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1 11:15:48

북일고등학교

북일고에서 넘어옴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북일고등학교/국제과]]{{{#!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if 문서명7 != null
, [[]]}}}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북일고등학교 로고(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학교 정보
{{{#!wiki style="margin: -16px -10.5px" 야구부 국제과 교내시설 학교특징 출신인물 북일학원 }}}
}}}
}}}
}}} ||
파일:북일고등학교 심볼.svg파일:북일고등학교 심볼.svg 북일고등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전국단위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하나고등학교 교표.svg 하나고등학교
파일:Haneul_Academy.png 인천하늘고등학교
파일:현대학원 아이콘.svg 현대청운고등학교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파일:HAFS LOGO 3-1.png 용인한국외국어대학교부설고등학교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파일:YOLkC89.png 민족사관고등학교
파일:북일고등학교 심볼.svg 북일고등학교
파일:상산고등학교 교표.svg 상산고등학교
파일:광양제철고등학교 교표.png 광양제철고등학교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780001
'''[[북일학원|{{{#ef7d00 {{{+1 학교법인 북일학원}}}}}}]]'''
고등학교
북일고등학교 북일여자고등학교

파일:한화 로고.svg파일:한화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37321><colcolor=#fff> 계열사
지주회사 한화 (글로벌 | 건설) | 한화비전
우주항공·
오션·방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한화시스템 | 한화오션
에너지·소재 한화솔루션 (한화임팩트 (한화토탈에너지스 · 한화엔진) | 여천NCC) | 한화에너지 (컨버전스|한화신한테라와트아워) | 한화모멘텀 | 한화세미텍 | 한화비전
금융 한화생명 (한화손해보험 (캐롯손해보험 | 히어로손해사정) | 한화투자증권 | 한화자산운용 | 한화63시티) | 한화저축은행
서비스·레저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한화푸드테크) | 한화커넥트 | 한화갤러리아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에프지코리아) | 한화로보틱스
기타 북일학원 (북일고등학교 | 북일여자고등학교)
스포츠단 한화 이글스 | 한화생명e스포츠 (리그 오브 레전드) | 한화큐셀 골프단 | 한화갤러리아 승마단
행사 서울세계불꽃축제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c4e00,#fc4e00>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한화 이글스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c4e00,#fc4e00><colcolor=#fff> 2025 시즌 한화 이글스/2025년 | 스토브리그 | 스프링캠프 | 시범경기 | 3~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2025 시즌 주요인물 김경문 감독 · 2025년 | 손혁 단장 · 2025년 | 채은성 주장 · 2025년
구단 정보 빙그레 이글스 파일:빙그레 이글스 엠블럼(1986~1993).svg | 한화 이글스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1994~2006).svg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2007~2024).svg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 한화 이글스/2군 | 한화그룹
구단 기본 정보 팀 컬러 | 선수단 | 스타 플레이어 | 등번호 | 유니폼
{{{#!wiki style="margin: -16px -11px" 역사 우승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영구 결번
일반 정보 }}}1999년 한국시리즈(V1)
35 장종훈 | 21 송진우 | 23 정민철 | 52 김태균
구단 역사 | 암흑기(5886899678) | 역대 트레이드 | 사건 사고 | 상대 전적
경기장 1군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1호 기록 · 몬스터월 홈런 · 건설 과정) · 청주 야구장
2군 서산전용연습구장
이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
지역 연고 학교 북일고등학교 | 천안상업고등학교 | 대전고등학교 | 대전제일고등학교 | 공주고등학교 | 청주고등학교 | 세광고등학교 | 강원고등학교 | 원주고등학교 | 한국K-POP고등학교
{{{#!wiki style="margin: -16px -11px"<colbgcolor=#fc4e00,#fc4e00><colcolor=white> 기타 <colbgcolor=#fc4e00,#fc4e00><colcolor=white> 구단 마리한화 | 칰무원 | 엘넥한 | 엘롯한 | 한롯기 | 기롯삼한 | 수리 | 치고바꼬 | 한화이글스: 클럽하우스
선수 행복수비 | 한나쌩 · 한상바 클럽 | 김고추정이 | 변노유 | 살려조 | 노채안 | 작은 오류
응원·팬 응원단장 | 치어리더 | 팀 응원가 | 선수 응원가 | 육성응원 | 나는 행복합니다 | 한화 이글스 갤러리 | 구단 공식 SNS | Eagles TV | Only One Hanwha | 찐팬구역 }}} }}}}}}}}}

파일:천안시 CI_White.svg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목천고등학교 병천고등학교 복자여자고등학교 북일고등학교
북일여자고등학교 천안고등학교 천안공업고등학교 천안여자고등학교
천안여자상업고등학교 천안제일고등학교 천안중앙고등학교 천안청수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324234234.jpg
학교 야경

북일고등학교
北一高等學校
파일:북일고등학교 로고.svg
BUGIL ACADEMY
교훈
愛國하는 사람
積極的인 사람
合理的인 사람
상징
<colbgcolor=#ef7d00><colcolor=#fff> 교화 개나리
교목 목백합
교색
Hanwha Dark Orange (#ef7d00)

Hanwha Orange (#f39733)

Hanwha Light Orange (#f7be7f)
건학이념
신념 · 용기 · 봉사
(信念 · 勇氣 · 奉仕)
교육이념
국가사회에 기여∙봉사하는
인재 양성의 요람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설립
1975년 11월 14일
개교
1976년 3월 6일
유형
전국단위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성별
남자고등학교
설립 주체
파일:한화 로고.svg파일:한화 로고 화이트.svg
학교법인
북일학원
(北一學園)
설립자
현암 김종희
(玄巖 金鍾喜)
교장
김옥선[1]
학생 수
966명[2]
교원 수
89명[3]
관할청
파일:충청남도교육청 로고.svg파일:충남 교육청 화이트.png
주소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단대로 69 (신부동 245)
대표 전화
041-520-8600
행정실
041-520-8608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39733><colcolor=#ffffff> }}}}}}}}}}}}




1. 개요2. 학교 연혁3. 학교 상징
3.1. 교명3.2. 교표3.3. 교화3.4. 교목3.5. 교훈3.6. 건학이념3.7. 교육이념3.8. 교육목표
4. 5대 덕목
4.1. 교가4.2. 응원가4.3. 교복
5. 장학제도6. 학교 특징7. 학교 시설8. 학교 일과9. 학교 생활10. 주요 행사
10.1. 벚꽃축제(폐지)10.2. 글로벌 인재 교육
10.2.1. 국제교류 프로그램10.2.2. 중단된 국제교류
11. 야구부12. 출신 인물13. 연계 교통14. 여담15. 사건 사고16. 둘러보기

1. 개요

▲ 북일고등학교 홍보 영상 (2022, 한화그룹)


북일고등학교(, Bugil Academy)는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신부동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전국단위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이다.

재단이 한화라는 점과 전국단위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라는 점에서 '귀족학교'라는 오해를 받곤 한다. 그러나 전국의 모든 기업형 자사고 중 유일하게 임직원자녀전형을 실시하지 않으며 사회통합전형[4]도 입학 정원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학문에 뜻을 둔 우수한 인재를 발굴하여, 개인의 경제적 여건에 구애받지 않고, 면학에 정진케하여 국가 사회에 기여 봉사할 유용한 역군으로 양성함을 건학이념으로 삼은 김종희 회장의 철학과도 일맥상통한다.

[ 운영 사이트 보기 ]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f39733><tablebgcolor=#f39733><width=25%><nopad> 파일:북일고 홈페이지.png ||<width=25%><nopad> 파일:북일고 리로스쿨.jpg ||<width=25%><nopad> 파일:총학생회 인스타그램.png ||<width=25%><nopad> 파일:북일고 입학부.png ||
공식 누리집
교내 운영
학교 홈페이지
리로스쿨
외부 서버
학사 지원 시스템
북일고 총학생회
외부 서버
인스타그램
북일고 입학지원센터
교내 운영
학교 홈페이지

2. 학교 연혁

파일:스크린샷 2025-04-12 오후 1.16.21.png
▲ 설립자 현암(玄巖) 김종희

북일고등학교는 1975년 5월 30일, 현암(玄菴) 김종희(金鍾熙)가 설립한 학교법인 천안북일학원이 설립 허가를 받으면서 시작되었다. 같은 해 11월 14일 북일고등학교 설립이 인가되었고, 12월 1일에는 초대 교장 권혁조 선생이 취임하였다. 이후 1976년 3월 6일 제1회 입학식이 거행되며 정식으로 개교하였고, 이 날을 공식적인 개교기념일로 삼고 있다.

설립자인 김종희 이사장은 ‘기업보국’(企業報國) 정신을 바탕으로 교육을 통한 인재 양성에 뜻을 두었으며, 이에 따라 북일고등학교에는 ‘성실(誠實)·창의(創意)·봉사(奉仕)’라는 교훈이 제정되었다. 이 교훈은 진정성과 창의적 사고, 그리고 사회적 헌신을 아우르는 교육 이념을 담고 있으며, 창립 이래 현재까지 변함없이 계승되고 있다.

북일고등학교는 설립 초기부터 '국가 발전을 이끄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삼아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교내 활동을 운영해왔으며, 오늘날에도 건학 이념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를 주도할 글로벌 리더 양성에 힘쓰고 있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rowcolor=white><colbgcolor=#ef7d00><colcolor=white> 날짜 연혁 역대
교장
1975년 5월 30일
학교법인 천안북일학원 설립 허가 (설립자 및 초대 이사장 현암 김종희 선생)
1975년 11월 14일
천안북일고등학교 설립 허가
1975년 12월 1일
초대 교장 권혁조 선생 취임




1976년 3월 6일
개교 및 제1회 입학식
1977년 3월 5일
야구부 창단
1977년 9월 24일
실내체육관 및 대강당 준공
1979년 1월 10일
제1회 졸업식
1979년 5월 15일
야구장 준공
1981년 8월 1일
제2대 김승연(한화그룹 회장) 이사장 취임
1983년 2월 23일
제2대 교장 이충웅 선생 취임 2




1996년 3월 26일
기숙사(여송학사) 준공
1998년 9월 1일
제3대 교장 안흥숙 선생 취임 3




2001년 3월 2일
제4대 교장 이창구 선생 취임 4




2002년 12월 12일
별관동(3층) 신축
2004년 9월 1일
제5대 교장 엄동일 선생 취임 5




2007년 3월 5일
제6대 교장 신현주 선생 취임 6




2009년 3월 2일
북일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2009년 7월 31일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지정
2010년 3월 5일
자사고 1기 입학식(35기)
2011년 7월 15일
기숙사 증축 준공
2011년 9월 1일
제7대 교장 강익수 선생 취임 7




2014년 5월 7일
제3대 성하현 이사장 취임
2017년 5월 15일
제8대 교장 김선종 선생 취임 8




2019년 3월 1일
제9대 교장 한상홍 선생 취임 9




2019년 3월 20일
제4대 이경재 이사장 취임
2020년 2월 6일
제42회 졸업식(졸업생 총수 22,165명)
2020년 3월 2일
제45회 입학식(343명)
2021년 2월 4일
제43회 졸업식(졸업생 총수 22,489명)
2021년 3월 5일
제46회 입학식(319명)
2022년 2월 10일
제44회 졸업식(졸업생 총수 22,780명)
2022년 3월 4일
제47회 입학식(325명)
2023년 2월 9일
제45회 졸업식(졸업생 총수 23,088명)
2023년 3월 1일
제10대 교장 백웅현 선생 취임 10




2023년 3월 6일
제48회 입학식(344명)
2024년 2월 7일
제46회 졸업식(졸업생 총수 23,367명)
2024년 3월 6일
제49회 입학식(358명)
2025년 2월 7일
제47회 졸업식(졸업생 총수 23,655명)
2025년 3월 1일
제11대 교장 김옥선 선생 취임 11




2025년 3월 6일
제50회 입학식(375명)
※ 상기한 내용은 2025年 3月 6日 기준임.
※ 상기한 내용은 학교력 및 본교 홈페이지 학교 연혁를 참고하였음.
※ 문서 내 오타나 이전 시 오기로 인하여 정확하지 않은 부분이 있을 수 있음. 오류 발견 시 내용 확인 후 수정 요망.
}}}}}}}}} ||

※ 일러두기
  • 교명 변천에 관해
    천안북일고등학교 설립(1975.11.14) 이후, 2009년 북일고등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 기수제에 관해
    북일고는 1976년 개교 이래 입학 연도를 기준으로 기수를 부여하고 있다. [5]

3. 학교 상징

3.1. 교명

교명의 기원은 북일학원 설립자인 김종희 前 한화그룹 회장이 일제강점기 당시 다니던 학교인 북일학교[6]에서 따온 것이다. 북일학교는 성공회 조선교구선교와 교육을 목적으로 본교 부지에 세운 학교인데, 김종희[7]가 이를 계승하는 차원에서 학교의 이름을 '북일'로 하였다.

개교 당시 공식명칭은 '천안북일고등학교'였으나,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지정 이후 전국의 학생들을 모집하게 되면서 북일고등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3.2. 교표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파일:북일고등학교 심볼.svg북일고등학교
교표 변천
}}}
파일:북일고 구 교표 I.png 파일:북일고 구교표 III.png 파일:북일고등학교 심볼.svg
1976년 ~ 1997년
1998년 ~ 2008년
2009년 ~



파일:북일고등학교 심볼.svg

Hanwha Dark Orange (#ef7d00)
Hanwha Orange (#f39733)
Hanwha Light Orange (#f7be7f)

북일고등학교의 심볼은 세상을 환히 밝히는 '횃불' 형상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방패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횃불은 세 개의 모티프로 이루어져 있는데 맨 아래는 인간애(Humanity), 두번째는 열정(Passion), 맨 위는 도전(Challenge)을 각각 의미한다. 그리고, 방패형상은 이 세 가지를 수호하는 북일인의 정신을 뜻한다.

전체적으로 활용된 오렌지는 한화그룹 Cl LooK & Feel을 그대로 연계하였고, 글로벌환경에서 당당한 리더로서 선도하는 모습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북일고등학교 학교상징』 발췌

북일고등학교 색상 일람
색상 농도 CMYK RGB
Hanwha Orange 100% C0 M68 Y100 K0
(#ff5200)
R239 G150 B0
(#ef7d00)
70% C0 M47 Y70 K0
(#ff874d)
R243 G151 B51
(#f39733)
50% C0 M34 Y50 K0
(#ffa880)
R247 G190 B127
(#f7be7f)

3.3. 교화

<nopad> 파일:개나리.jpg

본교의 교화로는 개나리를 선정하였다.

개나리는 진달래와 마찬가지로 이른 봄에 우리 나라 산야에 노랗게 피어난다. 어느 장소에서나 풍토를 가리지 않고, 꺾어서 이식해도 자라나는 기질이 있다.

희망찬 새봄의 꽃소식을 전하고 있다. 북일인이 가는 곳마다 인내와 끈기로 신념을 가지고 살아서 무성하게 번식하고 추위를 이기고 견디며 희망의 꽃소식을 전하는 상징을 지니고 있다.

『북일고등학교 학교상징』 발췌

3.4. 교목

<nopad> 파일:목백합44.jpg


본교를 상징하는 교목은 목백합이다.
목련과에 속하는 백합나무는 목백합으로 불려지는데 수령 3백년의 거대한 백합 나무 두 그루가 본교 정원에서 위용을 자라하고 있다.

이 목백합은 국내에서는 희귀한 종목로 그 위용이 다른 종류의 나무와는 판이하고 그 웅자가 다른 어떠한 나무와도 비교할 수 없는데 본교에 있는 두 그루의 목백합은 1977년 김종희 이사장이 기증한 것이다.

이 목백합은 북일인을 상징하는 나무로 영원히 자랄 것이다.

『북일고등학교 학교상징』 발췌

3.5. 교훈

파일:Screenshot 2025-04-14 9.16.45 PM.png
파일:Screenshot 2025-04-14 8.53.37 PM.png

3.6. 건학이념

파일:Screenshot 2025-04-14 8.51.58 PM.png
파일:Screenshot 2025-04-14 8.53.58 PM.png

3.7. 교육이념

파일:Screenshot 2025-04-14 8.52.11 PM.png
파일:Screenshot 2025-04-14 8.54.08 PM.png

3.8. 교육목표

파일:Screenshot 2025-04-14 8.52.33 PM (1).png
파일:Screenshot 2025-04-14 8.55.04 PM.png

4. 5대 덕목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fff,#181818><tablebgcolor=#fff,#181818> 파일:ChatGPT Image 2025년 4월 15일 오전 08_48_05.png北一 5大 德目
덕목
}}}
올바른 마음을 가진 인간
감사하는 마음을 가진 인간
거시적 안목을 가진 인간
예의 바른 인간
공부하는 인간

4.1. 교가

파일:북일고 로고 ㅇ-Photoroom.png
북일고등학교 교가
[ 펼치기 · 접기 ]
파일:Screenshot 2025-03-25 10.07.14 PM.png



1. 보아라 우리들은 태양의 아들
뜨겁고 밝은 뜻을 가슴깊이 지니고
이 나라 이 겨례의 내일을 위해
배운다 이 슬기 참을 빛낸다

후렴. 아아 북일 북일 북일 만만세
진리 정의 사랑과 평화 위해
기상도 늠름하게 굳센 의지로
나간다 우리들은 쉬지 않는다

2. 보아라 우리들은 별들의 친구
찬란하고 영원한 꿈 가슴깊이 불태워
이 나라 이 겨례의 영광을 위해
닦는다 그 인격과 힘을 기른다

후렴. 아아 북일 북일 북일 만만세
진리 정의 사랑과 평화 위해
기상도 늠름하게 굳센 의지로
나간다 우리들은 쉬지 않는다



한 가지 독특한 점은 바로 가사에 산이나 강이 등장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청록파로 유명한 박두진 시인이 작사했고 섬집 아기를 작곡한 이흥렬 작곡가가 작곡했다.

입학 전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에서 음악 교사가 응원가와 함께 세세한 박자와 음 높낮이까지 친절하게 알려준다.

4.2. 응원가

파일:북일고 로고 ㅇ-Photoroom.png
북일고등학교 응원가
[ 펼치기 · 접기 ]
파일:머니라먼;ㄹ.jpg


1. 자랑스런 북일 건아 웅자를 보라
힘찬 기상 젊은 투지 누가 꺾으며
맑은 정기 솟는 지혜 누가 따르랴
나아가자 최강 북일 무적의 용사

후렴. 우리 북일 가는 길엔 승리뿐이다
몸과 마음 한데 뭉쳐 싸워 나가자

2. 영광스런 북일 건아 웅자를 보라
뛰는 맥박 장한 용기 누가 견디며
타는 소망 밝은 슬기 누가 당하랴
나아가자 북일 건아 정의의 용사

후렴. 우리 북일 가는 길엔 승리뿐이다
몸과 마음 한데 모여 싸워 나가자

이충웅 작사

북일고등학교 야구부 응원가로, 1981년 부임한 2대 음악 교사인 안수영 선생이 작곡했다.

야구 대회 직관 시 다같이 부르게 된다. 입학 전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에서 음악 교사가 교가와 함께 세세한 박자와 음 높낮이까지 친절하게 알려준다.

4.3. 교복

파일:북일고 교복.jpg
▲ 북일고 & 북일여고 동복


2009년 신입생부터 교복이 바뀌었다. 북일여고와 디자인도 통일. 자사고화 된 것이 2010년부터라 2009년 신입생인 34회는 새 교복을 입은 일반고 마지막 세대가 되었다.

북일고등학교의 동복은 짙은 남색 계열의 재킷과 바지, 흰색 셔츠, 짙은 남색 조끼, 학년 구분 없이 공통으로 착용하는 넥타이로 이루어진다. 춘추복의 경우 재킷 없이 조끼와 넥타이만 착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복은 흰색 반팔 셔츠와 하복용 바지를 기본으로 하며, 동하복 간 차이는 주로 소재 두께에 따른 계절성에 있다.

교복과 함께 생활복이라는 옷이 존재하는데, 이는 학교에서 24시간 생활하는 학생들의 의류적 편의를 위해 제작된 것이다. 과거에는 흰색 상의와 검은색 하의로 이루어진 하복만 존재했었다. 그러나 38회가 입학한 2013년부터는, 한화그룹 산하 갤러리아에서 새롭게 디자인한 현재의 동복과 하복으로 나뉘게되었다. 동복의 경우는 바지, 후드티, 그리고 야구점퍼로 구성된다. 야구점퍼는 대학교의 과잠과 심히 비슷한 모양으로, 강렬한 하늘색이다. 하복의 경우에는 반바지와 반팔티로 이루어져 있다. 야구 잠바 뒤에 Bugil Academy라 적혀있어 모르는 사람들에게 대학원이라고 속이는 일부 신입생들도 보인다.

분명히 편안한 학교생활을 위해 생활복이 만들어졌지만 정작 생활복이 편리하지 않다는 게 함정이다. 한화 갤러리아에서 디자인했다고 하지만 디자이너의 미적 감각을 찾아볼 수 없는 스머프색 후드티와 야구점퍼, 하복인데도 불구하고 땀 배출이 원활하지 않은 하복 카라티와 디자이너가 남성을 위한 옷을 만드는 것을 까먹은 듯한 하체 꽉 끼는 반바지하체만 끼면 다행이다. 생활복이 바뀐 2013년에도 생활복에 대한 불만이 다수 있었고, 통풍도 잘되고 디자인도 훨씬 깔끔한 과거의 생활복을 고수하는 학생들도 있었다. 현재는 평범한 여름 티셔츠 포맷의 검은색 하복과 반바지가 생겨 상황이 훨씬 나아졌다. 원래 야구부 의복으로 검정 배경에 주황 엠블럼, 주황 배경에 하얀 엠블럼, 하얀 배경에 주황 엠블럼 세 종류가 있었으나 47기 입학생부터 검정 하복만 판매한다.

체육복은 별도로 지급되며, 체육활동 시 전용 체육복만 착용해야 한다. 또한 북일고는 유도 수업이 존재하여, 학생들은 별도로 연습용 흰색 유도복을 구입해 사용한다. 공식 행사 시에는 교복을 반드시 착용해야 하며, 생활복이나 야구점퍼는 허용되지 않는다.

5. 장학제도


한화 장학제도

* 장학금 운영 주체:
  • 장학생 선정 시기:

    • └1학기 장학생은 5월 말, 2학기 장학생은 11월 중 선정

  • 징계 수혜 제한:

    • └재학 중 학칙 위반으로 다음 위원회에 회부되어 징계받은 경우, 해당 학기 이후 2개 학기 동안 장학금 지급 제한
      └선도위원회 / 학교폭력전담기구 /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 교권보호위원회
      └2020년 8월 12일부터 적용되며, 2019년 3월 1일부터 2020년 8월 11일까지 발생한 징계건도 소급 적용

장학금 종류 및 기준

  • 한화 Humanity 장학금:

    • └기준: 학비 감면 비대상자 중 기타 사유로 담임교사 추천자
      └금액: 120만원 / 학년당 5명 내외

  • 한화 Global 장학금:

    • └기준: 신입생 고입 성적 또는 직전 학기 성적 상위자 중 학업성적관리위원회에서 선발된 자
      └금액: 100만원 / 학년당 15명
      └변경사항: 2021학년도 입학생부터 1학년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상위자도 포함

  • 한화 Passion 장학금:

    • └기준: Global 장학금과 동일
      └금액: 70만원 / 학년당 30명
      └변경사항: 2021학년도 입학생부터 1학년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상위자도 포함

  • 한화 Challenge 장학금:

    • └기준: Global 장학금과 동일
      └금액: 50만원 / 학년당 50명
      └변경사항: 2021학년도 입학생부터 기준 이원화
      └학업성적관리위원회 선발: 학년당 20명
      └학년부협의체(담임, 부장, 교과담당교사) 추천: 학년당 30명

6. 학교 특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북일고등학교/특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북일고등학교/특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북일고등학교/특징#|]][[북일고등학교/특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학교 시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북일고등학교/시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북일고등학교/시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북일고등학교/시설#|]][[북일고등학교/시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학교 일과

북일고등학교 평일 일과
06:50 ~ 07:20 일조점호
06:50 ~ 07:50 조식 및 퇴실
08:10 ~ 08:30 조회
08:30 ~ 09:20 1교시
09:30 ~ 10:20 2교시
10:30 ~ 11:20 3교시
11:30 ~ 12:20 4교시
12:20 ~ 13:30 중식[9]
13:30 ~ 14:20 5교시
14:30 ~ 15:20 6교시
15:30 ~ 16:20 7교시
16:20 ~ 16:50 종례
16:50 ~ 18:00 8교시 자습
방과후학교
1예1체
18:00 ~ 19:10 석식[10]
19:10 ~ 21:00 9교시 자습
자기주도학습 1차시
방과후학교
21:15 ~ 23:30 10교시 자습
자기주도학습 2차시[11]
23:30 ~ 23:45 일석점호
23:40 ~ 00:10 세면 및 취침[12]
23:50 ~ 01:30 심야 자습[13]

북일고등학교 토요일 일과
06:50 ~ 07:20 일조점호
06:50 ~ 07:50 조식
06:50 ~ 08:30 세면 및 퇴실
08:30 ~ 12:20 토요일 방과후학교
자기주도학습
12:20 ~ 13:30 중식
13:30 ~ 16:50 자기주도학습
16:50 ~ 18:00 자유시간
18:00 ~ 19:10 석식
19:10 ~ 22:50 자기주도학습
22:50 ~ 23:05 일석점호
23:40 ~ 00:10 세면 및 취침
23:50 ~ 01:30 심야 자습[14]

북일고등학교 일요일 일과
06:50 ~ 07:20 일조점호
06:50 ~ 07:50 조식
08:30 ~ 12:20 종교활동 및 자유시간
12:20 ~ 13:30 중식
13:30 ~ 16:50 자기주도학습
16:50 ~ 18:00 자유시간
18:00 ~ 19:10 석식
19:10 ~ 22:50 자기주도학습
23:00 ~ 23:10 일석점호[15]
22:50 ~ 00:10 세면 및 취침
23:50 ~ 01:30 심야 자습[16]

홈페이지에 기숙사 일정으로 게시된 것과 많이 다르다. 2023년 자습 시간이 22시 50분까지에서 23시 30분까지로 연장되는 등 자습 시간이 점점 늘고 있다. 심야 자습을 제외한 모든 자습은 아단관 열람실 및 교실에서 필수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심야 자습을 포함한 모든 자습 장소에는 와이파이가 설치되어 있고, 전자기기 사용을 따로 제한하지는 않는다.

9. 학교 생활

학교 건물이 죄다 산 중턱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등교길이 등산길이 되는 마법을 경험할 수 있다. 졸업하면 하체가 튼실해진다는 말도 있으니... 신관의 경우에는 이렇지만 본관의 경우는 바로 옆에 급식실이 있고 학교가 있기에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통학생들은 아침 8시 10분까지 등교한 후 수업을 마치고 선택적으로 자습 1차시 후 귀가하거나[17], 2차시까지 모두 끝마치고 집에 귀가한다. 최근에는 수업 끝나고 신청만 한다면 바로 집이나 학원으로 귀가할 수 있게 변경되었다. 과거 2015년까지 야자 1차시는 7시 ~ 8시 50분, 2차시는 9시 00분 ~ 10시 50분이었으나[18] 2016년부터 1, 2학년은 야자 2차시가 9시 00분 ~ 10시 00분, 3학년은 10시 50분까지로 변경되었고, 전 학년이 똑같이 10시 50분까지 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가, 2024년에 전 학년의 야간자율학습 종료 시점이 11시 30분으로 미루어졌다. 과거 아단관이 없고 3학년과 1·2학년의 하교 시간이 달랐을 때, 3학년들이 자습을 하는 별관동과 본관 기숙사가 가깝다는 점, 또한 10시에 기숙사로 하교하는 1, 2학년 학생들이 3학년의 자습을 방해한다는 이유이다. 41기(2016년 기준 1학년)은 학교에 입학할 때부터 10시까지만 자습을 하여 문제 상황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나 39기(2016년 기준 3학년)의 경우에는 거의 대부분이 불만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19] 그런 아단관이 지어진 이후로 1, 2, 3학년 모두 10시 50분까지 자습하게 되었다. 기숙사생은 입학과 동시에 군입대를 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기숙사 생활 때문에 타의적으로 규칙적인 생활을 하고 자유롭지 않은 외출, 자유롭지 않은 사교육 때문에 불편함이 많았지만 2015년 부터는 학교측에서 사교육을 허용하고 있다. 최근의 경우는 야자를 희망자만 11시 30분까지 자습이 가능하도록 허용하였다. 하지만 1학년은 기존 10시 50분까지, 2, 3학년은 40분이 늘어난 11시 30분까지 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가 모든 학년이 7시 10분 이후 쉬는 시간 15분 포함 4시간 20분 자습을 할 수 있도록 11시 30분까지 자습을 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토요일에는 오전시간에 자습 및 방과후 수업이 진행되고, 점심시간부터 자유시간이 주어지며[20], 저녁 이후에는 평일과 같은 자습이 이루어진다. 일요일은 오전에 자유시간이 주어진 후[21] 1시부터 4시 20분까지 자습이 진행되며, 저녁시간까지 다시 자유시간이 주어진 후 평일과는 달리 9시 50분까지 자습이 진행된다.

10. 주요 행사


파일:북일학원 로고.png
입학식
3月
신입생
입학

파일:북일고 50기.jpg
▲ 북일고등학교 제50기 입학식

북일고등학교의 입학식은 감정코칭 프로그램(2일간) 종료 후, 학교생활 1주차 후반에 진행된다. 사진처럼 학생들은 전원이 단정하게 동복을 착용한 채, 군대식으로 정렬하여 입학식을 치른다. 식은 현암관에서 열리며, 신입생과 학부모가 모두 참석하는 대규모 행사다. 학교장의 훈화, 교가 제창, 교칙 선서 등의 순서로 엄숙하고 질서정연하게 진행된다. 특히 강한 단체 규율과 소속감을 강조하는 북일고 특유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행사다.


파일:북일학원 로고.png
학예술제
11月
동아리
1예1체
교과 융합 프로젝트


11월 말에 열린다. 그냥 축제라고 생각하면 안된다. 1년 동안 동아리, 국제교류, 진로와 직업, 1예 1체, 교과 융합 프로젝트 등의 발표 활동을 통해 탐구한 성과를 무학년제로 서로 발표하고 자유롭게 질의 응답하며 공연하고 응원하는 집단 지성을 나누는 시간이다.

보통 첫째 날에 학술제, 둘째 날에 예술제가 열린다. 우선 학술제에서는 과제연구 보고서 중 수상받은 보고서에 대한 발표가 이루어진다. 수상한 학생들은 PPT 혹은 포토샵을 이용하여 커다란 포스터를 제작하고 이 포스터를 3, 4, 5층 복도에 전시한다. 해당 학생은 아침부터 오전 내내 추위에 떨며 사람들에게 설명을 해줘야 한다. 또한 학생들 뿐만 아니라 교사들이 과제연구 발표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진다. TEDxBugil 이라는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보통 3명에서 4명의 발표자가 발표를 하며 발표자는 2학년 방과후 시간에 TED 수업을 들은 학생과 지도 교사가 선별하여 내보낸다. 오후에는 각 동아리마다 1년치 결산 보고서를 발표한다. 이 발표를 통해 1년마다 1, 2, 3등을 나누고 상을 수여한다. 저녁 시간 이후로는 1인1예 발표가 이루어진다. 이는 남여고 구분 없이 함께 진행되며 강당에 설치된 무대에서 1년동안 배운 것들을 보여주게 된다.

예술제에서는 오전타임과 오후타임으로 나누어 각 동아리 부서별로 먹거리 장터, 혹은 놀이마당이라는 프로그램을 한다. 먹거리 장터는 말 그대로 먹거리를 파는 것이다. 음식 메뉴 선택은 자유이며 전열 기구 사용 시 불을 사용하지 않는 기구를 사용해야 한다. 놀이마당은 돈을 내고 게임을 즐기거나 게임 순위를 통해 상품을 얻을 수 있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먹거리 장터와 놀이마당 두 프로그램은 공통적으로 쿠폰을 통해 구매와 사용이 가능하다. 쿠폰은 학교 곳곳에 설치된 쿠폰대를 통해 구매를 할 수 있으며 쿠폰은 각 동아리별로 설정한 만큼 판매를 할 수 있다. 쿠폰은 학생회에서 관리하며 학생회에서 돈을 거둔 후 나중에 각 동아리의 쿠폰 판매수별로 수익을 돌려준다. 이를 통해 각 동아리들은 수익을 창출해 낼 수 있다. 꼭 동아리만 먹거리 장터, 놀이마당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친구들과 팀을 짜서 학생회에 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면 먹거리/놀이마당을 진행 할 수 있다. 보통 남고 운동장과 여고 운동장에서 먹거리/놀이 마당이 진행되지만 우천시에는 모두 남/여고 내로 들어간다. 오후 먹거리/놀이 마당이 끝나면 강당에서 공연을 한다. 사물놀이부터 오케스트라, 웨이트, 댄스, 밴드, 방송부UCC 등 다양한 공연들이 이루어 진다. 여고와 합동으로 하는 만큼 여고 댄스동아리가 나오면 남고에선 숨겨져 있던 휴대폰이 어디선가 튀어나오는 마법(...) 교사들이 무대 보느라 잡질 못한다.을 볼 수 있다. 또, 남고의 웨이트 동아리는 남고생들에겐 반응이 안 좋지만, 여고쪽에선 터져나오는 환호성을 들을 수 있다. 또한 슈퍼스타B 라고 하는 공연도 있는데, 축제 약 2주 전부터 오디션을 시작한다. 결승은 남고와 여고에서 각각 두 팀씩 선발해 축제에서 마지막 공연을 한 후 투표를 통해 우승자를 뽑는다. 방송부가 패러디하는 슈퍼스타B 영상은 백미.

또한 일반적으로 학예술제라고는 하지만 매 회마다 공모를 통해 축제의 이름이 바뀐다. 2014년의 경우는 페북(스티벌 오브 일), 2015년의 경우는 북새통(롭게 하다)이었고, 2016년 축제의 이름은 북두칠성(일학원의 학교가 해가는 장의 그림)으로 정해졌다. 2017년 축제의 이름은 북마크(일인들이 음껏 게 노는 날)이었다.그리고 2021년에는 거북선(리두기 속 일이 주는 물) 북 이 안들어간 적이 없다 2023년에는 Bugil Arcade라는 이름으로 진행되었다.


파일:북일학원 로고.png
신입생 적응 캠프
3月
감정코칭
생활 소개


신입생들이 입학 전 참여하게 되는 캠프이다.

입학 후 4일 간 감정코칭 프로그램[22] 및 북일고등학교 생활 소개[23]를 통해 북일고 적응에 도움을 준다.

과거 1주일씩 세 번을 운영하였으며, 캠프 기간 동안 학교 적응뿐만 아니라 선행학습을 제공하기도 하였으나, 선행학습금지법의 실시로 스케줄이 상당히 많이 줄어 2015년 신입생부터는 입학 1주일 전 1주만 실시하고 있다. 41기의 경우 자기주도학습법 학습, 명사특강, 교육과정/비교과활동/학생생활규정교무실 출입 요령등에 대한 강의를 진행하였다.북!일!

파일:북일학원 로고.png
북일 정신 함양 프로그램
6月
수학여행


현재 1학년 대상 심화체험학습(수학여행) 프로그램이다. 교과 수업과 연계한 수학여행, 문학기행이 이루어진다.

8, 90년대 수학여행은 응답하라 1988에서 볼 수 있듯이 유스호스텔 같은 곳에서 한 방에 2~30명씩 넣어 주고 재우는 문화가 대부분이었는데, 한화의, 한화에 의한, 한화를 위한 북일고등학교의 수학여행은 크게 달랐다.[24] 방2에 주방겸 거실, 욕조가 갖춰진 화장실이 있는 콘도에 4인 1실로 방이 배정되었는데 이런 콘도 객실은 당시 대한민국에서 손꼽히는 최고급 콘도였고, 집에 제대로 된 욕실을 갖추고 사는 것도 드물던 시절 웬만한 서민들은 감히 엄두도 못 내던 시설이었다. 물론 4인 1실이라고 해서 수학여행의 밤을 조용히 보낼 리는 없다. 2016년 현재 수학여행은 없어졌다. 하지만 학교 홍보에서는 해외여행을 간다고 거짓말을 깐다 카더라 자사고 전환 이후부터 2014년까지 일본, 중국, 베트남, 대만 등 주변국 해외여행이 있었지만 세월호 참사 이후로 중단되었다. 여름 방학에 원하는 사람에 한하여 갈 수는 있으나, 실제로 가는 사람은 많지 않다. 2017년 수학여행이 부활하여 2박 3일의 일정으로 제주도에 간다. 2019학년도 44기 입학생들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중국 상하이로 3박 4일 간의 수학여행을 진행했다. 2021년까지는 코로나로 수학여행을 못 가다가 22년부터 계속 학생들을 제주도로 보내고 있다. 22년은 2박 3일이었고, 23년은 3박 4일이었다. 24년은 한라산 등반이 빠진 대신 2박 3일로 조정되었고, 일부 학급은 부산, 에버랜드 등 다른 장소로 갔다.

수학여행과 별개로 과거에는 해병대 캠프를 가는 프로그램이였지만 공주사대부고 해병대 사고 이후 현장 체험 학습과 같은 형태로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보통 시험이 끝난 다음날 실시한다. 2013년에는 학생들을 태우고 가던 버스에서 추돌 사고가 나서 그 버스에 타고있던 학생들이 모두 병원으로 가기도 했다. 다행히 모두 경상으로 그친듯그리고 당연히 이어지는 호실자습의 향연.


파일:북일학원 로고.png
스포츠 페스티벌
5月
체육 대회
교사 vs 학생


보통 1학기 중간고사가 끝나고 약 1주일 뒤 열린다. 공통 종목과 학년별 종목이 있는데, 공통 종목은 씨름, 줄다리기, 달리기 등이 있고, 학년별 종목은 1학년 축구, 2학년 배구, 3학년 농구이다 씨름이 제일 인기가 좋다.[25] 체육대회 막판에 학생과 교사가 따로 팀을 이루어 축구경기를 한다. 학생팀은 학생회 임원들로 이루어져 있다.


파일:북일학원 로고.png
과학토론대회
7月
과학부
논리


2~4명이 한 팀을 이루어 과학 주제에 대해 찬반 토론을 진행한다. 과학적 사고력과 논리적 설득력을 겨룬다. 예선과 본선을 거쳐 최종 우승팀을 가린다. 주제는 시사성과 과학성을 함께 고려하여 선정된다. 팀워크와 자료조사 능력도 평가 대상이다.


파일:북일학원 로고.png
과학전람회 계획서 쓰기 대회
6月
과학부
탐구


학생들이 실험·탐구 주제를 정해 연구계획서를 작성해 제출한다. 작성한 계획서는 심사를 거쳐 우수작을 선정하고 시상한다. 주제 선정, 방법 설정, 결과 예측이 모두 중요하다. 창의성과 과학적 타당성이 평가 기준이다. 우수 계획서는 실제 실험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파일:북일학원 로고.png
발명아이디어공모전
5月
과학부
창의


학생들이 생활 속 문제를 해결할 창의적인 발명 아이디어를 제출한다. 아이디어의 창의성, 실용성, 실현 가능성을 중심으로 평가한다. 도면이나 구체적 설명 자료를 첨부해야 한다. 우수 아이디어는 시상과 특허 출원 기회를 얻는다. 현실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본다.


파일:북일학원 로고.png
수학탐구대회
9月
수학부
수학능력


학생들이 수학적 주제를 깊이 탐구하고 보고서를 작성하는 대회다. 주제 선정과 탐구 과정, 결과 분석이 평가 기준이다. 논리성과 창의성을 동시에 평가받는다. 팀 또는 개인 단위로 참여할 수 있다. 수학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능력을 종합적으로 겨룬다.


파일:북일학원 로고.png
창의수학탐구 발표회
11月
수학부
창의


학생들이 창의적인 수학 주제를 탐구한 결과를 발표 자료로 만들어 발표한다. 탐구 과정의 창의성과 논리성이 중요하다. 프레젠테이션 능력도 심사 기준이다. 결과물은 보고서와 함께 제출된다. 종합적으로 수학적 사고와 발표력을 평가한다.


파일:북일학원 로고.png
자기주장 발표회[26]
6月
인문사회부
표현


학생들이 사회, 역사, 가치관 등 다양한 주제로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발표한다. 과거 반공웅변대회의 전통을 계승해 자유로운 주제 선택이 가능하다. 발표력, 논리성, 설득력이 주요 평가 요소다. 우수 발표자는 대외 대회 참가 기회를 얻기도 한다. 표현력 향상과 비판적 사고 함양을 목표로 한다.


파일:북일학원 로고.png
프로젝트 발표회[27]
12月
교육과정부
협력


학생들이 팀 또는 개인 단위로 수행한 프로젝트 결과물을 발표하는 대회다. 다양한 학문 분야나 사회적 문제를 주제로 연구를 진행한다. 창의성, 문제 해결력, 협력 과정이 주요 평가 기준이다. 프로젝트 보고서와 발표 자료를 모두 준비해야 한다. 완성도와 발표 능력을 종합적으로 심사한다.


파일:북일학원 로고.png
심화주제 발표회
8月
교무기획부
심층


학생들이 특정 학문 주제나 사회 이슈를 깊이 탐구하여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대회다. 주제 선정부터 연구 설계, 분석 과정까지 독립적으로 수행한다. 발표는 프레젠테이션과 보고서를 기반으로 진행된다. 논리성, 창의성, 탐구 깊이가 평가 기준이다. 우수 연구는 교외 학술대회에 추천되기도 한다.


파일:북일학원 로고.png
진로와 직업 R&E 발표대회
8月
진로부
진로


학생들이 진로와 관련된 주제로 연구 과제를 수행하고 결과를 발표하는 대회다. 탐구 과정에서 자료 수집, 인터뷰, 실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구 결과는 보고서와 발표 자료로 정리하여 제출한다. 창의성, 진로 적합성, 실천 가능성이 평가 기준이다. 우수 발표자는 진로 관련 교외대회에 참가 기회를 얻는다.


파일:북일학원 로고.png
교내 스포츠 리그
8月
체육부
열정


학생들이 축구, 농구, 배구 등 다양한 종목에서 리그전을 펼치는 행사다. 학급 대항전이나 학년 대항전 형식으로 진행된다. 스포츠맨십, 팀워크, 경기력 모두 심사 대상이다. 시즌별로 리그가 운영되며 최종 우승팀을 가린다. 체력 증진과 단결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파일:북일학원 로고.png
교내 일본어, 중국어 말하기 대회
8月
국제교류부
표현


학생들이 일본어 또는 중국어로 주어진 주제에 대해 발표하는 대회다. 발음 정확성, 문법, 표현력, 구성력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한다. 주제는 일상, 문화 이해, 국제 교류와 관련된 내용이 많다. 발표 능력과 외국어 실력 향상을 동시에 목표로 한다. 우수 발표자는 외부 말하기 대회에 추천되기도 한다.

10.1. 벚꽃축제(폐지)


파일:북일학원 로고.png
벚꽃축제
4月
공개축제
대규모


4월 중순 벚꽃이 절정을 이를 쯤에 열리는 축제이다. 다만 벚꽃이 언제 절정을 이를지 예측하기 힘들어 새파란 벚꽃과 함께 불꽃을 구경할 수 도 있다(...). 사실상 학교 축제가 아니라 천안시의 축제라고 해도 될 정도이다. 천안시민이 전부 다 여기 있는게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사람들이 몰려온다. 오죽하면 버스커 버스커가 북일고 벚꽃을 보고 벚꽃 엔딩이란 노래를 만들었을까. 학교가 10만 평 정도인데 그 안에 대략 5만 명의 사람들이 몰려든다고 한다 사람이 너무 많아서 주변 치킨집은 대기시간이 3시간이 넘기도 하고 통신사 기지국이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사람들이 몰려들어 통신이 두절되는 사태가 일어나기도 한다(...). 종종 폰을 위로 들고 신호 찾는 사람들을 목격할 수 있다 축제 당일에는 도난 등의 사고를 막기 위해서 학교 본관 1층만을 개방한다.
저녁에는 불꽃놀이를 하는데, 이게 한화재단인 만큼 굉장히 화려하고 또 유명해서 이것을 보려고 사람들이 굉장히 많이 온다. 학교 추산 2~3만명이라고... 그만큼 불꽃축제가 끝나면 엄청난 쓰레기가 모인다. 용역을 따로 쓰기도 하고 학생회 또는 1학년 학생들을 아침부터 깨워 운동장 청소를 시키기도 한다.
불꽃놀이 시작 전에는 7시 쯤부터 정문 출입을 막는데[28][29], 사람들이 하도 많다보니 2013년 축제 때는 몰려든 사람들에 의해서 교문이 부서진(!!) 적도 있다. 2014년 축제때는 뒷문을 잠그자 길을 찾던 시민 수십여 명이 학교 옆 공장의 뒷문을 부수고 들어온 일도 있었다.[30] 2015년에는 학생회가 출입금지 테이프로 출입을 막자 학생회가 보지 않는 틈을 타 테이프를 넘어 열 몇 명의 사람들이 학교쪽으로 뛰어가는 헤프닝도 있었다. 2016~2017년에는 벚꽃제를 진행하지 않기로 결정하였으며, 불꽃놀이는 학교 바로 옆 아파트 건설 등으로 인해 앞으로 더 이상 진행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리고 2019년부터 벚꽃축제는 완전히 폐지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사유는 위에 서술한 대로.

10.2. 글로벌 인재 교육

10.2.1. 국제교류 프로그램


2003년부터 중국의 Haiyan Advanced Middle School, 2008년부터 싱가포르의 Hwa Chong Institution, 미국의 Westlake High School, Townview Magnet Center와 자매 결연을 맺었으나 대부분 국제과 시절 교류가 끊어져 현재는 Hwa Chong Institution과의 관계만 이어가고 있다. 현존하는 국제교류 활동인 HRSY, STSY는 Hwa Chong Institution과 함께 참가한다.

국제과가 존재하던 시절 아래 국제교류는 전부 국제과 프로그램이었으나, 일부 기수의 경우 일반 학생들이 한두 명 참가하기도 했다.

교류 약 1년 전 1학년 학생들을 선발한 후 1년 간 매주 1회 연구 방과후, 2학년이 되면 매주 1회 영어토론 방과후 수강으로 국제교류에 대비한다.

활동 내용은 포스터로 제작되며, 북일논총에도 올라간다.



파일:북일학원 로고.png
STSY(Science & Technology Symposium for Youth, 국제과학기술심포지엄)
8月
이공계열
25년도 개최교


학생들이 공학과 자연과학에 대한 연구를 한 뒤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타국의 학생들과 의견을 서로 나누는 국제교류이다. 싱가포르의 Hwa Chong Institution, 중국의 High School Affiliated to Xi'an Jiaotong University, 말레이시아의 Chung Ling High School, 대만의 Stella Matutina Girls' High School 그리고 한국의 북일고등학교의 학생들이 참가한다.[20] 학생들은 IT, 물리, 화학, 생물의 분야에 대하여 연구한 뒤 연구 결과를 발표하게 된다. 2025 STSY는 북일고등학교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파일:북일학원 로고.png
HRSY(Humanities Research Symposium for Youth, 국제인문사회과학심포지엄)
8月
인문계열
24년도 개최교


인문, 사회과학 분야 학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이에 대한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각국의 학생들이 의견을 나누는 자리이다. 본래 10년전부터 한국의 북일고를 제외한 나머지 싱가포르의 Hwa Chong Institution, 홍콩의 Diocesan's Girls' School, 호주의 Citipointe Christian College가 HRSY를 개최하고 있었으나, 2016 9th HRSY부터 북일고등학교의 학생들(40기가 처음으로 참여)이 참여하기 시작하였다. 2020년에는 홍콩에서 'Innovation and Tradition'이라는 주제로 제13회 HRSY가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홍콩사태로 인해 개최지가 싱가포르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2020년 행사가 전면 취소되었다. 2024 HRSY는 북일고등학교에서 개최되었다.

10.2.2. 중단된 국제교류


파일:북일학원 로고.png
SRC(Science Research Collaboration, 국제공동과학연구)
6月
이공계열
중단조치


싱가포르의 Hwa Chong Institution과 진행하는 과학 분야 공동 연구 프로그램이다. 북일고에서는 화학 1팀, 생물 2팀이 참가하며 각 팀의 주제가 선발 이전부터 정해져 있다. 2024년을 마지막으로 2025, 2026 SRC는 잠정 중단되었다.

파일:북일학원 로고.png
ACEP(Academic and Cultural Exchange Program, 국제학술문화교류)
7月
인문계열
중단조치


싱가포르의 Hwa Chong Institution과 진행하는 학술, 문화 교류 프로그램이다. 2022년을 마지막으로 잠정 중단되었다.

파일:북일학원 로고.png
LIYLS, APYLS, NIYLS(국제 리더십 포럼)
7月
리더십포럼
중단조치


10개 이상의 국가가 참여하는 국제 리더십 포럼이다. 코로나 19 이후 잠정 중단되었다.

파일:북일학원 로고.png
IYLF(International Young Leaders Forum)
7月
포럼
중단조치


2009년부터 시작해 아시아 5개국이 순환 개최했다.

11. 야구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북일고등학교 야구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북일고등학교 야구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등학교 야구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유명한 그 북일고등학교 야구부가 있다. 프로야구 창단 이전 고교 야구의 열풍이 대단했던 시절 꽤나 이름을 날렸던 만큼, 북일고라 하면 야구부부터 떠올리는 사람들이 꽤나 많다.

야구부의 학생들은 체육특기자 전형을 통해 일반 학생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선발하며, 선발 후에는 보통 3교시까지 수업을 듣고 간다. 2, 3학년의 경우 문과반 2학급에 반반씩 배정되고, 사회탐구 등 선택과목 신청은 자유롭다.

일반 학생들과 함께하는 시간이 많지는 않은지라 종업 혹은 졸업 직전 친구들과 함께 단체 사진을 찍을 때가 되면 야구점퍼를 입고 어색하게 뒤에 서 있는 야구부 학생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물론 야구부 학생과 일반과 학생들이 친해지는 사례도 분명히 존재한다.

야구부 숙소인 현무관은 본관/신관 기숙사가 아니라 야구장 근처에 있다.

12.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본교의 주요 동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북일고등학교/출신 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북일고등학교/출신 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북일고등학교/출신 인물#|]][[북일고등학교/출신 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연계 교통


북일고등학교
연계 교통
파일:북일고등학교 심볼.svg

도시철도
  • 학교 뒤쪽으로 도보 10~15분 거리에 두정역이 있다. 학교 뒷산을 타고 넘어가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굉장히 효율적인 루트이다.
  • 2024년 기준 야구장쪽으로 두정역 가는 길이 있다. 아침 등교때와 4시 20분 이후 개방하며, 이쪽으로 두정역에 갈 수 있다.



시내버스
북일고 / 북일여고 (1057·1058)

파일:천안시 CI.svg 천안시 시내버스




14. 여담

  • 심폐소생술
    자사고 1기, 한 학생이 심장마비로 유명을 달리해, 그 후부터 심폐소생술 수업이 시작되었으며 본관 건물 로비에 자동제세동기가 설치되었다.
  • 상면식
    학기 초에 1, 2, 3학년이 강당에 모두 모여 신입생, 재학생 간 상면식을 한다. 2013년까지만 해도 대면식에서 선후배간 인사를 할 때 북! 일!이라는 힘찬 구호로 강당이 떠나갈 것만 같은 인사를 했지만 2014년부터 교장의 지침에 의해 북! 일! 에서 안녕하십니까로 바뀌었다. 군대 같은 문화를 바꾼다고 "안녕하십니까"로 인사한다고 하는데, 학생들 사이에서는 북! 일!이 훨씬 더 멋있다고 한다. 이후 북! 일!이라는 구호는 체육대회나 스포츠 리그 경기 전후에 외치는 것 외에는 거의 들을 수 없게 되었다.
  • 익명 커뮤니티
    페이스북 페이지 북일학원이 있다. 학교에서 직접 운영하는 것은 아니고 학생이 자체적으로 만들어서 관리한다. 페이스북 이용률이 감소하면서 디시인사이드 천안북일학원 마이너 갤러리가 활발해지고 북일학원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또한 국제과 학생들이 GLP 프로그램에 관심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북일고 심야상담소라는 이름의 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다. GLP 등지에서 살아남기 위한 스킬이나 입학하기 전 궁금한 것들을 대답해주거나 상담해주고 있다. 국제과가 폐지된 후 사용되지 않고 있다.
  • 전자기기
    북일고등학교는 학생들의 전자기기 사용에 비교적 관대한 편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의 소지를 자유롭게 허용하며, 수업이나 자율학습 중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다만 2025학년도 입학생(1학년)부터는 수업 시간에 한해 휴대전화를 일괄 수거하는 제도가 새롭게 시행되고 있다. 학습 분위기 저해나 부적절한 사용이 발견될 경우에는 개별 지도 및 제한 조치가 이루어진다.
  • 엠블럼
    학교 엠블럼 배지가 있으며, 이는 교내 CU 매점에서 개당 1200원에 판매 중이다.[31]. 2012년만 하더라도 배지 착용은 의무였으나 2016년 기준 현재는 배지 착용 의무화 제도가 사라진 듯하다. 다만 패션을 위해서 꼬박꼬박 달고 다니는 학생들도 있다. 일부 교사들은 넥타이에 다이아몬드 모양의 구 천안북일고 교포 배지를 착용하고 다닌다.
  • 북일리언
    여타 특목고와 같이 북일리언이라는 용어가 존재한다. 다만 그리 자주 쓰이는 말은 아닌 듯. 전 교장이 연설에서 많이 썼다고 전해진다.[32] 현재 사용되지 않는다.
  • 학교 영문 표기
    북일고등학교를 영어로 표기하면 Bugil Academy[33]가 되며, 학교 엠블럼에도 BUGIL이 쓰여 있는데, 여담으로 Bugil은 인도네시아어로 "나체의", "벌거벗은"을 의미한다. 국제과가 있던 시절 인도네시아 학교와 교류하면서 알려졌다.
  • 벚꽃 엔딩
    버스커 버스커의 명곡인 벚꽃 엔딩 노래의 영감은 북일고등학교의 벚꽃 축제에서 얻었다고 한다. 축제에 온 커플들을 질투하면서 모든 벚꽃이 빨리 지길 바라는 마음에서 이 노래를 만들게 됐다고. 그래서 그런지 MV에 나온 여학생이 교복이 북일여고의 하복과 동일한 디자인이다.
    파일:벚꽃엔딩 장범준 북일고.jpg

북일고 벚꽃 축제에서 버스킹을 하는 장범준.}}} ||

  • 길고양이
    학교가 워낙 크고 산에 있다 보니 길고양이가 많다. 학교 본관 건물 뒤쪽이나 별관 건물 주변에서 서식하고 있다. 특히 본관 1층 창고에 열려있는 창문을 통해 고양이가 들락날락 하기도 한다. 학교 측에서도 이를 인지했는지 행정실에선 아예 창고에 고양이 사료를 포대째 갖다놓고 매일 밥과 물을 주고 있다. 라지캣
  • 야구부 반배치
    2016년 기준, 40기 이과반인 2학년 11반에 교내 야구부 전체가 몰려버리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야구부를 포함한 인원수는 28명, 제외하면 14명. 진짜 14명으로 수업을 했었다. 인원 수로는 아마 북일고 40년 역사상 최초라고 한다. 2016년 기준, 41기 문과반인 1학년 1반, 2반에 각각 6명의 야구부 학생이 배치되었다. 그러므로 일반 학생들은 사회탐구 8, 9등급을 맞지 않을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야구부 학생들은 1학년은 무작위로, 2학년은 반반씩 문과 반인 1, 2반에 배치된다.
  • 정전
    2016년 4월 17일 학교 전체에 정전이 발생하였다. 이는 강당 해체를 위한 공사 도중 포크레인이 지하 전선을 내리찍어서(...) 일어난 일이다. 오전에 학교의 모든 전기 공급이 중단되었고, 그 후 복구되지 않아 급식이 죽밖에 안 나오는 대참사가 일어났고(...) 본격적인 야생 생활의 시작 이에 수많은 학생들이 정상적인 식사를 위해 학교를 탈출했고 이는 저녁까지 이어졌다. 12시경에 교장을 비롯한 교사들이 기숙사 앞에서 대책 회의를 하는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했다. 결국 복구 작업을 시작해 22시 26분 기숙사 호실 내 스탠드 등이 켜지는 정도의 일부 복구가 이루어졌다. 사실 본래 일정 상 학교와 본관 기숙사의 전기는 저녁 식사 이전, 신관 기숙사의 전기는 밤 10시 이전까지 복구되었어야 했으나 복구 작업 도중 작업자들이 전선을 또(...) 건드려서 복구 작업이 상당히 지연된 것이다. 이 와중에 급식실의 자가발전기를 통해서 본관 학생들은 급식실에서 야자를 했다. 그렇게 야자가 끝난 후 전기가 들어왔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정전이 일어났었다.
  • 병결 이슈
    2016년 9월 2일부터 2016년 9월 6일까지 학교 내의 식중독에 관한 문제로 인한 휴교가 있었다.
    2016년 12월 5일부터 진행 중인 신종플루의 급속한 확산으로 많은 학생들이 귀가 조치되었다.[34] 2학년 6반에서는 19일날 반에 33명 중 15명밖에 남지 않았다 카더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2020학년도의 개학은 기존보다 2개월 이상 미뤄진 5월 20일에 3학년이 개학한 것을 시작으로 하여 27일엔 2학년, 6월 3일엔 1학년 순으로 이루어졌다. 격주 등교는 진행하지 않고 있으나,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자습 장소가 아단관에서 교실로 변경되었다.
  • 학교 주변
    도보 10분 거리에 천안 최대의 번화가인 천안종합터미널이 있기 때문에 놀거리가 많다. 터미널이 신세계백화점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영화관도 있고 주변에 쇼핑할 곳, 먹을 곳도 넘쳐난다. 두정역 쪽에도 메가박스가 있고 놀러 갈 수는 있지만 야구장 문을 이용하지 않으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관계로 별로 가지 않는다. 주말 잔류 중 외출, 모의고사 날 외출, 병원 외출을 할 때 대부분의 학생이 신세계백화점 쪽을 들린다. 학교 내외부를 통틀어 공사 현장이 많다. 특히 서미트홀 공사를 수시로 하며, 학교 밖에서는 아파트들이 빠르게 지어지고 있다. 물론 학교 자체가 넓은 관계로 수업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소음이 심하게 들리지는 않는다.
  • 장학제도
    장학제도가 활성화돼 있다. 학기별 내신 성적[35] 상위 15명은 한화 Global(100만 원), 그 뒤 30명은 한화 Passion(70만 원), 그 뒤 50명은 한화 Challenge(50만 원), 학비감면 비대상자 중 기타 사유로 담임교사의 추천을 받은 학생에게는 한화 Humanity(100만 원) 장학금을 받는다. 야구부 학생들 역시 장학금을 받으며, 대외 장학생, 동문 장학생, 사회통합 전형 대상자 등 기타 장학 제도도 많다. 2023년도 졸업생 장학금 지급 내역은 410,000,000원(총 101명)으로, 전국의 모든 영재고, 과학고, 외고, 국제고, 전국 및 광역단위 자사고 중 장학금액 최고를 달성했다. 일반고 시절부터 재단 장학금 제도는 존재했으나, 2010년대 초 강익수 교장이 제2의 개교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재단 지원 장학금 지원액을 1억 8000만 원에서 6억 원으로 대폭 향상시킨 결과 빵빵한 장학 제도가 완성될 수 있었다. #

15. 사건 사고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하시기 바랍니다.

16. 둘러보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전국단위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하나고등학교 교표.svg 하나고등학교
파일:Haneul_Academy.png 인천하늘고등학교
파일:현대학원 아이콘.svg 현대청운고등학교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파일:HAFS LOGO 3-1.png 용인한국외국어대학교부설고등학교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파일:YOLkC89.png 민족사관고등학교
파일:북일고등학교 심볼.svg 북일고등학교
파일:상산고등학교 교표.svg 상산고등학교
파일:광양제철고등학교 교표.png 광양제철고등학교
}}}}}}}}}}}}}}}

[1] 2025년 2월 7일부로 제10대 백웅현 교장이 퇴임하였다. 김옥선 북일여고 교장이 북일고 교장으로 직위를 변경했다.[2] 2024학년도 기준[3] 2024학년도 기준[4] 경제적 배려 대상자의 경우 학교에서 학비를 전액 지원받는다.[5] 2025학년도 입학생은 북일고 50기 (자사고 16기)에 해당한다.[6] 부군면 통폐합 이전에는 이 일대가 천안군 북일면이었다.[7] 김종희 자신도 성공회 신자였다. 신명은 디도.[8] 청록파 시인[9] 3학년은 12시 20분부터, 2학년은 12시 35분부터, 1학년은 12시 50분부터 배식한다. 배식 시간보다 일찍 밥을 먹는 것을 빠밥이라고 부른다.[10] 3학년은 18시부터, 2학년은 18시 10분부터, 1학년은 18시 20분부터 배식한다. 배식 시간보다 일찍 밥을 먹는 것을 빠밥이라고 부른다. 18시 50분이 마지막 배식이지만 염격하게 지켜지지는 않는다.[11] 다른 자습과 달리 사감교사들이 감독한다.[12] 소등되지는 않는다.[13] 선택 자습으로 감독 교사는 없다. 본관에서는 서미트홀 도서관, 신관에서는 기숙사 1층 열람실에서 진행한다. 시험 기간에는 2시까지 자습이 가능하다.[14] 선택 자습으로 감독 교사는 없다. 본관에서는 서미트홀 도서관, 신관에서는 기숙사 1층 열람실에서 진행한다. 시험 기간에는 2시까지 자습이 가능하다.[15] 종이에 체크하는 다른 날들과 달리 각실점호를 한다.[16] 선택 자습으로 감독 교사는 없다. 본관에서는 서미트홀 도서관, 신관에서는 기숙사 1층 열람실에서 진행한다. 시험 기간에는 2시까지 자습이 가능하다.[17] 대부분 학원을 간다.[18] 야자 2차시가 시작할 쯤이면 호실자습을 끊으려고 중앙계단에 줄을 길게 서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19] 실제로 40대 총학생회장이 후보자 연설에서 이를 문제 삼으며 학생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어낸 바 있다.[20] 3학년은 오후자습을 1시 30분~4시 30분에 따로 한다.[21] 이 시간에는 사감에게 허락을 받는다면 자유로운 외출이 가능하다. 역시 3학년은 오전자습을 한다.[22] 첫인상 게임 반갑다 친구야, 스트레스와 나의 반응, 자기조율과 감정의 중요성, 긍정심과 다가가는 대화법 등의 활동을 진행한다.[23] 생활규정 안내, 진로 특강 및 적성검사 실시, 학사일정 및 리로스쿨 설명, 창의적 체험학습 및 동아리 운영 소개, 교가 및 응원가 교육 등이 이루어진다.[24] "한화관광 버스를 타고, 설악산 한화리조트나 경주 등 세 곳으로 나눠서 수학여행을 갔다.[25] 하지만 안전상의 이유로 씨름은 2016년 체육대회 때부터 실시하지 않게 되었다.[26] 기존의 반공웅변대회를 계승했다.[27] 교육과정 유연화 기간에 시행한다.[28] 이때 학생회 인원이 정문을 막는데 동원되어 장렬히 전사한다...[29] 재학생들은 담을 타도 학생회가 묵인하거나 빨리 오라며 도와주는 경우도 있다.[30] 이 부분은 천안시민의 시민의식도 한 몫 했다. 안전을 위한 인원통제에 반발하여 학생회 임원들에게 신체적 위해를 가하거나 욕설을 하는 일도 부지기수인지라...[31] 과거에는 800원이었다.[32] 근데 영어로 bugilian인 바람에 bug+ailian으로 곤충형 외계인이니 발음 이상하게 꼬아서 버질(...)리언이니 하는 비하 표현들이 있다. 물론 재학생들이 만들었을 가능성이 크다.[33] 자사고 전환 이전에는 Bukil High School이라 표기하였다.[34] 학생부장도 12월 19일부터 결근할 정도였다.[35] 1학년 첫 장학금은 3월 모의고사를 기준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