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31 07:21:29

마틴 루터 킹/생애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마틴 루터 킹
1. 개요2. 연표3. 성장기4. 청년기5. 1955년: 로자 파크스와 몽고메리 투쟁6. 첫 번째 암살 시도7. 거듭되는 저항과 투옥, 케네디와의 만남8. 1963년: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9. 1964년 민권법 통과 이후: 투쟁의 범위가 확대되다10. 베트남 전쟁 반대와 여론 악화11. 68 운동12. 암살: 검은 새가 날아오르다13. 사후: 투쟁은 계속된다14. 무덤과 추모 조형물

1. 개요

미국의 목사, 흑인 민권운동가 마틴 루터 킹의 생애를 다루는 문서.

2. 연표

  • 1929년 - 1월 15일, 미국 조지아 주 애틀랜타 시에서 태어남.
  • 1935년 - 이웃집 백인 친구의 어머니로부터 처음으로 인종 차별을 경험함.[1]
  • 1944년 - 모어하우스 대학 입학. 여기서 간디의 사상에 심취, 감화를 받음.
  • 1948년 - 모어하우스 대학 졸업, 펜실베이니아 크로저[2] 신학교 입학.
  • 1951년 - 크로저 신학교 졸업, 보스턴 대학 대학원 입학.
  • 1953년 - 6월 18일, 코레타 스콧과 결혼.
  • 1954년 - 앨라배마 주 몽고메리 시의 침례 교회[3] 목사로 부임함.
  • 1955년
  • 1956년
    • 1월, 킹의 집에 폭탄을 던진 사건이 일어남.
    • 11월, 미국 연방 재판소가 버스에서의 인종 차별은 위헌이라는 판결을 내림.
  • 1958년 - 9월, 흑인 여성의 칼에 찔려 크게 다침.
  • 1959년 - 2월, 인도를 방문함.
  • 1960년 - 1월, 인권 운동에 몸바치기 위해 목사직을 사임함. 광범위하게 전개되던 학생들의 연좌 시위를 지지하여, 지도자 회의에 참석함.
  • 1961년 - '자유의 기수들'이 'KKK' 단으로부터 공격당함.
  • 1962년 - 조지아 주의 올버니 시에서 흑인들이 인종 차별에 저항하는 시위를 벌임.
  • 1963년
    • 5월, 버밍햄의 어린이 시위대가 강경 진압됨으로써 흑인들의 투쟁을 지지하는 국내외 여론이 높아짐.
    • 8월, 워싱턴 대행진을 시작하여, 전세계에 흑인 인권 운동의 정당성을 알림.
    • 8월 27일, 워싱턴 대집회에서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라는 유명한 연설을 함.
  • 1964년
  • 1965년
    • 1월, 셀마에서 선거권 획득을 위한 투쟁을 시작함.
    • 3월, 셀마에서 몽고메리까지 행진함.
    • 8월, 선거권 법안이 통과됨.
  • 1966년 - 남부에서 법적·제도적 불평등 문제가 시정됨에 따라, 생활에서의 불평등 문제와 싸우기 위해 북부 흑인 빈민가[4]로 운동 거점을 옮김.
  • 1967년 -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고,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운동'을 벌여나감.
  • 1968년 - 4월 4일, 멤피스에서 암살당하여, 3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남.

※ 원본 출처: 만화로 만나는 20세기의 큰 인물 (웅진씽크빅)

3. 성장기

마틴 루터 킹은 1929년 1월 15일[5]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마틴 루터 킹 시니어와 앨버타 윌리엄스 킹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사실 그의 어릴 적 이름은 마틴이 아니라 마이클이었는데, 나중에 아버지를 따라 이름을 바꾼 것이다. 그의 아버지 마틴 루터 킹 시니어(Martin Luther King Sr.)는 아들 못지않게 큰 업적을 남긴 목회자이자 민권운동가로, 어린 마틴 루터 킹에게 여러 영향을 주었다. 마틴 루터 킹 시니어는 남북전쟁 직후 해방된 노예인 할아버지와 알코올 중독자 아버지를 두고 어렵게 자랐지만 훌륭한 연설 실력으로 불과 30대의 나이에 애틀랜타 에반에셀 교회의 담임목사가 된 입지전적인 인물이었다. 킹의 아버지는 비록 경제적으로 궁핍하지는 않았고 오히려 당대 흑인 중에는 꽤나 유복하게 살았지만, 자신이 본래 어디에서 왔는지를 기억하고 어렵게 살아가는 많은 흑인들을 돕고자 했다. 그는 독일 유학 중 마르틴 루터의 개혁 사상에 영향을 받아 이름을 "마이클 킹"에서 "마틴 루터 킹"으로 바꿨는데 어린 킹도 아버지를 따라 이름을 바꾸었다.
파일:마틴 루터 킹 가족사진.jpg
마틴 루터 킹의 가족사진[6]
마틴 루터 킹 시니어는 아들에게 두 가지를 가르쳤는데 첫 번째는 기독교 신앙이었고 두 번째는 흑인의 인권이었다. 마틴 루터 킹은 5살 때부터 성경 구절을 외우고 찬송가를 불렀는데, 찬송가 부르는걸 좋아해서 커서는 주니어 성가대에 들어가기도 했다고 한다. 어릴 때부터 어려운 성경 구절을 외우게 한 아버지의 교육은 킹의 인생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킹은 성경을 통해 영어를 빨리 깨치고 영문학에도 관심을 보여 사전을 통해 자신의 문장력을 갈고 닦았다. 웅변가 중의 웅변가로 유명한 킹의 명성은 따지고 보면 아버지의 조기 성경 교육 덕분이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흑인 민권에 대해서, 킹은 어릴 적 아버지가 NAACP(전미 유색인종 인권 향상 협회)의 간부와 대화하는 것을 보기도 했지만 그때는 너무 어려서 피부로 인종차별을 느끼지 못했다. 그러나 6살 때 옆집의 백인 쌍둥이 형제와 놀다가 백인 부모가 "넌 흑인이니까 백인이랑 놀지마!"라고 하며 내쫓은 것에 정신적 충격을 받고 인종차별에 처음으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날 밤 킹은 부모에게 미국 흑인의 역사와 노예제, 인종차별, 남부의 인종주의적 잔재 등에 대해 배웠고, 그의 말에 따르면 "백인을 평생 미워하기로 작심했다". 킹 시니어는 아들의 분노를 바로잡으며 기독교의 이웃 사랑에 대해 가르쳤다. 하지만 킹의 분노와 의구심은 쉽게 사라지지 않았다.

킹은 커가면서 여러 가지 인종 차별을 경험했는데, 한번은 아이스크림 가게에서 아이스크림을 사려고 하자 백인 주인이 "여기는 흑인들에게 장사 안하니까 정 사고 싶으면 뒷문으로 기어 들어와라"라고 내쫓은 적이 있었다. 정작 백인 아이들은 당당히 정문으로 들어와 아이스크림을 사는 것에 충격을 받았다. 아버지와 함께 시내에 갔을 때는 구두 가게에서 쫓겨나기도 하고, 백인 경찰이 시비를 걸면서 아버지를 모욕하는 것도 보았다. 킹의 아버지는 그럴때마다 당당하게 백인에 맞서야 한다며 물러나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자신을 차별한 백인에게 사과를 요구했는데, 이는 킹에게 큰 감명을 주었다. 이에 대해 후일 킹은 "나는 아버지를 존경했고, 내 투쟁에 있어 그를 모범으로 삼고자 했다"라고 술회했다.

13살에 그는 부커 T. 워싱턴 고등학교에 진학했다. 이 학교는 저명한 흑인 민권운동가 부커 T. 워싱턴[7]의 이름을 딴 사립 학교로, 애틀랜타에서 유일하게 흑인이 진학할 수 있는 고등학교였다. 킹은 고등학교에서 미국사영문학 과목에서 두각을 드러냈고, 웅변으로 여러 차례 상을 받았다. 그는 1944년 고등학교 3학년일 때 인종평등에 대한 주제로 일장연설을 해 웅변대회에서 우승했다. 웅변대회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던 길에 그는 버스에서 백인에게 자리를 양보하라는 위협을 받았다. 킹은 분노해 자리를 비키지 않겠다고 했지만 동행하던 그의 선생님은 "악법도 법이니 체포되기 전에 자리를 비키자"라고 설득했다. 킹은 마지못해 백인에게 자리를 양보했지만 이날의 기억을 "내 인생에서 가장 수치스럽고 화나는 날"이라고 회상했다.

4. 청년기

1944년, 킹은 15살의 나이에 모어하우스 칼리지[8]에 진학했다. 이 학교는 킹의 아버지도 다닌 학교로 명망이 높은 신학 학교였다. 그는 학교에 진학하기 전 용돈을 벌기 위해 코네티컷에 있는 담배 농장에서 잠깐 일을 했는데, 이는 킹에게 예상하지 못했던 충격을 주었다. 그의 고향인 미국 남부에서는 흑인이 대놓고 2등 시민 취급을 받았지만, 코네티컷과 같은 북부 주에서는 인종차별이 이미 사라져 백인과 흑인이 동등하게 대우 받았던 것. 경찰이 흑인을 아무 이유 없이 체포하거나, 흑인이 백인에게 줄을 양보하는 일도 없었고, 부유한 흑인이 고급 레스토랑에 들어가는걸 백인 노동자들이 부럽게 쳐다보기도 했다. 특히 흑인과 백인이 같은 교회에 다닌다는 것에 큰 충격을 받았다. 당시 남부에서는 백인과 흑인이 각자 다른 교회에 출석했기 때문이다.[9] 또 담배 농장의 백인 노동자들이나 감독은 킹이 흑인이라는 이유로 차별하지 않았고 일한만큼 봉급을 주었는데, 킹은 이러한 북부의 "평등"을 믿을 수 없어했다.

하지만 이런 아름다운 모습은 얼마 가지 않아 다시 사라졌다. 코네티컷에서 애틀랜타로 돌아오는 기차에서, 킹은 북부 구간에서는 백인과 같은 좌석에 앉을 수 있었지만 애틀랜타 행 남부 열차로 갈아타자마자 역무원에 의해 흑인 전용칸으로 내몰렸다. 그럼에도 코네티컷에서의 짧은 경험은 킹의 사고를 크게 뒤흔들었다. 이전까지 킹은 기독교의 이웃사랑 사상에 의구심을 품고 백인에게 복수해야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지만, 백인과 흑인이 평등하게 살아가는 북부의 모습을 보고 남부에서도 인종 화합을 이룰 수 있다는 희망을 품게 되었다.

18세에 킹은 펜실베이니아에 있는 크로저 신학교에 진학했다. 신학교에서 킹은 학생회장을 맡았으며 백인 여학생과 연애를 하기도 했다. 대학교 3학년 때 킹은 백인 여자친구와 결혼을 진지하게 생각했다고 하는데, 아버지는 그가 백인 여학생과 결혼하면 남부에서 목회자 생활을 하기 힘들만큼 반발이 일어날 것이기에 결혼하지 말 것을 종용했다. 1950년대의 남부에서는 여전히 백인과 흑인의 결혼이 불법인 주가 많았다.[10] 사회적인 시선은 더욱 나빴다. 킹은 현실을 받아들이고 여자친구에게 이별을 통보했지만, 무척이나 슬퍼했으며 극복하기 어려워했다. 일부 연구자들은 이때의 아픈 경험이 킹이 아내에게 충실하지 못하고 외도 생활을 한데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도 한다.

1951년, 크로저 신학교를 졸업한 후 보스턴 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해 신학 박사 학위를 밟았다. 이때 킹의 연구에는 일부 논란이 있다. 킹의 1955년 박사학위 논문이 표절이라는 얘기가 있기 때문이다. 후대에 논문을 검수한 일부 학자들은 킹의 박사학위 졸업 논문이 제대로 된 레퍼 없이 무단으로 여러 구절을 배꼈음을 확인했는데 이에 관해서는 후술.

1954년, 킹은 코레타 스콧을 만나 결혼하는 기쁨도 있었다. 코레타 스콧과 마틴 루터 킹은 슬하에 4명의 자식을 두었다. 1년 후에는 앨라배마 주 몽고메리의 덱스터 애비뉴 침례 교회의 목사가 되었고, 웅변술로 지역의 흑인들에게 명성을 얻었다. 이것이 킹의 인생에 엄청난 파고를 몰고 올줄은 킹 자신도 몰랐을 것이다.

5. 1955년: 로자 파크스와 몽고메리 투쟁

1955년 12월 1일, 시내 백화점에서 제봉사로 일하는 로자 파크스라는 여성은 퇴근길에 버스 앞좌석에 앉았다. 당시 앨라배마 주 법에 따르면 흑인은 앞좌석에 앉을 수 없었으며, 뒷좌석에 앉더라도 백인에게 자리를 양보할 의무가 있었다. 버스 운전사는 파크스에게 뒷좌석으로 자리를 옮기라 했지만 파크스는 이를 거부했다. 얼마 후 경찰이 출동해 파크스를 "버스 앞좌석에 앉은 죄"로 체포했다. 이 소식은 앨라배마 주 전역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겨우 버스 앞좌석에 앉았다는 이유만으로 열심히 일하는 시민을 체포한 것에 흑인 사회는 술렁였고, 몽고메리 지역을 중심으로 흑인 인권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파일:200730190148-rosa-parks-and-mlk-restricted.jpg
마틴 루터 킹과 로자 파크스
마틴 루터 킹은 몽고메리에서 영향력이 있던 흑인 목사로 이 시위를 이끌 책임을 지게 되었다. 킹은 목사였지만 동시에 NAACP 조직과 연을 맺었고, 로자 파크스 역시 이 조직의 소속으로 흑인 인권 향상에 관심을 가지던 인물이었다. 킹은 총대를 매고 앨라배마 주 정부와 버스회사에 문제 시정을 요구하는 대표로 나섰다. 그는 마하트마 간디의 비폭력 사상을 설교하며 절대 폭력을 사용하지 말고 대신 버스 탑승을 거부하며 버스 회사의 무릎을 꿇리자고 설득했다. 이 설교는 불과 20분밖에 되지 않았지만, 이는 흑인들을 열광시켰으며 며칠 후 존 에드거 후버 FBI 국장이 킹을 지목해 "약점을 찾으라"라고 지시할 정도로 파장을 일으켰다. 비록 모든 흑인들이 그의 비폭력 사상에 동감한 것은 아니었지만, 버스 탑승을 거부하자는 킹의 대의에 동참하지 않는 흑인은 보기 드물었다. 381일이나 지속된 흑인들의 "버스 탑승 거부 시위"는 지역 버스회사에 엄청난 재정적 타격을 입혔으며, 결국 앨라배마 대법원은 버스 내 인종 분리를 철폐하며 백기를 들었다.

물론 이 비폭력 시위가 언제나 "비폭력적"이었던 것은 아니었다. 백인들이 폭력과 편파적인 공무집행을 동원해 킹과 다른 흑인들을 굴복시키려고 했기 때문이다. 버스를 타려고 기다리던 흑인들은 부랑죄라는 구실로, 카풀로 맞서던 흑인들은 불법 영업이나 교통 방해라는 구실로 탄압받았다. 그리고 1956년 1월 23일에는 몽고메리 시정부가 버스회사와 흑인 대표단 사이의 협상이 지지부진하자, 흑인 목사들을 주 의회에 출석시킨 후 협상에 성공했다며 거짓 성명을 내는 사기를 쳤다가 들통나면서 보이콧의 열기에 기름을 붓기도 했다. 킹 본인도 1956년 1월 26일에 25마일(약 40km/h) 속도 단속 구간에서 차를 약 30마일(약 48km/h)로 몰았다는 이유로 면허증을 압수당한 후 구금당했고, 4일 뒤인 1월 30일에는 킹의 집으로 파이프 폭탄이 날아들었다. 다행히 킹 집의 대문만 박살나는 선에서 그쳤고,[11] 이에 분노한 흑인들이 몰려와 폭동을 일으키려 했지만 킹이 나서서 차분히 군중을 해산시켰다. 이 때 출동한 백인 경찰은 킹이 군중을 말리지 않았다면 그 자리에 있던 경찰 모두가 성난 흑인들에게 맞아 죽었을 것이라고 회고했으며, 킹의 대처가 소문을 타고 전해지면서 비폭력 운동을 확산시켰고 덩달아 킹의 명성도 높아졌다.
파일:SCLC.jpg
SCLC 지도부와 함께 행진하고 있는 킹 목사
킹의 명성이 한 없이 높아지자 킹은 남부에서 만연한 백인 우월주의를 무너트리고 흑인과 백인의 화합을 도모하기 위한 조직을 설립하고자 했다. 비록 전미유색인종 인권향상 협회(NAACP)가 있었지만 이 조직은 너무 광범위했기 때문에 남부 목회자들이 연합하는 새로운 조직이 필요했다. 이에 킹은 1957년 자신의 동료인 랄프 애버내시(Ralph Abernathy) 목사, 조셉 로리(Joseph Lowery) 목사와 함께 남부 기독교 목회자 협회(SCLC)를 설립했다. 이 기구는 킹이 암살될 때까지 남부에서 인종평등을 추구하는 중심 축이 되었다.

또 킹은 다른 조직과도 평화로운 공존을 물색했는데, 제임스 파머(James Palmer) 의장이 이끄는 인종평등 협의회(CORE)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CORE은 버스 내 인종차별을 다른 주에서도 철폐하기 위한 "자유의 기수" 혹은 "프리덤 라이더"(Freedom Rider) 시위를 개최해 킹의 지지를 받았고, 이는 앨라배마 뿐 아니라 많은 남부 주,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전국적으로 버스에서 인종차별이 완전히 퇴치되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

이러한 노력은 전국적인 관심을 끌었다. 긍정적으로나 부정적으로나 정치인들은 킹을 의식하고 있었다. 1955년의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판결로 학교 내 분리가 금지된 것까지 더해 1950년대 후반부터 정치권의 제1관심사는 남부 인종차별의 종식이 되었다. 1956년, J. 윌리엄 풀브라이트[12], 리처드 러셀 주니어 상원의원의 주도로 남부를 지역구로 둔 상원의원은 인종 분리를 유지해야한다고 주장하는 "남부 서한"에 집단 서명하기까지 했다.[13]

1957년 의회는 남북전쟁 이후 처음으로 흑인 민권을 보장하기 위한 법을 발의했다. 1957년 민권법(Civil Rights Act of 1957)은 마틴 루터 킹을 비롯한 흑인 민권운동가들이 요구하던 흑인 폭행 방지, 투표권 보장, 공정한 주거권 등을 담고 있었다. 그러나 이는 남부의 여러 백인 상원의원들을 분노하게 만들었다. 킹의 고향인 조지아 주의 상원의원 리처드 러셀 주니어는 이 법의 가장 강한 반대자였으며, 그의 리더십에 따르던 남부 상원의원들은 어떤 수단을 써서라도 법을 절대로 통과시키지 않겠다고 고집을 부렸다. 결국 상원 다수당 원내대표인 린든 B. 존슨 상원의원은 원래 법안의 의도를 사실상 무력화시키는 조항을 포함시켜 남부 상원의원들이 만족할만한 수정안을 재발의해 법안을 통과시켰다. 킹은 1957년 민권법이 무력화되는 모습을 보며 주류 정치권에 크게 실망하였다.

6. 첫 번째 암살 시도

파일:이졸라 커리.webp
치료 받고 있는 킹(왼쪽)과 이졸라 커리(오른쪽)
1958년 9월 20일 할렘에 있는 블룸스타인 백화점에서 킹은 자신의 책인 자유를 향한 대행진(Stride Toward Freedom)을 홍보하기 위한 책 사인회를 하고 있었다. 1916년생인 이졸라 커리(Izola Ware Curry)라는 흑인 여성이 서명 중인 마틴 루터 킹에게 다가가 "당신이 마틴 루터 킹 주니어입니까?"라고 물었고 킹은 흔쾌히 "그렇습니다."라고 답변했었고 흑인 여성이 자신을 암살할 것이라고는 상상조차 하지 않았기 때문인지 킹은 그녀가 다가오는 동안 그 어떤 방어적 제스처도 취하지 않았고 자리를 피하려고도 하지 않았다. 이졸라 커리는 킹에게 "5년 동안 널 찾고 있었다."라고 말한 후 종이칼[14][15]로 그의 가슴을 찔렀으나, 간신히 칼날이 대동맥을 비껴갔고 몇 시간에 걸친 수술 끝에 킹은 기적적으로 살아났다.[16]

이졸라 커리는 범행 동기에 대해 마틴 루터 킹을 공산주의자로 간주해서 그를 찔렀다고 진술했으나 이졸라 커리는 편집증정신분열증을 앓고 IQ가 70밖에 안 되는 등 정상적인 사회 생활이 어려운 사람이였고 경찰은 킹이 공산주의 활동을 했다는 단서를 찾을 수 없었기 때문에 그녀의 근거없는 망상임이 밝혀졌다. 킹은 하나님을 믿는 사람으로서 자신을 공격한 이 여성을 용서했고 "그녀가 자유롭고 건설적인 사회의 구성원이 되기위해 사려깊은 사람들은 그녀가 필요로 하는 도움을 주려고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희망적인 성명을 발표했다.

당시 미국 사회의 모든 흑인들이 그러하듯. 암살 미수범이였던 이졸라 커리 역시 상당히 불우한 인생을 살고 있었는데, 조지아 주의 아드리안에서 태어나 학교를 7학년때 중퇴하고 21살의 나이에 제임스 커리라는 남성과 결혼했으나 6개월만에 이혼을 했고, 가정부로 취업을 하기위해 위해 뉴욕으로 이주해왔으나 당시 흑인이라는 이유로 취업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킹의 용서에도 이졸라 커리는 뻔뻔하게도 자신의 혐의를 인정하려 들지 않았고 범행 이후 정신병력이 있는 범죄자를 형을 복역하는 동안 수감하고 치료하는 Matteawan 주립 정신병원에 수감되었다가 뉴욕 퀸스 자메이카에 있는 요양원으로 이송되었는데, 자신이 죽이려던 킹 목사가 죽은지 약 반세기가 지난 2015년 3월 7일, 9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7. 거듭되는 저항과 투옥, 케네디와의 만남

1958년의 암살 시도에 더해 백인우월주의자들의 위협이 거세졌지만 킹은 굴하지 않았고, SCLC 조직을 키우는데 1950년대 후반의 대부분을 바쳤다. 1959년 그는 5년간의 앨라배마 활동을 정리하고 자신의 고향이자 아버지가 담임목사로 재직했던 애틀랜타 에버니저 교회의 담임목사로 재직하게 된다. 당시 조지아 주지사인 어니스트 밴디버(Ernest Vandiver)는 킹의 조지아 이사에 심히 심기가 불편했다. 그는 "킹이 있는 곳마다 폭력과 폭동, 범죄가 일어난다"며 킹을 공산주의자라고 비난했고, 킹을 감시하려는 존 에드거 후버 FBI 국장의 시도에 적극 동조하였다. 그가 조지아 주로 이사한지 얼마 안가, 킹은 운전면허증을 소지하고 있지 않다는 사소한 혐의로 또다시 감옥에 갇혔다.
파일:싯 인 시위.webp
연좌농성을 하다가 체포되는 마틴 루터 킹
1960년, 흑인 투쟁은 식당에서 인종차별을 철폐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확대되었다. 이를 싯인 시위(Sit-in) 혹은 "연좌농성"이라고 하는데, CORE의 대학생 조직이 주도했고 킹도 동참했다. 이 시위의 방법은 간단했다. 흑인에게 주문 받기를 거부하는 식당에 들어가 주문을 받을 때까지 테이블을 차지하는 것이었다. 백인 식당 주인들은 격분해 흑인을 폭행하고 경찰은 시위자들을 체포했는데, 간단한 시위 방법과 그에 대비해 매우 격렬한 인종주의자들의 반응 때문에 대학생들에게 특히 인기있는 투쟁 방식이었다. 킹은 1960년 10월 연좌농성에 지지를 보내고자 애틀랜타에서 가장 큰 백화점의 푸드코너에서 직접 연좌농성을 벌였고, 경찰은 킹을 포함한 모두를 체포했다. 조지아 주 경찰은 킹을 제외한 시위자들을 조기 석방했지만 킹만큼은 면허증 갱신을 안 했다는 이유로 4개월의 강제노역형을 부과했고, 그것도 모자라 킹을 리즈빌에 있는 조지아 주립교도소로 킹의 가족 몰래 이감했다. 명백히 킹을 겨냥한 조치였으며, 사실상 다가오는 196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개입하지 말라고 판결을 내린 셈이었다.

본래 킹은 1960년 대선에서 케네디와 닉슨이 모두 인종문제에 무관심하다고 비판했지만, 킹이 KKK가 활개치는 리즈빌로 이감됐다는 사실은 온 미국의 관심을 끌었기에 케네디 진영은 이 기회를 활용하자고 판단했다. 존 F. 케네디는 인종 문제에 큰 관심이 없었지만, 그의 동생이자 선거 전략가인 로버트 F. 케네디는 흑인들에게 연민을 가지고 있었다. 케네디의 매부이자 후일 부통령 후보로도 나서는 사전트 슈라이버도 흑인의 빈곤 문제에 관심이 많았다. 이 둘은 존 F. 케네디에게 개인적으로 요청해 킹의 석방을 요구하자고 나섰고, 존 F. 케네디는 조지아 주지사에게 직통 전화를 걸어 킹을 석방하라고 압력을 넣었다. 또 사전트 슈라이버와 로버트 케네디는 킹의 부인인 코레타에게 전화를 걸어 유감을 표했다. 킹은 케네디의 압력으로 불과 이틀만에 석방되었다. 킹은 케네디의 호의에 일부 의심을 품었지만 일단 감사를 표했고, 아버지와 함께 공개적으로 케네디를 지지하였다. 킹의 영향으로 흑인들은 압도적으로 케네디에 투표했으며[17] 케네디는 불과 0.1% 차이로 닉슨을 꺾고 대통령으로 당선되어 사실상 킹이 대선 판세에 결정적 역할을 한 셈이 되었다. 1960년 대선으로 성립된 케네디 행정부에서 로버트 F. 케네디는 법무장관으로 발탁되는데, 그는 존 에드거 후버의 인종주의적 행보에 제동을 걸고 민권을 위한 여러 조치를 세워 킹의 지지를 받았다.
파일:MLK RFK LBJ.png
로버트 케네디, 린든 존슨과 함께 선 마틴 루터 킹
반면 리처드 닉슨은 본래 킹과 어느 정도 친분이 있었고, 킹 본인부터 공화당 성향에 가까웠기에[18] 도움을 요청했지만[19] 닉슨은 백인들이 자신의 지지를 철회할 수 있다고 생각해 도움을 주기를 거절했다.[20] 킹은 닉슨과 공화당에게 상당한 배신감을 느꼈고 1960년대 이후로 계속 민주당을 지지하게 된다.

1960년 대선에서 흑인들이 케네디의 당선에 공헌했음이 직접적으로 드러나자, 주류 정치권에서 킹에 대해 호의적인 의견을 가지는 사람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대표적으로 넬슨 록펠러 뉴욕주지사는 킹의 열렬한 팬이 되었다. 록펠러는 부유한 공화당원이었음에도 부자들이 못사는 사람들을 도와야한다는 사상을 가진 사람이었는데, 킹의 흑인 민권을 위한 투쟁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그에게 보석금을 제공했다. 1961년 킹이 올버니에서의 투쟁으로 체포되었을 때, 록펠러는 킹의 개인 비서를 데리고 맨해튼 록펠러 센터 지하주차장으로 내려가 자신의 리무진 트렁크를 열고 달러화가 가득 든 돈가방을 보여주며 킹의 석방 보석금으로 쓰고 남은 돈은 남부에서 흑인 인권을 신장하기 위해 양껏 써달라고 부탁했다. 킹은 록펠러의 조치에 감사를 표하고 "록펠러 같은 주지사가 남부에 4명만 있었어도 진작에 흑인 인종차별이 철폐되었을 것"이라고 했다. 또 저명한 복음주의 목사 빌리 그레이엄도 보수적인 성향에도 불구하고 킹의 석방을 위해 노력했으며, 그가 구속되었을 때마다 남부 주지사와 법집행자들을 설득해 킹이 석방되도록 도움을 주었다. 노동계에서는 월터 루터(Walter Reuther) UAW 조합장이 킹을 공개적으로 지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는 일은 드물었다. 비록 조지아 주가 식당에서의 인종 차별을 철폐하긴 했지만, 이를 점심시간대에 한정하는 합의안을 내면서 흑인 사회에서 불만이 터져나왔다. SCLC 내에서도 킹의 투쟁 방법이 실제로 흑인 민권에 도움이 되냐는 비판론이 청년 목회자들을 중심으로 제기되었다. 일부 흑인들은 당시 한창 떠오르던 말콤 엑스의 과격 투쟁론에 동감하기도 했다. 1964년 갤럽의 여론조사에서 흑인의 71%는 킹의 투쟁론에 동감했지만, 21%는 그의 투쟁론이 너무 물렀으며 폭력혁명이 있어야한다고 주장했다.[21] 이들은 "투표권이 아니면 총알을!"을 외치던 말콤 엑스의 과격 사상에 감화되었으며 백인과의 화해를 부르짖는 킹을 인종 배신자로 공격하기까지 했다.
파일:external/static.guim.co.uk/Martin-Luther-King-Jnr-an-007.jpg
마틴 루터 킹과 말콤 엑스의 처음이자 마지막 만남[22]
다른 한편으로 킹의 명성이 높아지며 주류 정치권에서 킹을 경계하는 목소리도 비례해 커졌다. 존 F. 케네디는 킹의 열렬한 지지자인 로버트 F. 케네디 법무장관의 조언에 따라 킹을 자주 만났지만 한편으로는 로버트 케네디에게 "킹을 만나는건 마치 카를 마르크스가 일주일에 한번씩 백악관에 찾아오는 기분"이라고 했다. 린든 B. 존슨 부통령은 킹을 과격 공산주의자에 위선적인 목사라고 원색적으로 비난했다. 심지어 로버트 케네디마저 킹을 완전히 신뢰하지는 못했는데, 킹의 부인이 사회주의 관련 단체와 연관되어있고 킹이 민주적 사회주의자라는 점을 들어 킹이 공산주의자가 아닌지 의심하기도 했다. 존 에드거 후버 FBI 국장은 1963년 11월부터 케네디 형제의 동의를 얻어 킹을 도감청하기 시작했다.[23]

이러한 킹의 어려움은 1963년 행진을 기획하는 계기가 되었다.

8. 1963년: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1962년 앨라배마 주지사 선거의 당선자는 극렬 인종차별주의자 조지 월리스였다. 그는 무려 9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는데, 당연히 흑인들이 투표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이정도 수치를 얻은 것이었다. 그는 취임식에서 "나는 제퍼슨 데이비스가 선 이곳에서 나의 국민들께 자랑스레 맹세합니다. 남부연합의 요람이자 위대한 앵글로색슨 남부의 심장인 이곳 앨라배마에서 우리는 조상과 마찬가지로 자유의 북소리를 울려야 합니다. (...) 그리고 저는 말합니다, 인종분리는 오늘도, 내일도, 영원히 지속될 것입니다(Segregation now, segregation tomorrow, segregation forever)."라고 선언하며 대놓고 인종주의를 정당화했다. 이것은 그나마 잠잠해졌던 민권투쟁이 다시 격화될 것임을 예고하였다.

월리스가 취임한 지 3달도 지나지 않아, SCLC와 킹은 앨라배마에서 월리스 주지사의 인종주의에 반대하기 위한 행진을 기획했다. 앨라배마 주의 주도인 버밍햄에서 행진이 이루어졌고 청소년과 어린이들도 대거 참석했다. 당시 버밍햄의 치안담당자는 유진 "불" 코너(Eugene "Bull" Connor)였는데, 다혈질적이고 고압적인 성향으로 유명했고 당연히 인종주의자였다. 그는 어린이, 청소년도 가리지 않고 모두 무력 진압하라고 지시했고 버밍햄 경찰은 사냥개와 물대포를 동원해 어린이 시위자를 폭행하며 체포했다. 이는 전세계적인 화제가 되었고 월리스 주지사와 불 코너 서장은 국제적인 비난을 받았다.
파일:1963 버밍햄.jpg
시위자를 물대포로 진압하고 있는 버밍햄 경찰
킹과 SCLC도 위험한 시위에 어린이를 동원했다는 비난을 받았지만, 결국 불 코너가 옷을 벗고 전국적인 반발에 직면한 월리스 주지사가 일부 인종차별 조치를 철회하는 등 효과는 확실했다. 자신감을 얻은 킹은 1963년 8월 워싱턴 D.C.에서 인종차별 철폐를 요구하는 "일자리와 자유를 위한 행진"을 기획했다.

일자리와 자유를 위한 행진은 킹이 주도했지만 "Big Six"라 불리는 다른 흑인 민권운동 리더들도 참여했다. 상술한 CORE의 제임스 파머 의장, NAACP의 로이 윌킨스(Roy Wilkins) 의장, 전국 도시민 협회(NUL)의 휘트니 영(Whitney Young) 회장, 침대차 짐꾼 형제단(BSCP)의 필립 랜돌프(Philip Randolph) 단장, 학생 비폭력 조정위원회(SNCC)의 존 루이스 회장이 그들이었다. 미국 사회당베이어드 러스틴을 비롯한 여러 사회주의자, 자유주의자, 양심적인 백인들도 행진 주최를 도왔다. 반면 말콤 엑스는 행진 참여를 거부했다. 그는 킹의 행진을 "워싱턴의 희극"이라고 비난했으며, 그가 속해있던 네이션 오브 이슬람은 회원의 참석을 금지하였다.
파일:thebigsixcrl-56ec94783df78ce5f835668a.jpg
워싱턴 행진을 기획한 "빅 식스"[24]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킹의 행진을 극도로 두려워했다. 그는 킹을 지지했지만, 한편으로 통제되지 않은 흑인들이 폭동을 일으킬 것을 우려했고, 또 흑인들이 워싱턴 기념탑이나 링컨 기념관에 노상방뇨를 하지 않을까 걱정해 워싱턴 D.C. 경관들에게 임시 화장실을 설치하라고 지시했다. 로버트 F. 케네디 법무장관은 상대적으로 킹과 행진에 더 우호적이었다.

행진 참석자들은 고용차별 근절, 최저임금 지급, 공립학교 차별 철폐, 인종차별적 경찰 채용 금지 등의 목표를 내세웠다. 하지만 핵심은 킹의 짧은 연설이었다. 킹은 17분 분량의 연설을 했는데, 처음에는 무더운 날씨 때문에 반응이 좋지 않았지만 킹이 대본을 벗어나 즉흥연설을 한 순간부터 환호가 터져나왔다. 훗날 모든 역사책에 실려 역사상 최고의 명연설 중 하나로 꼽히는 그 부분으로, 흔히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연설로 불린다.
여러분에게 말씀드릴 것이 있습니다. 나의 벗들이여, - 어제와 오늘 우리가 고난과 마주할 지라도,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그 꿈은 아메리칸 드림에 깊이 뿌리 내린 꿈입니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언젠가 이 나라가 모든 인간은 평등하게 태어났다는 것을 자명한 진실로 받아들이고, 그 진정한 의미를 신조로 살아가게 되는 날이 솟아오리라는 꿈입니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나의 네 아이들이 피부색이 아니라 인격에 따라 평가받는 그런 나라에 살게 되는 날이 오리라는 꿈입니다. 지금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
이것이 우리의 희망입니다. 이것이 제가 남부로 돌아갈 때 가지고 가는 신념입니다. 이런 신념을 가지고 있으면 우리는 절망의 산을 개척하여 희망의 돌을 찾아낼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런 희망을 가지고 있으면 우리는 이 나라의 이 소란스러운 불협화음을 형제애로 가득 찬 심포니(교향곡)로 변화 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런 신념이 있기에, 우리는 함께 일하고, 함께 기도하며, 함께 투쟁하고, 함께 감옥에 가며, 함께 자유를 위해 싸울 수 있으며 우리가 언젠가 자유로워 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그 자유가 울려 퍼지게 할 때, 모든 마을, 모든 부락으로부터, 모든 주와 도시로부터 자유가 울려 퍼지게 할 때, 우리는 더 빨리 그 날을 향해 갈 수 있을 것입니다. 하나님의 모든 자녀들, 흑인이건 백인이건, 유태인이건 비유태인이건, 개신교도이건 가톨릭교도이건, 손을 잡고, 옛 흑인 영가를 함께 부르는 그 날 말입니다.
『드디어 자유가, 드디어 자유가! 전능하신 주님 감사합니다, 우리가 마침내 자유로워졌나이다!』
케네디 대통령의 우려와 달리 시위는 평화롭게 마무리 되었으며, 킹의 명성은 이보다 더 높아질 수 없었다. 킹의 투쟁은 여기서 끝이 아니었다. 1963년 8월 행진 이후에도 메인, 뉴욕, 앨라배마 등 전국을 돌아다니며 흑인들의 열악한 실태를 파악하고 흑인들의 인권을 향상시키기 위한 행진을 기획한 것이다. 킹은 이 과정에서 몇 차례나 체포되며 구금되었지만, 주류 정치권은 민권을 통과시켜야 한다는 합의점을 찾게 되었다.

그 다음 해 킹은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9. 1964년 민권법 통과 이후: 투쟁의 범위가 확대되다

1963년 11월, 케네디 대통령이 암살되었다. 많은 흑인들과 마찬가지로 킹도 케네디의 죽음에 슬퍼했지만, 이는 뜻밖의 기회가 되었다. 케네디가 추진하던 민권법이 존슨에게 넘어온 것이었다. 린든 존슨은 비록 개인적으로는 인종주의자였고 킹을 극도로 혐오하였지만, 철두철미한 전략가였고 흑인이 얼마나 민주당에게 이득이 되는 유권자 집단인지는 1960년 대선을 통해 똑똑히 알게 된 상태였다. 그는 "깜둥이들이 앞으로 200년간 민주당을 찍게 만들것"이라며 민권 법안 통과를 밀어 붙였다.[25] 존슨은 케네디에 비해 훨씬 강한 인물이었고 특히 오랜 기간의 원내 활동, 존 에드거 후버 FBI 국장과의 사적인 친분을 통해 국회의원들의 약점과 스캔들을 줄줄이 꿰고 있는 사람이었다. 그는 민권법 통과를 주저하는 상원의원들을 협박했고, 그렇게 1964년 미국 연방 민권법이 압도적인 격차로 통과되었다.[26] 킹의 투쟁이 결실을 맺은 것이다.

그해의 대선에서 "인종 평등"을 업적으로 내세운 존슨은 61%를 득표해 인종 문제에 관해 남부 주에 권리가 있다고 주장한 배리 골드워터 후보[27]를 압도적으로 꺾고 당선되었다. 이로서 민심의 향방은 명확해졌다. 이후 존슨은 1965년 투표권법, 1968년 공정주택법 등을 통과시키며 미국 사회를 근본적으로 변혁시키는 찬란한 인종평등 정책을 추진시켰다. 그럼에도 마틴 루터 킹은 여기에서 그만둘 수 없었다. 여전히 많은 흑인들이 고통받았기 때문이었다.

민권법의 통과에도 불구하고 흑인들은 남부에서나 북부에서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동안 킹은 인종분리를 철폐하는 것을 제1의 목표로 삼았고, 부차적으로 최저임금 인상이나 투표권 등도 목표로 삼았다. 그러나 실상은 인종통합만이 해결책이 아니었다. 가장 큰 문제는 주거 문제였다. 북부의 대도시에서 인종차별이 법적으로 철폐되었음에도 공인중개사들은 무의식적으로 흑인과 백인에게 다른 주택을 제공했고, 경제적인 사정이 나쁜 흑인들은 다 쓰러져가는 빈민굴에서밖에 살 수 없었다. 뉴욕, 시카고, 뉴어크, 볼티모어와 같은 북부 대도시에서 흑인들만이 몰려사는 "흑인 게토"가 세워졌고 이들은 마약, 매춘, 범죄의 굴레에 빠졌다. 더 심각한 것은 교육이었다. 킹은 교육의 평등을 부르짖었지만, 정작 북부에서도 흑인들이 같은 지역에만 몰려살다보니 흑인 밀집지역의 공립학교(게토)와 백인 밀집지역(교외)의 사립학교로 학군이 나뉘어 흑백 분리가 전혀 시정되지 못한 모습이 나타났다.
파일:MLK 1964.webp
1964년의 마틴 루터 킹
킹은 이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해 1차원적인 분리 철폐 운동을 넘어서는 근본적인 구조 개혁 운동을 시작했다. 말콤 엑스와도 손을 잡고자 했다. 그는 네이션 오브 이슬람을 탈퇴한 말콤 엑스를 향해 상대적으로 호의적인 의견을 냈고, 말콤 엑스도 적대적인 감정을 접고 킹과의 화해를 모색했다. 비록 1965년 말콤 엑스가 암살당하며 둘의 해빙기는 끝나버리고 말았지만, 킹은 말콤 엑스의 사상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아 흑인들을 어렵게 만드는 구조적 문제들을 수선해 흑인 민권운동의 방향을 근본적으로 바꾸고자 하였다.
흑인의 혁명은 흑인의 권리를 위한 투쟁 그 이상입니다. 오늘날의 미국은 인종차별, 빈곤, 군국주의, 물질주의 등 서로 연관된 모든 체제의 결함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우리 사회 전체 구조에 깊이 뿌리내린 폐혜를 폭로합시다. 이것은 표현적인 결함이 아닌, 근본적이고 구조적인 결함을 드러내며 사회 자체를 급진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우리가 제기해야할 실질적인 문젯거리임을 시사합니다.
마틴 루터 킹
1966년 시카고 개방형 주택 운동은 이러한 킹의 사상적 변화를 잘 보여주는 운동이다. 킹은 제한적으로 북부 지역에서 민권 운동을 전개한 적은 있지만, 주 활동은 남부에 집중되었다. 하지만 1966년 킹은 시카고의 빈민가로 직접 이주해 그의 동료인 랄프 애버내시 목사와 함께 도시 게토에 거주하는 흑인들이 공정한 주거권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투쟁하였다. 그는 공인중개사들의 인종차별 중단을 요구하고, 흑인들이 좋은 주택에 거주할 수 있도록 경제적 평등이 보장되어야한다는 주제의 행진을 여러차례 기획했다. 이를 위해 북부의 민권조직인 지역사회 조직 조정 협의회(CCCO)와 협력하기도 했다.
파일:MLK 시카고 행진.jpg
시카고에서 행진하고 있는 마틴 루터 킹
1968년, 킹은 시카고에서의 경험을 확대해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운동"을 조직하였다. 그는 미국 흑인 사회에 만연한 경제적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의미한 베트남 전쟁 지출 확대를 중단하고 이를 흑인 빈곤을 위한 복지 자금으로 사용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흑인을 위한 기본소득을 실시해야한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세계 최초의 보편적 기본소득(UBI)를 향한 논의 중 하나로 여겨진다.[28] 그의 사상은 1960년대 후반에 이를수록 점차 사회주의로 기울었다. 그는 "자본주의는 빈곤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그 역할을 다했다"라고 주장했으며, 미국 사회의 체계적인 결함을 "인종주의, 빈곤함, 군국주의, 물질주의"로 규정하였다. 또 카를 마르크스의 저작을 읽은 후 그의 반자본주의적 주장에는 동감을 표하기도 했다.[29]

킹의 사회적 활동은 옹호보다는 비난을 더 많이 받았다. 킹을 시셈하던 일부 흑인 민권운동 지도자들은 킹이 "대통령 선거에 출마할 욕심을 가지고 사회문제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아니냐"며 비난했고[30], 백인들의 반응은 말할 것이 없었다. 많은 백인들은 킹의 인종분리 반대를 지지했지만, 그것을 넘어서 구조적 빈곤 등을 지적하는 행보가 공산주의, 마르크스주의와 연관되어있거나 정치적 야심이 담긴 행보라고 확신했다. 1966년 시카고 투쟁은 킹에 대한 백인들의 적대감을 보여주었다. 킹 목사와 애버내시 목사는 배울만큼 배운 시카고의 중산층들이 정작 남부 백인우월주의자들보다도 킹에게 더 적대적이라는 사실에 놀랐는데, 누가 창가에서 벽돌을 던져 킹이 다치기도 했다. 킹은 행진에 반발하는 백인들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리처드 데일리 시카고 시장에게 경호를 요청해야했다. 린든 B. 존슨 대통령도 킹을 공산주의자라고 생각해 존 에드거 후버에게 강력한 감시를 지시했다.[31]

10. 베트남 전쟁 반대와 여론 악화

그의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은 베트남 전쟁에 대한 반대에서 극에 달했다. 킹은 1963년 베트남 전쟁이 일어났을 때부터 베트남 파병에 회의적인 입장이었다. 하지만 베트남 전쟁의 대의에는 동의할 수 있었고[32] 베트남 전쟁을 지지하는 여론도 압도적이었기 때문에 감히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입장을 낼 수 없었다. 1966년부터 전황이 악화되자, 킹의 베트남 전쟁에 대한 반감은 더 심화되었다. 베트남 전쟁으로 흑인의 빈곤을 해결할 수 있는 막대한 돈이 무의미하게 군비로 돌아간다는 점도 킹이 베트남 전쟁에 격하게 반대하게 만들었다.

1967년, 킹은 마침내 오랜 침묵을 깨고 베트남 전쟁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킹은 베트남 전쟁을 린든 B. 존슨과 미군의 "군국주의적 시도"라고 강하게 비판하고, 식민지를 잃기 싫어하는 구 제국주의 국가가 제3세계 국가를 수탈하려는 또다른 시도라고 칭했다. 그는 미국이 베트남에서 무고한 어린이 수백만을 살해했고 북베트남의 토지개혁을 방해함으로서 베트남을 수탈하고자 하는 다국적 기업의 이익만을 도왔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남베트남의 인권 상황에도 관심이 많았다. 남베트남 정부가 비록 킹의 종교인 기독교를 밀어주긴 했지만[33], 킹은 한 종교가 다른 종교를 박해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해 불교를 박해하는 남베트남 정부에 반감을 가졌으며, 틱꽝득의 소신공양을 칭찬하기도 했다. 1968년에는 틱낫한 스님과 교류하며 남베트남 불교도와 미국의 기독교도가 평화의 연대를 할 수 있기를 바란다는 편지를 썼고, 틱낫한을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하였다.
파일:MLK 베트남.jpg
베트남 전쟁 반대 시위에서 행진하는 마틴 루터 킹
킹의 베트남 전쟁 반대는 "실수"처럼 비추어졌다. 1967년~1968년에는 비록 베트남 전쟁을 지긋지긋해하는 여론은 있었지만 그렇다고 베트남 전쟁이 미국의 잘못이라고 말하는건 다수의 의견이 아니었다. 여전히 미국인 40%는 존슨의 베트남 전쟁을 지지했으며, 베트남에서 미군이 즉시 철수해야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의 비중은 겨우 20%에 불과했다. 당시 미국인들은 베트남 전쟁에서 미군이 지지부진한건 인정했지만, 차마 미국이 부당하게 북베트남을 공격했다거나 전쟁범죄를 일으켰다는 사실은 인정하지 못했다. 워싱턴 포스트는 그의 월남전 반대가 "그의 사회적 운동의 진정성을 약화시켰고, 그의 대의, 그의 나라, 그의 국민을 향한 킹의 설득력을 반감시켰다"라고 지적했다. 킹을 지지했던 빌리 그레이엄 목사도 킹이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며 공산주의의 편에 섰다며 킹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기에 이른다. 많은 노동조합, 언론사, 주류 정치가들이 킹과 거리를 멀리했다.

여론조사 결과도 마찬가지였다. 1965년 갤럽의 여론조사에서 킹에 대한 미국인들의 호감도는 45%, 비호감도는 46%였다. 하지만 1968년 해리스의 여론조사에서 킹에 대한 지지도는 20%대로 폭락한 반면, 그를 지지하지 않거나 혐오한다는 의견은 무려 75%에 달했다.

당시 제기된 가장 많은 비판은 세 가지였는데, 첫번째는 그가 북베트남 정부와 공산주의를 옹호한다는 것이었고, 두번째는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학생 시위대를 격려하며 폭동을 선동하고 있다는 것이었고, 세번째는 민권운동과 베트남 전쟁은 아무 연관이 없는데 자신의 명성을 악용해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려고 일부러 베트남 전쟁에 관심을 가진다는 것이었다. 킹은 이에 대해 "나는 베트남 전쟁 반전운동과 민권운동을 억지로 연대시키려는 것이 아닙니다. 나는 민권운동의 열기가 평화운동에 스며들어 더 큰 힘을 실어주길 바랍니다. 평등이라는 도덕적 명령과 세계 형제애의 도덕적 명령은 같은 것입니다. 어느 한쪽에 참여하는 사람이든 궁극적으로 두 운동이 정의를 위한 선임을 알게 될 것이라 믿습니다"라고 답했다.

11. 68 운동

1968년은 킹의 마지막 해이자 미국사에서 가장 혼란스러웠던 한해로 지목되는 해이다. 미국 전역은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대학생들의 시위로 뒤덮였고 흑인들은 진정한 경제적 평등을 외치며 폭동을 일으켰다. 킹은 무척이나 난처한 입장에 처했는데, 그는 성난 흑인들을 잠재우고 그의 비폭력 투쟁을 외칠 의무감을 떠안았고 또 한편으로는 베트남 평화운동과 민권 운동에 반발하는 대다수의 백인 중산층들에 맞서야했다. 킹을 싫어하는 인종주의자들은 그가 어떻게 비폭력 운동가냐고 반문했다. 킹을 지지하는 대학생과 흑인들이 폭동을 일으키고 도시를 폐허로 만들면서 킹이 "비폭력"을 주장하는건 위선이라고 공격했다. 킹에 대한 여론은 1968년 최악으로 치달았고, 대다수의 백인들은 킹이 1968년의 혁명을 배후에서 지휘한 과격 공산혁명가라고 생각한다는 점이 명확해졌다. 심지어 SCLC의 동료 민권운동가들조차, "킹의 백인 사이에서의 인식이 너무 나빠져 그를 전면에 내세울 수 없게 되었음"을 결론짓기도 했을 정도였다.

킹이 1968년 혁명에 대해 가지고 있는 관점은 명확했다. 그는 68혁명의 대의를 전폭적으로 지지했으며, 그들에 대한 응원의 메시지를 보냈다. 하지만 폭동을 일으키는 흑인이나 대학생들의 히피 운동에는 결단코 반대했다. 그는 "폭력은 결코 안된다"라며 비폭력적으로만 혁명이 일어나야한다고 강조했다. 마약을 피우고 저항문화에 심취한 대학생들을 향해서는 "현실의 문제에 직면해야한다. 평화만을 외쳐서는 사회가 변하지 않는데 현실을 도피하고 쾌락에 탐닉하고 있다"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미국의 분위기는 너무 혼란스러웠기 때문에 킹의 호소는 잘 전달되지 않았다.

1968년 2월부터 킹의 주요 관심사는 1968년 미국 대통령 선거였다. 1968년 미국 대선 앞두고 린든 B. 존슨 대통령이 3선을 선언하고, 리처드 닉슨도 재출마를 시사한 상태였다. 한편 킹을 이 세상에서 가장 싫어하는 정치인인 조지 월리스 앨라배마 주지사는 존슨과 닉슨 모두를 "백인을 배반한 인종배신자"라고 비난하며 제3지대 후보로 출마를 시사해 남부 백인들 사이에서 엄청난 지지를 얻고 있었다. 일부 백인 평화운동가들은 킹이 대선에 출마해야한다고 설득했다. 존슨에 반대하는 반전운동가인 앨러드 로웬스타인(Allard K. Lowenstein)이나 1928년 미국 대선의 사회당 후보였던 노먼 토머스는 킹을 지지한 대표적인 인사였는데, 그가 민주당의 대선 예비후보로 출마해 존슨의 3선을 좌절시켜야한다고 주장했다.

킹은 주류정치권에 환멸을 느끼고 있었으며 존슨, 닉슨, 월리스 모두에 반대했고 대선 출마도 단칼에 거절했다. 그가 대선에 출마한다면, 그의 "정치적 야심"을 공격하던 많은 사람들의 먹잇감이 될 것이 뻔했기 때문이다. 1968년 3월 뉴햄프셔 경선에서 존슨이 예상치 못한 패배를 당해 3선을 포기하고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유진 매카시가 부상했을 때도 킹은 매카시에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대신 로버트 F. 케네디에 일부 희망을 걸었다.

킹은 그의 마지막 나날들을 로버트 F. 케네디와의 연대에 보냈다. 그는 로버트 케네디 공개 지지를 고민하고 있었고, 암살 직전의 마지막 녹취록에서 "오로지 로버트 케네디만이 인종 갈등과 베트남 전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라고 측근들에게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한편으로 로버트 케네디가 린든 B. 존슨의 정치적 공작을 이겨낼 수 없으며 결국 존슨의 지지를 받는 휴버트 험프리에 밀려 민주당 후보로 지명될 수 없을 것이라고도 생각했다.[34] 전반적으로 그의 관심은 1968년 대선에서 흑인을 대변하는 대선 후보를 지지하고, 흑인이 처한 실질적인 문제를 어떻게 주류 정치권에 호소할 수 있을지에 대한 것으로 기울었다.

12. 암살: 검은 새가 날아오르다

Blackbird singing in the dead of night
깊은 밤 속에서 노래를 부르는 검은 새여
Take these broken wings and learn to fly
망가진 날개를 가지고 하늘을 나는 법을 배워봐요
All your life
당신 생애 내내
You were only waiting for this moment to arise
이 날아오르는 순간만을 기다리고 있었잖아요
비틀즈의 노래 Blackbird[35]
미국에 필요한 것은 분열이 아닙니다. 미국이 필요로하는 것은 증오가 아닙니다. 미국에 필요한 것은 폭력과 불법이 아니라 서로를 향한 사랑과 지혜, 연민이며, 백인이든 흑인이든 그 사람이 고통받고 있다면 그들을 위해 품을 수 있는 우리 속의 정의감입니다.
(...)
우리는 어려운 시간을 겪을 것입니다. 과거에도 그랬고, 앞으로도 그럴 것입니다. 폭력이나 불법, 무질서가 당장 끝나지는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 나라에 살아가는 대다수의 백인과 흑인은 함께 살기를 원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길 원하며, 지구에 살아가는 모든 인류를 위한 정의를 원합니다. 오래 전 그리스 시인이 쓴 글, 즉 인간의 야만성을 길들이고 이 세상의 삶을 온화하게 하는 것에 헌신합니다. 이를 위해 오늘 밤 우리나라와 우리 국민을 위해 기도합시다.
로버트 F. 케네디의 마틴 루터 킹 추도 연설문
1968년 3월 마틴 루터 킹은 테네시 주 멤피스에서 환경미화원들의 인권 개선을 위한 행진을 기획하였다. 멤피스의 흑인 환경미화원들은 보호법도, 최저임금도, 안전수당도 없이 일하고 있었으며 한달 전 환경미화원 두 명이 쓰레기 압축 트럭에서 끔찍하게 죽는 사고가 일어나며 흑인 환경미화원들이 파업을 벌이고 있던 상황이었다. 킹은 4월 3일 흑인 노동자들을 격려하기 위해 "I've Been to the Mountaintop(나는 높은 산 꼭대기에 다녀왔다)" 로 시작하는 짧은 연설을 했다.
우리는 지금 인류 역사상 가장 어려운 문제를 반드시 풀어야 할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우리 모두의 생존을 위해서는 그 문제를 반드시 풀어야만 합니다.

오늘 저녁 우리는 좀 더 단단한 각오로 굳세게 일어서도록 합시다. 좀더 확고한 신념을 갖고 힘차게 전진하도록 합시다. 우리의 조국이 본연의 모습을 회복할 수 있도록 우리 모두 힘찬 행진을 시작하도록 합시다. 우리에게는 조국을 좀 더 살기 좋은 나라로 만들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주어져 있습니다.

앞으로 무슨 일이 일어날지 저는 전혀 알 수가 없습니다. 어쩌면 우리 앞에는 무섭고 어려운 날들이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것이 저에게는 아무런 문제도 되지 않습니다. 저는 높은 산 꼭대기에 올라 '약속의 땅'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오래 오래 행복하게 사는 것이 모든 사람의 염원일 것입니다. 하지만 저에게는 그런 염원이 없습니다. 저는 오로지 하나님의 뜻을 따르고자 할 뿐입니다. 하나님은 저를 높은 산 꼭대기로 데려가셨습니다. 거기서 저는 굽어보았습니다. '약속의 땅'이 제 눈 앞에 펼쳐져 있었습니다.

제가 여러분과 함께 그 땅에 들어가지 못할지도 모릅니다.[36] 하지만 여러분은 오늘 저녁 분명히 알아두셔야 합니다. 여러분 모두가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저 '약속의 땅'에 들어가게 될 날이 반드시 오고야 말리라는 것을.

오늘 저녁 저는 대단히 행복합니다. 저에게는 아무런 걱정도 없습니다. 저는 그 누구도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저의 눈은 오로지 다시 이 땅을 찾아오시는 주님의 영광을 바라볼 따름입니다.[37]
1968년 4월 4일 킹은 오랜 친구인 애버내시 목사와 함께 로레인 모텔 306호에 머물고 있었다. 오후 6시, 그는 시카고에서 민권운동을 이끌고 있던 젊은 흑인 목사 제시 잭슨과 대화를 나누었다. 제시 잭슨은 킹의 시카고 주택 투쟁의 유산을 이어받은 킹의 후계자 중 한 명이었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킹은 발코니 난간에 등을 기대고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파일:MLK 사망 직전 사진.webp
마틴 루터 킹의 생전 모습이 찍힌 마지막 사진[38]
오후 6시 1분, 레밍턴 모델 760에서 발사된 총알이 킹의 뺨을 관통했다. 총알은 척추뼈를 부러트리고 경정맥과 동맥을 절단한 후 어깨에 박혔다. 킹은 즉시 의식을 잃고 쓰러져 제시 잭슨의 품에 안겼다. 킹의 측근 중 하나인 앤드루 영 목사가 달려와 킹의 맥박을 확인했다. 킹은 아직 살아있었고, 즉시 인근의 성 요셉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다. 의사들은 심폐소생술을 시도했지만 내부 출혈이 너무 심해 살아날 가망이 없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결국 총격 1시간만인 오후 7시 5분 킹은 사망했다. 향년 39세.

킹을 살해한 사람은 과격파 백인단체 소속의 제임스 얼 레이(James Earl Ray)인 것으로 드러났다. 제임스 얼 레이는 인종차별주의자였으며, 당시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인종주의자 조지 월리스의 열렬한 지지자였다. 이전에도 주유소나 가게 등에서 도둑질을 한 혐의로 교도소를 3번이나 복역한 범죄자였고, 세 번째 범죄를 저지르고 20년형을 선고받고 복역중이었는데 1967년에 탈옥한 상태였다. 이후 미국과 멕시코를 오가며 도망생활을 하다가 앨라배마 주 버밍엄에서 가명으로 레밍턴 모델 760 소총.30-06 스프링필드 총알 20발, 망원조준경을 구입했다. 그리고 4월 2일 테네시 주 멤피스로 와서 마틴 루터 킹이 투숙하는 로레인 모텔 맞은편의 셋방을 빌렸다.

제임스 얼 레이는 킹 목사를 살해한 후 총을 버리고 도주했고, 애틀랜타를 들러서 캐나다 토론토로 도망쳤다. 그리고 거기서 가명으로 가짜 캐나다 여권을 구해서 영국으로 도망쳤고, 영국에서 포르투갈 리스본으로 도망쳤다가 다시 런던으로 돌아갔다. 그리고 벨기에 브뤼셀로 도망치려다가 가짜 여권이 발각되어 영국 경찰에게 체포되어 미국으로 추방당했다. 추방된 얼 레이는 FBI에 체포되어 99년형을 언도받아 복역하다 1977년에 탈옥을 또 감행했지만 3일 만에 붙잡혔다. 형은 100년으로 늘어났고, 1998년 4월 23일에 교도소에서 지병인 C형 간염으로 인한 합병증이 악화되어 콜롬비아 주에 위치한 내슈빌 기념 병원에서 70세로 사망했다.[39]
파일:킹 피격.webp
킹의 피격 사실을 알리는 뉴욕 타임스의 1면
킹의 사망은 전국적으로 큰 충격을 불러일으켰고, 흑인들에게는 특히 큰 슬픔이었다. 킹의 사망 소식이 알려지자마자 전국의 100여개 대도시에서 폭동이 일어났다. 폭동이 일어나지 않는 대도시는 2곳이었는데, 뉴욕인디애나폴리스였다. 뉴욕에서는 존 린지 시장이 할렘을 찾아 킹을 추모하고 백인우월주의자를 비난하는 연설을 해 흑인들에게 환호를 받았고 소요사태가 일찍이 진정되었다. 인디애나폴리스에서는 로버트 F. 케네디가 즉흥연설을 한 것이 도움이 되었다는 말이 많다. 로버트 F. 케네디는 형의 암살 이후 자신이 겪은 슬픔을 회상하며 킹의 비폭력 사상이 가지는 의의를 상기시키고 그의 유산을 위해 계속 싸우자고 흑인들을 북돋았다. 로버트 케네디의 연설에 감화된 흑인들은 자진해 시위를 해산했다.

하지만 백인에 대한 흑인의 울분은 몇 연설로 막을 수 없는 것이었다. 볼티모어, 필라델피아 등 흑인의 비중이 높은 거의 모든 도시에서 흑인에 의한 약탈, 방화가 일어났다. 백인들의 경우 반응이 엇갈렸다. 백인들의 반응은 크게 3가지였는데, 첫번째는 분노, 두번째는 슬픔, 세번째는 "킹의 죽음은 그가 자초한 것"이라는 킹에 대한 비판론이었다.

킹의 장례식은 4월 9일 치러졌다. 총 30만명의 미국인이 그의 장례식에 참석했는데, 이는 미국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들이 참석한 장례식 중 하나였다. 이 장례식에 참석한 백인 정치인들은 거의 모두 비난을 받았다.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흑인들이 폭동을 일으킬 것을 두려워해 자신 대신 휴버트 험프리 부통령을 참석하게 하였다. 공화당의 대권주자였던 리처드 닉슨은 장례식에 직접 참석했지만 흑인들에게 욕만 먹었고, 일부 흑인은 닉슨을 향해 침을 뱉기도 했다.[40] 로버트 F. 케네디는 이 장례식에 참석한 백인 중 유일하게 비난이 아닌 박수갈채를 받은 사람이었다. 안타깝게도, 로버트 케네디 역시 두달 후 암살당해 흑인들을 또다시 슬프게 했다.

13. 사후: 투쟁은 계속된다

킹의 사후 흑인 민권운동가와 그 지지자들은 분열되었다. 랄프 애버내시 목사와 제임스 파머 CORE 의장은 킹의 비폭력 운동의 의의를 언급하며 비폭력 운동이 계속되어야하고, 흑인에 의한 폭동은 옳지 않다며 진정할 것을 촉구하였다. 하지만 강력한 지도자를 잃은 흑인 민권운동은 분열하기 시작했다. 킹의 조직인 SCLC는 1968년부터 1970년까지 지도자를 잃고 표류하며 크게 분열되었고, 특히 랄프 애버내시 목사와 제시 잭슨 목사 간의 갈등이 두드러졌다. 제시 잭슨은 킹과 달리 사회주의를 지지하지 않았고, 실력양성론도 필요하다고 보는 입장이었다. 잭슨은 1970년 SCLC 지도부와의 갈등 끝에 SCLC를 탈퇴, Rainbow/Push 조직을 창단했다. 1970년대 이후 흑인민권의 중심축 역시 SCLC에서 Rainbow/Push로 옮겨갔고, 이들은 흑인 정치인과 기업인을 다수 배출하며 흑인 민권을 일부 개선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

킹의 후계자들은 정치권에 진출해 어느 정도의 성공을 거두었다. 킹의 보좌관이었던 앤드루 영 목사는 지미 카터 조지아 주지사와 친근한 관계를 쌓았는데, 이후 카터에 의해 UN 대사로 임명되었다. 그는 후일 애틀랜타 시장으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애틀랜타 시장으로 애틀랜타의 인종갈등을 해소하고 대기업 본사를 유치해 애틀랜타 역대 최고의 시장이라는 평도 받았다. 다만 한국인, 유대인, 아랍인 등을 향한 혐오 발언으로 논란을 자초하기도 했다. 킹과 함께 1963년 워싱턴에서 행진한 SNCC의 리더 존 루이스는 민주당의 하원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2020년 8월 사망할때까지 하원의원으로 재직하며 모든 흑인 하원의원 중 가장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죽기 직전에는 트럼프를 비판하고 조 바이든에 대한 지지를 촉구하기도 했다. 제시 잭슨 목사는 해럴드 워싱턴 시카고 시장 등 흑인 정치인들을 지원하는 활동을 하다가, 1984년과 1988년 흑인 정치계의 힘을 보여주기 위해 민주당 예비선거에 출마해 꽤나 선전했다. 1988년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그의 기조연설[41]은 킹의 연설만큼이나 훌륭했다는 평을 받는다.

로버트 F. 케네디는 킹의 유산을 잇는다는 명목을 세우며 민주당 예비선거에 출마했으나, 킹이 살해된지 딱 2달만인 6월 4일 팔레스타인 이민자에게 암살당하며 대통령의 뜻을 이루지 못했다. 그는 흑인에게 90~95%의 표를 받을정도로 압도적인 지지를 받고 있었는데, 킹의 사망 2달만에 로버트 케네디마저 사망하자 많은 흑인들은 "우리에게 잘해주려는 사람들은 다 죽는다"라며 절망에 빠졌다. 1968년 대선에서는 흑인 민권정책의 지속을 주장한 휴버트 험프리가 아닌, 흑인 폭동을 막겠다며 보수적인 수사를 차용한 리처드 닉슨이 승리했는데, 이것은 일시적으로 흑인 민권정책에 반대하는 세력이 승리한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킹의 사후, 제시 잭슨과 같은 그의 후계자들이 정계에 나서 흑인 민권을 위해 계속 싸우고 흑인들의 사회 진출도 가속화되면서 197~80년대 킹의 재평가가 시작되었다. 1983년, 미국 상하원은 "마틴 루터 킹의 날"을 제정하고자 시도했다. 처음에는 미국인의 48%에 마틴 루터 킹의 날 제정에 반대했지만, 연말에 이 수치는 30%대로 떨어졌다. 남부의 많은 상원의원들이 마틴 루터 킹의 날을 제정하면서 자신의 잘못을 반성하고 킹을 칭찬하는 말을 남겼다. 민주당의 상원 원내대표인 로버트 버드가 대표적이었다. 로버트 버드는 한때 KKK단의 열성 단원으로 흑인 인종차별을 신념으로 굳게 견지했던 인물이었다. 그러나 마틴 루터 킹의 날을 제정하면서 자료를 찾아보고, 킹에 대해 자세하게 알게되면서 자신이 틀렸다는 것을 깨달았고, 이때부터 흑인의 인권을 상원에서 가장 강하게 지지하는 상원의원으로 거듭났다.[42] 상원은 78 대 22라는 압도적인 격차로 "마틴 루터 킹의 날"을 통과시켰다.

가장 극적인 것은 앨라배마 주의 변화였는데, 앨라배마 주는 마틴 루터 킹의 날 제정에 소극적이었지만 결국은 마틴 루터 킹과 로버트 E. 리의 생일을 같이 기리는 합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키며 마틴 루터 킹의 업적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그리고 "마틴 루터 킹의 날" 법안에 서명한 앨라배마 주지사는 바로 조지 월리스였다. 월리스는 1972년 총격 사건 때 자신을 수술한 의사가 흑인이라는 사실에 충격을 받고 인종차별의 반대자로 돌아섰고, 마틴 루터 킹의 업적을 옹호하고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발언을 남겨 미국인들을 놀라게 하였다. 이렇게 킹의 유산은 그의 사후 30년동안 서서히 재평가되었고, 미국인들이 가장 존경하는 위인으로 거듭났다.

14. 무덤과 추모 조형물

파일:external/farm3.staticflickr.com/2105517105_313f6f3646_z.jpg
킹 목사의 무덤은 2006년 1월 30일에 향년 79세로 타계한 부인 코레타 스콧 킹 여사와 함께 안장된 합장 석관 형태로 조성되어 있다.[43] 왼쪽 부분에 있는 그의 석관에는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의 마지막 문장 "드디어 자유가, 드디어 자유가! 전능하신 주님 감사합니다, 우리가 마침내 자유로워졌나이다!"의 끝을 조금 바꾼 "마침내 제가 자유로워졌나이다!" 가,[44]

오른쪽에 있는 부인의 석관에는 고린도전서 13장 13절 "그러므로 이제 믿음과 소망과 사랑 이 세 가지는 계속됩니다. 그 가운데에서 으뜸은 사랑입니다."가 묘비명으로 새겨졌다.

파일:external/media.cleveland.com/martin-luther-king-memorial-barack-obama-washington-mall-101611jpg-30890990aeb3f677.jpg
2011년 8월 22일 킹 목사 추모 조형물이 워싱턴 D.C.의 내셔널 몰에서 일반에 공개되었고, 개장식에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제시 잭슨 목사를 비롯한 미국의 주요 흑인 명사들이 참석했다. 그런데 조형물의 시안이 공개되었을 때는 조각상의 자세가 너무 위압적이라는 지적이 나왔으며, 조각에 착수했을 때는 흑인을 하얀 돌로 조각하는 게 타당한지를 놓고 일부가 갑론을박을 벌인 적이 있다.


[1] 킹의 자서전을 포함한 여러 기록에서 똑같이 확인된다. 그러나 '어머니'라고 딱 짚기보다는 '두 백인 친구(형제 혹은 쌍둥이)의 부모님' 정도로만 기록되어 있고, 정확한 이름은 나와 있지 않다.[2] 해당 만화 위인전에서는 크로젤이라고 되어 있지만 후술하다시피 크로저(Krozer)가 맞다. 이 위인전은 부록에서 말콤 엑스를 소개할 때도 본래 성씨인 '리틀(Little)'을 '리토르'로 기재하는 오류를 저질렀다.[3] Dexter Avenue Baptist Church. 현재는 킹의 이름을 붙여서 Dexter Avenue King Memorial Baptist Church(#)로 불린다.[4] 시카고의 웨스트 사이드 중 노스 론데일(North Lawndale)로, 정확한 주소는 1550 South Hamlin Avenue이다.[5] 과거 속의 까마득한 인물처럼 느껴질 수 있겠지만, 최근까지 살아있었던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일본 총리, 지미 카터 전 대통령, 헨리 키신저 전 국가안보보좌관 등보다도 생일이 늦다! 단지 킹이 요절해서 그렇지.[6] 맨 앞부터 마틴 루터 킹, 마틴 루터 킹의 아들인 킹 3세, 그의 아버지인 킹 시니어이다.[7] 킹 이전에 가장 유명했던 흑인 민권운동가 중 하나로, 공화당의 고위정치가, 백인 사업가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주류 정치권과 재계에서 흑인의 권익을 넓히고자 노력했다. 그의 고향인 조지아 주 터스키기에 기술학교(現 터스키기 대학교)를 설립해 취업의 어려움을 겪던 흑인들에게 직업 교육을 시킨 것으로 유명하다. 여러모로 실력양성론자인 셈인데, W. E. B. 듀보이스와 같은 강경 투쟁론자들에게는 인종차별의 구조적인 면을 무시한다며 비판의 대상도 되었고 특히 공화당 정치가들과 유착 관계를 가져 후대의 흑인 민권운동가들에게는 "아첨꾼" "배신자" 등의 비난을 받았다. 다만 현대에는 그의 공적도 어느 정도 인정받고 있으며 흑인 보수주의, 블랙 캐피탈리즘의 원형으로 꼽히며 재평가되기도 한다.[8] 대학교와는 약간 개념이 다르다. 대학교 진학 이전에 다니는 학교 개념인데 한국과 미국의 학제 시스템이 약간 달라서 착각할 수 있다.[9] 당시 남부 교회는 아예 흑인의 교회 출석을 금지하거나, 출석을 허용하더라도 의자 대신 복도에 쭈그려 앉게 하는 등 노골적인 차별을 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결국 1870년대 남부 흑인들은 독자적인 흑인 교회와 교파를 창단해 교회에서의 인종 분리가 이루어졌고, 이후에는 남부의 많은 주에서 법으로 흑인이 백인과 같은 교회에 다닐 수 없게 만들어버렸다.[10] 1965년 연방 대법원의 러빙 대 버지니아(Loving v. Virginia) 판결로 인종간 결혼을 불법으로 만드는 주법이 위헌이라는 판결이 나왔고, 그 이전까지는 다수의 주에서 흑백 결혼이 불법이었다. 심지어 일부 남부 주에서는 2010년대까지도 흑백 결혼 금지 조항이 문자상으로나마 유지되고 있기까지 했다.[11] 시정부는 조사하겠다면서 제보에 대해 사례금까지 걸었지만, 단 한 명도 기소되지 않아서 결국 미제사건이 되었다고 한다.[12] 풀브라이트 장학재단의 그 사람 맞다. 내치에서는 인종주의를 옹호한 극우파였지만 정작 외교적으로는 베트남 전쟁에 강경하게 반대하고 68혁명 때 학생 시위대를 옹호하는 평화주의적 행보를 보여 여러모로 당대 남부의 복잡한 정치적 성향을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13] 여기에 서명하지 않은 남부 상원의원은 단 세명 뿐이었는데, 텍사스의 린든 B. 존슨(원내대표라서 정치적 중립을 지키기 위해 서명하지 않음), 테네시의 에스테스 키포버, 테네시의 앨버트 고어 시니어가 그들이다.[14] Letter opener. 종이로 만든 칼이 아니라 편지 등 종이로 된 우편물이나 포장지를 개봉하는데 쓰이는 칼이다.[15] 킹이 도망을 치거나 칼이 명치를 찌르지 못 하고 빗맞췄을 경우를 대비했는지 착용하고 있던 브래지어안에 장전 된 Galesi-Brescia Brevetto 5 권총을 소지하고 있었다.[16] 킹의 사후 출간된 자서전에서 킹의 치료를 담당했던 메이너드 박사의 증언이 서술되어 있었는데, "칼날 끝이 대동맥에 닿았고 대동맥을 빼내기 위해 가슴 전체를 열어야 했습니다. 당신(마틴 루터 킹)이 수술을 하는 동안 재채기를 했다면 당신의 대동맥에 구멍이 뚫렸을 것이고 당신은 과다 출혈로 사망했을 것이다"라고 증언했다.[17] 흑인 중 68%가 케네디에, 32%가 닉슨에 투표했다.[18] 다만 타임에 의하면 킹의 정치 성향은 시대에 따라 계속 변했으며, 1958년의 인터뷰에서는 '나도 여러분도 특정 당에 얾매이지 않는 게 좋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19] 민권운동 지지자이자, 공화당원인 재키 로빈슨이 직접 닉슨과 만나 청원했지만 닉슨은 매몰차게 성명 발표를 거절했다.[20] 이 외에도 닉슨은 흑인 민권 문제에 냉담한 반응을 보였는데, 그의 부통령 후보인 헨리 캐벗 로지가 할렘가 유세에서 흑인 장관을 임명하겠다고 공약하자 닉슨이 직접 나서 그런 공약은 사전에 합의된 적이 없다며 물먹인 적도 있었다.[21] 8%의 흑인들은 킹의 투쟁이 너무 과격하다고 생각했다. 이들은 대체로 부유한 흑인들이었는데, 킹이 공산주의자이며 계급투쟁으로 자신들을 몰아내려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22] 스파이크 리의 영화 <똑바로 살아라>의 마지막 장면에서 킹과 엑스가 악수하는 사진이 나온다.[23] 로버트 케네디가 어째서 킹에 대한 도청을 허가했는지는 역사적으로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버가 문란한 성생활로 유명한 케네디 형제를 협박하며 킹 도청을 허가하도록 압박했다는게 사실상의 정설처럼 받아들여진다. 극단적으로는 후버가 로버트에게 직접 그와 마릴린 먼로가 숨을 헐떡이는 도청 파일을 들려주며 킹에 대한 도감청을 허가하라고 협박했다는 음모론까지 있다. 마찬가지로 성생활이 꽤 문란했던 마틴 루터 킹은 동방상련의 감정이라도 느낀건지, 순순히 로버트 케네디의 사과를 받아들이고 그가 "어쩔 수 없이" 도청을 허가한 점을 이해해야 한다고 말하기까지 했다(...).[24] 왼쪽부터 존 루이스, 휘트니 영, 필립 랜돌프, 마틴 루터 킹, 제임스 파머, 로이 윌킨스.[25] 존슨의 말대로, 1964년 이후 흑인들은 80%가 넘는 압도적인 투표율로 민주당을 밀어주고 있다. 가장 최근의 대선인 2020년 대선에서도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흑인 표의 89%를 득표했을 정도.[26] 스트롬 서먼드, 로버트 버드 등 남부 상원의원들은 필리버스터를 시도하며 발악했지만 그 전에 필리버스터를 강제 종료시킬만한 표가 모이며 이들의 발악은 무위로 돌아간다.[27] 재밌게도 존슨과는 정 반대의 성향이었던 인물이다. 골드워터는 NAACP 애리조나 지부의 창립 발기인이었을만큼 개인적으로는 인종평등을 강력하게 지지하는 사람이었다. 하지만 연방 정부가 주의 문제에 개입해서는 안된다는 극단적인 우파 자유지상주의 사상을 믿었고, 그 논리로 연방 민권법에 반대했다. 당연하지만 마틴 루터 킹을 비롯한 흑인 민권운동가들에게는 씨알도 안먹히는 뜬구름 잡는 소리였고, 킹은 앞장서서 존슨을 지지하며 골드워터를 거부해야한다고 목소리 높였다. 그 결과 골드워터는 흑인 사이에서 겨우 6%(...)만을 득표하는 굴욕을 당했고, 존슨은 흑인 표의 94%를 획득했다.[28] 1972년 대선을 앞두고 닉슨은 선별적 기본소득인 가족지원계획(FAP)을 추진했고, 상대 후보자인 조지 맥거번은 연간 1,000달러의 보편적 기본소득을 제안한 바 있다. 하지만 이 두 계획 모두 보수파의 반발을 사면서 무위로 돌아갔고 2020년대까지 기본소득 논의는 중단된다.[29] 그러나 킹은 궁극적으로는 마르크스주의에 동의할 수 없었는데, "종교는 인민의 아편" 등의 반기독교/유물론 사상에 반감을 가졌기 때문이다. 또 소련, 중국의 인권탄압을 비판하고 소련의 탄압받는 정교회 성직자들과 연대를 시도하기도 했다.[30] 킹의 정적 뿐 아니라 옛 동료들도 그를 비판했는데, 가령 그의 사회주의 사상에 영감을 준 좌파 운동가 베이어드 러스틴은 킹의 사회운동이 너무 광범위해서 실질적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비판하며 킹과 결별했다.[31] 린든 존슨은 킹을 사적으로 매우 싫어했는데, 그를 주체할 수 없는 극렬 공산주의자이자 위선적인 간음꾼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존 에드거 후버가 감청한 마틴 루터 킹의 혼외정사 테이프를 들으며 박장대소하기도 했다.[32] 킹의 입장에서 북베트남은 기독교도들을 탄압하는 공산국가였기에 전혀 연대의 대상이 아니었다.[33] 다만 응오딘지엠은 가톨릭교도였고 킹은 침례교도였다는 차이점이 있다.[34] 그와 로버트 케네디의 암살 때문이긴 했지만 민주당 경선은 결국 그의 예측과 똑같이 되었다. 그리고 험프리마저도 리처드 닉슨에 패했다.[35] 마틴 루터 킹을 추모하기 위해 만들어진 노래이다.[36] 출애굽기모세도 '약속의 땅' 가나안 에 들어가지 못했다. 매우 상징적인 발언. 그리고 마치 유대 신화의 40년의 방황을 재현이라도 한 것처럼, 정확히 루터 킹 사후 40년 뒤인 2008년, 버락 후세인 오바마가 대통령에 당선되게 된다. # 당시 루터와 함께 했던 상당수 인사들도 살아서 이 사건을 보게 된 경우가 적지 않다.[37] Mine eyes have seen the glory of the coming of the Lord. 미국의 군가이자 찬송가Battle Hymn of the Republic의 첫 구절이기도 하다.[38] 킹의 왼쪽에 서있는 사람이 제시 잭슨이다. 오른쪽은 킹의 보좌관인 앤드루 영 목사.[39] 사망 후 그의 동생인 제리 레이가 그에 대한 미국 정부의 취급으로 인해 미국 땅에 매장되는 것을 거부하였다고 CNN에서 말했고, 화장되어 아일랜드에 뿌려졌다.[40] 공화당은 인종평등을 반대하며 백인 표를 얻는 남부전략을 했었다.[41] "Keep Hope Alive"라는 연설인데 민주당의 전당대회 연설 중 1976년 버바라 조던의 연설과 더불어 가장 감동적인 중 하나로 평가된다. 특히 "미국 국기의 색은 빨강, 하양, 파랑이지만 미국인의 색은 하양, 검정, 노랑, 홍색, 갈색입니다. 하나님 보시기에 우리는 모두 똑같이 사랑스러운 존재입니다"와 "마이클 두카키스의 선조는 이민선을 타고 미국에 왔고, 저의 선조는 노예선을 타고 미국에 왔습니다. 하지만 무슨 배를 타고 왔든 우리는 지금 같은 미국이라는 같은 배에 타고 있습니다."라는 부분은 지금도 회자된다.[42] 로버트 버드는 2008년 대선 때 버락 오바마를 가장 처음 지지한 상원의원이 되었다. 그야말로 격세지감.[43] 장례 직후에는 현재의 위치가 아닌 애틀랜타의 사우스뷰 묘지에서 묻혀있었으나, 1980년에 생가 부근에 마틴 루터 킹 기념관이 건립되면서 현재의 위치로 이장되었고, 2006년에 아내와 함께 합장되면서 비석이 다시 한 번 교체된 것이라고 한다.합장 이전에 현재의 위치에 갓 이장된 당시의 무덤[44] 이 묘비명은 사우스뷰 묘지에 안장된 당시부터 현재의 위치에 이장된 1980년 이후에도 현재까지도 바뀌지 않고 그대로 새겨져 있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마틴 루터 킹|마틴 루터 킹]]}}}{{{#!if external != "o"
[[마틴 루터 킹]]}}}}}}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마틴 루터 킹?uuid=ab2300-ab2335-df2355-op566722sd12das|r722]]}}}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마틴 루터 킹?uuid=ab2300-ab2335-df2355-op566722sd12das#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마틴 루터 킹?from=722|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마틴 루터 킹|마틴 루터 킹]]}}}{{{#!if external != "o"
[[마틴 루터 킹]]}}}}}}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마틴 루터 킹?uuid=ab2300-ab2335-df2355-op566722sd12das|r722]]}}}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마틴 루터 킹?uuid=ab2300-ab2335-df2355-op566722sd12das#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마틴 루터 킹?from=722|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