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2 18:33:01

구촐

태풍 명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나라 1조 2조 3조 4조 5조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담레이
(Damrey)
콩레이
(Kong-rey)
나크리
(Nakri)
크로반
(Krovanh)
트라세
(Trases)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하이쿠이
(Haikui)
인싱
(Yinxing)
펑선
(Fengshen)
두쥐안
(Dujuan)
무란
(Mulan)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기러기
(Kirogi)
도라지
(Toraji)
갈매기
(Kalmaegi)
수리개
(Surigae)
메아리
(Meari)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윈욍
(Yun-yeung)
마니
(Man-yi)
풍웡
(Fung-wong)
초이완
(Choi-wan)
칭마*
(Tsingma)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고이누
(Koinu)
우사기
(Usagi)
고토*
(Koto)
고구마
(Koguma)
도카게
(Tokage)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볼라벤
(Bolaven)
파북
(Pabuk)
노카엔*
(Nokaen)
참피
(Champi)
옹망*
(Ongman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산바
(Sanba)
우딥
(Wutip)
페냐*
(Penha)
인파
(In-fa)
무이파
(Muifa)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즐라왓
(Jelawat)
스팟
(Sepat)
누리
(Nuri)
츰파카
(Cempaka)
므르복
(Merbok)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에위니아
(Ewiniar)

(Mun)
실라코
(Sinlaku)
네파탁
(Nepartak)
난마돌
(Nanmadol)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말릭시
(Maliksi)
다나스
(Danas)
하구핏
(Hagupit)
루핏
(Lupit)
탈라스
(Tala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개미
(Gaemi)
나리
(Nari)
장미
(Jangmi)
미리내
(Mirinae)
호두*
(Hodu)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프라피룬
(Prapiroon)
위파
(Wipha)
메칼라
(Mekkhala)
니다
(Nida)
꿀랍
(Kulap)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마리아
(Maria)
프란시스코
(Francisco)
히고스
(Higos)
오마이스
(Omais)
로키
(Roke)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손띤
(Son-Tinh)
꼬마이*
(Co-May)
바비
(Bavi)
룩빈*
(Lucbinh)
선까
(Sonca)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암필
(Ampil)
크로사
(Krosa)
마이삭
(Maysak)
찬투
(Chanthu)
네삿
(Nesat)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우쿵
(Wukong)
바이루
(Bailu)
하이선
(Haishen)
뎬무
(Dianmu)
하이탕
(Haitang)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종다리
(Jongdari)
버들
(Podul)
노을
(Noul)
민들레
(Mindulle)
잠자리*
(Jamjari)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산산
(Shanshan)
링링
(Lingling)
돌핀
(Dolphin)
라이언록
(Lionrock)
바냔
(Banyan)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야기
(Yagi)
가지키
(Kajiki)
구지라
(Kujira)
도케이*
(Tokei)
야마네코
(Yamaneko)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리피
(Leepi)
농파*
(Nongfa)
찬홈
(Chan-hom)
남테운
(Namtheun)
파카르
(Pakhar)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버빙카
(Bebinca)
페이파
(Peipah)
페이러우*
(Peilou)
말로
(Malou)
상우
(Sanvu)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풀라산
(Pulasan)
타파
(Tapah)
낭카
(Nangka)
냐토
(Nyatoh)
마와르
(Mawar)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솔릭
(Soulik)
미탁
(Mitag)
사우델
(Saudel)
사르불*
(Sarbul)
구촐
(Guchol)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시마론
(Cimaron)
라가사*
(Ragasa)
나라*
(Narra)
아무야오*
(Amuyao)
탈림
(Tali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제비
(Jebi)
너구리
(Neoguri)
개나리*
(Gaenari)
고사리*
(Gosari)
독수리
(Doksuri)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끄라톤
(Krathon)
부알로이
(Bualoi)
앗사니
(Atsani)
차바
(Chaba)
카눈
(Khanun)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바리자트
(Barijat)
마트모
(Matmo)
아타우
(Etau)
에어리
(Aere)

(Lan)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짜미
(Trami)
할롱
(Halong)
방랑*
(Bang-lang)
송다
(Songda)
사올라
(Saola)
*: 사용 예정 / 취소선: 변경 예정
}}}}}}}}} ||
제명된 태풍 명칭


1. 개요2. 2005년 제12호 태풍3. 2012년 제4호 태풍
3.1. 2012년 제4호 태풍 구촐 진로 경과
4. 2017년 제17호 태풍5. 2023년 제3호 태풍
5.1. 발생 이전5.2. 발생 이후
5.2.1. 6월 13일
5.3. 진로 경과(속보치)
6. 기타

1. 개요

구촐(Guchol)은 미크로네시아 연방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야프어로 강황을 의미한다.
역대 "구촐" 태풍들의 최전성기 세력
연도/번호 중심기압(hPa) 1분풍속(m/s) 10분풍속(m/s) 최대직경(km)
2005년 제12호 980 33 28 460
2012년 제4호 930 67 51 900
2017년 제17호 1000 15 18 330
2023년 제3호 970 49 39 890

2. 2005년 제12호 태풍

2005년 태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꿀랍 로키 선까 네삿 하이탕
날개 바냔 와시 맛사* 상우
마와르 구촐 탈림 나비* 카눈*
비센티 사오라 담레이 룽왕 기러기
카이탁 덴빈 볼라벤
← 2004년 태풍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2006년 태풍 →
}}}}}}}}} ||
2005년 태풍
제11호 마와르제12호 구촐 → 제13호 탈림
2005년 제12호 태풍 구촐
위성사진 파일:0512구촐위성.jpg
진로도 파일:0512구촐진로.png
활동 기간 2005년 8월 21일 15시 ~ 2005년 8월 25일 21시
영향 지역 일본
태풍 등급 1등급[JTWC]
10분 등급 강한 열대폭풍[JMA]
태풍 크기 소형(직경 460km)
최저 기압 980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33m/s
10분 평균 28m/s

3. 2012년 제4호 태풍

2012년 태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카르 상우 마와르 구촐 탈림
독수리 카눈* 비센티 사올라 담레이*
하이쿠이 기러기 카이탁 덴빈* 볼라벤*
산바* 즐라왓 에위니아 말릭시 개미
쁘라삐룬 마리아 손띤 보파 우쿵
← 2011년 태풍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2013년 태풍 →
}}}}}}}}} ||
2012년 태풍
제3호 마와르제4호 구촐 → 제5호 탈림
2012년 제4호 태풍 구촐
진로도 파일:1204track.png
활동 기간 2012년 6월 13일 21시 ~ 2012년 6월 20일 9시
태풍 등급 4등급[JTWC]
10분 등급 매우 강한 태풍[JMA]
태풍 크기 중형(직경 900km)
최저 기압 930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67m/s
10분 평균 51m/s
피해 사망자 3명
피해총액 1억 달러[5]

3.1. 2012년 제4호 태풍 구촐 진로 경과

발표 시각 1분풍속 10분풍속 SSHS 등급 JMA 등급
6월 12일 15시 35kn -kn 열대폭풍
6월 12일 21시 35kn -kn
6월 13일 3시 35kn -kn
6월 13일 9시 35kn -kn
6월 13일 15시 40kn -kn
6월 13일 21시 45kn 35kn
6월 14일 3시 50kn 45kn
6월 14일 9시 55kn 50kn
6월 14일 15시 60kn 50kn
6월 14일 21시 70kn 50kn 1등급
6월 15일 3시 80kn 55kn
6월 15일 9시 85kn 60kn 2등급
6월 15일 15시 90kn 60kn
6월 15일 21시 90kn 60kn
6월 16일 3시 100kn 60kn 3등급
6월 16일 9시 100kn 70kn
6월 16일 15시 120kn 85kn 4등급 매우 강
6월 16일 21시 130kn 100kn
6월 17일 3시 130kn 100kn
6월 17일 9시 130kn 100kn
6월 17일 15시 130kn 100kn
6월 17일 21시 130kn 90kn
6월 18일 3시 125kn 85kn
6월 18일 9시 115kn 85kn
6월 18일 15시 105kn 80kn 3등급
6월 18일 21시 95kn 80kn 2등급
6월 19일 3시 90kn 75kn
6월 19일 9시 70kn 70kn 1등급
6월 19일 15시 55kn 70kn 열대폭풍
6월 19일 21시 35kn 60kn
6월 20일 3시 - 50kn 소멸
6월 20일 9시 소멸 및 감시 종료

4. 2017년 제17호 태풍

2017년 태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무이파 므르복 난마돌 탈라스 노루
꿀랍 로키 선까 네삿 하이탕
날개 바냔 하토 파카르 상우
마와르 구촐 탈림* 독수리 카눈
사올라 담레이 하이쿠이 기러기
카이탁 덴빈
← 2016년 태풍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2018년 태풍 →
}}}}}}}}} ||
2017년 태풍
제16호 마와르제17호 구촐 → 제18호 탈림
2017년 제17호 태풍 구촐
진로도 파일:1717track.png
활동 기간 2017년 9월 6일 3시 ~ 2017년 9월 7일 3시
태풍 등급 열대저기압[JTWC]
10분 등급 열대폭풍[JMA]
태풍 크기 소형(직경 330km)
최저 기압 1000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15m/s
10분 평균 18m/s

5. 2023년 제3호 태풍

2023년 태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상우 마와르* 구촐 탈림 독수리
카눈* 란* 도라 사올라 담레이
하이쿠이 기러기 윈욍 고이누 볼라벤
산바 즐라왓
← 2022년 태풍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2024년 태풍 →
}}}}}}}}} ||
2023년 태풍
제2호 마와르제3호 구촐 → 제4호 탈림
'''{{{#!wiki style="text-shadow: 2px 2px 0px #999; color:#ffffff"'''
{{{#!folding 태풍 등급보기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소형의 강한 태풍 ( KMA )
중형의 강한 태풍 ( JMA )
2등급 태풍 ( SSHS ) }}}}}}
위성사진 파일:UTF-8''Guchol_2023-06-09_0440Z.jpg
진로도 파일:UTF-8''Guchol_2023_path_20230621_133403.png
활동 기간 2023년 6월 6일 21시 ~ 2023년 6월 13일 3시
영향 지역
[[미크로네시아 연방|]][[틀:국기|]][[틀:국기|]] 야프 제도[8]

[[팔라우|]][[틀:국기|]][[틀:국기|]] 전역

[[일본|]][[틀:국기|]][[틀:국기|]] 기타 도서 지역[9]

[[미국|]][[틀:국기|]][[틀:국기|]] 알류샨 열도, 알래스카 주[10]

[[캐나다|]][[틀:국기|]][[틀:국기|]] 아쿠탓
태풍 등급 2등급[JTWC]
10분 등급 강한 태풍[JMA]
태풍 크기 중형(직경 890km)
최저 기압 970hPa[KMA][14]
최대 풍속 1분 평균 49m/s[15][16]
10분 평균 39m/s

5.1. 발생 이전

====# 98W 열대요란 → 03W TD #====
6월 1일 9시, PAGASA에서는 TCAD[17]구역 내에서 발생할 것으로 전망중인 열대요란에 대한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MODERATE[18]로 분석하였다. 동시에 PAGASA에서는 이 요란은 다음 주 후반~그 다음 주 초반에 일본 남쪽 해상으로 향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하였다.

6월 1일 15시 40분, 필리핀 태풍 전문 예보업체 Typhoon2000에서 24시간 이내 98W 열대요란으로 추정되는 미국 남남서쪽 해상에 위치한 요란이 열대저기압으로 발달할 가능성을 LOW로 분석하였다.

6월 2일 15시, JTWC에서 미국 남남서쪽 해상에 위치한 요란을 1분 평균 풍속 15kn, 중심기압 1009hPa의 열대요란으로 분석하여 98W 열대요란으로 지정하고 동시에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LOW로 지정하였다. JTWC는 수일 이내에 열대저기압으로 발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한편 JMA는 98W 열대요란을 단순 요란으로 해석하고 있지만, 48시간 뒤에 1010hPa의 열대요란으로 발달할 것으로 해석했다.
분석에 따르면 98W는 낮은 수준에서 중간 수준의 급변풍, 따뜻한 수준의 해수온, 그리고 고도에서 중간 정도의 발산을 가진 개발에 유리한 환경에 있다. 지구 결정론적 모델과 앙상블 모델은 일반적으로 이 계가 앞으로 며칠 동안 열대 저기압으로 발전할 것이라는 데 동의한다. 다만 괌 서쪽으로 순환 중심부가 지날 가능성이 높아 보이지만, 바람이 강하게 불고 대류가 발달한 동쪽 유입 지역은 약 2~3일 뒤 괌과 큰미에 영향을 줄 수 있다.
JTWC 98W 설명문 일부

6월 2일 21시 50분, 필리핀 태풍 전문 예보업체 Typhoon2000에서 24시간 이내 98W 열대요란이 열대저기압으로 발달할 가능성을 LOW로 분석하였다.

6월 3일 15시, JMA는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8hPa의 열대요란으로 표시하고 있다.

6월 3일 21시, JMA는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10hPa의 열대요란으로 표시하고 있다.

6월 4일 3시, JMA는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8hPa의 열대요란으로 표시하고 있다.

6월 4일 15시, JMA는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표시하고 있다.

6월 4일 21시, JMA는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8hPa의 열대요란으로 표시하고 있다. 한편 JTWC는 98W 열대요란이 1분 평균 풍속 20kn,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발달하였다고 분석하였다.

6월 4일 23시, JTWC는 98W 열대요란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MEDIUM으로 격상했다.

6월 5일 3시, JMA는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표시하고 있다.

6월 5일 9시, JMA는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8hPa의 열대요란으로 표시하고 있다. 또한 98W 열대요란이 48시간 뒤 1006hPa의 열대저압부로 발달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6월 5일 15시, JTWC는 98W 열대요란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HIGH로 격상했다. 그리고 JMA는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표시하고 있다.

6월 5일 19시 40분, 필리핀 태풍 전문 예보업체 Typhoon2000에서 24시간 이내 98W 열대요란이 열대저기압으로 발달할 가능성을 HIGH로 분석하였다.

6월 5일 21시, JMA는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8hPa의 열대요란으로 표시하고 있다.

6월 6일 3시, JMA는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6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압부로 해석하면서 태풍발생예보를 발표하였다.

6월 6일 9시, JMA는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4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압부로 해석하면서 중심기압이 조금 하강하였다. 동시간 JTWC는 중심기압 1003hPa, 1분 평균 풍속 25kn로 해석하며 열대저압부 03W로 발달하였다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PAGASA는 이 열대저기압이 PAR 구역 안에 진입한 상태로 열대저기압으로 발달하여 Chedeng(체뎅[19])이란 이름으로 명명하였다.

6월 6일 15시, JTWC는 중심기압 1003hPa, 1분 평균 풍속 30kn로 발달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5.2. 발생 이후

====# 6월 6일 #====
2023년 제3호 태풍 구촐(GUCHOL)6월 6일 21시에 중심기압 1002hPa, 10분 평균 풍속 18m/s, 강풍 직경 770km[20]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1,490km 부근 해상에서 03W TD가 발달하며 발생하였다.

====# 6월 7일 #====
6월 7일 3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98hPa, 10분 평균 풍속 21m/s, 10분 순간풍속 31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다.

6월 7일 15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94hPa, 10분 평균 풍속 23m/s, 10분 순간풍속 33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다.

====# 6월 8일 #====
6월 8일 9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92hPa, 10분 평균 풍속 26m/s, 10분 순간풍속 36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다.

6월 8일 15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85hPa, 10분 평균 풍속 31m/s, 10분 순간풍속 44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다.

6월 8일 21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80hPa, 10분 평균 풍속 33m/s, 10분 순간풍속 49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다.

====# 6월 9일 #====
6월 9일 3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75hPa, 10분 평균 풍속 36m/s, 10분 순간풍속 51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다.

6월 9일 12시에 JMA 기준 강풍 직경이 770km에서 880km[21]로 커졌다.

====# 6월 10일 #====
6월 10일 3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70hPa, 10분 평균 풍속 39m/s, 10분 순간풍속 54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다.

6월 10일 9시에 JMA 기준 강풍 직경이 880km에서 890km[22]로 근소하게 커졌다.

6월 10일 12시에 JTWC는 구촐이 오전 6시경 1분 평균 풍속 95kn의 세력으로 최전성기에 도달한 직후 약화되기 시작하였다고 분석하였다.[23]
BASED ON ANALYSIS OF HOURLY DPRINT AND 30MIN ADT ESTIMATES, THE SYSTEM APPEARS TO HAVE PEAKED AT 95 KNOTS AT APPROXIMATELY 2100Z BUT NOW IS STARTING TO TREND DOWNWARDS ONCE MORE. THE INITIAL INTENSITY IS ASSESSED AT 90 KNOTS WITH MEDIUM CONFIDENCE, IN LINE WITH ALL REPORTING AGENCIES.
매시 D-PRINT[24] 분석과 매 30분마다의 ADT[25] 분석 추정치 자료를 기반으로, 세계협정시 21시 경 1분 평균 풍속 95노트로 정점을 찍은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약화 추세를 다시 보이기 시작하였습니다. 초기 세력 분석치인 1분 평균 풍속 90노트는 모든 기관[26]의 분석치를 기반으로 중간 수준의 신뢰도를 보입니다.
JTWC 03W Prognostic Reasoning (WDPN31 PGTW 100300) 일부

====# 6월 11일 #====
6월 11일 3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70hPa, 10분 평균 풍속 36m/s, 10분 순간풍속 51m/s의 세력으로 약화되었고, 강풍 직경이 890km에서 770km[27]로 작아졌다.

6월 11일 9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70hPa, 10분 평균 풍속 33m/s, 10분 순간풍속 49m/s의 세력으로 약화되었다.

6월 11일 15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75hPa, 10분 평균 풍속 31m/s, 10분 순간풍속 44m/s의 세력으로 약화되었고, 강풍 직경이 770km에서 720km[28]로 근소하게 작아졌다.

6월 11일 18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80hPa, 10분 평균 풍속 28m/s, 10분 순간풍속 41m/s의 세력으로 약화되었다.

====# 6월 12일 #====
6월 12일 3시에 JMA 기준 강풍 직경이 720km에서 840km[29]로 다시 커졌다. 동시간 JTWC는 태풍 구촐이 아열대저기압화 되었다고 분석하였다.

6월 12일 9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85hPa, 10분 평균 풍속 26m/s, 10분 순간풍속 36m/s의 세력으로 약화되었다.

6월 12일 15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90hPa, 10분 평균 풍속 23m/s, 10분 순간풍속 33m/s의 세력으로 약화되었다. 그리고 JTWC에서 가장 먼저 태풍 구촐의 마지막 정보를 발표하였다.

6월 12일 21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90hPa, 10분 평균 풍속 21m/s, 10분 순간풍속 31m/s의 세력으로 약화되었고, 강풍 직경이 840km에서 720km[30]로 다시 작아졌다.

5.2.1. 6월 13일

6월 13일 3시에 JMA에서 태풍 구촐이 중심기압 99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국 기상청에서도 중심기압 99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분석하면서, 한미일 3국의 태풍 예보가 완전히 종료되었다.

5.3. 진로 경과(속보치)

발표 시각 1분풍속 10분풍속 SSHS 등급 JMA 등급
열대요란 형성, JTWC 열대요란 감시 시작
6월 2일 15시 15kn -kn LPA 요란
6월 2일 21시 15kn -kn
6월 3일 3시 15kn -kn
6월 3일 9시 15kn -kn
6월 3일 15시 15kn 20kn
6월 3일 21시 15kn 20kn
6월 4일 3시 15kn 20kn
6월 4일 9시 15kn 20kn
6월 4일 15시 15kn 20kn
6월 4일 21시 20kn 20kn
6월 5일 3시 20kn 20kn
6월 5일 9시 20kn 20kn
JTWC TCFA 발표
6월 5일 15시 20kn 20kn LPA 요란
6월 5일 21시 20kn 20kn
JMA 태풍발생예보 발표
6월 6일 3시 20kn 30kn LPA 열대저기압
JTWC 열대저기압 승격
6월 6일 9시 25kn 30kn TD 열대저기압
6월 6일 15시 30kn 30kn
JMA 태풍 승격
6월 6일 21시 35kn 35kn TS 열대폭풍
6월 7일 3시 35kn 40kn
6월 7일 9시 40kn 40kn
6월 7일 15시 45kn 45kn
6월 7일 21시 55kn 45kn
6월 8일 3시 60kn 45kn
6월 8일 9시 65kn 50kn 1등급 강한 열대폭풍
6월 8일 15시 70kn 60kn
6월 8일 21시 80kn 65kn 강한 태풍
6월 9일 3시 85kn 70kn 2등급
6월 9일 9시 85kn 70kn
6월 9일 15시 85kn 70kn
6월 9일 21시 85kn 70kn
6월 10일 3시 90kn 75kn
6월 10일 9시 90kn 75kn
6월 10일 15시 90kn 75kn
6월 10일 21시 85kn 75kn
6월 11일 3시 85kn 70kn
6월 11일 9시 85kn 65kn
6월 11일 15시 80kn 60kn 1등급 강한 열대폭풍
6월 11일 21시 70kn 55kn
JTWC STT[31] 선언.
6월 12일 3시 60kn 55kn SS 강한 열대폭풍
6월 12일 9시 50kn 50kn
6월 12일 15시 45kn 45kn 열대폭풍
6월 12일 21시 45kn 40kn
JMA 온대저기압화 선언
6월 13일 3시 35kn - ExTC 온대저기압
6월 13일 9시 35kn -
6월 13일 15시 35kn -
6월 13일 21시 35kn -
6월 14일 3시 소멸 및 감시 종료

6. 기타

2023년 9월 6일에 발표된 2023년 제3호 태풍 구촐의 JMA 사후해석 결과 최성기 세력이 중심기압 960hPa, 10분 평균 풍속 41m/s로 상향 조정되었다.#


[JTWC] [JMA] [JTWC] [JMA] [5] 2012 USD[JTWC] [JMA] [8] 태풍 발달 전 영향[9] 다이토 제도, 오가사와라 제도, 이즈 제도[10] 온대저기압 상태에서 상륙했다. 이는 상당히 드문 케이스인데, 태풍 소멸이 5일이나 지난 상태였고, 게다가 알류샨 열도에선 GFS(미국 기상청) 기준 6월 18일 19시에 27knots(약 13.7m/s)의 풍속이 관측되기도 했다.[JTWC] [JMA] [KMA] 중심기압 960hPa, 10분 최대풍속 39m/s[14] JTWC 중심기압 956hPa[15] JTWC 세력 경과[16] JTWC 전문 자료에서는 6월 10일 06시경(UTC+0 기준 6월 9일 21시) 95kn(49m/s)의 세력으로 최전성기에 도달하였다고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사후해석에서 95kn으로 격상되었다.[17] Tropical Cyclone Advisory Domain 열대 저기압 주의보 영역[18] 알맞은, 적당한, 보통의, 중간 정도의, 싼. '보통의'가 의미상 가장 적합한 번역으로 보인다.[19] 하지만 구글 번역에선 체등으로 번역되고, 네이버 번역에선 체덩으로 번역되나,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체뎅이 맞다.[20] 동쪽 440km, 서쪽 330km[21] 대칭 반경 440km[22] 남동쪽 500km, 북서쪽 390km[23] 단, 해당 정보는 공식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한 것이 아닌 전문에서 짤막하게 언급된 것에 그쳤기에 공식적인 자료로 반영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그렇기에 구촐의 실질적인 최전성기는 1분 평균 풍속 90kn라고 보는 것이 좋다.[24] DeeP IR INtensity of TCs의 약자.[25] Advanced Dvorak Technique의 약자.[26] RJTD(JMA), RCTP(대만 기상대), KNES(NOAA), PGTW(JTWC), CIMSS ADT[27] 남동쪽 440km, 북서쪽 330km[28] 남동쪽 440km, 북서쪽 280km[29] 남동쪽 560km, 북서쪽 280km[30] 남동쪽 440km, 북서쪽 280km[31] Subtropical Transition의 약자. '아열대저기압화' 또는 '아열대저기압으로 변질' 로 해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