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태풍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냔 | 구지라 | 찬홈 | 린파* | 낭카 |
소델로* | 임부도 | 고니 | 모라콧 | 아타우* | |
밤코 | 크로반 | 두지앤 | 매미* | 초이완 | |
곳푸 | 켓사나 | 파마 | 멀로 | 니파탁 | |
루핏 | |||||
← 2002년 태풍 |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입니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 2004년 태풍 → |
2009년 태풍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구지라 | 찬홈 | 린파 | 낭카 | 사우델로르 |
몰라베 | 고니 | 모라꼿* | 아타우 | 밤꼬 | |
크로반 | 두쥐안 | 무지개 | 초이완 | 곳푸 | |
켓사나 | 파마 | 멜로르 | 네파탁 | 루핏 | |
미리내 | 니다 | ||||
← 2008년 태풍 |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입니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 2010년 태풍 → |
2015년 태풍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메칼라 | 히고스 | 바비 | 마이삭 | 하이선 |
노을 | 돌핀 | 구지라 | 찬홈* | 린파 | |
낭카* | 할롤라* | 사우델로르 | 몰라베 | 고니* | |
앗사니 | 킬로 | 아타우 | 밤꼬 | 크로반 | |
두쥐안 | 무지개 | 초이완 | 곳푸 | 참피 | |
인파 | 멜로르 | ||||
← 2014년 태풍 |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입니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 2016년 태풍 → |
1. 개요
낭카(Nangka)는 말레이시아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열대과일 잭푸르트(카눈)를 의미한다고 한다.2. 2003년 태풍
3. 2009년 태풍
2009년 제 4호 태풍이다. 아래쪽은 진로 경과 표.발표 시기 | 1분 풍속 | 10분 풍속 | SSHS 등급 |
2009년 6월 23일 6시 | 35kt | 35kt | 열대폭풍 |
2009년 6월 23일 12시 | 35kt | 40kt | 열대폭풍 |
2009년 6월 23일 18시 | 45kt | 40kt | 열대폭풍 |
2009년 6월 24일 6시 | 40kt | 40kt | 열대폭풍 |
2009년 6월 25일 0시 | 45kt | 40kt | 열대폭풍 |
2009년 6월 25일 12시 | 40kt | 35kt | 열대폭풍 |
2009년 6월 26일 12시 | 30kt | 35kt | 열대저압부 |
2009년 6월 26일 18시 | 25kt | 35kt | 열대저압부 |
2009년 6월 27일 0시 | 25kt | 30kt | 열대저압부(소멸) |
4. 2015년 11호 태풍
2015년 태풍 |
제10호 린파 → 제11호 낭카 → 제12호 할롤라 |
2015년 제11호 태풍 낭카 | ||
위성사진 | ||
진로도 | ||
활동 기간 | 2015년 7월 4일 3시 ~ 2015년 7월 17일 21시 | |
영향 지역 | 일본 | |
최저 기압 | 925hPa | |
최대 풍속 | 1분 평균 | 69m/s |
10분 평균 | 51m/s |
4.1. 태풍의 진행
최초 발생은 2015년 7월 4일. 괌 동쪽 약 28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태풍은 서진하면서 발달하기 시작하여, 마침내 7월 7일 오후 괌 동북동쪽 해상에서 중심기압 925hPa, 1분 평균 최대풍속 64m/s의 SSHS 기준 4등급의 태풍으로 성장하였다. 다음날에는 잠시 태풍의 약화가 있었지만 9일 오후에 들어 다시금 발달하면서 중심기압 925hPa, 1분 평균 최대풍속 69m/s까지 발달하면서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태풍은 일본 본토를 향해 북상하여 16일 23시 중심기압 965hPa, 1분 평균 최대풍속 33m/s의 SSHS 기준 1등급 태풍의 세력으로 일본 시코쿠에 일대에 상륙하였다.처음에는 태풍이 일본 큐슈지방을 거쳐 우리나라 동해안과 남해안 그리고 제주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1] 당초 예상보다 예상 진로가 동쪽으로 치우쳐 일본 시코쿠 일대에 상륙하게 되면서 우치면서 한국에서의 영향은 미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