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풍 명칭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국가 | 1조 | 2조 | 3조 | 4조 | 5조 |
| | 담레이 (Damrey) | | 나크리 (Nakri) | 크로반 (Krovanh) | 트라세 (Trases) | |
| | 톈마* (Tianma) | 인싱 (Yinxing) | 펑선 (Fengshen) | 두쥐안 (Dujuan) | 무란 (Mulan) | |
| | 기러기 (Kirogi) | | 갈매기 (Kalmaegi) | 수리개 (Surigae) | 메아리 (Meari) | |
| | 윈욍 (Yun-yeung) | | 풍웡 (Fung-wong) | 초이완 (Choi-wan) | 칭마* (Tsingma) | |
| | 고이누 (Koinu) | | 고토* (Koto) | 고구마 (Koguma) | 도카게 (Tokage) | |
| | 볼라벤 (Bolaven) | 파북 (Pabuk) | 노카엔* (Nokaen) | 참피 (Champi) | 옹망* (Ongmang) | |
| | 산바 (Sanba) | 우딥 (Wutip) | 페냐* (Penha) | 인파 (In-fa) | 무이파 (Muifa) | |
| | 즐라왓 (Jelawat) | 스팟 (Sepat) | 누리 (Nuri) | 츰파카 (Cempaka) | 므르복 (Merbok) | |
| | | 문 (Mun) | 실라코 (Sinlaku) | 네파탁 (Nepartak) | 난마돌 (Nanmadol) | |
| | 말릭시 (Maliksi) | 다나스 (Danas) | 하구핏 (Hagupit) | 루핏 (Lupit) | 탈라스 (Talas) | |
| | 개미 (Gaemi) | 나리 (Nari) | 장미 (Jangmi) | 미리내 (Mirinae) | 호두* (Hodu) | |
| | 프라피룬 (Prapiroon) | 위파 (Wipha) | 메칼라 (Mekkhala) | 니다 (Nida) | 꿀랍 (Kulap) | |
| | 마리아 (Maria) | 프란시스코 (Francisco) | 히고스 (Higos) | 오마이스 (Omais) | 로키 (Roke) | |
| | 손띤 (Son-Tinh) | 꼬마이 (Co-May) | 바비 (Bavi) | 룩빈* (Luc-binh) | 선까 (Sonca) | |
| | 암필 (Ampil) | 크로사 (Krosa) | 마이삭 (Maysak) | 찬투 (Chanthu) | 네삿 (Nesat) | |
| | 우쿵 (Wukong) | 바이루 (Bailu) | 하이선 (Haishen) | 뎬무 (Dianmu) | 하이탕 (Haitang) | |
| | 종다리 (Jongdari) | 버들 (Podul) | 노을 (Noul) | 민들레 (Mindulle) | 잠자리* (Jamjari) | |
| | 산산 (Shanshan) | 링링 (Lingling) | 돌핀 (Dolphin) | 라이언록 (Lionrock) | 바냔 (Banyan) | |
| | | 가지키 (Kajiki) | 구지라 (Kujira) | 도케이* (Tokei) | 야마네코 (Yamaneko) | |
| | 리피 (Leepi) | 농파 (Nongfa) | 찬홈 (Chan-hom) | 남테운 (Namtheun) | 파카르 (Pakhar) | |
| | 버빙카 (Bebinca) | 페이파 (Peipah) | 페이러우* (Peilou) | 말로 (Malou) | 상우 (Sanvu) | |
| | 풀라산 (Pulasan) | 타파 (Tapah) | 낭카 (Nangka) | 냐토 (Nyatoh) | 마와르 (Mawar) | |
| | 솔릭 (Soulik) | 미탁 (Mitag) | 사우델 (Saudel) | 사르불* (Sarbul) | 구촐 (Guchol) | |
| | 시마론 (Cimaron) | 라가사 (Ragasa) | 나라* (Narra) | 아무야오* (Amuyao) | 탈림 (Talim) | |
| | | 너구리 (Neoguri) | 개나리* (Gaenari) | 고사리* (Gosari) | 보리* (Bori) | |
| | | 부알로이 (Bualoi) | 앗사니 (Atsani) | 차바 (Chaba) | 카눈 (Khanun) | |
| | 바리자트 (Barijat) | 마트모 (Matmo) | 아타우 (Etau) | 에어리 (Aere) | 란 (Lan) | |
| | | 할롱 (Halong) | 방랑* (Bang-lang) | 송다 (Songda) | 사오비엔* (Saobien) | |
| *: 사용 예정 / | ||||||
| 제명된 태풍 명칭 |
1. 개요
Nuri'누리'는 말레이시아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청색 벼슬을 가진 잉꼬새를 의미한다. '루사'가 제명되어 교체된 이름이다. 간혹 한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오해받는 경우도 있다. 그 이유는 문서에 들어가보면 알겠지만 누리가 세상, 우박 등을 뜻하는 순우리말이기 때문이다.
| 역대 "누리" 태풍들의 최전성기 세력 | ||||
| 연도/번호 | 중심기압(hPa) | 1분풍속(㎧) | 10분풍속(㎧) | 최대직경(㎞) |
| 2008년 제12호 | 955 | 51 | 39 | 800 |
| 2014년 제20호 | 910 | 80 | 57 | 1,100 |
| 2020년 제2호 | 996 | 18 | 21 | 500 |
2. 2008년 제12호 태풍
| 2008년 태풍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너구리 | 람마순 | 마트모 | 할롱 | 나크리 |
| 펑선 | 갈매기* | 풍웡 | 간무리 | 판폰 | |
| 봉퐁 | 누리 | 실라코 | 하구핏 | 장미* | |
| 메칼라 | 히고스 | 바비 | 마이삭 | 하이선 | |
| 노을 | 돌핀 | ||||
| ← 2007년 태풍 |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 2009년 태풍 → | |||
| 2008년 태풍 |
| 제11호 봉퐁 → 제12호 누리 → 제13호 실라코 |
| 2008년 제12호 태풍 누리 | ||
| 위성사진 | ||
| 진로도 | ||
| 활동 기간 | 2008년 8월 18일 3시 ~ 2008년 8월 23일 9시 | |
| 영향 지역 | 괌, 북마리아나 제도 비사야 제도, 루손섬, 바타네스 제도 남부[1] 푸젠성, 중난 지구[2] | |
| 태풍 등급 | 3등급[JTWC] | |
| 10분 등급 | 강한 태풍[JMA] | |
| 태풍 크기 | 중형(직경 800㎞) | |
| 최저 기압 | 955hPa | |
| 최대 풍속 | 1분 평균 | 51㎧ |
| 10분 평균 | 39㎧ | |
| 피해 | 사망자 | 20명 |
| 실종자 | 23명 | |
| 피해총액 | 8,500만 달러[5] | |
3. 2014년 제20호 태풍
-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colbgcolor=#fff><colcolor=#000,#27658f><width=20%> 연도 || 이름/순번 || 중심기압 || 최대풍속(kn) || 최대풍속(㎧) || 활동 기간 ||
2000 제1호 돔레이 930hPa 155kn 80㎧ 5.7 ~ 5.12 제10호 빌리스 920hPa 140kn 72㎧ 8.19 ~ 8.23 제14호 사오마이 925hPa 9.2 ~ 9.16 제18호 산산 135kn 69㎧ 9.18 ~ 9.24 2001 제12호 우딥 930hPa 130kn 67㎧ 8.27 ~ 9.3 제22호 버들 925hPa 140kn 72㎧ 10.20 ~ 10.28 제25호 파사이 915hPa 155kn 80㎧ 12.16 ~ 12.26 2002 제2호 미톡 930hPa 140kn 72㎧ 2.28 ~ 3.8 제3호 하기비스 935hPa 5.16 ~ 5.21 제6호 차타안 930hPa 130kn 67㎧ 6.29 ~ 7.11 제7호 할롱 945hPa 135kn 69㎧ 7.7 ~ 7.16 제9호 펑셴 920hPa 145kn 75㎧ 7.14 ~ 7.27 제13호 판폰 940hPa 135kn 69㎧ 8.12 ~ 8.21 제21호 히고스 930hPa 9.26 ~ 10.2 제26호 봉선화 940hPa 130kn 67㎧ 12.3 ~ 12.11 2003 제2호 구지라 930hPa 135kn 69㎧ 4.11 ~ 4.25 제7호 임부도 935hPa 130kn 67㎧ 7.17 ~ 7.25 제14호 매미 910hPa 150kn 77㎧ 9.6 ~ 9.13 제18호 파마 930hPa 130kn 67㎧ 10.21 ~ 10.31 제21호 루핏 915hPa 145kn 75㎧ 11.21 ~ 12.02 2004 제1호 수달 940hPa 130kn 67㎧ 4.5 ~ 4.16 제2호 니다 935hPa 140kn 72㎧ 5.14 ~ 5.21 제6호 디앤무 915hPa 155kn 80㎧ 6.13 ~ 6.21 제16호 차바 910hPa 8.19 ~ 8.31 제22호 망온 920hPa 140kn 72㎧ 10.4 ~ 10.10 제27호 난마돌 935hPa 130kn 67㎧ 11.29 ~ 12.4 2005 제5호 하이탕 920hPa 140kn 72㎧ 7.13 ~ 7.20 제13호 탈림 925hPa 130kn 67㎧ 8.27 ~ 9.2 제14호 나비 140kn 72㎧ 8.29 ~ 9.8 2006 제3호 에위니아 930hPa 130kn 67㎧ 6.30 ~ 7.10 제8호 사오마이 925hPa 140kn 72㎧ 8.5 ~ 8.11 제12호 이오케 920hPa 8.27 ~ 9.6 제14호 야기 910hPa 9.17 ~ 9.25 제19호 시마론 920hPa 10.27 ~ 11.4 제21호 두리안 915hPa 135kn 69㎧ 11.26 ~ 12.5 2007 제2호 위투 935hPa 130kn 67㎧ 5.17 ~ 5.23 제8호 스팟 910hPa 140kn 72㎧ 8.12 ~ 8.19 제12호 위파 925hPa 135kn 69㎧ 9.16 ~ 9.16 제15호 크로사 130kn 67㎧ 10.1 ~ 10.8 2008 제2호 람마순 915hPa 135kn 69㎧ 5.7 ~ 5.13 제15호 장미 905hPa 140kn 72㎧ 9.24 ~ 10.1 2009 제14호 초이완 915hPa 9.12 ~ 9.20 제17호 파마 930hPa 135kn 69㎧ 9.29 ~ 10.14 제18호 멜로르 910hPa 150kn 77㎧ 9.30 ~ 10.8 제20호 루핏 930hPa 140kn 72㎧ 10.15 ~ 10.27 제22호 니다 905hPa 155kn 80㎧ 11.23 ~ 12.3 2010 제13호 메기 885hPa 160kn 82㎧ 10.13 ~ 10.23 2011 제2호 송다 920hPa 140kn 72㎧ 5.21 ~ 5.29 제9호 무이파 930hPa 7.28 ~ 8.9 제11호 난마돌 925hPa 8.23 ~ 8.31 제19호 날개 935hPa 130kn 67㎧ 9.27 ~ 10.4 2012 제4호 구촐 930hPa 6.13 ~ 6.20 제16호 산바 900hPa 155kn 80㎧ 9.11 ~ 9.18 제17호 즐라왓 905hPa 140kn 72㎧ 9.20 ~ 10.1 제24호 보파 930hPa 150kn 77㎧ 11.26 ~ 12.9 2013 제11호 우토르 925hPa 130kn 67㎧ 8.9 ~ 8.15 제19호 우사기 910hPa 135kn 69㎧ 9.16 ~ 9.23 제27호 프란시스코 920hPa 140kn 72㎧ 10.16 ~ 10.26 제28호 레끼마 905hPa 10.20 ~ 10.26 제30호 하이옌 895hPa 170kn 87㎧ 11.4 ~ 11.11 2014 제8호 너구리 930hPa 140kn 72㎧ 7.3 ~ 7.11 제9호 람마순 935hPa 7.12 ~ 7.19 제11호 할롱 920hPa 7.29 ~ 8.11 제13호 제너비브 915hPa 8.7 ~ 8.12 제18호 판폰 935hPa 135kn 69㎧ 9.29 ~ 10.6 제19호 봉퐁 900hPa 155kn 80㎧ 10.3 ~ 10.14 제20호 누리 910hPa 10.31 ~ 11.6 제22호 하구핏 905hPa 12.1 ~ 12.11 2015 제2호 히고스 940hPa 130kn 67㎧ 2.7 ~ 2.11 제4호 마이삭 910hPa 150kn 77㎧ 3.27 ~ 4.5 제6호 노을 920hPa 140kn 72㎧ 5.3 ~ 5.12 제7호 돌핀 925hPa 5.9 ~ 5.21 제11호 낭카 135kn 69㎧ 7.3 ~ 7.17 제13호 사우델로르 900hPa 155kn 80㎧ 8.1 ~ 8.11 제16호 앗사니 925hPa 140kn 72㎧ 8.14 ~ 8.25 제21호 두쥐안 130kn 67㎧ 9.22 ~ 9.29 제24호 곳푸 10.13 ~ 10.21 2016 제1호 네파탁 900hPa 155kn 80㎧ 7.3 ~ 7.9 제14호 므란티 890hPa 170kn 87㎧ 9.10 ~ 9.15 제18호 차바 905hPa 150kn 77㎧ 9.29 ~ 10.5 제20호 송다 925hPa 130kn 67㎧ 10.8 ~ 10.13 제22호 하이마 900hPa 145kn 75㎧ 10.15 ~ 10.21 제26호 녹텐 915hPa 140kn 72㎧ 12.21 ~ 12.27 2017 제5호 노루 935hPa 135kn 69㎧ 7.20 ~ 8.8 제21호 란 915hPa 10.15 ~ 10.23 2018 제3호 즐라왓 130kn 67㎧ 3.25 ~ 4.1 제8호 마리아 145kn 75㎧ 7.4 ~ 7.11 제21호 제비 155kn 80㎧ 8.28 ~ 9.5 제22호 망쿳 905hPa 9.7 ~ 9.17 제24호 짜미 915hPa 140kn 72㎧ 9.21 ~ 10.1 제25호 콩레이 900hPa 150kn 77㎧ 9.29 ~ 10.7 제26호 위투 10.22 ~ 11.2 2019 제2호 우딥 920hPa 145kn 75㎧ 2.20 ~ 2.28 제9호 레끼마 925hPa 135kt 69㎧ 8.4 ~ 8.13 제19호 하기비스 915hPa 160kn 82㎧ 10.6 ~ 10.13 제21호 부알로이 935hPa 140kn 72㎧ 10.19 ~ 10.25 제23호 할롱 905hPa 160kn 82㎧ 11.3 ~ 11.9 2020 제10호 하이선 910hPa 135kn 69㎧ 9.1 ~ 9.8 제19호 고니 905hPa 170kn 87㎧ 10.29 ~ 11.6 2021 제2호 수리개 895hPa 4.14 ~ 4.25 제14호 찬투 905hPa 155kn 80㎧ 9.7 ~ 9.18 제16호 민들레 920hPa 145kn 75㎧ 9.23 ~ 10.2 제21호 냐토 925hPa 130kn 67㎧ 11.30 ~ 12.4 제22호 라이 915hPa 150kn 77㎧ 12.13 ~ 12.20 2022 제11호 힌남노 920hPa 140kn 72㎧ 8.28 ~ 9.6 제14호 난마돌 910hPa 135kn 69㎧ 9.13 ~ 9.20 제16호 노루 940hPa 140kn 72㎧ 9.16 ~ 9.28 2023 제2호 마와르 900hPa 165kn 85㎧ 5.20 ~ 6.3 제5호 독수리 925hPa 130kn 67㎧ 7.21 ~ 7.29 제9호 사올라 920hPa 140kn 72㎧ 8.24 ~ 9.3 제15호 볼라벤 905hPa 165kn 85㎧ 10.7 ~ 10.14 2024 제11호 야기 915hPa 145kn 75㎧ 9.1 ~ 9.8 제18호 끄라톤 920hPa 135kn 69㎧ 9.28 ~ 10.3 제21호 콩레이 925hPa 140kn 72㎧ 10.25 ~ 11.1 제22호 인싱 945hPa 130kn 67㎧ 11.3 ~ 11.12 제24호 마니 920hPa 140kn 72㎧ 11.09 ~ 11.19 제25호 우사기 940hPa 130kn 67㎧ 11.12 ~ 11.16 2025 제18호 라가사 905hPa 145kn 75㎧ 9.18 ~ 9.25
| 2014년 태풍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링링 | 가지키 | 파사이 | 페이파 | 타파 |
| 미탁 | 너구리* | 람마순 | 마트모 | ||
| 할롱* | 나크리* | 펑선 | 갈매기 | ||
| 풍웡* | 간무리 | 판폰 | 봉퐁* | 누리 | |
| 실라코 | 하구핏 | 장미 | |||
| ← 2013년 태풍 |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 2015년 태풍 → | |||
| H 허리케인이 날짜변경선을 넘어오면서 태풍으로 편입된 것으로 허리케인때의 이름이 붙어있다. | }}}}}}}}} | ||||
| 2014년 태풍 |
| 제19호 봉퐁 → 제20호 누리 → 제21호 실라코 |
| 2014년 제20호 태풍 누리 | ||
| 위성사진 | ||
| 진로도 | ||
| 활동 기간 | 2014년 10월 31일 9시 ~ 2014년 11월 7일 3시 | |
| 영향 지역 | 도서부[6] | |
| 태풍 등급 | 5등급[JTWC] | |
| 10분 등급 | 맹렬한 태풍[JMA] | |
| 태풍 크기 | 대형(직경 1,100㎞) | |
| 최저 기압 | 910hPa | |
| 최대 풍속 | 1분 평균 | 80㎧ |
| 10분 평균 | 57㎧ | |
10월 31일 9시 괌 서쪽 91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11월 2일 21시 카테코리 5등급까지 갔다. 그리고 최성기 중심기압은 910 hPa이고, 10분 최대풍속은 일본 기상청 기준 54 m/s,[9] 그리고 1분 최대풍속은 80 m/s이다. 이후 온대 저기압화가 진행 되다가 11월 7일 3시 센다이 920 km 해상에서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어 소멸했다.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와 이오섬에 영향을 끼쳤다. 그리고 일본 본토에도 미미한 영향을 주었다.
그런데 이 '누리'의 온대저기압의 중심기압 수치가 무려 920 hPa을 기록해 역대 온대저기압 중 제일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종전 기록이 930 hPa이다.[10] 이 세력을 유지하면서 베링 해 남부까지 이동하였고 마침 알래스카 대게잡이 시즌과 겹치게 되어 열대 태풍의 이름이 알래스카가 배경인 Deadliest Catch에 등장하게 되었다.
https://www.imdb.com/title/tt4651680/
https://www.imdb.com/title/tt4665096/
문제는 이것이 끝이 아니라는 것. 이 날씨폭탄으로 변한 태풍 누리가 알래스카와 베링해 상공의 제트기류를 다 날려 버리는 바람에 북극의 한기가 그대로 내려와 11월 한달간 북미전역에 40년만의 엄청난 한파를 가져다 주었다.[11] 괌에서 플로리다까지 그야말로 태풍 관측역사상 가장 광범위한 지역에 영향을 미친 녀석.2014년 11월 17일 기온
4. 2020년 제2호 태풍
| 2020년 태풍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봉퐁 | 누리 | 실라코 | 하구핏* | 장미* |
| 메칼라 | 히고스 | 바비* | 마이삭* | 하이선* | |
| 노을 | 돌핀 | 구지라 | 찬홈* | 린파 | |
| 낭카 | 사우델 | 몰라베 | 고니 | 앗사니 | |
| 아타우 | 밤꼬 | 크로반 | |||
| ← 2019년 태풍 |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 2021년 태풍 → | |||
| 2020년 태풍 |
| 제1호 봉퐁 → 제2호 누리 → 제3호 실라코 |
| 2020년 제2호 태풍 누리 | ||
| 위성사진 | ||
| 진로도 | ||
| 활동 기간 | 2020년 6월 12일 21시 ~ 2020년 6월 14일 9시 | |
| 영향 지역 | 비사야 제도, 루손섬 중난 지구[12] | |
| 태풍 등급 | 열대폭풍[JTWC] | |
| 10분 등급 | 열대폭풍[JMA] | |
| 태풍 크기 | 소형(직경 500㎞) | |
| 최저 기압 | 996hPa[15][KMA] | |
| 최대 풍속 | 1분 평균 | 18㎧ |
| 10분 평균 | 21㎧ | |
| 피해 | 사망자 | 1명 |
2020년 제2호 태풍 누리(NURI)는 6월 12일 21시에 중심기압 998 hPa, 최대풍속 18 m/s, 강풍 반경 220 km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서북서쪽 약 46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며 미미하게 발달해서, 6월 13일 9시에 중국 홍콩 남남동쪽 약 460 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중심기압 996 hPa, 최대풍속 21 m/s의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남중국해에서 계속 북서~서북서진하며 중국 대륙에 접근하며 높은 연직시어로 인해 약화되었고, 6월 14일 9시에 중국 광둥성 양장시에 상륙하였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6월 14일 9시에 중국 홍콩 남서쪽 약 226 km 부근 육상(중국 광둥성 양장시)에서 중심기압 1002 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6월 14일 9시에 중국 홍콩 서쪽 약 210 km 부근 육상(중국 광둥성 양장시)에서 중심기압 1002 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누리'가 발생한 이후 1달 반 뒤인 8월 1일에야 제3호 태풍 '실라코'가 발생했다. 결국 2020년은 기상 관측 최초로 7월에 태풍이 발생하지 않은 해가 되었다.
[1] 핑둥현, 타이둥현[2] 광둥성,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홍콩|{{{#!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홍콩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홍콩}}}{{{#!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마카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마카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마카오}}}{{{#!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JTWC] [JMA] [5] 2008 USD[6] 다이토 제도, 오가사와라 제도, 이즈 제도[JTWC] [JMA] [9] 한국 기상청은 59 m/s라고 예측했다.[10] 태풍은 중심기압이 낮으면 낮을수록 많은 에너지를 품고 있는데, 920 hPa 정도면 슈퍼태풍 수준이다.[11] 2014년 11월 미국 평균 최저기온은 1976년 이후 38년만에 가장 낮았으며(-7℃) 하와이를 포함한 미국 50개주 전체가 영하의 기온을 기록했다. 한파가 가장 극성이었던 11월 13일, 콜로라도주 덴버는 -23℃를 찍었고 심지어 열대기후인 플로리다주 잭슨빌 조차 -4℃까지 내려가는 헬게이트 연출. 거기다 북극발 강풍이 오대호 연안을 덮쳐 최대 1m 이상의 엄청난 적설량을 만들어내 곳곳에서 11월 최고기록을 경신한건 덤이다.[12] 광둥성, 하이난성,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홍콩|{{{#!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홍콩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홍콩}}}{{{#!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마카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마카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마카오}}}{{{#!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광시 좡족 자치구[JTWC] [JMA] [15] 나무위키의 태풍 관측값은 일본 기상청의 기록을 따른다. 왜 이런지 궁금하면 2019년 제8호 태풍 프란시스코의 여담 문단을 참조.[KMA] 중심기압 996hPa, 10분 평균 풍속 20㎧, 강풍 반경 230㎞(본래는 한국 기상청의 관측값을 쓰지 않는 것, 즉, 무시하는 것이 원칙이나, 각주가 아닌 본 틀에 한국 기상청의 관측값을 쓰는 문서 훼손 행위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각주에 한국 기상청의 관측값을 병기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