 청둥오리. 얘도 달수처럼 원작 소설에 없는 오리지널 캐릭터다. 암컷 오리들에겐 인기가 좋은 듯하다. 비행 실력이 우수하고 꽤 성실하다. 지식도 있는 듯 청둥오리 비행 경주 중후반부에서 댓물을 통과할 때 바람이 세차게 부는데 바람의 영향을 덜 받는 쪽인 댓물 벽 쪽으로 주행한다. 그러나 하수구 쪽에선 통과할 수 없는 위험한 곳은 위로 날아서 대피한다. 자존심도 강한지 처음에는 초록을 꼬맹이라고 부르며 대립하나 이후 나중에 초록이 우승했을 때 파수꾼으로 인정하고 축하해줬고, 초록이 내게는 '초록'이라는 이름이 있다고 하자 그럼 앞으로 초록 꼬맹이 라고 부르면 되겠다고 농담을 날린다. 언뜻 보면 싹바가지 같지만 그저 자기애와 자존심이 높을뿐 성격은 좋다.
    • 덩치(사성웅) & 칼날(엄상현)
      청둥오리 비행 경주에 빨간머리와 초록과 함께 참가한 또다른 오리들이자 빨간머리처럼 원작 소설에는 없는 오리지널 캐릭터들이다. 덩치는 오리보다는 에 더 가깝다고 소개된 대로 크고 근육질의 외모이며 칼날은 날개깃을 칼날처럼 날카롭게 갈고 있는 모습으로 등장하는데, 둘 다 경주에서 졌다. 덩치는 초록이를 공격하다가 자신이 역으로 공격당해 나가떨어졌고, 칼날은 초록이를 방해하다가 방해를 뿌리치고 기어나온 모습에 얼이 빠지다 나무를 못 보고 그대로 부딪혔다. 다만 덩치는 마지막에 대장과 함께 초록이를 데려가려 함께 나온다.
  • 늪의 이웃들
    • 이웃집 새들 - 말 그대로 원앙, 물총새, 백로, 저어새 같은 이웃집 새들. 물가에 암탉인 잎싹이 산다는 걸 못마땅해 한다.
    • 깐죽 (엄상현)[33]
      박쥐. 초록한테 동물적인 초 감각으로 나는 법을 가르쳐 준 초록의 호의적 조력자. 작중 간접적으로 달수가 소개해줬는데, 달수 얘기 나오니까 자기가 사는 동굴이 비만 오면 물이 막 샌다고 욕을 날리는 걸 보면, 자기 사는 곳을 그리 만족하지 못하는 듯. 청둥오리 비행 경주에서도 초록의 생각 속에서 전과 똑같이 나는 법을 알려주는 모습으로 카메오 출연.
    • 부엉이(서승원[34])
      말 그대로 부엉이. 날려고 과감히 낙하하거나 추락하는 초록을 구하는 모습으로 출연. 이때 초록이 배짱이라고 하지 않았냐고 하는 걸 보면 깐죽이처럼 초록이에게 나는 법을 알려준 걸로 보인다. 청둥오리 비행 경주에서도 구름의 모형으로 베짱이라고 조언하는 모습으로 카메오 출연.[35]

6. 줄거리

어느 한 양계장 이곳에 사는 암탉 잎싹, 이런 닭들이 그럿듯 알을 낳으며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것과 달리 잎싹은[36] 자유의 몸이 되어서 자신만의 알을 품는 것 소원으로 그렇게 빠져나고자 일부러 굶어서 결국 쓰러지자 죽은 걸로 판단받곤 주인에 의해 어느 구덩이에 버려진다.

그렇게 바라된 대로 자유가 된 것도 잠시 잎싹은 얼마 못가 그곳을 배회하던 애꾸눈 족제비의 습격을 받으나 나그네라는 청둥오리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지고 그런 그에게 족제비가 살아있는 것 만을 노리는 악독한 놈이니 조심할 것을 충고하고 잎싹은 그런 그에게 반해버린다.

간신히 목숨을 구한 후 잎싹은 그토록 바라던 대로 마당으로 향하나 마당 식구들은 오히려 잎싹을 못마땅 해할뿐[37] 거기다 그들의 우두머리인 수탉[38]에 의해 마당에서도 그대로 쫓겨난다.

쫓겨난 후 잎싹은 자신과 기대했던 현실이 시뭇 달랐다는 것에 눈물을 흘리며 그대로 문앞에서 밤을 세우나 넓게 펼쳐진 세상을 보곤 그곳으로 발을 내딘다. 잎싹은 세상을 구경하던 중 우연찮게 물가에 오고 그곳에서 개구리를 사냥 중이던 수달 한마리를 발견하곤 그에게 달수란 이름을 지어준다.[39]

달수가 온 목적은 나그네의 부탁으로 양계장으로 돌아가기 싫은 잎싹에게 그녀가 살 집을 찾아주기 위한 것 잎싹을 흝어 본 달수는[40] 찔레덤블을 살 곳으로 낙점한다.

그렇게 잎싹이 찔레 덤블에서 살 때쯤 나그네는 어느덧 뽀얀오리를 자신의 짝으로 받아들이고[41] 알까지 낳았으나 오히려 애꾸눈의 습격으로 아내를 잃고 만다. 한편 그런 나그네의 알을 발견한 잎싹은 알의 주인이 나그네인줄도 모른채 품어주고 자신의 알이 아님에도 정성껏 품는 잎싹을 본 나그네는 매일 밤마다 둘을 지키고자 족제비와 싸우면서[42] 그런 잎싹을 대견히 여기고 알이 부화할 시기임을 알곤 만약 아이가 태어나면 곧장 동쪽 늪으로 갈 걸 명하고 이제 달이 차오르니 족제비 녀석도 배가 비었을거니 잎싹 혹은 알을 노릴꺼라지만 잎싹은 족제비가 나타나면 예전과는 달리 맞서겠다고 장담한다.[43]

그러던 중 그날 밤 잎싹은 나그네와 애꾸눈의 결투를 목격하곤 허나 결투 끝에 나그네는 죽고 족제비의 먹이가 된다.[44]멀리서 이를 지켜보던 잎싹은 나그네의 죽음에 눈물을 흘린다.[45]

돌아온 잎싹은 우연찮게 알이 깨져서 부화한 걸 알게되고 그렇게 태어난 아기오리는 잎싹을 어미로 여기고 잎싹도 그런 아기 오리를 데리고 나그네의 말대로 동쪽늪으로 향하고 우연찮게 개구리가 수영을 하려던 걸 보고 시도하는 아기오리 우연찮게 먹이를 구하려다 아기가 물에 빠질 위기에 처했다 여기고 구하려다 물에 빠져서 죽을 뻔한 걸 달수의 도움으로 살아남고 달수는 잎싹이 도움을 청하나 그녀의 우려와 달리 초록은 수영을 할 수 있게 되자 잎싹이 대견해하자 달수는 그런 잎싹을 비판하다 우연찮게 아기의 머리가 초록색이자 그에게 초록이라는 이름을 지어주곤 그와 같이 생활하며 어느 덧 초록이도 성장한다.[46]
한편 달수로부터 잠수법을 배우던 초록이는 우언찮게 또래의 원앙들을 만나며 넷다 닮은 외모에 신기해하나 그들은 오히려 잎싹을 이상하게 여기며 잎싹에 대한 험담을 초록이 앞에서 해대고[47] 분노한 초록은 그들에게 꽃을 꼬리쪽에 던지며 분노를 표출하고 아예 원앙들은 초록이 같이 애랑 놀지 말랬지 않나며 날아서 떠나자 비룩 자신을 놀린 이들이였으나 그러는 사이 청소년기가 된 초록이는 날 수 있는 그들에게 동정을 품고 거기다 이 일로 인해 잎싹과 외모가 다른 것에 회의감 혹시 자신도 날 수 있을지 모른다는 사실에 우연찮게 달수와 친분이 있는 박쥐를 찾아가[48] 비행법을 알려다든지 허나 박쥐 아니랄까봐 거꾸러 매달리는 것부터 시도해 보라지 않나 또한 비행을시도하다 실패해서 떨어질 뻔해 어느 부엉이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지는 등 연이은 실패에 또 다시 회의감을 느낀다.

그 시각 늪에 사는 새들은 잎싹에 대한 불만을 달수에게 토론하고[49] 그러다가 잎싹이 등장하자 새들은 어떻게든 도망친다.

한편 초록이가 반항기를 갖자 달수로부터 잠수를 배우고자 발에 나뭇잎을 매여 마치 물갈퀴를 단 것처럼 수영을 배우기로 하나 참다못한 달수는 잎싹이 감기에 걸린 몸[50] 보다 못한 달수는 잎싹과 차이, 즉 닭과 오리가 다른 구조를 말하자 화난 잎싹은 다른 게 뭐 어떠나자 달수는 이러다 병 난다며 마당으로 돌아가라자 잎싹은 초록과 늪지대에서 살 것임을 밝히자 화가 나서 잎싹을 비판하던 달수는 홧김에 모두가 잎싹을 싫어한다며 말해 잎싹은 마당 식구들 뿐만 아니라 늪지 식구들에게도 비슷한 대우를 받는다는 사실에 침울해한다.

허나 잎싹의 불행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아들인 초록이가 자신과 잎싹이 다르다는 것과 주변인들의 놀림 비행을 하고 싶지만 초록이가 날지 못하는 새라 여기는 잎싹의 태도 등으로 인해 반항을 하게 되고 급기야 잎싹과 자신은 다르다고 선을 굿는다 결국 분노한 잎싹은 초록이에게 이렇게 말한다.
그래 달라. 그게 어때서? 서로 달라도 얼마든지 사랑할 수 있는 거야!
하지만 초록이는 그럼에도 잎싹과 같이 있지 않을 거라며 잎싹을 떠나고 혼자가 된 잎싹 초록이를 찾던 중 우연찮게 볼일을...보던[51] 달수를 만나고 그간 있엇던 일들을 이야기하다가 우연찮게 나그네와의 약속을 지키지 못한 것에 후회하다 이 말을 통해 달수는 초록이가 청둥오리 파수꾼 나그네와 닮았다자 궁금한 나머지 잎싹은 달수에게 나그네의 대한 이아기를 들려준다.

과거 청둥오리 무리의 파수꾼이였던 나그네 그는 가장 빨리 가장 높이 날 정도로 달수조차 그가 단순히 착지를 했음에도 저게 뭐야 하고 놀랐을 정도에 오리 무리가 쉴 곳을 가장 먼저 찾았을 정도였으나 문제는 바로 애꾸눈이였는데 나그네는 애꾸눈과의 결투 끝에 한쪽 눈을 잃게 했으나 나그네 본인도 이 결투의 여파로 한쪽 날개를 다쳐서 날 수 없는 신세가 되어 결국 사람들에게 잡혀 마당에서 사는 신세가 되고 만 것이다.

그 시각 가출한 초록은 농장을 배회하다[52] 마당에 사는 오리 4인방과 마주하고 그들에게 마당에 대한 이야기를 듣곤 마당으로 향하나 얼마 못 가 농장 주인에게 붙잡혀 발목에 끈이 묵인 채 윙컷을 당할 위기에 처한다[53]

때마침 이를 잎싹과 친하게 지내던 참새 짹이 이 사실을 잎싹에게 알리고 이 소식을 들은 잎싹은 초록을 구하고자 몇년만에 자신이 살던 양계장으로 다시 돌아온다. 잎싹은 어떻게든 초록이를 살리고자 주인에게 덤비나 주인은 아무렇지 않게 떨치자 잎싹은 짹과 달수에게 도움을 청하고 달수에게는 닭들을 모두 풀어주기로 계획을 짠다.

일단 짹과 참새들이 새똥 폭격을 퍼붓고 잎싹도 케이지의 문을 열고 닭들이 나가도록 달수에게는 겁을 주도록 하여 닭들을 모두 탈출시키고[54] 농장주인은 닭들이 모두 풀려나자 제지하고자 나서고 그러는 사이 달수는 이빨로 끈을 뜯어서 초록이를 구해준다.

그렇게 나가려던 찰나 수탉과 다시 마주하고 수탉은 잎싹을 비판하며 덤비나 오히려 본인이 역으로 제압당하고[55] 잎싹은 초록이를 구한 후 수탉을 노려보곤 떠나고 수탉은 이 과정에서 매고 있던 볏이 가짜라는 게 밝혀지며[56]지휘도 바닥으로 내려가고 거기다 집오리 솔이 이 볏을 자신이 차지하며 새로운 지배자가 되었음을 선포한다.

한편 다시 늪으로 돌아가는 길 초록은 아무말도 잎싹이 자신에게 화가 났다 생각하며 칭찬과 사과를 하나[57] 잎싹은 괜찮은지 물으려던 찰나 이번에는 애꾸눈 족제비와 다시 마주한다

잎싹은 초록이에게 있어서는 친부모의 원수나 마찬가지인 애꾸눈과 마주하자 긴장하며 초록이를 지키고자 하며 잎싹의 예상대로 애꾸눈은 초록이를 노리고 덤비고 잎싹은 단숨에 제압당하고[58] 초록이는 추격 끝에 바위 언덕 끝으로 몰리고 나는 법을 모르는 탓에 먹이가 될 위기에 처한 그때 잎싹이 판자를 썰매 삼아서 내려오며 족제비를 덮쳐 구한다.

그렇게 추격 끝에 나무구멍으로 도망치고 추격 끝에 잎싹은 족제비와 부딪혀 절벽에 매달리고 초록도 끝으로 몰리자 초록과 족제비 모두 나무위로 향하다 나무가 부서져서 절벽 밑으로 떨어지고 족제비는 절벽에 매달린 채 간신히 살아남고 이 과정에서도 초록이도 본의 아니게 비행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59]

마침내 비행 법을 배우는 초록이 어느 덧 가을이 되고 청둥오리 때 이동 전 휴식을 위해 늪지에 찾아오자 잎싹은 그제서야 나그네의 뜻을 깨닫는다.

잎싹은 이 기회에 초록이에게 다른 오리들과 어울릴 때임을 깨닫고 초록도 그들에게로 향하나 오리들은 초록이 발목의 끈으로 인해서 인간의 물건을 단 놈이라며 어울릴 기회도 갇지 못한 채 잎싹에게 향하고 초록이는 차마 사실을 말하지 못하고 잎싹은 초록이가 처한 상황을 파악하고 초록이에게 청둥오리라는 걸 잊지 말라며 나그네 같은 파수꾼이 될 수 있다며 응원하고 그날 밤 잎싹은 밤새도록 부리가 빨개질 정도로 끈을 쪼아대어 초록이가 어울릴 기회를 제공한다
[youtube(Eank6ACc8I8)

7. 명대사

초록: 우리라고 하지마. 엄마랑 난 달라, 다르다고!
잎싹: 그래, 달라. 그게 뭐 어때서? 서로 달라도 얼마든지 사랑할 수 있는 거야.
초록: 이젠 엄마랑 같이 있지 않을 거야!
애꾸눈: 이젠 제법 어미가 되어 보이는걸?
잎싹: 넌 왜 이렇게 우리를 못 살게 구는 거지? 뽀얀 오리도, 나그네도!
애꾸눈: 난 그저 사냥을 했을 뿐이라고! 그것들은 그냥 내가 배가 고팠을 때 내 눈에 띄었던 거야. [60]
내 아이를 놔줘![61]

8. 사운드트랙

영화 올드보이의 '우진의 테마' 등을 작곡했던 바 있던, 이지수가 음악 감독을 맡았다.


유튜브에 공식 OST 모음집이 존재한다.[62]

OST 앨범은 2011년 6월 21일에 공식적으로 발매되었다.
목록
01. 양계장 풍경
02. 족제비의 공격
03. 첫 만남
04. 잎싹, 마당을 나오다
05. 죽음의 결투
06. 초록이의 탄생
07. 숲을 지나
08. 늪으로 가다
09. Humoresque
10. 행복의 왈츠
11. 나그네를 회상하다
12. 초록이를 구하라
13. 탈출
14. 초록이의 비상
15. 가을, 그들이 돌아오다
16. 너의 꿈을 찾아가
17. 비행대회 (PartⅠ)
18. 비행대회 (PartⅡ)
19. 엄마의 사랑으로..
20. 마지막 인사
21. 잎싹, 날다
22. 바람의 멜로디 (아이유(IU) 노래)

8.1. 엔딩곡 '바람의 멜로디'

<colbgcolor=#003E00,#010101><colcolor=#001054,#ddd> 바람의 멜로디
Melody of the Wind
가수 아이유[OST] / 아이유[영화]
음반 마당을 나온 암탉 O.S.T
발매일 2011. 06. 21
장르 애니송, K-POP
작사 김이나
작곡 이지수
노래방 수록 정보
파일:금영엔터테인먼트 심볼.svg 88731
파일:TJ미디어 심볼.svg 46491

[clearfix]
바람의 멜로디 (안지영 ver.)

[clearfix]
바람의 멜로디 (아이유 ver.)

김이나가 작사하고, 이지수가 작곡했다.

OST 앨범의 22번 트랙 곡이다. 영화 엔딩 크레딧과 함께 나오는 곡이며, 영화에서는 아이유가 부른 버전이 삽입되었다. 실제로 영화 시사회에서도 아이유가 직접 라이브를 하기도 했다. 다만 모종의 이유로 아이유 버전은 OST 음반에 수록되지 않았으며, 안지영이 부른 버전이 수록되었다. 즉 안지영이 부른 버전은 OST 앨범에 수록되었음에도 정작 영화에서는 들을 수 없다.

참고로 볼빨간사춘기안지영과는 동명이인이다.

금영 노래방 번호는 88731번이고, 태진 노래방 번호는 46491번이다.
가사
난 날아올라 내 꿈을 위해
비밀 날개를 달고 누구보다 난 설레여

가끔은 뒤로 밀려난대도
숨을 한번 꾹 참고 힘주고 걸음을 디뎌

또 어두운 밤이 온대도 난 행복한걸
꿈을 꾸는 순간조차 날고 있으니까

아침이 오면 들리는 소리
온 세상이 숨 쉬는 소리
햇살 틈으로 울리는 소리
온 세상이 잠 깨는 소리
더욱 가까이 기대도 된다는
바람결이 노래하는 멜로디

겁내다간 놓칠 것 같아 저 많은 것들
이토록 반짝이는데 나를 부르는데

아침이 오면 들리는 소리
온 세상이 숨 쉬는 소리
햇살 틈으로 울리는 소리
온 세상이 잠 깨는 소리
더욱 가까이 기대도 된다는
바람결이 노래하는 멜로디
my world

머물러 달라해도 또 잡아봐도
내 하루가 하루가 내게 주어지고
내 눈물은 사라져 갈 어제 속에 있잖아

난 날아올라 저 구름 위로 내가 먼저 가볼래
기다려 받기만 했던 내일을 찾아갈래
돌아본 곳에 네가 있기를 바래

9. 평가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bgcolor=#f93208>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
신선도 없음% 관객 점수 76%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4181c><tablebordercolor=#1418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0><bgcolor=#000>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2021).svg ||
별점 7.230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FFFFFF><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Filmarks 로고.svg ||
별점 3.2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333><bgcolor=#333> 파일:엠타임 로고.svg ||
평점 7.4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699cc><#edf4ec> 파일:더우반 로고.svg ||
별점 7.1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3.4 / 5.0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101322><#101322><tablebgcolor=#fff,#191919>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
지수 86.56% 별점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display:41585"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41585;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41585|{{{#!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7.15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8.88 /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7.15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8.88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2d2f34><tablebgcolor=#fff,#191919> 파일:다음 로고.svg ||
평점 8.9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84C4D><tablebordercolor=#F84C4D><tablebgcolor=#fff,#191919>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
지수 92%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bgcolor=#6A5ACD><tablebordercolor=#6A5ACD><tablebgcolor=#fff,#191919> 파일:라프텔 로고 화이트.svg ||
별점 3.6 / 5.0



상당한 퀄리티이나 대부분의 다른 한국 개봉 극장 애니[65]와 마찬가지로 주요 인물들은 유명 배우들을 성우로 채용했다. 아무래도 배우이기 때문에 성우로서의 연기력이 그다지 좋은 편은 아니지만 그래도 비교적 덜 까이는 편. 그러나 주요 등장동물인 '초록'을 맡은 유승호 목소리가 너무 몰입이 안된다고 까는 사람들이 많다. 원작에선 나이가 좀 있는 잎싹이 극장판에서는 젊은 모습으로 나온다.

캐릭터 디자인도 아기자기하고 광고를 너무 발랄하게 해서[66] 원작을 안 보고 애니 먼저 본 사람은 비극적인 결말에 충격을 받을 수 있다. 반대로 원작을 먼저 접한 사람이라면 좀 아쉬울 수 있다는 평.

원작을 영상화할 때 필연적으로 생기는 각색의 문제 탓에 아이들이 좋아할 만한 부분이 몇몇 삽입되어 있는데, 이 장면들이 대체로 원작의 잔잔하면서도 무거운 분위기를 너무 가볍게 만들었다는 평가가 있다. 그럼에도 원작자 황선미 씨는 씨네21과의 인터뷰에서 이 애니를 보고 전연령을 생각하자면 상당히 잘 만들었다고 호평했다. 이전에 원작을 본 아이들이 자신에게 너무나도 암울한 마지막에 울었다는 이야기를 해준 적도 있다고 한다.

정리하자면 원작에 존재하는 장점들을 잘 옮겼고, 자칫 무거워질 수 있는 분위기를 달수나 방목장 식구들, 비행대회 등 오리지널 요소들을 통해 어느정도 덜어낸 점 등을 고려했을 때 상당한 수작이라고 볼 수 있지만, 원작에 없는 오리지널 요소들이 분위기를 가볍게 만든 것을 단점으로 꼽을 수 있다.

이 작품은 아치와 씨팍, 천년여우 여우비, 고스트 메신저, 돼지의 왕, 파닥파닥과 함께 2000년 ~ 2010년대 한국 2D 애니메이션의 황혼기를 장식한 작품이 되었다. 이 이후 한국 애니메이션은 3D 애니메이션으로의 전환과 함께 TV, 유튜브 상영용 아동 대상 애니메이션에 집중하면서 마당을 나온 암탉과 같은 고자본, 고투자가 들어간 2D 애니메이션은 이 이후 영영 스크린에 걸리지 못했다. 그럼에도 3D 애니메이션이긴 하지만 2024년 사랑의 하츄핑이 그간 한국 애니메이션의 부진을 깨고 이례적으로 100만 관객을 동원하며 한국 애니메이션 부활의 신호탄을 알린 점은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10. 흥행

한국 애니메이션 영화 역대 한국 박스오피스 순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순위 작품명 제작년도 배급사 전국 관객 수 비고
1위 마당을 나온 암탉 2011년 롯데엔터테인먼트 2,204,870명
2위 사랑의 하츄핑 2024년 쇼박스 1,233,731명
3위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3D 2012년 CJ ENM MOVIE 1,051,710명
4위 뽀로로 극장판 슈퍼썰매 대모험 2013년 CJ ENM MOVIE 931,953명 한국/중국 합작
5위 신비아파트 극장판 하늘도깨비 대 요르문간드 2019년 CJ ENM MOVIE 894,826명
6위 극장판 헬로카봇: 백악기 시대 2018년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880,776명
7위 뽀로로 극장판 공룡섬 대모험 2017년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827,338명
8위 레드슈즈 2019년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817,729명
9위 뽀로로 극장판 보물섬 대모험 2019년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772,865명
10위 신비아파트: 금빛 도깨비와 비밀의 동굴 2018년 CJ ENM MOVIE 678,264명
11위 극장판 헬로카봇: 달나라를 구해줘! 2019년 롯데엔터테인먼트 591,106명
12위 극장판 헬로카봇: 옴파로스 섬의 비밀 2018년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575,362명
13위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2: 새로운 낙원 2018년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550,145명
14위 넛잡: 땅콩 도둑들 2013년 싸이더스 479,280명 한국/캐나다/미국/중국 합작
15위 천년여우 여우비 2007년 CJ ENM MOVIE 460,925명
16위 뽀로로 극장판 드래곤캐슬 대모험 2022년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451,136명
17위 뽀로로 극장판 컴퓨터 왕국 대모험 2014년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446,054명
18위 신비아파트 극장판 차원도깨비와 7개의 세계 2022년 CJ ENM MOVIE 431,855명
19위 터닝메카드 W: 블랙미러의 부활 2017년 키다리이엔티 430,013명
20위 넛잡 2 2017년 롯데엔터테인먼트 411,787명 한국/캐나다/미국/중국 합작
21위 극장판 공룡메카드: 타이니소어의 섬 2018년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410,274명
단위: 명, 전국단위 박스오피스 집계 순위
(전국단위 관객 수 없는 작품 제외), 40만 명 이상.
}}}}}}}}}||

극장 개봉 한국 애니메이션 1위를 달성하는 위엄을 보였다. 손익분기점은 150만 관객이지만 국내에만 개봉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자본금 회수는 어렵지 않았다. 중국에 먼저 수출되었고 미국 및 영국을 비롯한 46개 나라에 수출계약을 맺는 성과를 거두면서 국내 흥행 말고도 여러 추가 수익을 거둬들였다.

국내 개봉하자마자 첫 주 관객수 5위를 차지하면서 좋은 출발을 했다. 개봉 첫 주말 3일(7.29~31) 동안 229,901명의 관객 수를 기록했는데 이는 역대 한국 애니 사상 최고 기록[67]이라고 한다. 그리고 개봉 8일만인 8월 3일 512,535명의 관객을 동원해 한국 애니 사상 최다 관객 기록(72만명)[68]을 가지고 있는 2007년 개봉작 '로보트 태권브이' 의 50만명 돌파보다 8일이나 앞섰는데 김청기 감독도 축하한다고 인터뷰했다. 개봉 13일째인 8월 8일까지 누적 관객수 903,213명을 동원해 한국 애니 사상 최고의 흥행 기록을 세웠다. 그리고 15일째 누적 관객수 1,000,302명을 기록해 100만 관객 돌파가 이루어졌다.

이는 한국 영화 역사에서 상당히 뜻깊은 기록인데, 애니메이션 영화가 한국 영화 시장에서 호응을 얻지 못하는 편이었기 때문이다. 특히 아이와 부모를 모두 겨냥했고 그것이 성공한 깊이감 있는 작품이라서 더 의미가 크다. 디즈니의 겨울왕국 이전에는 디즈니, 픽사, 드림웍스 애니[69]미야자키 하야오스튜디오 지브리 애니메이션[70]을 빼면 한국에서 대박작이라 할 만한 애니메이션 영화를 찾기 힘들었다. 당시 한국 극장가에서 애니메이션이 받는 취급[71]을 생각하면 한국 애니로써는 손익분기점을 넘기는 것이 아닌 100만 관객을 넘기는 것이 목표일 수밖에 없는 상황[72]이다.[73]

겨울왕국 흥행 이후로는 한국인의 애니메이션에 대한 인식이 많이 달라져서 애니메이션의 한국 흥행 척도가 상당히 높아졌지만, 마당을 나온 암탉이 상영한 당시에는 이러한 인식이 거의 변하지 않았다. 사실상 사막에 꽃밭이 생겼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의 기적이고, 본작이 세계적인 제작사의 네임벨류를 두고 있었던 것도 아니기에, 작품의 이야기 자체가 가진 힘이 정말 강인해서 나온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대망의 2011년 8월 19일. 국내 관객만으로 손익분기점이던 150만 명을 넘겼다. # 국산 애니메이션 흥행기록을 실시간으로 갱신하면서 흑자 전환까지 성공했다. 9월 4일, 200만명을 돌파. 10월 16일 폐막된 시체스 국제영화제[74]에서 최우수가족영화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11월 11일, 관객 220만명을 돌파했다.

한국 애니메이션이면서 유일하게 한국 관객 200만 명 이상을 동원한 작품이다. 감독은 TED에서 이에 자부심을 가졌고 실제로도 애니메이션 장르의 불모지인 한국인지라 충분히 자부심을 가져도 될 성과이다. 1천만 관객 영화를 흔히 본 청중들의 반응이 묘해서 머쓱해 했지만 흥행 요소는 원작 동화가 있다는 것과 아동 대상인 정도 뿐인데 200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했다는 건 영화 자체의 스토리텔링이 좋았다는 증거다.

10.1. 관객수 통계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folding [ 보이기 / 숨기기 ] 주차 날짜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60,626명 60,626명 -위 362,042,000원 362,042,000원
1주차 2011-07-28. 1일차(목) 46,338명 510,549명 5위 302,867,000원 3,411,239,500원
2011-07-29. 2일차(금) 54,459명 5위 360,408,500원
2011-07-30. 3일차(토) 93,714명 5위 635,482,500원
2011-07-31. 4일차(일)[75] 82,639명 5위 570,457,500원
2011-08-01. 5일차(월) 78,362명 4위 523,355,500원
2011-08-02. 6일차(화) 83,317명 4위 547,081,000원
2011-08-03. 7일차(수)[76] 71,720명 4위 471,587,500원
2주차 2011-08-04. 8일차(목) 62,630명 439,231명 5위 411,682,000원 2,906,649,000원
2011-08-05. 9일차(금) 59,993명 4위 398,173,500원
2011-08-06. 10일차(토) 97,350명 4위 633,311,000원
2011-08-07. 11일차(일) 98,562명 4위 679,746,000원
2011-08-08. 12일차(월)[77] 34,242명 4위 227,844,000원
2011-08-09. 13일차(화) 45,298명 4위 294,592,500원
2011-08-10. 14일차(수)[78] 41,156명 5위 261,300,000원
3주차 2011-08-11. 15일차(목) 38,062명 470,064명 6위 242,328,500원 3,168,903,000원
2011-08-12. 16일차(금) 40,895명 6위 265,443,000원
2011-08-13. 17일차(토) 103,389명 5위 702,470,500원
2011-08-14. 18일차(일) 99,071명 4위 685,170,000원
2011-08-15. 19일차(월) 126,959명 4위 878,884,500원
2011-08-16. 20일차(화) 32,857명 3위 211,586,000원
2011-08-17. 21일차(수) 28,831명 5위 183,020,500원
4주차 2011-08-18. 22일차(목)[79] 29,818명 294,293명 5위 186,806,000원 1,929,339,500원
2011-08-19. 23일차(금) 30,007명 5위 190,053,000원
2011-08-20. 24일차(토) 88,178명 5위 594,994,000원
2011-08-21. 25일차(일)[80] 81,400명 4위 554,533,000원
2011-08-22. 26일차(월) 20,217명 4위 127,822,500원
2011-08-23. 27일차(화) 24,055명 4위 148,091,500원
2011-08-24. 28일차(수) 20,618명 4위 127,039,500원
5주차 2011-08-25. 29일차(목) 16,198명 176,186명 4위 99,841,000원 1,155,486,500원
2011-08-26. 30일차(금) 16,455명 4위 102,651,000원
2011-08-27. 31일차(토) 64,924명 4위 431,150,500원
2011-08-28. 32일차(일) 56,987명 4위 386,710,500원
2011-08-29. 33일차(월) 7,092명 5위 45,572,000원
2011-08-30. 34일차(화) 7,418명 5위 46,174,000원
2011-08-31. 35일차(수) 7,112명 6위 43,387,500원
6주차 2011-09-01. 36일차(목) 4,595명 73,826명 7위 28,322,500원 528,127,000원
2011-09-02. 37일차(금) 3,266명 7위 21,704,500원
2011-09-03. 38일차(토) 24,996명 7위 173,212,500원
2011-09-04. 39일차(일)[81] 37,550명 7위 252,340,000원
2011-09-05. 40일차(월) 2,681명 7위 18,395,000원
2011-09-06. 41일차(화) 3,174명 8위 21,232,500원
2011-09-07. 42일차(수) 2,159명 12위 12,920,000원
7주차 2011-09-08. 43일차(목) 1,204명 108,518명 15위 7,874,500원 759,460,500원
2011-09-09. 44일차(금) 3,064명 13위 19,417,500원
2011-09-10. 45일차(토) 21,515명 11위 147,651,000원
2011-09-11. 46일차(일) 15,491명 11위 110,966,500원
2011-09-12. 47일차(월) 20,577명 10위 152,419,500원
2011-09-13. 48일차(화) 32,766명 10위 229,701,000원
2011-09-14. 49일차(수) 13,901명 11위 91,430,500원
8주차 2011-09-15. 50일차(목) 906명 27,998명 17위 6,036,500원 197,359,500원
2011-09-16. 51일차(금) 1,063명 15위 7,424,500원
2011-09-17. 52일차(토) 9,450명 15위 67,367,500원
2011-09-18. 53일차(일) 14,545명 13위 102,480,500원
2011-09-19. 54일차(월) 524명 15위 3,819,500원
2011-09-20. 55일차(화) 576명 17위 4,063,000원
2011-09-21. 56일차(수) 934명 15위 6,168,000원
9주차 2011-09-22. 57일차(목) 814명 13,230명 17위 4,423,500원 85,953,500원
2011-09-23. 58일차(금) 683명 19위 3,251,500원
2011-09-24. 59일차(토) 5,604명 13위 37,333,500원
2011-09-25. 60일차(일) 5,227명 13위 35,833,500원
2011-09-26. 61일차(월) 109명 27위 783,000원
2011-09-27. 62일차(화) 265명 25위 1,600,500원
2011-09-28. 63일차(수) 528명 22위 2,728,000원
10주차 2011-09-29. 64일차(목) 248명 10,198명 22위 1,264,000원 68,824,000원
2011-09-30. 65일차(금) 135명 24위 886,500원
2011-10-01. 66일차(토) 1,522명 13위 10,573,000원
2011-10-02. 67일차(일) 3,080명 12위 20,899,500원
2011-10-03. 68일차(월) 4,643명 12위 32,604,000원
2011-10-04. 69일차(화) 287명 18위 1,261,000원
2011-10-05. 70일차(수) 283명 18위 1,336,000원
11주차 2011-10-06. 71일차(목) 136명 4,945명 23위 443,000원 30,371,000원
2011-10-07. 72일차(금) 131명 21위 638,500원
2011-10-08. 73일차(토) 2,162명 13위 13,445,000원
2011-10-09. 74일차(일) 1,996명 14위 13,121,000원
2011-10-10. 75일차(월) 40명 28위 293,000원
2011-10-11. 76일차(화) 274명 20위 1,447,000원
2011-10-12. 77일차(수) 206명 22위 983,500원
12주차 2011-10-13. 78일차(목) 36명 1,679명 29위 154,000원 11,188,500원
2011-10-14. 79일차(금) 27명 37위 112,000원
2011-10-15. 80일차(토) 484명 18위 3,652,500원
2011-10-16. 81일차(일) 789명 15위 5,825,500원
2011-10-17. 82일차(월) 102명 24위 469,000원
2011-10-18. 83일차(화) 138명 23위 508,000원
2011-10-19. 84일차(수) 103명 24위 467,500원
13주차 2011-10-20. 85일차(목) 23명 1,867명 37위 78,000원 8,262,000원
2011-10-21. 86일차(금) 395명 18위 1,284,000원
2011-10-22. 87일차(토) 672명 14위 3,521,500원
2011-10-23. 88일차(일) 450명 15위 2,380,500원
2011-10-24. 89일차(월) 1명 61위 8,000원
2011-10-25. 90일차(화) 152명 26위 632,000원
2011-10-26. 91일차(수) 174명 23위 722,000원
14주차 2011-10-27. 92일차(목) 228명 985명 21위 991,000원 5,251,000원
2011-10-28. 93일차(금) 113명 24위 542,000원
2011-10-29. 94일차(토) 198명 31위 1,287,000원
2011-10-30. 95일차(일) 244명 24위 1,659,000원
2011-10-31. 96일차(월) 4명 59위 27,000원
2011-11-01. 97일차(화) 158명 26위 604,000원
2011-11-02. 98일차(수) 40명 34위 141,000원
15주차 2011-11-03. 99일차(목) 24명 520명 38위 94,000원 2,296,000원
2011-11-04. 100일차(금) 7명 55위 21,000원
2011-11-05. 101일차(토) 179명 28위 797,000원
2011-11-06. 102일차(일) 215명 26위 1,072,000원
2011-11-07. 103일차(월) 4명 57위 30,000원
2011-11-08. 104일차(화) 19명 42위 57,000원
2011-11-09. 105일차(수) 72명 32위 225,000원
16주차 2011-11-10. 106일차(목) 142명 835명 27위 438,500원 2,801,000원
2011-11-11. 107일차(금)[82] 116명 29위 348,000원
2011-11-12. 108일차(토) 218명 23위 716,500원
2011-11-13. 109일차(일) 136명 27위 559,000원
2011-11-14. 110일차(월) 5명 41위 37,000원
2011-11-15. 111일차(화) 47명 32위 150,000원
2011-11-16. 112일차(수) 171명 26위 552,000원
17주차 2011-11-17. 113일차(목) 71명 706명 38위 273,000원 2,802,500원
2011-11-18. 114일차(금) 204명 27위 807,000원
2011-11-19. 115일차(토) 267명 34위 974,000원
2011-11-20. 116일차(일) 141명 29위 636,500원
2011-11-21. 117일차(월) 미상영 -위 0원
2011-11-22. 118일차(화) 9명 53위 41,000원
2011-11-23. 119일차(수) 14명 53위 71,000원
18주차 2011-11-24. 120일차(목) 97명 285명 36위 397,000원 963,000원
2011-11-25. 121일차(금) 미상영 -위 0원
2011-11-26. 122일차(토) 122명 41위 366,000원
2011-11-27. 123일차(일) 55명 43위 165,000원
2011-11-28. 124일차(월) 미상영 -위 0원
2011-11-29. 125일차(화) 10명 49위 30,000원
2011-11-30. 126일차(수) 1명 70위 5,000원
19주차 2011-12-01. 120일차(목) 48명 66명 47위 146,000원 228,000원
2011-12-02. 121일차(금) 2명 66위 6,000원
2011-12-03. 122일차(토) 4명 80위 20,000원
2011-12-04. 123일차(일) 미상영 -위 0원
2011-12-05. 124일차(월) 미상영 -위 0원
2011-12-06. 125일차(화) 미상영 -위 0원
2011-12-07. 126일차(수) 12명 50위 56,000원
20주차 2011-12-08. 127일차(목) 16명 38명 42위 72,000원 178,000원
2011-12-09. 128일차(금) 미상영 -위 0원
2011-12-10. 129일차(토) 미상영 -위 0원
2011-12-11. 130일차(일) 22명 58위 106,000원
2011-12-12. 131일차(월) 미상영 -위 0원
2011-12-13. 132일차(화) 미상영 -위 0원
2011-12-14. 133일차(수) 미상영 -위 0원 }}}
합계 누적관객수 2,201,240명, 누적매출액 14,668,119,000원[83]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자료이며, 2011년 영화 중 흥행 순위 22를 차지했다.

10.2. 흥행 순위

8월 21일에는 168만 전국관객으로 종전 10위이던 마다가스카(167만 관객)를 제치고 한국 역대 개봉 애니메이션 흥행 10위를 차지했다. 개봉하기가 무섭게 간판을 내리던 기존 한국 애니메이션과는 달리 4~6위를 지키면서도 꾸준히 이런 흥행을 유지하고 있다는 게 놀라울 뿐이다. 게다가 다른 역대 흥행작들은 스튜디오 지브리 작품을 제외하면 죄다 드림웍스와 월트 디즈니 배급으로 상영관도 압도적으로 많고 오후 상영도 다하면서 흥행 1위를 차지했기에 그 배경이 차원이 다른 점을 생각하면 더더욱 놀라운 결과이다. 그야말로 기대 받지 못한 영화가 만든 기적이다.

마당을 나온 암탉은 겨울왕국 이전에 개봉해서 한국인들의 애니메이션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았을 시절에 개봉했고, 상영한 영화관의 수도 많지 않았을 뿐더러 상영 횟수도 오전에 몇 번 정도로 굉장히 적었다. 8월 20일 주말만 해도 CGV 몇몇 극장에서는 주말인데도 2번 상영하였다. 그것도 오전에 잠깐 상영하던 곳까지 있었다.

11. 기타

파일:external/movie.phinf.naver.net/ekfr.jpg
친절한 금자씨의 패러디 포스터[84][85]

2006년부터 제작에 들어갔던 작품으로 당시에는 '잎싹 – 마당을 나온 암탉'이란 제목으로 나왔고 2008년 여름 개봉 예정이었다. 그러다 개봉이 미뤄지고 미뤄지면서 2010년 겨울로 미뤄졌다가 또 밀린 후 2011년에 와서야 개봉에 이르렀다. 초기 제작 단계부터 경기디지털콘텐츠진흥원이 지원을 했는데, 이래저래 한국 애니메이션의 정부 쪽 지원사례가 눈 먼 돈 뿌리기 꼴이 된 예들이 많은데 비해 이번에는 좀 제대로 된 투자가 된 듯하다.

한국 애니메이션으로선 참 드물게도 프리스코어링으로 제작되었다.

잎싹 모자의 더빙에 대한 평은 그리 좋지 못하다. 영화 베댓에서도 언급되고 있듯, 가장 큰 결점이기도 하다. 아기자기한 모습의 동물 캐릭터에 맞는, 과장된 발성이 나오지 못했다. 물론 메이킹 영상에서 더빙을 하는 유승호가 눈물을 글썽이는 등, 작품의 이야기에 마음을 두었을 게 분명하기에 최선의 노력은 했을 것이다. 배우가 더빙에 대한 전문적 훈련을 하지 않기 때문에 능력이 부족했을 뿐이다.[86] 배우의 연기력과 성우로서의 역량은 별개라는 걸 아주 잘 증명하는 작품인 셈. 잎싹 모자의 더빙과는 별개로 다른 주조연의 더빙은 가히 애니메이션 최고급이다. 특히 달수, 박쥐, 부엉이의 사투리 더빙은 그 구수함에 긴장이 쫙 풀린다. 족제비와 나그네의 목소리는 카리스마가 넘친다.[87]

우포늪을 애니메이션 상의 배경으로 삼고 있으며 이를 위해 우포늪을 상세히 취재해 작품에 반영하고 사운드 팀이 계절마다 우포늪을 답사하며 소리를 녹음해서 작품 속에서 썼다.

개봉 시기상 천년여우 여우비와 함께 한국 애니메이션 영화의 전성기를 찍은 영화라고 볼 수 있다.

원래 오돌또기 측이 마당을 나온 암탉의 애니메이션화를 기획 중이었는데, 명필름 측도 별개로 마당을 나온 암탉의 애니메이션화를 생각하다가 오돌또기가 관련 기획을 하던 중이란 걸 알고 공동 제작을 하게 되었다. 오똘또기 측에서 말하길 명필름 덕에 투자도 받고 메이저 배급사 통해서 배급도 할 수 있었다고 한다. 결국 영화사 덕에 그나마 이 정도의 투자와 배급이 가능했다는 것은 아쉬운 점이지만, 영화사와의 협동이라는 한국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돌파구를 보여줬다고 볼 수도 있다.

이렇게 애니메이션 제작사와 영화사의 공동 제작이 되면서 시나리오 작가인 김은정과 나현이 각본을 쓰고 콘티 작업에 김우형 촬영감독이 참여하는 등 영화 쪽 제작진들도 작품에 참여했고, 오성윤 감독은 이런 명필름과의 협조로 영화 쪽 노하우를 받아들이면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었다고 말하는 한편 한국에서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단독으로 생존하기보다 영화사와 협력하는 게 여러모로 좋은 것 같다는 인터뷰를 했다.

마당을 나온 암탉이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는 걸 보면서 (주)오돌또기가 과연 원래 회사를 차렸던 목적이자 베이퍼웨어인 오돌또기의 제작에 본격적으로 돌입할 것인지에 관심을 가지는 한국 애니메이션 팬도 극히 일부지만 존재한다. 마당을 나온 암탉을 제작하고 나면 다시 오돌또기 제작에 돌입하겠다고 밝힌 일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러 제작 환경상 문제가 많아서 정말 오돌또기 애니메이션이 만들어질지는 불투명하다. 게다가 마당을 나온 암탉이 흥행에 성공하긴 했지만, 막상 감독이 쥐는 돈은 얼마 없어 또 다음 작품 자본금을 걱정해야 할 상황이라고 한다. #

한편 애니의 흥행을 발판삼아 동심파괴 제품들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원작이나 애니의 결말을 보자면 이게 틀린 소린 아닌지라... 암탉이 죽었슴다, 계란도 죽었슴다.

그리고 블루레이가 2012년 4월 25일 발매되었다. # 전세계 시장에 발매되었는데, 저작권 관련 규정과 인식이 미미한 남미권 국가 버전으로 출시된 블루레이가 캡쳐되어 유튜브로 공공연히 돌아다니고 있다. 물론 화질은 엉망이지만, 올라온지 수년이 되도록 제제가 하나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해외 버전은 엔딩이 약간 바뀌었는데 애꾸눈이 잎싹을 잡아먹는 마지막 장면이 잘리고 잎싹이 오리 행렬이 떠나는 것을 본 후 바로 엔딩씬으로 넘어간다. 아무래도 주인공이 잡아먹혀 죽는 모습이 다소 충격적으로 여겨질 수 있어 편집된 것으로 보이나, 대부분의 해외 팬들도 편집되지 않은 원본인 한국판에 좋은 평가를 내리고 있다.#

펜텔아인지우개의 껍질 그림에 등장했다. 타입은 가볍게 지워지는 타입이다.

[1] 아이유 버전은 기획사인 로엔엔터테인먼트에서 차기 앨범 제작과 판매에 방해가 된다며 극장 상영시에만 틀고 OST나 음원 서비스는 하지 않기로 했다. 그래서 아이유 팬들이 엔딩에 나오는 아이유의 음악을 들으러 관람하는 경우도 많아 흥행에 기여를 했다. 한때 팬카페인 유애나에 블루레이에서 추출한 음원이 무려 24Bit 96Khz 원음 버전으로 올라왔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삭제되었다. 사운드클라우드나 유튜브 등지에 여러 음원이 올라와있으나 이 버전인지는 불명.[2] 영어 자막판에선 Leafie로 불리지만, 영어 더빙판에선 Daisy로 불린다.[3] 파수꾼 대회 때도 초록이를 계속 걱정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경기가 끝나고 잎싹이 집으로 돌아갈 때 잎싹이 있던 곳을 보면 발자국으로 뒤덮여 있다. 이를 통해 초록이를 얼마나 아끼는지도 알 수 있다.[4] 참고로 닭의 수명은 10년은 된다. 일종의 고증오류인 셈인데 건강이 좋지 않아서 버려졌던 닭이라고 본다면 이해하지 못할 정도는 아니다.[5] 외모나 생활 방식이 많이 다른 것을 보고 자라면서 다르다는 걸 인식했다.[6] 잎싹이 가르칠 수 없었던 수영은 개구리, 비행은 박쥐와 부엉이에게서 배웠다.[7] 어찌보면 잎싹이 마냥 품 안의 자식으로 생각했던 초록이가 스스로 잎싹의 품을 벗어나기를 택하고, 잎싹 역시 그것을 수긍하는 것은 부모로부터 독립하려는 자식의 모습과 그런 자식을 떠나보낼 준비를 마친 부모의 모습을 동시에 드러낸다고 볼 수도 있다.[8] 잎싹은 자신의 노쇠한 몸으로는 다음 해를 넘기지 못할 것임을 자각하고 애꾸눈에게 잡아먹히는 것으로 목숨을 내어준지라 모자의 재회는 영원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었다.[9] 왜 우리를 이렇게 못살게 구냐는 잎싹의 말에는 "나는 그저 사냥을 했을 것 뿐이고 그것들(자신이 잡아먹은 뽀얀오리나 나그네 등의 사냥감들)은 그냥 내가 배고팠을 때 눈에 띈 것이다"라고 대답한다. 물론 이 대답은 만에 하나 있을 위험을 대비해서 새끼를 지키려고 자신이 새끼가 있다는 것을 숨기기 위해 말하는 대사일 수 있다.[10] 물론 전체연령가 심의상 직접 물어 죽이고 잡아먹는 모습은 전혀 나오지 않는다. 사냥감을 물고서 자기 소굴로 끌고 가는 모습으로 끝.[11] 귀엽거나 웃기게 디자인된 다른 동물 캐릭터들과 달리 애꾸눈은 그런 면이 일절 없고 실제 족제비와도 크게 괴리감이 느껴질 정도로 날카롭고 흉악해보이는 맹수의 모습이다.[12] 실제로 초반에 농장 주인이 막 버린 닭들 시체가 널렸는데도 애꾸눈은 굳이 살아 있는 잎싹만 노렸다.[13] 당연히 이것도 실제로는 오류다. 실제 야생에서 사냥은 어렵고 위험하기 때문에 거의 모든 포식자의 경우 사체도 가리지 않고 먹으며 널린 사체들을 놔두고 굳이 살아 있는 사냥감을 사냥하는데 에너지를 낭비해야 할 이유가 없다. 더구나 애꾸눈의 경우 새끼를 낳아 키우는 어미인 만큼 에너지 섭취가 더 절박한 상황이니 더 그렇다. 다만 실제 족제비가 닭장을 습격할 때 닭을 먹을 만큼만 사냥해서 물고 가는 게 아니라 한두 번 사냥하고 나서도 제대로 먹지도 않을 거면서 나머지 닭들까지 학살하는 습성이 있음을 생각해보면 굳이 살아 있는 잎싹을 사냥하려 하는 건 실제 족제비의 특성을 고증한 거라고 볼 수도 있다. 다만 애꾸눈이 작중 양계장과 마당에 칩입해서 닭들을 사냥하는 모습은 안 나왔는데 이는 애초에 양계장과 마당이 주 무대가 아닌 만큼 분량상 넣을 이유가 없었거나 문지기인 개가 지키고 있어서 접근하지 못한 걸로 보인다.[14] 아직 털도 없고 눈도 못 뜬, 거의 살덩어리라고 불러도 될 수준의 어린 새끼들이었다.[15] 이때 두 어머니가 동시에 "내 새끼를 놔줘!!!"라며 절규하듯 외치는 장면은 이 영화의 최고의 명장면 중 하나이다.[16] 애꾸눈이 잎싹을 잡아먹는 장면은 생략되었고 죽은 잎싹을 질질 끌고 가는 애꾸눈의 모습만 나온다. 그것도 화면 바깥 쪽 근처에서 아주 작게, 짧은 시간 동안 나와 못 본 사람들도 있다.[17] 앞서 나왔듯 애꾸눈은 나그네를 비롯해서 많은 이들을 죽였지만 그건 그저 먹고 살기 위한 행동일 뿐이였다. 중반에 잎싹에게 한 말도 악역이라서 혹은 다른 의미가 있었던 게 아니라 그냥 말 그대로의 의미였을 뿐이다. 잎싹이나 초록이, 달수 등은 종이 종이기 때문에 먹이가 씨앗, 좀 더 가도 벌레나 물고기 정도인 반면 애꾸눈은 엄연히 포식자이기 때문에 당연히 사냥은 반드시 해야 먹고 살 수 있다.[18] 원작에서는 잎싹이 족제비와 엉켜 싸우는 과정에서 부리로 쪼아 족제비의 한쪽 눈을 실명시킨다.[19] 사실 청둥오리가 족제비 정도의 포식자와 싸우다가 다쳤는데 그들에게 안 잡아먹히고 단지 날개 하나를 부상당한 선에서 그쳤다는 것, 그리고 거기서 끝나지 않고 상대에게도 한쪽 눈을 실명시키는 정도의 부상을 입혔다는 것 자체가 상당히 기적적인 상황이고, 그만큼 나그네가 청둥오리 중 독보적으로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당연히 현실적으로는 절대 말이 안 되는 상황이다.[20] 뽀얀오리가 애꾸눈에게 잡혔을 때 잠깐 물 위를 날았거나 죽기 전 족제비랑 싸울 때 마지막에 잠시 날았던 걸 보면, 아예 날지 못한 건 아니고 잠깐 조금 날 정도의 비행 능력은 남아 있었다.[21] 다만 이건 애니메이션에서의 묘사고 원작에서는 아예 한쪽 날개만 펴진다고 묘사되어 있을 정도로 심한 부상이었다.[22] 인간들이 어떤 용도로 그를 마당에서 키운 건지는 불명이지만, 정황상 관상용일 가능성이 높다. 근데 양계장에서 살았을 시절에 마당을 자주 바라보던 잎싹이 나그네가 마당에 살았던 사실은 몰랐던 걸 보아 나그네가 양계장 근처에는 거의 잘 가지 않았거나 인간들에게 잡혀 지내던 기간이 그리 길진 않았던 듯.[23] 통상의 집오리처럼 털색이 하얀 오리여서 이런 이름이 붙은 듯 하다. 본래 집오리였다가 야생화된 오리인건지, 아니면 주인이 있는 오리인건지는 불명.[24] 애니에서는 각색이 되어 애꾸눈과 싸우다가 절벽에서 떨어져 죽었다.[25] 원작 소설에서는 이 책을 진정 '동화'라고 볼 수 있는지 논란이 일 정도로 냉혹하고 잔인한 세상을 우화(fable)적으로 표현했으며, 주인공인 잎싹은 초록머리(소설 내 본명)가 독립한 후 비장한 모습으로 애꾸눈 족제비에게 최후를 맞이하는 등, 무겁고 어두운 전개가 연쇄적으로 맞물린다.[26] 달수는 사실 생물학적으로 보면 이 영화에서 가장 오류가 많은 캐릭터이다. 외부 링크에도 나와있듯이 수달은 족제비과이며 일단 물고기와 갑각류가 주식이긴 하지만, 먹을 물고기가 없으면 닭이나 오리같은 조류도 잡아먹기 때문이다. 또한 실제 수달보다 크기가 작다. 그리고 수달이지만 물에 뒤로 떠서 조개를 깨는 해달의 모습도 나온다.[27] 잎싹이 죽고 난 후의 내용이 나오는 부분[28] 나그네처럼 관상용으로 키우기 위해 그런 걸로 보인다.[29] 딱히 묘사는 없지만 마당의 다른 식구들도 그동안 얘한테 쌓인 게 은근 있었는지 집오리솔이 마당의 새로운 지배자가 된 이후에는 다른 닭과 오리들은 마당에 자유롭게 노는 반면, 얘 혼자 청소하게 두는 등 수탉을 실컷 부려 먹는 듯한 모습이 비추어진다.[30] 달수가 찔레덤불을 추천해 줬지만 하필 겨울이라 잎이 없어 바람이 새고, 박쥐동굴을 추천해 줬지만 역시 어두워서 싫다고.[31] 엔딩 크레딧에서도 집오리솔 뭐 이런 식으로 나오기 때문에 그냥 정식 명칭인 듯 하다 작중에서도 도미솔도! 이러면서 놀기 자신들도 그 이름이 싫지 않은가 보다.[32] 그 와중에 한 발이 양계장 주인의 입속에 정확히 떨어지면서 양계장 주인을 리타이어시킨다[33] 본인 트위터에 의하면 박쥐를 맡았다고 한다. 엔딩 크레딧에 박쥐-홍범기라고 써져있는 건 오류다.[34] 1973년생의 영화 배우이자 뮤지컬 배우이다.[35] 사실 부엉이의 사냥감이 오리나 닭 같은 조류도 포함된다는 걸 생각해 보면 이쪽도 달수, 애꾸눈만큼이나 생물학적으로 고증파괴적인 캐릭터다.[36] 이를 보이듯 다른 닭들이 상태가 영 아닌것에 비해 잎싹 만큼은 목에 털이 빠진 걸 빼면 나름 정상이다.[37] 잎싹이 병아리를 귀여워하자 강제 집합에 알을 품고 있는 걸 신기하게 여기자 머리를 쪼았다.[38] 우두머리다 보니 잎싹이 '네 이름은 아침마다 울어서 아침'이라는 말에 모두가 그대로 경악 수탉은 대장인 자신의 이름을 함부로 불렀다며 분노했다.[39] 본인은 싫어했으나 그 이후로도 주변인들이 이렇게 부르다보니 본인도 결국 이걸 자기 이름으로 정한 듯 하다.[40] 입싹의 신체들을 까면서 하는 동작이 춤을 연상케한다.[41] 이 때문에 나그네를 짝사랑하던 잎싹은 질투심을 가졌다.[42] 영문도 모르는 잎싹에게 그저 소음에 불과했다.[43] 튼튼해졌다면서 발톱으로 모래알을 부수며 어떻게든 맞서겠다고 한다.[44] 이때는 다리도 다치고 급기야 족제비와 싸우다 떨어져서 그대로 즉사한다.[45] 이런 잎싹의 슬픔을 나타냇듯 달이 아예 부서진다.[46] 초록이가 나무구멍에서 미끄럼 타며 나오자마자 성장한다.[47] 한술 더떠서 꼬리에 꽃을 꽂은 잎싹을 미치광이 취급했다.심지어 잎싹을 미치광이 취급한 건 이들의 어미였다.[48] 서식지인 동굴이 물이 새다 보니 달수를 미워했으나 초록이가 비행실력에 대해 들은 걸 말하자 좋아라하고...바로 알려준다.[49] 시끄러워서 사냥을 할 수 없다는 건 기본 아예 닭이 이런데서 사는게 맞냐면서 아예 제대로 험담을 한다.[50] 그도 그럴것이 계속 기침을 해댔다는데 자다가 비를 맞았기 때문인걸로 보인다.[51] 힘주는 걸 초록이의 소리로 착각하고 파해졌다가 그만...[52] 무심코 고추를 먹었다가 매워서 날뛰다가 마주한다.[53] 아마 관상용으로 기르려고 한 걸로 보인다.[54] 닭들은 달수를 보고도 아무 반응이 없었으나 모이와 달걀물을 뒤집어 쓴 모습 때문에 겁먹었다.[55] 예전에 쫒겨났던 때처럼 볏을 들이밀고 돌진하나 예전과 다르게 눈치보며 쫄기는 커녕 오히려 뛰어서 수탉의 볏을 밟아서 제압하는데 잎싹이 초록이를 키우기 시작한 후 얼마나 성장했는지 알 수 있는 부분[56] 암탉들보다도 볏이 작은 데 아마 이 작은 볏에 대한 콤플렉스 때문에 매고 다닌 걸로 보인다.[57] 달수는 이때 자기 어땠냐자 초록이는 멋졌다고 시큰둥하게 답한다.[58] 모래로 시선을 가린 후 발톱으로 공격했다.과거 잎싹이 족제비와 싸울 각오를 다질 때 모래알을 부순 걸 생각하면 족제비가 만만치 않은 적임을 알 수 있는 부분[59] 족제비 애꾸눈이 아버지 나그네에게 비행하는 법을 앗아간 것과는 대조된다.[60] 이 대사는 원작에서 족제비의 진실이 밝혀졌을 때 나온다. 틀린 말은 아닌게 어차피 애꾸눈이 속한 족제비는 육식동물이라 필연적으로 사냥을 해야 하니까 배고플 때마다 누군가를 죽일 수 밖에 없다. 빌런처럼 악랄하게만 보이는 애꾸눈이 사실은 그저 자연의 한 생물로서 당연한 일을 한 것임을 보여주는 대사다.[61] 잎싹, 애꾸눈이 동시에 외쳤다. 엄마 마음은 어딜 가나 똑같다는 걸 보여주는 대사.[62] 참고로 어째서인지 영어 더빙판에서 음악이 전부 바뀌었는데, 나쁘진 않지만 원래 OST에 비하면 아쉽다는 평이 많다.[OST] [영화] [65] 그리고 대부분의 외국 극장판 애니메이션 더빙판 포함.[66] 공식 홈페이지 광고부터 초록이의 비행이다. 틀린 말은 아니지만...[67] 2012년 1월에 개봉한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3D가 이 애니가 거둔 초반부 흥행 기록을 깨긴 깼는데 작품이 공룡 매니아들에겐 워낙에 극악이라서 묻힌 것도 있다. 전체관객 수에서는 마당을 나온 암탉의 절반도 안되는 전국 105만으로 마무리했다.[68] 반론도 있다. 1967년에 개봉한 한국 최초 극장 애니인 풍운아 홍길동은 당시 서울 20만, 경기도 지역 50만, 전국 100만 관객이 보았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이 기록이 자세한 건지 알 수 없으나 배급사인 세기상사가 대박을 거둬서 관객들에게 선착순으로 설탕 1kg을 사은품으로 제공했을 정도였다. 당시 설탕은 꽤 비싼 일상품이었다.[69] 픽사, 디즈니, 드림웍스 애니 빼고 전국 100만 관객 넘긴 할리우드 애니들을 찾아보면 슈퍼배드아이스 에이지 정도로 그렇게 많지 않다. 세계적으로 더 대박을 거둔 아이스 에이지 2와 3는 한국에선 전국관객 100만도 넘지 못했다. 그리고 전국 150만 관객 넘기는 경우를 따지면 더 없다. 전세계적으로 대박을 거둔 토이스토리 3조차도 한국에서는 146만 관객으로 막을 내렸다.[70] 그마저도 최근작인 벼랑 위의 포뇨는 전국 100만 관객 수준이었다.[71] 극장주들에게 방학에 애니메이션을 상영할지 아니면 영화를 상영하겠는지 질문하면 그 대답은 뻔하다. 한국 애니 말고도 초반부 흥행이 신통치 않은 해외 애니들도 얼마든지 교차상영하는 것이 현실이다. 물론 일반 영화도 이렇지만 애니메이션은 더하다. 당시 제작사인 명필름의 대표 심재명 이사가 씨네 21에서 한 인터뷰를 봐도 한국 극장 개봉 수익에서 애니메이션 비중이 평균 1%도 안되는(0.3%) 비중까지 이야기했을 정도다. 비교하자면 미국은 약 20%, 일본은 약 40%.[72] 원더풀 데이즈도 개봉 당시 손익분기점인 전국 300만이 아닌 전국 100만 관객이 목표라고 밝혔을 정도다. 하지만 현실은 그 1/3인 30만 관객대에 그쳤다.[73] 비슷한 시기에 개봉한 20세기 폭스 배급 미국 애니메이션 리오가 상영관도 더 많고 저녁시간에 상영했음에도 개봉 한 달이 지나 전국 65만에 못 채우는 관객으로 이미 흥행 10위권 바깥으로 나가떨어져 침묵의 15분보다 훨씬 못한 흥행을 거뒀다. 명필름에서도 미국 애니조차 이런데 한국 애니는 더 푸대접을 받는다며 안타까워 했다.[74] 정확히는 시체스 국제판타스틱 영화제. 스페인에서 열리는 영화제로 판타스틱 영화제에선 세계적으로 알아준다. 참고로 예전에 시네21에서 여길 시체스가 아니라 산체스라면서 산체스의 아이들이란 음반도 여길 무대로 한 것이라는 병크 기사를 써댔다가 사과한 적도 있다. Sitges가 뭔 수로 산체스라고 발음되니. 참고로 2007년 이 영화제 최우수 애니메이션 상을 아치와 씨팍이 수상한 바 있다.[75] 한애니 사상 개봉 첫주 최다 관객 경신.[76] 한애니 사상 최단기간 50만 관객 경신.[77] 한애니 사상 최고 흥행 경신.[78] 100만 관객 돌파.[79] 손익분기점 돌파.[80] 한국 역대 개봉 애니 흥행 10위.[81] 200만 관객 돌파.[82] 220만 관객 돌파.[83] ~ 2011/12/14 기준.[84] 극장에 비치된 홍보용 전단에 사용되었는데, '자신의 아이를 위해서라면 다른 아이를 해칠 수도 있는 어머니'를 그렸다는 점에서 비슷할지도 모른다.[85] 아이러니하게도 나그네 역의 최민식이 친절한 금자씨의 백한상 역으로 나왔다.[86] 이 점은 일본도 비슷하다. 반면 미국 등에서는 배우가 더빙 훈련까지 하며, 그 때문에 비성우 더빙에 대한 논란이 적은 편.[87] 특이한 것은 나그네 역을 맡은 최민식 배우는 배우였음에도 성우 연기를 완벽하게 소화했다. 재능의 영역인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