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1 00:29:43

야당(영화)

<colbgcolor=#000><colcolor=#fff> 야당 (2025)
YADANG: The Snitch
파일:야당(영화) 메인 포스터.jpg
장르 범죄, 액션, 느와르
감독 황병국[1]
각본 김효석
각색
제작
출연 강하늘, 유해진, 박해준
기획
프로듀서 강가미
촬영 이모개
조명 이성환
미술 이목원
편집
음악
의상 곽정애
무술 허명행
조감독 김주용
촬영 기간 2023년 7월 15일 ~ 2023년 11월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하이브미디어코프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플러스엠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년 4월 16일[2]
화면비 2.39:1
상영 타입 2D | IMAX | Dolby Atmos
상영 시간 123분 (2시간 2분 46초)
제작비
손익분기점
대한민국 총 관객 수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청소년 관람불가[3][4]

1. 개요2. 개봉 전 정보3. 포스터4. 예고편5. 시놉시스6. 등장인물7. 줄거리8. 사운드트랙9. 평가
9.1. 평론가 평
10. 흥행
10.1. 대한민국
11. 기타
11.1. 배우 관련

1. 개요

2025년 4월 16일 개봉 예정인 한국 영화.

2. 개봉 전 정보

3. 포스터

파일:야당 티저 로고 포스터.jpg 파일:야당 런칭 포스터.jpg
시나리오 표지 런칭 포스터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야당 티저 포스터 이강수.jpg 파일:야당 티저 포스터 구관희.jpg 파일:야당 티저 포스터 오상재.jpg 파일:야당 티저 포스터 조훈.jpg 파일:야당 티저 포스터 엄수진.jpg
캐릭터 포스터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야당(영화) 메인 포스터.jpg 파일:야당(영화) 스페셜 포스터.jpg 파일:야당(영화) IMAX 포스터.jpg
메인 포스터 Dolby Atmos 포스터 IMAX 포스터 }}}

4. 예고편

▲ 1차 예고편
▲ 2차 예고편

5. 시놉시스

대한민국 마약 수사의 뒷거래
모든 것은 야당으로부터 시작된다!

누명을 쓰고 교도소에 수감된 이강수(강하늘)는
검사 구관희(유해진)로부터 감형을 조건으로 야당을 제안받는다.
강수는 관희의 야당이 돼 마약 수사를 뒤흔들기 시작하고,
출세에 대한 야심이 가득한 관희는 굵직한 실적을 올려 탄탄대로의 승진을 거듭한다.

한편, 마약수사대 형사 오상재(박해준)는 수사 과정에서 강수의 야당질로 번번이 허탕을 치고,
끈질긴 집념으로 강수와 관희의 관계를 파고든다.

마약판을 설계하는 브로커 강수, 더 높은 곳에 오르려는 관희, 마약 범죄 소탕에 모든 것을 건 상재.
세 사람은 각자 다른 이해관계로 얽히기 시작하는데…

6. 등장인물

파일:야당 강수 스틸컷.jpg
이강수 (강하늘)
마약 세계의 정보를 국가수사기관에 비밀리에 제공하는 내부자.
파일:야당 구관희 스틸컷.jpg
구관희 (유해진)
밑바닥 출신의 야심 찬 검사.
파일:야당 오상재 스틸컷.jpg
오상재 (박해준)
마약수사대 팀장. 한 번 잡은 범인은 절대 놓치지 않는 집념의 형사.
파일:야당 조훈 스틸컷.jpg
조훈 (류경수)
대선 후보 조상택의 아들.
파일:야당 엄수진 스틸컷.jpg
엄수진 (채원빈)
한순간에 추락하게 된 인기 배우.
  • 오재철 (우지현)
    동인제분 회장의 아들. 망나니 제벌 2세.
  • 박 형사 (곽자형)
    마약수사대 형사.

7. 줄거리

8. 사운드트랙

9.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9.1. 평론가 평

10. 흥행

10.1.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width: 300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명 -명 미집계 -원 -원
1주차 2025-04-16. 1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5-04-17. 2일차(목) -명 -위 -원
2025-04-18. 3일차(금) -명 -위 -원
2025-04-19. 4일차(토) -명 -위 -원
2025-04-20. 5일차(일) -명 -위 -원
2025-04-21. 6일차(월) -명 -위 -원
2025-04-22. 7일차(화) -명 -위 -원
2주차 2025-04-23. 8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5-04-24. 9일차(목) -명 -위 -원
2025-04-25. 10일차(금) -명 -위 -원
2025-04-26. 11일차(토) -명 -위 -원
2025-04-27. 12일차(일) -명 -위 -원
2025-04-28. 13일차(월) -명 -위 -원
2025-04-29. 14일차(화) -명 -위 -원
3주차 2025-04-30. 15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5-05-01. 16일차(목) -명 -위 -원
2025-05-02. 17일차(금) -명 -위 -원
2025-05-03. 18일차(토) -명 -위 -원
2025-05-04. 19일차(일) -명 -위 -원
2025-05-05. 20일차(월) -명 -위 -원
2025-05-06. 21일차(화) -명 -위 -원
4주차 2025-05-07. 22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5-05-08. 23일차(목) -명 -위 -원
2025-05-09. 24일차(금) -명 -위 -원
2025-05-10. 25일차(토) -명 -위 -원
2025-05-11. 26일차(일) -명 -위 -원
2025-05-12. 27일차(월) -명 -위 -원
2025-05-13. 28일차(화) -명 -위 -원
}}}}}}}}}||

손익분기점은 약 250만 명이다. 펀더풀 투자를 통해 최초로 공개된 손익분기점은 290만~310만 명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개봉 직전 발행된 기사에서 지금의 수치로 변동되었다.
  • 개봉 전
    • 기존 작품들의 입지가 저조한 개봉 시기, 인지도가 높고 티켓 파워를 기대할 수 있는 배우진[6], 근래 제작사 하이브미디어코프와 배급사 플러스엠의 좋은 흥행 성적, 배급사와 홍보대행사의 공격적인 마케팅, 흥행작을 여럿 배출한 장르적 이점, 현 정세상 제목을 통해 화제성을 가져올 수 있을 가능성[7], 좋은 사전 평가 등이 흥행의 요소이다.
    • 그러나 관객의 유입에 크게 제약을 받아 흥행작 배출이 어려운 청소년관람불가 등급[8], 개봉 2~3주 차를 기점으로 문화가 있는 날어린이날 연휴를 노린 다수 경쟁작들이 개봉하는 일정[9] 등과 같은 위험 요소 또한 있다.

11. 기타

  • '야당'은 마약사범들 중 경찰이나 검찰 등의 수사 기관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부류들을 일컫는 은어다. #, # 즉, 이 야당이 아니다. 마약 범죄의 특성 상 외부에서 정보를 얻는 게 극히 힘들기에 수사 기관에서도 이 '야당'들의 정보가 무척 중요할 수밖에 없다. '야당'들은 마약 범죄 정보들을 검찰이나 경찰에 제공하고 본인의 금전적 이득이나 본인의 처벌을 감경 받는 등의 혜택을 얻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다 보니 때에 따라선 이 '야당'들이 수사 기관을 이용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영화에서 묘사된 대표적인 '야당' 마약범죄자는 사생결단에서 류승범이 연기한 마약상 '이상도'가 있다.

11.1. 배우 관련


[1] 특수본 이후 배우로 활동하다 13년 만에 다시 영화감독으로 복귀하게 되었다. 부당거래에서 성의없는 국선변호사 배역으로 인상적인 연기를 보여줘서 화제가 된 그 배우가 맞다. #[2] 기존 개봉일인 4월 23일에서 1주일 앞당겼다.[3] 등급분류 결정내용: 주먹과 발 등을 이용해 격투를 벌이는 장면, 흉기로 위협하고 신체를 찌르는 장면 등 흉기를 이용한 신체적 폭력, 상해와 유혈, 살상 행위가 구체적이고 지속적이며 노골적으로 표현되었다. 또한 여러 차례의 음주, 흡연 장면을 비롯해 술이나 음료에 마약을 타고 흡입하는 장면 등 불법 약물의 오남용과 제조, 이용 방법이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그밖에 구체적이고 노골적으로 표현된 성적 맥락의 신체 노출과 성행위 등 주제, 선정성, 폭력성, 약물, 모방위험에 있어 청소년관람불가.
(내용정보 표시항목: 파일:영등위_선정성_2021.svg파일:영등위_폭력성_2021.svg파일:영등위_약물_2021.svg)
[4] 최초 판본에서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을 받았었고 2025년 2월 14일에 신청사에서 등급을 자진취하하여 등급 심의를 재신청했는데 재차 청불 판정을 받았다. 이후 3월 11일, 해당 판본도 취하하고 세 번째로 받은 등급분류에서 또다시 청불 판정을 받았다. 아직 개봉까지 시간이 있어 제작사가 또 취하할 수도 있겠으나, 첫 공개시사가 4월 초로 잡혀있는 만큼 더 이상의 신청은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이후 청소년관람불가 등급으로 개봉 확정되었다.[5] ~ 2025/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6] 유해진은 누적 천만 관객을 돌파한 〈파묘〉를 비롯해 팬데믹 이후에도 꾸준히 흥행작을 배출한 바가 있기에 상당한 티켓 파워를 기대할 수 있다. 강하늘은 범죄/스릴러 장르에서의 출연 이력이 많고, 박해준은 사회적 신드롬을 불러일으킨 영화 〈서울의 봄〉과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에 출연하며 화제성이 크게 오른 상태다.[7] 물론 영화의 제목 '야당'은 마약사범들 중 경찰이나 검찰 등의 수사 기관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부류들을 일컫는 은어이기에 정치 용어 야당과는 관련이 없다. 그러나 제목이 어디서 들어 본 듯 익숙하다면 영화의 인지도를 높히는 데 큰 도움이 되고, 마침 탄핵 정국조기 대선 등의 외부적 요인으로 '야당'을 비롯한 정치 용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시기에 개봉하기에 관객들의 눈길을 끌 가능성이 있다.[8] 코로나19 팬데믹, 상승한 티켓값 등 복합적인 사유로 2020년 이후 관객들의 극장 소비 성향이 신중해졌고, 기본적으로 높은 수위로 호불호가 갈리는 청소년관람불가 등급 영화들은 특히 신중해진 극장 소비 성향으로 인해 관객 동원에 난항을 겪고 있다. 일례로 2020년대 이후 청소년관람불가 등급을 받은 영화 중 최대 흥행작은 약 197만 명의 성적을 거둔 〈데드풀과 울버린〉이고, 한국 영화로 한정하면 약 101만 명의 성적을 거둔 〈히든페이스〉가 최고 흥행작이다.[9] 개봉 2주 차 토요일인 4월 26일에는 〈마인크래프트 무비〉가, 개봉 3주 차인 4월 30일에는 〈거룩한 밤: 데몬 헌터스〉, 〈썬더볼츠*〉, 〈파과〉가 개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