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생활정보 프로그램.
[주요 내용] 건강, 요리, 상담, 생활경제, 취미레저
1. 개요
KBS의 생활정보 장수 프로그램. 생방송으로 진행된다.1983년 10월 31일 첫 방송되어 2022년까지 약 38년째 방송하는 장수 프로그램이다. 그동안 1만2118명의 연사가 출연했고 33명의 MC가 거쳐갔다. 초대 진행자는 유애리, 김동건 아나운서. 방송인 왕영은의 마지막 방송이기도 했다.
KBS 1TV 평일 오전 10시에 방송되기에 말 그대로 주부의 프로그램. 과거에는 토요일에도 방송되던 적이 있었다고 한다.
1983년 첫 회 방송 아이템은 '연탄'. 이후 껌, 마가린, 난로, 진돗개 감별법, 내의 실험, 오줌싸는 버릇 퇴치, 노래방에서 재미있게 노는 법, "서울 고양이는 시골 쥐를 먹는가" 등을 방영했다.
2. 역대 진행자
남성 MC | 진행 기간 | 비고 |
김동건 前 아나운서 | 1983년 10월 31일 ~ 1988년 4월 30일 1983년 10월 31일 ~ 1988년 4월 30일 1992년 4월 6일 ~ 1992년 10월 2일 | |
박용호 前 아나운서 | 일자 미상 ~ 1988년 4월 30일 | |
故 이창호 前 아나운서/방송인 | 1988년 5월 2일 ~ 1988년 12월 2일 1990년 4월 9일 ~ 1992년 4월 4일 1997년 10월 20일 ~ 2003년 6월 20일 | |
오재호 | 1988년 12월 4일 ~ 1992년 4월 7일 | |
임성훈 방송인 | 1992년 10월 5일 ~ 1994년 4월 10일 | |
원종배 前 아나운서/방송인 | 1994년 4월 17일 ~ 1995년 4월 17일 | |
왕종근 前 아나운서/방송인 | 1995년 4월 24일 ~ 1997년 2월 10일 | [2] |
송지헌 방송인 | 1997년 2월 10일 ~ 1997년 5월 15일 | |
전인석 아나운서 | 1997년 5월 19일 ~ 1997년 10월 17일 2003년 6월 23일 ~ 2005년 8월 9일 | |
원석현 아나운서 | 2005년 8월 12일 ~ 2009년 4월 17일 | |
이재홍 아나운서 | 2009년 4월 20일 ~ 2013년 10월 18일 | |
한상권 아나운서 | 2013년 10월 21일 ~ 2018년 8월 31일 | [3] |
김승휘 아나운서 | 2018년 9월 3일 ~ 현재 |
여성 MC | 진행 기간 | 비고 |
유애리 아나운서 | 1984년 4월 9일 ~ 1984년 8월 10일 | |
박초아 前 아나운서 | 1984년 8월 13일 ~ 1992년 4월 4일 | |
이금희 前 아나운서/방송인 | 1992년 4월 6일 ~ 1992년 10월 2일 1994년 4월 17일 ~ 1996년 1월 5일 1998년 3월 16일 ~ 1999년 3월 11일 | |
왕영은 방송인 | 1992년 10월 5일 ~ 1994년 4월 10일 | |
김성경 | 1996년 1월 8일 ~ 1996년 10월 11일 | |
구영희 방송인 | 1996년 10월 14일 ~ 1997년 2월 10일 | |
오유경 방송인/前 아나운서[4] | 1997년 2월 10일 ~ 1997년 10월 17일 | |
김연주 방송인 | 1997년 10월 20일 ~ 1998년 3월 13일 | |
오영실 방송인/前 아나운서 | 1999년 3월 11일 ~ 1999년 12월 30일 | |
정용실 아나운서 | 2000년 1월 3일 ~ 2003년 6월 20일 | [5] |
공정민 前 아나운서 | 2003년 6월 23일 ~ 2003년 9월 19일 | |
정은승 아나운서 | 2003년 9월 22일 ~ 2003년 10월 31일 | |
신윤주 아나운서 | 2003년 11월 3일 ~ 2006년 3월 10일 | |
박주아 아나운서 | 2006년 3월 13일 ~ 2010년 10월 22일 2016년 7월 4일 ~ 2018년 8월 31일 2020년 3월 9일 ~ 2020년 5월 8일 | [6] |
김지윤 아나운서 | 2010년 10월 28일 ~ 2011년 11월 4일 | |
이선영 아나운서 | 2011년 11월 7일 ~ 2016년 7월 1일 | |
정다은 아나운서 | 2018년 9월 3일 ~ 2020년 3월 6일 2020년 5월 11일 ~ 현재 | [7] [8] |
3. 여담
- 타이틀에도 나오는 거대한 물음표가 상징이다.
- 무엇이든 '물어'보래서 정말 '물어'(bite)본다는 썰렁한 개그도 있었다. 이걸 이용해 개그콘서트의 아무 말 대잔치에서 다시 활용되었다.
남자 MC: 안녕하세요 무엇어든 물어보세요의 MC...(여자 MC가 이빨로 남자 MC의 팔을 무는소리) 아아아아아!!!!- - 김원효가 "무엇이든지 고소하세요"로 패러디하기도 했다.
- 이 프로그램의 진행자였던 원석현 아나운서는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를 3년 넘게 진행했는데, 프로그램 할때 마트에 가면 주부들이 많이 알아봤다고 한다. 그런데 나오고 나서 한 달이 지나니까 아무도 못 알아봤다고... 진담인지는 모르겠는데, 다큐3일에서[9] 이런 말을 하기도 했다.
- 1980년대 중후반 당시에 KBS 3TV에서 재방송된 적도 있었다. 현재의 EBS 1TV.
- 응답하라 1988에서도 나왔다.
- 프로그램 오프닝 시그널이 꽤 오래쓰이고 있는 시그널 중 하나인데. 1999년부터 지금까지 계속 쓰이고 있다.(1983년~1992년 오프닝, 1993년~1999년 오프닝)
- 성우는 박형욱이었으나 2016년 돌연 다른 성우와 아나운서로의 교체를 반복한다. 오래도록 방송의 내레이션을 맡아온 만큼 프로그램 시청자 게시판에 애청자들의 반발이 심했다. 이후 비난의 여론 탓에 여러 번 교체되다 결국 원래 성우였던 박형욱 성우가 2018년 7월부로 다시 복귀했다.
- KBS joy에는 해당 프로그램의 제목만 패러디한 무엇이든 물어보살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MC는 이수근, 서장훈.
그러나 레이아웃은 무릎팍도사.다만, 시사교양인 해당 프로그램과 달리 그 프로그램은 예능 프로그램이다. - 팬더댄스 24화 에서는 이걸 바탕으로 했다.
- 2018년 7월부터 2년여 동안 UHD 방송을 해왔으나, 굿모닝 대한민국 라이브의 UHD 방송 진행을 위해 FHD 방송으로 환원되었다.
- 국가기간방송 채널인 KBS 1TV의 특성상 방송일이 연기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주로 오전 10시에 시작하는 정부가 주관하는 각종 기념식이나 추모행사[10], 대한민국 대통령 참석 기자회견, 정부의 대국민 중대 담화문 발표, 국회 주요 의사중계[11], 국무총리 & 정당 관계자 초청 토론회, 각종 재난 상황에 의한 뉴스특보[12] 등으로 특별중계를 해야 할 경우 해당 중계방송이 우선 편성되기 때문에 이 프로그램의 방송이 연기된다.
4. 방송사고
* 기본적으로 이 프로그램은 생방송이라[13] 방송사고를 막을 수 없다. 결국 2022년 3월 14일에 생방송 도중 연세대학교 의료원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김학선 교수가 졸도하는 사고가 발생했다(관련 게시물). 넥타이를 맨 상태로 뇌졸중 예방 체조를 지켜보다 사고가 일어난 것으로 보이며, 다행히 생명에 지장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관련 기사).#[14]
[1] 현재는 KBS 2TV에서 재방송중이다.[2] 휴가로 인해 서기철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한 적도 있다.[3] 문화의 향기의 정지원 아나운서와 호흡을 맞춰 MC를 겸함.[4] 가족오락관의 초대 MC와 동명이인이며, 1996년도에 가족오락관에서 게스트로 출연한 이력이 있다. 아침마당, 국악한마당 진행 후 올해 1월에 KBS를 퇴사하여 프리랜서로 국회방송 오유경의 인생책방으로 활동 중.[5] KBS 노조파업으로 인하여, 2000년 6월 3일 방송분은 윤영미 前 아나운서(前 KBS 뉴스 네트워크 앵커)가 대신 진행하였다.[6] 첫진행한 후 다음 5년 9개월(2,055일)여만에 재진행.[7] KBS 아나운서들 중 1980년대 출신 여진행자는 2년 2개월 만에 진행함.[8] 연차 수당 부당사용으로 인해 출연정지 징계를 받아 2020년 3월 9일 ~ 2020년 5월 8일 방송분은 박주아 아나운서가, 2021년 12월 1일 ~ 2021년 12월 2일 방송분은 김진희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9] 세상을 여는 목소리 - KBS 아나운서 편.[10] 5대 국경일에 열리는 정부 경축식과 현충일 추념식, 6.25 전쟁 기념행사, 공무 수행 과정에서 순국·순직한 이들에 대한 장례식 등.[11] 본회의에 상정되는 교섭단체 대표 연설이나 주요 국무위원에 대한 인사청문회, 주요 기관이나 부처의 국정감사, 국정조사에 의한 청문회 등.[12] 봄에 산불이 크게 났을 때, 여름과 가을에 태풍이 북상 또는 상륙했거나 집중호우가 쏟아질 때 재난 관련 뉴스를 내보낸다. 겨울에는 드물게 도시 전체를 마비시킬 만한 폭설이 쏟아지는 경우에도 재난 관련 뉴스가 나오곤 한다.[13] 편성표상으로는 생방송임을 고지하지 않으나, 진행자가 현재 시각을 고지하는 점에서 생방송으로 볼 수 있다.[14] 우연의 일치인지 주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