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3 23:51:10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그림이야기


파일:극장판도라에몽.png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오오야마 성우진
<rowcolor=#373a3c> 1기 2기 3기 4기 5기
진구의
공룡대탐험
(1980)
진구의
우주여행
(1981)
진구의
아프리카 모험
(1982)
진구의
해저성
(1983)
진구의
마계체험
(1984)
<rowcolor=#373a3c> 6기 7기 8기 9기 10기
진구의
우주전쟁
(1985)
진구와
철인군단
(1986)
진구와
용의 기사
(1987)
노비타의
패럴렐서유기
(1988)
노비타의
일본탄생
(1989)
<rowcolor=#373a3c> 11기 12기 13기 14기 15기
진구와
동물혹성
(1990)
진구의
도라비안 나이트
(1991)
진구와
구름왕국
(1992)
진구와
양철인형
(1993)
진구와
꿈의 삼총사
(1994)
<rowcolor=#373a3c> 16기 17기 18기 19기 20기
진구의
천지창조
(1995)
진구와
은하철도
(1996)
진구의
태엽도시 모험기
(1997)
진구의
바다 대모험
(1998)
진구의
우주표류기
(1999)
<rowcolor=#373a3c> 21기 22기 23기 24기 25기
진구의
태양왕전설
(2000)
진구와
날개의 용사들
(2001)
진구와
로봇왕국
(2002)
진구와
바람의 마을
(2003)
진구의
시공여행
(2004)
미즈타 성우진
<rowcolor=#373a3c> 26기 27기 28기 29기 30기
진구의
공룡대탐험
(2006)
진구의
마계대모험
(2007)
진구와
초록거인전
(2008)
신 진구의
우주개척사
(2009)
진구의
인어대해전
(2010)
<rowcolor=#373a3c> 31기 32기 33기 34기 35기
진구와
철인군단
(2011)
진구와
기적의 섬
(2012)
진구의
비밀도구 박물관
(2013)
진구의
아프리카 모험
(2014)
진구의
우주영웅기
(2015)
<rowcolor=#373a3c> 36기 37기 38기 39기 40기
신 진구의
버스 오브 재팬
(2016)
진구의
남극 꽁꽁 대모험
(2017)
진구의
보물섬
(2018)
진구의
달 탐사기
(2019)
진구의
신공룡
(2020)
<rowcolor=#373a3c> 41기 42기 43기 44기 45기
진구의
우주소전쟁 2021
(2022)
진구와
하늘의 유토피아
(2023)
진구의
지구 교향곡
(2024)
진구의
그림이야기
(2025)
신 진구의
해저귀암성
(2026)
스탠바이미
{{{#!wiki style="margin: -16px -11px" 도라에몽: 스탠바이미 도라에몽: 스탠바이미 2 }}} }}}}}}}}}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그림이야기 (2025)
Doraemon the Movie: Nobita's Art World Tales
映画ドラえもん のび太の絵世界物語
<nopad> 파일:도라에몽 극장판 44기 진구의 그림이야기 한국 메인 포스터.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원판 메인 비주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그림세계이야기JP.png }}}}}}}}}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min-width: 256px" 도라에몽 극장판 시리즈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지구 교향곡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그림이야기 극장판 도라에몽: 신 진구의 해저귀암성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91ce><colcolor=#ffffff> 장르 <colbgcolor=#ffffff,#2d2f34><colcolor=#373a3c,#dddddd>애니메이션, 시간여행물, 모험, 디스토피아, 일상, 코미디, 판타지, SF, 액션, 드라마, 가상역사극
감독 테라모토 유키요
콘티
각본 이토 사토시(伊藤公志)
연출 코시 시게오(腰繁男)
후지쿠라 타쿠야(藤倉拓也)
오가사와라 타쿠야(小笠原卓也)
원작 후지코 F. 후지오
기획 후지코 프로
감수
출연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일본 국기.svg 미즈타 와사비, 오오하라 메구미, 카카즈 유미, 키무라 스바루, 세키 토모카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아영, 김정아, 조현정, 최낙윤, 이현주}}}
캐릭터 디자인 야마시타 아키라(山下晃)
니시무라 리에(西村理恵)
총 작화감독 야마시타 아키라(山下晃)
원화 이마이 카즈아키(今井一暁)
프롭 디자인 스즈키 츠토무(鈴木勤)
색채 설계 쿠라우치 미유키(倉内美幸)
미술 감독 토모자와 유호(友澤優帆)[1]
배경 미술 코믹스 웨이브 필름
3DCG 칸바야시 노리카즈(神林憲和)
촬영 감독 스에히로 타카시
편집 코지마 토시히코(小島敏彦)
녹음 감독 타나카 아키요시(田中章喜)
음향 효과 키타다 마사야(北田雅也)
음악 핫토리 타카유키
주제가 아이묭 - 「スケッチ
프로듀서 요기 사치코(與儀祥子)
사사키 레이코(佐々木礼子)
시라쿠라 유키코(白倉由紀子)
사토 다이마(佐藤大真)
수석 프로듀서 요시다 켄지(吉田健司)
나카시마 신고(中島進)
쿠키 영상 야지마 테츠오[2]
제작 영화 도라에몽 제작위원회
(후지코 프로, 쇼가쿠칸, 테레비 아사히, ADK 이모션즈, ShoPro, 신에이 동화)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원미디어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 도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롯데컬처웍스 롯데시네마
그 외 국가 배급사 정보 ▼
파일:베트남 국기.svg TAGGER, CJ CGV
파일:중국 국기.svg 알리바바 픽처스
파일:홍콩 국기.svg 파일:마카오 국기.svg 인터콘티넨탈 필름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5년 3월 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년 7월 16일
그 외 국가 개봉일 정보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25년 2월 23일[3]
파일:베트남 국기.svg 2025년 5월 23일
파일:중국 국기.svg 2025년 5월 31일
파일:대만 국기.svg 2025년 7월 18일
파일:홍콩 국기.svg 파일:마카오 국기.svg 2025년 7월 24일[4]
파일:태국 국기.svg 2025년 10월 9일
상영 타입 2D | Dolby Atmos
상영 시간 104분 (1시간 44분 26초)
월드 박스오피스 $55,397,445(2025년 9월 2일 기준)
일본 박스오피스 46억 엔(최종)[5][6]
대한민국 총 관람객 109,112명(최종)[7]
국내 스트리밍
[[왓챠|
WATCHA
]]
#!if 링크 != null
[[https://watcha.com/contents/mOPV9El|▶]]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watcha.com/contents/|▶]]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watcha.com/contents/|▶]]
#!if 주석2 != null
^^^^



상영 등급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영륜 G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전체 관람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엠블럼 파일:45주년.png }}}}}}}}}

1. 개요2. 포스터
2.1. 일본, 대한민국
3. PV
3.1. 일본3.2. 대한민국
4. 시놉시스5. 등장인물
5.1. 주요 등장인물5.2. 극장판 오리지널 등장인물
6. 등장 도구7. 음악
7.1. 주제가7.2. 삽입곡7.3. OST
8. 평가
8.1. 평론가 평
9. 흥행
9.1. 일본9.2. 대한민국
9.2.1. 특전
9.3. 베트남9.4. 중국
10. 기타11. 관련 문서12. 둘러보기

1. 개요

파일:그림세계이야기_JPLG.png
みんなの色で、世界はあざやかになる。[8]
모두의 색으로 세상이 알록달록 물든다!
캐치프레이즈
2025년 3월 7일에 개봉한 극장판 도라에몽 시리즈의 44번째 작품이자, 미즈타 성우진의 19번째 극장판.

원제는 '노비타의 그림 세계 이야기'이며, 극장판 도라에몽 45주년 기념 작품이다. 주요 소재는 미술.

2. 포스터

2.1. 일본, 대한민국

<nopad> 파일:그림세계이야기JP.png 파일:도라에몽 극장판 44기 진구의 그림이야기 한국 메인 포스터.jpg
<rowcolor=#ffffff> 파일:일본 국기.svg 메인 포스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메인 포스터
파일:그림세계이야기가로포스터up.jpg
<rowcolor=#ffffff> 파일:일본 국기.svg 가로 포스터
파일:그림이야기 한국 가로 포스터.jpg
<rowcolor=#fffff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가로 포스터

===# 기타 국가 #===
<nopad> 파일:그림이야기_베트남.png 파일:그림이야기_중국.png 파일:그림이야기_홍콩마카오.png
<rowcolor=#ffffff> 파일:베트남 국기.svg 메인 포스터 파일:중국 국기.svg 메인 포스터 파일:홍콩 국기.svg 메인 포스터
파일:그림이야기_베트남_가로.png
<rowcolor=#ffffff> 파일:베트남 국기.svg 가로 포스터
파일:그림이야기_중국_가로.jpg
<rowcolor=#ffffff> 파일:중국 국기.svg 가로 포스터
파일:중국 국기.svg 개봉 카운트다운 포스터
파일:그림이야기_1.png 파일:그림이야기_2.png 파일:그림이야기_4.png 파일:그림이야기_5.png
<rowcolor=#ffffff> 개봉 D-7 포스터 개봉 D-6 포스터 개봉 D-5 포스터 개봉 D-4 포스터
파일:그림이야기_6.png 파일:그림이야기_7.png 파일:그림이야기_8.png 파일:그림세계이야기_JPLG.png
<rowcolor=#ffffff> 개봉 D-3 포스터 개봉 D-2 포스터 개봉 D-1 포스터

3. PV

3.1. 일본

특보
특보 ②
예고편
예고편 ②
비밀도구 예고편
60초 다이제스트
2분 30초 다이제스트
월드 프리미어 in 이탈리아
본편 영상
스페셜 PV ~아이묭 주제가 Ver.~

3.2. 대한민국

1차 예고편
2차 예고편
비밀도구 소개 영상
스케치 뮤직비디오
1분 다이제스트
아이묭 그리팅 영상

4. 시놉시스

||<tablewidth=100%><width=10%><tablebgcolor=#ffffff,#1c1d1f><tablebordercolor=#ffffff,#1c1d1f>
혹시, 그림의 세계로 들어갈 수 있다면?
환상의 보석을 둘러싼, 도라에몽과 친구들의 시공을 넘어선 대모험이, 지금 시작된다!!

수십억 엔의 가치가 있는 그림이 발견되었다는 뉴스를 보며 여름방학 숙제인 '그림 그리기'에 임하는 노비타.
그러던 도중 갑자기 그림 조각이 떨어지는데, 비밀 도구인 「들어가는 라이트」를 사용해 그림 속에 들어가 탐험하면서 클레어라는 신기한 소녀와 만난다.

그녀의 부탁을 받고 도라에몽과 친구들은 아트리아 공국으로 향하는데, 그곳은 무려 뉴스에 나온 화제의 그림에 그려진 중세 유럽의 세계였던 것!
그리고 그 세계에는 '아트리아 블루'라는 환상의 보석이 어딘가에 잠들어 있다는데... 환상의 보석에 대한 비밀을 찾는 도라에몽과 친구들.

그러나, 아트리아 공국에 전해지는 "세계 멸망"의 전설이 되살아나버려, 큰 위기가 닥쳐온다!! 과연 노비타와 친구들은 전설을 무찌르고 세계를 구할 수 있을까!?

— 시놉시스(일본)||


||<tablewidth=100%><width=10%><tablebgcolor=#ffffff,#1c1d1f><tablebordercolor=#ffffff,#1c1d1f>
그림 속 세계로 들어갈 수 있다면?
환상의 보석을 둘러싼 도라에몽과 친구들의 시공 초월 대모험이 지금 시작된다!

수백억 원의 가치를 지닌 그림이 발견되었다는 뉴스가 보도되는 가운데, 여름방학 숙제로 ‘그림’을 그리고 있던 진구의 앞에 갑자기 오래된 그림 조각 하나가 떨어진다. 도라에몽과 진구는 비밀 도구인 ‘들어가는 라이트’를 사용해 그림 속으로 탐험을 떠나고 그곳에서 신비로운 소녀 클레어와 만나게 된다.

그런데 그곳은 바로 뉴스에서 화제가 된 그림 속에 그려진 중세시대 유럽 ‘아트리아 공국’이었다!
그곳 어딘가에는 ‘아트리아 블루’라는 환상의 보석이 숨겨져 있다고 하는데… 환상의 보석의 비밀을 파헤치는 도라에몽과 친구들.

하지만, ‘아트리아 공국’에 전해 내려오는 ‘세계 멸망’의 전설이 깨어나며 모두가 큰 위기에 빠진다!
과연 도라에몽과 친구들은 전설을 뒤집고 세계를 구할 수 있을까?

— 시놉시스(한국)||

5. 등장인물

5.1. 주요 등장인물

5.2. 극장판 오리지널 등장인물

  • 차이(チャイ) - 쿠노 미사키 / 신이나
    파일:chara_chai.png
    클레어와 함께 그림 속에서 나타난 날개 달린 작은 악마 박쥐. 초콜릿을 좋아한다.[9]
  • 마이로(マイロ) - 타네자키 아츠미[10] / 양은한
    파일:chara_milo.png
    아트리아 공국에 사는 그림을 잘 그리는 소년으로 클레어의 소꿉친구.

    아트리아 궁정화가[11]의 아들로 화가를 목표로 날마다 그림을 계속 그린다. 작중 내내 클레어를 좋아하는 듯한 모습을 자주 보이는데, 마지막 결전이 끝난 후 클레어에게 고백한다.[스포일러]
  • 펄(パル) - 스즈카 오지 / 김태환
    파일:chara_pal.png
    아트리아 공국의 미술 상인. 평소에는 그림을 사고 팔며 성에 출입하고 있다. 마이로의 그림을 높이 평가하며, 첫 등장부터 의심스러운 행동과 묘사 등으로 뭔가 있다는 암시를 보여주었다.
    {{{#!folding 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행방불명되었다가 성으로 돌아오는 클레어를 보면서 13세기 아트리아 기준으로 먼 미래에 나온 소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언급하거나 첫 등장 장면에서 현대적인 망원경을 사용하는 등 미래에서 왔다는 암시를 여럿 보여준다. 이를 알아챈 도라에몽 일행은 미래에서 온 그림 도둑이라고 생각하고 그의 집까지 찾아가지만, 사실 그의 정체는 그림 도둑이 아닌 타임 패트롤 요원이였다. 과거에서 미술품 등을 훔쳐가는 타임 헌터를 잡기 위해 잠복하고 있던 것.[13] 후반부 도라에몽을 감싸고 이젤에게 당해 석화당해 리타이어하나, 그림 도라에몽과 진구의 활약으로 세계가 원래대로 돌아오면서 원래대로 돌아오고 소드로를 체포해 미래로 이송한다. 이때 시공간 터널을 떠돌던 진짜 클레어를 발견하고 구조해 아트리아 왕국으로 데려온다.

은근 덜렁이인 건지 과거 소드로를 쫓을 때도 놓치고 말았으며, 도라에몽 일행에게 의심받은 것도 말실수가 원인이다. 심지어 자기를 쫓고 있는 도라에몽의 도구, 즉 미래의 물건을 방금 전 목격해서 자기 정체가 들킬지도 모르는 상황에서도 정작 집 안에서는 느긋하게 커피를 마시려고 하고 있었다. 후반부 소드로와 대치하고 있을 때도 결국 넘어지기 해결사에게 당해 넘어지면서 도구를 뺏기고 만다.}}}
  • 아트리아 왕비 - 후지모토 미키 / 김진아
    파일:news250115_12.jpg

    아트리아 공국의 왕비.
    4년 전에 행방불명된 딸을 줄곧 찾고 있다.
  • 아트리아 왕 - 다테 미키오 / 김태환
    파일:news250125_2.jpg

    아트리아 공국의 국왕.
    4년 전에 행방불명된 딸을 왕비와 함께 기다리고 있다.
  • 엉망진창 도라에몽(へたっぴドラえもん) - 미즈타 와사비 / 윤아영[14]
    파일:20250320_234331.png

    마이로의 조언을 듣고 진구가 그린 그림. 진구 본인은 엉망진창이라며 부끄러워하지만 마이로는 마음이 담겨 있다며 높게 평가한다.

    원본 도라에몽이 이젤에게 당하면서 석화된 상태에서 우연히 그림 속에 들어온 진구에게 도움을 준다. 언어능력은 떨어지지만 원본과 같은 도구를 꺼낼 수 있다.[15]
==# 줄거리 #==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13세기 중세 유럽, 클레어가 그림을 그리고 있는 소꿉친구 마이로에게 놀자고 떼를 쓰는 것으로 영화가 시작된다. 그림을 그리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기던 클레어는 근처의 떠돌이 숲에서 놀자고 하지만, 마이로는 그곳은 악마 때문에 길을 잃으면 영영 나오지 못한다며 반대한다. 하지만 지루함을 참지 못한 클레어는 결국 홀로 숲을 향해 가는데, 그러던 중 갑자기 나타난 거대한 웜홀 속으로 빨려 들어가버린다.

장면이 전환되어, 도라에몽진구가 미로에서 거대한 미노타우로스의 도끼질을 피하면서 도망을 친다. 도끼질을 겨우 피하던 둘은 가까스로 그림의 바깥으로 나가는 출구를 찾아내어 나간다. 이슬이, 비실이, 그리고 퉁퉁이와 함께 도구 '들어가는 라이트'를 이용하여 미술 작품들 속으로 들어간 것이었는데, 알고 보니 이들은 여름방학 동안 해야 할 그림 그리기 숙제의 영감을 얻기 위해서 그림 속으로 들어가보는 체험을 하는 중이었던 것. 이후 옆에 있던 알폰스 무하의 '동백꽃 여인'이라는 그림에 들어가는 것으로 극장판 오프닝이 시작된다.

이후 현대의 일본, 진구는 누워있는 아빠의 그림을 그려보지만,[16] 도라에몽의 핀잔을 듣고 곧 그림 그리기를 포기한 진구는 "차라리 그림이 하늘에서 뚝 떨어지면 좋겠다"며 지우개를 천장에 던지는데, 그러자 천장에 갑자기 구멍이 생겨 지우개가 빨려들어간 대신, 정체를 알 수 없는 그림 한 장이 진구 머리 위로 떨어진다. 그 그림에는 숲 속의 금발의 소녀와 홀로그램처럼 색이 변하는 푸른색 박쥐가 그려져 있었고, 무슨 이유에서인지 윗부분이 잘린 듯한 형태를 하고 있었다. 호기심을 느낀 진구와 도라에몽은 그 그림 속 소녀를 만나 해당 그림의 정체를 물어보기 위해서 들어가는 라이트를 이용해 다시 그림 속 세계로 들어간다.

그렇게 그림 속으로 들어온 둘. 그곳에는 울창한 숲이 펼쳐져 있었는데, 둘은 숲을 돌아다니다 소녀를 발견한다. 그 금발 소녀의 정체는 영화 초반에 거대한 웜홀에 빨려 들어갔던 클레어. 진구는 클레어의 눈 또한 그림에 그려져 있던 박쥐의 색처럼 각도에 따라 색이 변한다는 것을 알게 되고, 둘은 클레어를 쫓으려 하지만 결국 놓쳐버린다. 이후 클레어는 푸른색 나비를 쫓으며 달려가다 진구와 도라에몽이 들어온 그림의 입구에 빠져 현실 세계로 이동한다.

현대에 온 클레어는 신발을 신은 채로 방 안을 걸어다니다가 진구 엄마와 마주치게 되는데, 더러워진 방바닥을 보고 격분한 진구 엄마는 클레어를 쫓다가 결국 놓치게 된다. 그 때 진구 아빠가 보고 있던 뉴스에서 미술관 이전 작업 중에 호수가 그려진 정체를 알 수 없는 13세기의 그림이 발견되었다는 속보가 전해지고, 그 그림에도 진구 머리 위로 떨어진 그림에 그려져 있던 박쥐의 색과 마찬가지로, 보는 각도에 따라서 변하는 색이 사용되었다는 것이 밝혀진다.[17] 한편, 엄마의 추격을 피해 밖으로 나온 클레어는 현대의 일본을 둘러보면서 경악하며 돌아다니다가 나비를 쫓아 공사현장으로 들어가게 된다. 공사장에서 위험한 순간을 마주하지만 마침 근처에 있던 이슬이와 퉁퉁이가 클레어를 구하게 되고, 도중에 도라에몽, 진구와 재회한 뒤에 모두 함께 비실이의 집으로 향한다.

이후 통역 곤약[18]을 통해서 클레어와 대화를 할 수 있게 되자, 클레어는 도라에몽에게 자신을 '아트리아 공국'으로 데려가 달라고 부탁하였고, 그 말을 들은 비실이가 백과사전에서 아트리아 공국에 관해 찾아보지만 그와 관련된 정보는 전혀 없었다. 그 때 클레어는 신문에 실린 호수 그림을 보고[19] 도라에몽과 친구들에게 그곳이 자신의 고향, '아트리아 공국'임을 알려준다.

결국 아트리아 공국, 그리고 그곳에 있다는 환상의 보석을 찾기 위해 다같이 진구의 집으로 향하고, 아까 진구의 머리 위에 떨어졌던 그림 속으로 다시 들어간다. 그림 속에서 사람들을 놀래키는 것이 취미인 붉은 박쥐 '차이'와도 만나게 되지만, 정작 아트리아 공국은 아무리 찾아도 보이지 않았고, 계속해서 숲을 수색하다가 결국 색이 없는 그림의 끝자락에 다다르게 된다. 그렇게 도라에몽이 절망하던 중 우연히 그림의 출구를 발견하게 되고, 출구를 통해서 나오자 아이들의 눈 앞에 보인 것은 다름 아닌 아트리아 성과 호수.

도라에몽이 발견한 그림의 출구는 앞서 진구한테 떨어졌던 그림의 위쪽 부분으로, 그림의 아래 부분에 쐈던 들어가는 라이트의 효과가 윗쪽 부분에도 적용되어 나올 수 있었던 것이다. 이후 도라에몽의 도구인 '안경형 연대 측정기'를 통해서 그곳이 13세기 중세 유럽 남동부, 즉 뉴스와 신문에 나왔던 것과 동일한 시대임을 알게 되고 다같이 시내로 향한다. 즉, 그림 속으로 들어갔다가 13세기의 아트리아 공국으로 나오게 된 것으로, '그림 세계 이야기'라는 제목과는 다르게[20] 여기서부터는 현실 세계를 배경으로 스토리가 진행된다.

아트리아 공국 사람들이 도라에몽 일행의 차림새를 이상하게 느끼자 도구 '옷 갈아입기 카메라'로 중세 유럽 풍의 옷으로 갈아입은 뒤에 아트리아 성의 광장으로 향하는데, 그곳에서 발견한 것은 예술의 여신의 동상. 제물을 바치면 소원을 이루어 준다는 클레어의 말에 비실이는 초콜릿 한 알을 바친다. 초콜릿을 모르는 차이와 클레어에게 비실이가 초콜릿을 주자, 반응은 폭발적.[21]

이후 도라에몽과 친구들은 성 앞에 있는 호숫가에 도착하고, 실제 호수 또한 그림과 동일하게 보는 각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특징을 갖고 있었는데, 클레어는 이러한 푸른색을 아트리아 블루'라고 부른다는 것을 알려준다. 그 때, 클레어는 멀리서 그림을 그리는 마이로를 발견하고 둘은 감격의 재회를 하지만, 클레어는 웜홀에 빨려갈 때와 신체 상태가 그대로인 반면에 마이로는 클레어보다 키가 훨씬 더 커져 있었다. 알고 보니 클레어는 4년 째 실종 상태였던 것. 이후 클레어는 마이로에게 도라에몽 일행을 소개하고, 다같이 마이로의 작업실로 들어간다.

그곳에서 마이로는 클레어가 아트리아 공국의 공주라는 사실을 언급하고, 본인의 아버지가 궁중화가였던 덕분에 클레어와 어릴 때부터 친하게 지냈으며 4년 전에 클레어가 웜홀 속으로 빨려들어가 실종되었다는 것을 밝힘과 동시에, 클레어가 실종된 이후 정체를 알 수 없는 점쟁이가 클레어 실종의 원인이 바로 전설의 악마 '이젤'의 저주라며 경고했다는 사실도 언급한다.

한편, 진구와 친구들은 클레어가 어째서 그림 속에 있었는지 의아해 하는데, 도라에몽은 이에 대해 '클레어가 시공간의 이상으로 생긴 웜홀로 빨려들어가서 시공간 속을 떠돌다가, 우연히 누군가가 들어가는 라이트를 사용하는 바람에 클레어가 그림 속으로 떨어져 그 속을 떠돌고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을 한다.[22] 이후 도라에몽과 친구들은 호숫가로 다시 나가서 도라에몽의 도구 '물로 집을 만드는 기계'에 마이로가 그린 건물의 그림을 넣고 기계를 작동시켜[23] 해당 건물을 실제로 만들고, 물 가공 조미료와 이미지 모자로 꾸민 뒤 저녁에는 나가시소멘[24] '음식이 나오는 식탁보'에서 나온 음식을 먹는다.[25]

식사 후 클레어와 마이로는 밀린 대화를 나눈다. 마이로는 클레어의 눈색에 감탄하자 클레어는 어렸을때 이런 얘기를 한 적이 있다고 한다. 기억이 나지 않는다는 마이로에게 그렇게 오래된 일이 아니라며 놀리는 클레어.

그날밤 진구는 자다가 일어나는데 마이로의 작업실에 아직 불이 켜져 있는 것을 보고 그곳으로 향한다.[26]

6. 등장 도구

최근 작품들에서 대체적으로 비밀도구의 사용이 다소 제한적이었던 것과 달리, 약 20가지 이상의 다양한 비밀도구가 등장한다.
  • 대나무 헬리콥터
  • 들어가는 라이트[27]
  • 음식이 나오는 식탁보
  • 안경형 연대측정기
  • 물로 집을 만드는 기계[28][29]
  • 물 가공 세트
  • 옷 갈아입기 카메라
  • 이미지 모자
  • 예비 주머니
  • 방패 망토
  • 투명 망토
  • 실 없는 실 전화기
  • 무생물 최면 메가폰
  • 가뿐 사뿐 낚싯대
  • 넘어지게 해결사[30]
  • 복사 로봇
  • 공기 대포[31]
  • 충격총
  • 순간 접착총
  • 실물 크레용
  • 모세의 지팡이

7. 음악

<colcolor=#ffffff> OP - 꿈을 이루어줘 도라에몽(夢をかなえてドラえもん)
<colbgcolor=#0091ce> 노래 파일:일본 국기.svg <colbgcolor=#ffffff,#2d2f34> mao
해바라기 키즈(ひまわりキッズ)(합창)
미즈타 와사비(도라에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상[32]
작사 쿠로스 카즈히코(黒須克彦)
작곡
편곡 오오쿠보 카오루(大久保薫)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心の中 いつもいつもえがいてる(えがいてる)
코코로노 나카 이츠모 이츠모 에가이테루 (에가이테루)
마음속 가운데 언제나 언제나 그리고 있어 (그리고 있어)

夢をのせた自分だけの世界地図(タケコプタ~)
유메오 노세타 지분다케노 세카이치즈 (타케코푸타)
꿈을 실은 자신만의 세계지도 (대나무 헬리콥터)

空を飛んで時間を越えて 遠い国でも
소라오 톤데 토키오 코에테 토오이 쿠니데모
하늘을 날고, 시간을 뛰어넘고 머나먼 나라에도

ドアをあけてほら行きたいよ 今すぐ(どこでもドア~)
도아오 아케테 호라이키타이요 이마 스구 (도코데모 도아)
문을 열고 지금 당장이라도 가고 싶어 (어디로든 문)

大人になったら忘れちゃうのかな?
오토나니 낫타라 와스레차우노카나
어른이 된다면 잊어버리는 걸까?

そんな時には思い出してみよう
손나 토키니와 오모이다시테미요오
그럴 때에는 떠올려보자

Shalalalala 僕の心に いつまでもかがやく夢
샤라라라라 보쿠노 코코로니 이츠마데모 카가야쿠 유메
샤라라라라 내 마음속에 언제까지나 빛나는 꿈

ドラえもん そのポケットで かなえさせてね
도라에몽 소노 포켓토데 카나에사세테네
도라에몽, 그 주머니로 이뤄 주렴

Shalalalala 歌をうたおう
샤라라라라 우타오 우타오오
샤라라라라 노래를 불러보자

みんなでさあ手をつないで
민나데 사아테오 츠나이데
모두 함께 손을 잡고서

ドラえもん 世界中に 夢を そうあふれさせて
도라에몽 세카이주우니 유메오 소오 아후레사세테
도라에몽, 세계 곳곳에 꿈을 넘쳐흐르게 해 주렴

やりたいこと 行きたい場所 見つけたら(みつけたら)
야리타이 코토 이키타이 바쇼 미츠케타라 (미츠케타라)
하고 싶은 일, 가고 싶은 곳을 찾았다면 (찾았다면)

迷わないで 靴を履いて 出かけよう(タイムマシン~)
마요와나이데 쿠츠오 하이테 데카케요오 (타이무마신)
망설이지 말고 신발을 신고서 나가는 거야 (타임머신)

大丈夫さ ひとりじゃない 僕がいるから
다이조오부사 히토리자 나이 보쿠가 이루카라
괜찮아 혼자가 아니야 내가 있으니까

キラキラ輝く 宝物探そうよ(四次元ポケット~)
키라키라 카가야쿠 타카라모노 사가소오요 (요지겐포켓토)
반짝반짝 빛나는 보물을 찾으러 가자 (사차원 주머니)

道に迷っても 泣かないでいいよ
미치니 마욧테모 나카나이데 이이요
길을 잃어버려도 울지 않아도 돼

秘密の道具で 助けてあげるよ
히미츠노 도오구데 타스케테아게루요
비밀 도구로 도움을 줄게

Shalalalala 口笛吹いて 高らかに歩き出そう
샤라라라라 쿠치부에 후이테 타카라카니 아루키데소오
샤라라라라 휘파람을 불면서 높은 곳을 향해 걸어나가자

ドラえもん あの街まで届けばいいね
도라에몽 아노 마치마데 토도케바 이이네
도라에몽, 저 거리까지 닿았으면 좋겠어

Shalalalala 僕らの未来
샤라라라라 보쿠라노 미라이
샤라라라라 우리들의 미래

夢がいっぱいあふれてるよ
유메가 잇파이 아후레테루요
꿈이 가득 넘쳐흐르고 있어

ドラえもん 君がいれば みんなが 笑顔になる
도라에몽 키미가 이레바 민나가 에가오니 나루
도라에몽, 네가 있다면 모두가 웃는 얼굴일 거야

大人になっても きっと忘れない
오토나니 낫테모 킷토 와스레나이
어른이 되어도 절대 잊지 않아

大切な思い いつまでもずっと
타이세츠나 오모이 이츠마데모 즛토
소중한 마음을 언제까지나 계속

Shalalalala 僕の心に いつまでもかがやく夢
샤라라라라 보쿠노 코코로니 이츠마데모 카가야쿠 유메
샤라라라라 내 마음속에 언제까지나 빛나는 꿈

ドラえもん そのポケットで かなえさせてね
도라에몽 소노 포켓토데 카나에사세테네
도라에몽, 그 주머니로 이루게 해 주렴

Shalalalala 歌をうたおう
샤라라라라 우타오 우타오오
샤라라라라 노래를 불러보자

みんなでさあ手をつないで
민나데 사아테오 츠나이데
모두 함께 손을 잡고서

ドラえもん 世界中に 夢を そうあふれさせて
도라에몽 세카이주우니 유메오 소오 아후레사세테
도라에몽, 세계 곳곳에 꿈이 넘쳐흐르게 해 주렴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대한민국판 가사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마음의 도화지 언제나 언제나

그림을 그려 (그림을 그려)

내 꿈이 그려진 오직 나만의 세계지도 (대나무 헬리콥터)

하늘을 날아 시간을 넘어서 머나먼 나라에도

저 문을 열어서 가자

너와 손잡고 지금 당장 (어디로든 문)

너와 나 어른이 돼 잊어버리는 걸까?

그럴 때엔 생각해 우리가 함께한 추억

샤라라라라 내 작은 마음 속

언제까지나 반짝이는 내 꿈

도라에몽, 너의 주머니로 내 꿈을 이루어줘

샤라라라라 노래를 부르자

모두 함께 손에 손을 잡고

도라에몽, 우리의 꿈으로 세상을 채워주길 바래[33]
}}}}}}}}} ||

7.1. 주제가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그림이야기」 주제가
スケッチ
스케치
MV ver.
Full ver.
<colbgcolor=#0091ce><colcolor=#fff> 노래 아이묭
작사
작곡
편곡 타나카 유스케
타츠자키 유스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楽しかったね
타노시캇타네
즐거웠지

また うたた寝
마타 우타타네
또 깜박 잠들어

外し忘れた 眼鏡の跡だって
하즈시와스레타 메가네노 아토닷테
벗는 것을 잊는 안경 자국마저

絵になるよって
에니 나루욧테
그림이 될 거라고

笑って言うから
와랏테 유우카라
웃으며 말하니

瞳で世界を救える気がしちゃう
히토미데 세카이오 스쿠에루 키가 시챠우
눈동자로 세상을 구하는 기분이 들어

今だって光るよ
이마닷테 히카루요
지금도 빛나고 있어

君が現れた時からずっと
키미가 아라와레타 토키카라 즛토
네가 나타난 순간부터 계속

誰かと思えば運命の
다레카토 오모에바 운메이노
누구인가 했더니 운명의

足音が僕を弾ませるよ
아시오토가 보쿠오 하즈마세루요
발소리가 나를 들뜨게 해

迷う明日も
마요우 아시타모
망설이는 내일도

君の姿があれば魔法
키미노 스가타가 아레바 마호
너의 모습이 있으면 마법

不機嫌も温かいその目も
후키겐모 아타타카이 소노 메모
불쾌함도 따뜻한 그 눈도

いつでも取り出せる宝物って
이츠데모 토리다세루 타카라모놋테
언제든지 꺼낼 수 있는 보물이라고

思い出に 濡れながら 僕は眠る
오모이데니 누레나가라 보쿠와 네무루
추억에 젖으며 나는 잠들어

いつも傍にいてくれてる
이츠모 소바니 이테쿠레테루
언제나 곁에 있어 주고 있어

だから時々 見えなくなってしまう
다카라 토키도키 미에나쿠낫테시마우
그래서 가끔씩 보이지 않게 돼버려

片目閉じて ピントを合わす
카타메 토지테 핀토오 아와스
한쪽 눈을 감고 초점을 맞춰

もしも僕から 君が消されちゃったら
모시모 보쿠카라 키미가 케사레챳타라
만약에 나에게서 네가 지워져버린다면

嫌だって言えるの
이야닷테 이에루노
싫다고 말해도 될까

そんな事言ってもいいのかな
손나 코토 잇테모 이이노카나
그런 말 해도 되는 걸까

誰かと思えば後悔の
다레카토 오모에바 코우카이노
누구인가 했더니 후회의

足跡が僕に突きまとうよ
아시아토가 보쿠니 츠키마토우요
발자국이 나를 쫓아와

そんな日々も
손나 히비모
그런 날들도

君が守ってくれてた
키미가 마못테쿠레테타
네가 지켜주고 있었어

同じ今を生きる胴体は
오나지 이마모 이키루 도우타이와
같은 지금을 살아가는 몸은

確かに100年繋がってるんだ
타시카니 햐쿠넨 츠나갓테룬다
확실히 100년 동안 이어져 있어

まっすぐに 揺れながら 僕は描く
맛스구니 유레나가라 보쿠와 에가쿠
똑바로 움직이며 나는 그려가

選んだ色は君に似合う
에란다 이로와 키미니 니아우
선택한 색은 너에게 어울리는

淡く優しい色
아와쿠 야사시이 이로
연하고 다정한 색

少し照れくさいけど
스코시 데레쿠사이케도
조금은 쑥스럽지만

真面目に君のこと見つめている
마지메니 키미노 코토 미츠메테루
진지하게 너를 바라보고 있어

誰かと思えば運命の
다레카토 오모에바 운메이노
누구인가 했더니 운명의

足音が僕を弾ませるよ
아시오토가 보쿠오 하즈마세루요
발소리가 나를 들뜨게 해

迷う明日も
마요우 아시타모
망설이는 내일도

君の姿があれば魔法
키미노 스가타가 아레바 마호
너의 모습이 있으면 마법

不機嫌も温かいその目も
후키겐모 아타타카이 소노 메모
불쾌함도 따뜻한 그 눈도

いつでも取り出せる宝物って
이츠데모 토리다세루 타카라모놋테
언제든지 꺼낼 수 있는 보물이라고

思い出に 濡れながら 僕は眠る
오모이데니 누레나가라 보쿠와 네무루
추억에 젖으며 나는 잠들어

揺れながら 僕は描く
유레나가라 보쿠와 에가쿠
움직이며 나는 그려가
}}}}}}}}} ||

7.2. 삽입곡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그림이야기」 삽입곡
君の夢を聞きながら、僕は笑えるアイデアを!
너의 꿈을 들으며 난 유쾌한 아이디어를!
MV ver.
Full ver.
<colbgcolor=#0091ce><colcolor=#fff> 노래 아이묭
작사
작곡
편곡 타나카 유스케
타츠자키 유스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退屈を越えた先
타이쿠츠오 코에타 사키
지루함을 넘어선 곳

君は何を見たか
키미와 나니오 미타카
너는 무엇을 봤을까

さらばヘンテコな悲しみは
사라바 헨테코나 카나시미와
안녕, 기묘한 슬픔은

全て望み通りに変えてあげる
스베테 노조미 토-리니 카에테 아게루
모두 원하는 대로 바꿔 줄게

天気良し! 空気も良し!
텐키요시 쿠-키모 요시
날씨 좋아! 공기도 좋아!

飛ぶなら 今しかない
토부나라 이마시카나이
난다면 지금밖에 없어

言わば ヘンテコな魔法だ
이와바 헨테코나 마호-다
말하자면 기묘한 마법이야

叶えてあげられるよ僕がいるよ
카나에테 아게라레루요 보쿠가 이루요
이루어 줄 수 있어 내가 있어

可笑しなこともっと言っていいよ
오카시나 코토 못토 잇테 이이요
이상한 말 더 해도 돼

どこでもどうだ
도코데모 도-다
어디든 어때

伸びた影を追いかけて
노비타 카게오 오이카케테
뻗은 그림자를 쫓아

眠たくなるまで遊ぼう
네무타쿠 나루마데 아소보-
잠이 올 때까지 놀자

覚えたてのアイテムにも
오보에타테노 아이테무니모
외운 아이템에도

飽きられちゃうくらい
아키라레 챠우 쿠라이
질릴 정도로

待ち焦がれていた冒険
마치코가레테이타 보-켄
애타게 기다리고 있던 모험

逆さまの宇宙だ
사카사마노 우츄-다
거꾸로 된 우주야

何でもできちゃう未来はもう
난데모 데키챠우 미라이와 모-
뭐든지 할 수 있는 미래는 이제

君たちのもの
키미타치노 모노
너희들의 것

あんな時 こんな時
안나토키 콘나토키
저럴 때 이럴 때

傍にいてあげるから
소바니 이테아게루카라
옆에 있어 줄 테니까

いつもヘンテコな友情だ
이츠모 헨테코나 유-죠-다
언제나 기묘한 우정이야

数えきれないもしもの話して
카조에 키레나이 모시모노 하나시테
수없이 많은 이야기를 하고

不思議なものもっと見せてあげる
후시기나 모노못토 미세테아게루
신기한 것 더 보여줄게

これならどうだ!!
코레나라 도-다
이거면 어때!

通り抜けられる頂上へ
토-리 누케라레루 쵸-죠-에
빠져 나갈 수 있는 꼭대기로

着せ替えちゃえ寂しい気持ち
키세카에챠에 사비시- 키모치
옷을 바꿔 입혀서 쓸쓸한 기분

今にもほら掴めそうでしょ
이마니모 호라 츠카메소-데쇼
금방이라도 자 잡을 수 있을 것 같은

四次元の世界も
요지겐노 세카이모
4차원의 세계도

食べたら変身ビスケット
타베타라 헨신 비스켓토
먹으면 변신 비스킷

あべこべを歩こう
아베코베- 아루코-
거꾸로 걷자

何でも飛び込め未来はもう
난데모 토비코메 미라이와 모-
무엇이든 뛰어드는 미래는 이제

君たちのもの
키미타치노 모노
너희들의 것

何でもできちゃう未来はもう
난데모 데키챠우 미라이와 모-
뭐든지 할 수 있는 미래는 이제

君たちのもの
키미타치노 모노
너희들의 것
}}}}}}}}} ||

7.3. OST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그림이야기」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파일:그림세계이야기사운드트랙.webp
<rowcolor=#fff> 음악감독: 핫토리 타카유키
<rowcolor=#fff> 발매일: 2025.03.0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트랙 리스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트랙 곡명 링크 러닝 타임
01 <colbgcolor=#f5f5f5,#2d2f34> 青き瞳の少女
푸른 눈동자 소녀
1:23
02 ミノタウロスの迷宮
미노타우로스의 미궁
1:05
03 不思議な絵画
신비한 그림
0:43
04 クレア
클레어
1:52
05 追いかけっこ
뒤쫓기
0:51
06 蝶を追って
나비를 따라
1:48
07 ドラえもんは魔法使い?
도라에몽은 마법사?
0:53
08 わが故郷アートリア
나의 고향 아트리아
0:19
09 迷いの森
미로의 숲
0:38
10 小悪魔チャイ
작은 악마 차이
0:49
11 アートリア城
아트리아 성
2:20
12 市場のにぎわい
시장의 활기
1:13
13 大道芸人
광대
1:21
14 チョコレイトウ!?
초콜릿?!
0:25
15 美しきアートリア湖
아름다운 아트리아 호수
0:47
16 悪夢
악몽
0:16
17 再会
재회
1:20
18 マイロの記憶
마이로의 기억
0:41
19 砦の流しそうめん
요새의 흐르는 국수
2:50
20 アトリエのマイロ
아틀리에의 마이로
0:41
21 『いい絵』ってなに?
"좋은 그림"이란 뭐야?
1:05
22 お城の大広間
성의 대청마루
1:22
23 道化師ソドロ
광대 소드로
0:33
24 伝説の絵画
전설의 그림
0:56
25 祝いの宴
축제의 연회
1:11
26 予知夢
예지몽
0:23
27 上手に描けたよ
잘 그렸다구
0:37
28 偽物のクレア
가짜 클레어
0:58
29 のび太の大追跡
진구의 추격
1:30
30 パルを追え!
펄을 쫓아라!
1:03
31 救出作戦開始
구출 작전 개시!
1:01
32 危機一髪、かるがるつりざお!
위기일발, 가뿐 사뿐 낚싯대!
1:44
33 本物はどっち?
진짜는 어느 쪽?
1:18
34 ソドロの正体
소드로의 정체
0:41
35 タイムパトロール出動!
타임 패트롤 출동!
2:24
36 ころばし屋~伝説の悪魔イゼール
전설의 악마 이젤
4:24
37 悪魔たちをやっつけろ!
악마들을 해치워라
2:18
38 弱点は水だ!
약점은 물이다!
4:38
39 モーゼステッキ作戦
모세의 지팡이 작전
1:44
40 色の無い世界
색이 없는 세계
1:09
41 へたっぴドラえもん
엉망진창 도라에몽
1:10
42 くらえ!水もどしふりかけ!
받아라! 다시 물이 되는 조미료!
2:05
43 アートリアブルー
아트리아 블루
0:59
44 突然のお別れ
갑작스런 이별
1:15
45 おかえり、クレア!
어서 와, 클레어!
1:21
46 世界を救った絵
세상을 구한 그림
0:19
47 エピローグ
에필로그
}}} }}} }}} ||

8. 평가

<nopad> 파일:IMDb 로고.svg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파일:야후! 재팬 로고.svg
별점 4.5 / 5.0

파일:Filmarks 로고.svg
별점 4.1 / 5.0

파일:더우반 로고.svg
별점 8.3 / 10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별점 3.6 / 5.0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if code != null
{{{#!if title == null
{{{#!wiki style="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8 / 10
관람객
8.39 / 10
네티즌
9.51 / 10
}}}}}}]]}}}}}}{{{#!if title != null
{{{#!wiki style="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8 / 10
관람객
8.39 / 10
네티즌
9.51 / 10
}}}}}}]]}}}}}}}}}
#!if code == null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000,#fff 평점 8.39 / 10}}}]]
'''


파일:롯데시네마 로고 영문 백색.svg
평점 9.2 / 10

파일:라프텔 로고 화이트.svg
별점 없음 / 5.0


큰 호평을 받으면서 도라에몽 극장판 시리즈 명작 중 하나라는 평가를 받는다. 신 시리즈 최고작으로 평가받는 작품들인 진구의 마계대모험, 진구와 철인군단, 진구의 비밀도구 박물관을 제작한 테라모토 유키요 감독이 12년 만에 극장판 감독직에 복귀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개봉 이전부터 큰 기대를 받았는데, 그 기대에 완벽히 부흥했다는 평.

가장 호평을 받은 부분은 최종 보스와의 전투 장면으로 전체적인 연출과 작화가 매우 뛰어난 덕분에 훌륭한 액션 씬을 보여준다. 특히 공중전에서의 카메라 워크를 통한 연출은 역대 최고라는 평가. 또한 최종 보스가 역대 극장판 중 손에 꼽힐 정도로 강력하여 작품 후반에는 철인군단에 버금가는 수준의 절망적인 분위기가 형성되는데, 이 덕분에 성인 팬들에게도 크게 호평받았으며, 전작과 마찬가지로 복선 회수에 있어서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주제가 주제인 만큼 작화에 있어서 신경 쓴 티가 나는데, 그림의 종류에 따라 배경 작화의 질감을 달리하거나 캐릭터의 테두리 색을 달리하는 등의 변화를 주었으며, 색감 표현이나 배경 작화의 전체적인 퀄리티도 뛰어나 호평을 받았다.[34] 특히나 오프닝에서는 비밀도구 '들어가는 라이트'를 활용해 뭉크절규, 빈센트 반 고흐별이 빛나는 밤 등의 그림 속으로 들어가는데, 이것이 뛰어난 작화의 질감 표현과 맞물리면서 역대 최고 수준의 오프닝 연출을 보여주었다.

전체적인 스토리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도라에몽 극장판의 특징 중 하나인 사회 비판적인 요소를 과감히 빼버리고[35] 작품 자체의 메세지와 모험을 강조하였으며, 스토리 전개 방식에 있어서는 과거 후지코 F. 후지오가 집필한 대장편의 느낌도 나면서 재미까지 챙겼다는 반응. 특히 전작인 진구의 지구 교향곡이 후반부가 큰 호평을 받은 것에 비해서 중반부까지는 늘어지는 전개를 보여주어 아쉬운 평가를 받았던 것과는 달리, 불필요한 장면들을 최대한 줄이며 이야기의 전체적인 짜임 또한 훌륭했다는 평. 이외에도 극장판 시리즈 45주년 기념작인 만큼 과거작들에 대한 오마주 요소도 있어서 팬서비스에 있어서도 훌륭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꼭 그림을 잘 그리는 것만이 중요한게 아니라는 교훈적인 메세지가 잘 담겨져 있는데, 특히 이와 관련해서 결말부에 진구 아빠가 하는 대사를 듣고 울었다는 반응도 많으며, 감독의 전작인 비밀도구 박물관과 비슷하게 진구도라에몽의 우정이라는 테마도 강조되어 있어 팬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다만 복선 회수의 퀄리티 자체는 좋지만, 복선이 많고 복잡해서 어린 아이들이 한번에 내용을 이해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편이며,[36] 스토리 자체가 너무 복선 회수에만 초점을 맞추고 진행되는 것 같다는 평도 있었다.[37]

그리고 일본판 기준으로는 펄의 배역을 맡은 배우 스즈카 오지의 연기력이 큰 혹평을 받으면서 2008년 개봉작인 진구와 초록거인전 이후로 오랜만에 연예인 캐스팅 논란이 불거지기도 했다.[38] 또한, 최종 보스와의 전투가 평상시보다 긴 탓에 약간 지겹게 느껴진다는 반응도 일부 있었으나, 그래도 전체적으로 역대 극장판들 중 최상위권에 들 만한 작품성을 갖췄다는 평이다.

이렇게 작화, 스토리, 그리고 연출까지 전체적으로 모난 곳 없이 훌륭한 완성도를 보여주면서 영화 사이트에서도 매우 높은 평점을 받았는데, 일본 주요 영화 평점 사이트인 영화.com과 Filmarks에서는 각각 4.3점, 4.1점을 기록, 그리고 야후! 재팬에서는 4.5점을 기록하면서 역대 극장판들 중 가장 높은 평점을 받았다.[39]

8.1. 평론가 평

<도라에몽>이 줄 수 있는 최대한의 감동이 여기에
김경수 (씨네21) | ★★★★

9.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The Numbers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2025년 3월 7일 $52,738,234 2025년 7월 15일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북미
미정 미개봉 미정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년 3월 7일 $30,839,357 2025년 7월 1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베트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베트남}}}{{{#!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년 5월 23일 $6,414,209 2025년 7월 15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년 5월 31일 $15,484,668 2025년 7월 14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년 7월 16일 미정 미정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싱가포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싱가포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년 7월 16일 미정 미정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년 7월 18일 미정 미정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홍콩|{{{#!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홍콩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홍콩}}}{{{#!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년 7월 24일 미정 미정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태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년 10월 9일 미정 미정

9.1. 일본

일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5년 9주차 2025년 10주차 ~ 15주차 2025년 16주차
첫 번째 키스 극장판 도라에몽: 노비타의 그림 세계 이야기 명탐정 코난: 척안의 잔상
흥행통신 박스오피스 모조 KOBIS
[  개봉 1주차 순위  ]
파일:2025년 10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첫 주차에 같은 날 개봉한 위키드를 약 두 배 차이로 제치고 일본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다. 3월 7일부터 9일까지 3일 간 57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고 7.03억 엔을 벌어들이면서 2018년 진구의 보물섬 이후로 가장 높은 오프닝 스코어를 기록하였다.
[  개봉 2주차 순위  ]
파일:2025년 11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2주차에도 일본 박스오피스 1위를 유지하였다. 공개 10일 만에 흥행수입 14억 엔, 관객수는 114만 명을 돌파했다. #
[  개봉 3주차 순위  ]
파일:2025년 12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3주차에도 일본 박스오피스 1위를 유지하였다. 3주차 주말까지 누적 관객 수 177만, 누적 흥행 수입은 21억 엔을 기록하였다.
[  개봉 4주차 순위  ]
파일:2025년 13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4주차에도 일본 박스오피스 1위를 유지하였다. 4주차 주말까지 누적 관객수 247만명, 누적 흥행 수입은 30억엔을 육박하였다. #
[  개봉 5주차 순위  ]
파일:2025년 14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5주차에도 일본 박스오피스 1위를 유지하였다. 누적 관객수 317만명, 흥행수입이 37억엔을 돌파하였다.
[  개봉 6주차 순위  ]
파일:2025년 15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6주차에도 일본 박스오피스 1위를 유지하였다.
[  개봉 7주차 순위  ]
파일:2025년 16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7주차에 명탐정 코난: 척안의 잔상에 밀려 일본 박스오피스 2위로 내려앉았다.
[  개봉 8주차 순위  ]
파일:2025년 17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8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6위로 내려앉았다.
[  개봉 9주차 순위  ]
파일:2025년 18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9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9위로 내려앉았다.

9.2.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109,100명, 누적매출액 961,403,100원[4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width: 300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12,206명 12,206명 미집계 96,831,500원 96,831,500원
1주차 2025-07-16. 1일차(수) 5,058명 39,586명 8위 36,266,400원 333,879,200원
2025-07-17. 2일차(목) 2,978명 8위 22,461,300원
2025-07-18. 3일차(금) 3,871명 8위 32,268,900원
2025-07-19. 4일차(토) 12,257명 7위 107,079,100원
2025-07-20. 5일차(일) 11,687명 7위 103,488,300원
2025-07-21. 6일차(월) 1,833명 9위 15,926,600원
2025-07-22. 7일차(화) 1,902명 9위 16,388,600원
2주차 2025-07-23. 8일차(수) 2,976명 29,544명 9위 21,638,400원 277,181,400원
2025-07-24. 9일차(목) 1,689명 11위 14,463,900원
2025-07-25. 10일차(금) 2,522명 11위 22,741,400원
2025-07-26. 11일차(토) 6,064명 11위 61,598,900원
2025-07-27. 12일차(일) 6,906명 10위 69,809,100원
2025-07-28. 13일차(월) 4,378명 10위 41,149,000원
2025-07-29. 14일차(화) 5,009명 10위 45,780,700원
3주차 2025-07-30. 15일차(수) 4,519명 16,192명 13위 39,174,200원 149,889,100원
2025-07-31. 16일차(목) 3,024명 12위 27,508,300원
2025-08-01. 17일차(금) 2,316명 13위 21,987,100원
2025-08-02. 18일차(토) 2,295명 13위 22,200,900원
2025-08-03. 19일차(일) 2,148명 13위 20,950,100원
2025-08-04. 20일차(월) 919명 15위 8,804,100원
2025-08-05. 21일차(화) 971명 13위 9,264,400원
4주차 2025-08-06. 22일차(수) 718명 5,999명 24위 6,754,900원 54,478,100원
2025-08-07. 23일차(목) 1,200명 18위 8,310,400원
2025-08-08. 24일차(금) 752명 27위 7,320,600원
2025-08-09. 25일차(토) 1,107명 26위 10,860,800원
2025-08-10. 26일차(일) 1,241명 20위 12,153,900원
2025-08-11. 27일차(월) 448명 24위 4,196,500원
2025-08-12. 28일차(화) 533명 23위 4,881,000원
5주차 2025-08-13. 29일차(수) 455명 4,034명 27위 4,129,900원 37,631,600원
2025-08-14. 30일차(목) 627명 23위 5,592,000원
2025-08-15. 31일차(금) 1,122명 26위 10,727,400원
2025-08-16. 32일차(토) 797명 27위 7,488,400원
2025-08-17. 33일차(일) 578명 29위 5,506,300원
2025-08-18. 34일차(월) 272명 25위 2,491,200원
2025-08-19. 35일차(화) 183명 33위 1,696,400원
6주차 2025-08-20. 36일차(수) 116명 1,108명 48위 871,000원 8,261,200원
2025-08-21. 37일차(목) 90명 55위 682,000원
2025-08-22. 38일차(금) 186명 39위 1,340,000원
2025-08-23. 39일차(토) 291명 38위 2,213,100원
2025-08-24. 40일차(일) 296명 37위 2,214,000원
2025-08-25. 41일차(월) 98명 37위 703,000원
2025-08-26. 42일차(화) 31명 78위 238,100원
7주차 2025-08-27. 43일차(수) 4명 293명 127위 29,000원 2,202,000원
2025-08-28. 44일차(목) 85명 58위 605,000원
2025-08-29. 45일차(금) 20명 105위 152,000원
2025-08-30. 46일차(토) 43명 84위 332,500원
2025-08-31. 47일차(일) 122명 50위 934,500원
2025-09-01. 48일차(월) 8명 83위 61,000원
2025-09-02. 49일차(화) 11명 88위 88,000원
8주차 2025-09-03. 50일차(수) 10명 138명 103위 75,000원 1,049,000원
2025-09-04. 51일차(목) 9명 102위 60,000원
2025-09-05. 52일차(금) 4명 108위 32,000원
2025-09-06. 53일차(토) 57명 59위 435,000원
2025-09-07. 54일차(일) 49명 62위 381,000원
2025-09-08. 55일차(월) 6명 88위 42,000원
2025-09-09. 56일차(화) 3명 104위 24,000원
}}}}}}}}} ||
  • 개봉 전
    • 4월 25일, 영등위에 영화 심의 신청이 접수되면서 정식 개봉이 확정되었으며, 정식 로컬라이징 명은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그림이야기>인 것이 확인되었다.# 이후 개봉 날짜는 7월로 밝혀졌으며, 배급사는 진구와 하늘의 유토피아진구의 지구 교향곡의 배급을 맡았던 CJ CGV에서 롯데컬처웍스 롯데시네마로 바뀐 것이 확인되었다.
    • 6월 9일, 메인 포스터와 1차 예고편이 공개되었다. #
    • 이후 롯데시네마 상영관에 부착된 홍보물을 통해서 7월 16일에 개봉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롯데시네마 단독 개봉이 확정되었다.
    • 6월 23일, 롯데시네마 공식 인스타그램을 통해 2차 예고편이 공개되었다.[41] #
    • 정식 개봉 이전 유료 시사회를 통해서 7월 12일, 13일 이틀 간 12,163명의 관객을 모았다.
  • 개봉 후
    • 개봉 후 3일동안 약 1만 명을 동원하고, 첫째 주 주말에도 준수한 관객 수를 기록하며 전작과 비슷한 페이스를 보여주었다. 전작이 장기간동안 안정적으로 관객을 모으면서 진구의 보물섬 이후 6년만에 10만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하는 준수한 흥행을 달성했던만큼, 이번 작 또한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관객수를 유지하는 것이 따라 관객 수 10만 명 돌파의 관건일 것으로 보인다.
    • 전작과는 달리 평일에도 4~5천명대의 안정적인 관객수를 동원하며 개봉 2주만에 누적관객수 8만 명을 돌파하였다.
    • 상영관과 스크린 수가 이전보다 줄어들었음에도 전작보다 더욱 빠른 속도로 누적관객수 10만 명을 돌파하였으며, 최종 109,112명의 관객을 동원하였다. 이는 전작인 지구 교향곡의 관객 수보다 약 7천 명, 전전작인 하늘의 유토피아의 관객 수보다 약 1만 2천 명 정도 오른 수치.

9.2.1. 특전

  • 프리미어 상영회 - 가지각색! 만화 BOOK 소책자(7월 12일, 13일)#
  • 1주차 특전 - 시그니처 무비 티켓(7월 16일~29일)#
    1주차 주말 특전 - 오리지널 고무 키링(7월 19일~25일)#
  • 2주차 특전 - 시그니처 아트 카드(7월 23일~8월 5일)#
    2주차 주말 특전 - 45주년 클리어파일(7월 26일-8월 1일)#
  • 3주차 특전 - 시그니처 무비 씰(7월 30일~8월 12일)#
    3주차 주말 특전 - 홀로그램 엽서 세트(8월 2일~8일#

9.3. 베트남

5월 17일, 18일에 선행 상영을 하였고, 이후 23일에 정식 개봉하였다. 전작인 진구의 지구 교향곡도 베트남 개봉 애니메이션 영화 역대 2위에 해당하는 흥행 수입을 기록하는 등 엄청난 인기를 보여주었는데, 본작은 더 빠른 페이스로 1000억 동을 돌파하였다.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과 하루 차이로 개봉해 박스오피스 2위에 그친 중국과는 달리, 베트남에서는 아예 미션 임파서블마저 약 3배 차이로 압도하며 박스오피스 1위를 계속해서 유지하였다.

9.4. 중국

개봉 첫날 약 1700만 위안을 벌어들이면서 몇년 전과 비교하면 오프닝 스코어가 크게 떨어졌지만 주말에 회복하며 박스오피스 2위를 차지하였다.[42] 개봉 6일 만에 흥행 수입 5000만 위안을 돌파하였다.

10. 기타

  • 그동안의 극장판들 중 대다수가 7월 초에 예고편, 그리고 티저 포스터가 공개되었던 것과 달리, 이번 극장판은 이례적으로 9월에 예고편이 공개되며 영화 정보가 굉장히 늦게 공개되었다. 10월에 예고편이 공개되었던 진구의 달 탐사기, 진구의 우주소전쟁 2021, 진구의 지구 교향곡을 제외하면 가장 늦게 예고편이 공개된 극장판이다.[43]
  • 9월에 영화에 대한 정보 공개가 이루어지면서 감독을 맡은 테라모토 유키요의 코멘트가 공개되었다.
    12년만에 「극장판 도라에몽」의 감독을 맡게 되었습니다.

    오랜만에 도라에몽과 함께하는 모험에 저도 계속 설레고 있는데요,

    이번 극장판은 그림 속으로 모험을 떠나는데, 비록 미술이 소재지만 무거운 분위기는 아닙니다.

    어린 아이부터 어른까지, 모든 연령층이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이야기이며,

    웃음, 눈물, 감동, 액션, 그리고 미스터리까지 모든 것을 갖춘 내용이므로 기대해주시길 바랍니다!
  • 해당 작품의 개봉을 앞두고 극장판 시리즈의 45주년을 기념하여 '영화 도라에몽 축제'라는 재개봉 이벤트가 열린다. 1980년 개봉작 진구의 공룡대탐험과 2024년 개봉작 진구의 지구 교향곡까지, 총 43개의 작품들 중에서 투표를 하여 가장 많은 표를 얻은 작품 5개를 뽑아서 재개봉을 하며, 본작의 개봉 직전인 2025년 1월부터 2월까지 상영하였다.
  • TVA 원화와 진구의 신공룡부터 극장판 작화에 참여한 전력이 있는 야마시타 아키라가 처음으로 캐릭터 디자인을 맡았으며, 진구의 마계대모험의 연출을 맡고, 진구의 우주개척사의 감독을 맡았던 코시 시게오, 진구와 철인군단에 메카닉 디자이너로 참여했던 스즈키 츠토무 등이 이번작 제작에 참여했다. 또한, 이마이 카즈아키와의 인연으로 진구의 보물섬과 진구의 신공룡 작화에 참여했던 코믹스 웨이브 필름 소속 토모자와 유호가 미술 감독을 맡았다.[44]
  • 영화 개봉 이후 테라모토 유키요 감독, 각본가 이토 사토시, 미술 감독 토모자와 유호, 그리고 프로듀서 사토 히로마사의 인터뷰가 차례대로 공개되었다.####
  • 도라에몽 극장판으로서는 드물게 중세 유럽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만큼, 자료가 부족하여 테라모토 유키요 감독과 미술 감독 토모자와 유호를 비롯한 주요 제작진이 직접 이탈리아로 현장 조사를 갔다고 한다.[47] 이 때문인지 이탈리아에서는 일본보다도 먼저 시사회를 진행하였다.#
  • 2024년 7월에 전임 노진구 성우 오하라 노리코가, 9월에 전임 도라에몽 성우 오오야마 노부요가 별세하고 난 이후로 처음 개봉되는 극장판인 만큼, 팬들에게는 더욱 의미있는 작품이 되었다.
  • 2025년 2월부터 8월까지 본작의 테마를 다룬 '4D-아트 어드벤쳐 ~진구의 그림 세계 이야기~'라는 어트랙션이 유니버셜 스튜디오 재팬 4D 시어터에서 오픈한다.
  • 최초 공개 당시에는 파란색 배경에 노란색 글씨로 이루어진 로고가 쓰였지만, 이후 공개된 메인 포스터에는 로고의 배경이 파란색보다는 청록색에 가까운 색으로 변경되고 전체적으로 색이 옅어졌다. 그러나 이후에도 예고편에는 최초 공개 당시 로고가 계속해서 쓰였고, 포스터나 잡지 등에는 바뀐 로고가 쓰이는 등 두 가지 버전이 혼용되었다.[48]

===# 공개 전 정보 #===
  • 전작인 진구의 지구 교향곡의 쿠키 영상은 박쥐 떼가 화면을 뒤덮은 뒤에 베레모앞치마를 입은 도라에몽이 등장하여 지팡이를 들고 마법사의 모습을 한 도라에몽을 그리는데, 이후 그림 속 도라에몽이 튀어나와 지팡이를 흔들자 배경이 호수에 둘러싸인 중세 유럽의 성으로 변하고, "2025년 봄 공개 결정!"이라는 문구가 나오며 끝이 난다.
    • 해당 쿠키 영상에 대해서 여러 추측들이 난무했는데, 먼저 첫번째로 진구와 꿈의 삼총사의 리메이크라는 설. 실제로 쿠키 영상에서 도라에몽의 복장이 진구와 꿈의 삼총사에서의 복장과 매우 비슷하며[49], 중세 유럽 풍의 성이 등장하는 것 또한 비슷하다. 다만, 꿈의 삼총사와는 전혀 연관성이 없는 박쥐와 그림을 그리는 도라에몽이 등장한다는 것은 걸림돌.
    • 위의 추측과 관련해서 꿈의 삼총사에서 모티브만 따온 작품일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50]
    • 원작의 <유령 성으로 이사하자>를 모티브로 삼은 극장판이라는 예상도 존재한다. 쿠키 영상에 중세 유럽 풍의 성이 등장한다는 점에 있어서 꽤나 가능성이 있는 편. 그리고 2008년에는 진구와 초록거인전 대신에 해당 단편을 모티브로 한 극장판이 기획되기도 했을 정도로 해당 에피소드의 영화화는 과거에도 이미 시도되었던 전력이 있으며, 이전에도 인어대해전, 기적의 섬, 남극 꽁꽁 대모험, 달 탐사기 등 여러 작품이 원작의 에피소드에서 모티브를 따왔던 전력이 있다. 다만 꿈의 삼총사의 리메이크라는 설과 마찬가지로, 전혀 연관성이 없는 박쥐와 그림 그리는 도라에몽의 등장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 완전한 오리지널 작품일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위의 추측들의 경우, 모두 근거에 있어서 약간씩 어긋나는 부분이 있기에 리메이크도, 모티브를 따온 작품도 아닐 것이라는 예측이 있다.[51]
    • 쿠키 영상의 내용을 보면 미술을 키워드로 두고, 흡혈귀와의 대결을 주 방식으로 둘 것으로 보인다. 흡혈귀는 낮에는 관에서 잠을 자거나, 박쥐의 모습으로 있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 전작의 엔딩 크레딧에서 이번작의 감독과 몇몇 스태프들도 공개가 되었는데, 감독의 경우에는 테라모토 유키요로 확정되었으며, 이로써 테라모토 유키요는 12년 만에 다시 도라에몽 극장판의 감독을 맡게 되었다. 지금까지 테라모토 유키요가 감독한 도라에몽 극장판은 모두 3개인데, 그 세 작품이 진구의 마계대모험, 진구와 철인군단, 진구의 비밀도구 박물관으로, 모두 신 극장판 중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작품들인 덕분에 일본 현지 내에서도 큰 기대를 받고 있다.
  • 도라미가 그동안 테라모토 유키요 감독이 담당한 3개의 작품에 모두 등장했었던 만큼, 이번작에서 오랜만에 출연하는 것이 점쳐지고 있다.[52][53] 만약 이번 극장판에 출연하게 된다면 2017년 진구의 남극 꽁꽁 대모험 이후로 8년 만의 출연이다.[54]

11. 관련 문서

12. 둘러보기

파일:롯데시네마 로고 한글 색상.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0%"
{{{#!folding ⠀[ No. 1-20 ]⠀
반도강철비2: 정상회담다만 악에서 구하소서테넷나의 소녀시대
파일:SAC1.jpg파일:SAC2.jpg파일:SAC3.jpg파일:SAC4.jpg파일:SAC5.jpg
No. 1

2020. 7. 15.
No. 2

2020. 7. 29.
No. 3

2020. 8. 5.
No. 4

2020. 8. 26.
No. 5

2020. 8. 26.
기기괴괴-성형수뮬란삼진그룹 영어토익반위플래쉬
파일:SAC6.jpg파일:SAC7.jpg파일:SAC8.jpg파일:SAC9.jpg파일:SAC10.jpg
No. 6

2020. 9. 9.
No. 7

2020. 9. 17.
No. 8

2020. 10. 22.
No. 9

2020. 10. 28.
No. 10

2020. 11. 20.
조제원더우먼 1984새해전야신과함께-죄와 벌신과함께-인과 연
파일:SAC11.jpg파일:SAC12.jpg파일:SAC13.jpg파일:SAC14.jpg파일:SAC15.jpg
No. 11

2020. 12. 10.
No. 12

2020. 12. 23.
No. 13

2021. 2. 10.
No. 14

2021. 1. 8.
No. 15

2021. 1. 21.
소울캐롤라야와 마지막 드래곤미나리고질라 VS. 콩
파일:SAC16.jpg파일:SAC17.jpg파일:SAC18.jpg파일:SAC19.jpg파일:SAC20-1.jpg
No. 16

2021. 1. 20.
No. 17

2021. 1. 27.
No. 18

2021. 3. 4.
No. 19

2021. 3. 18.
No. 20

2021. 3. 25.
}}}}}}
⠀[ No. 21-40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E1E1E1>자산어보
서복명탐정 코난: 비색의 탄환유다 그리고 블랙 메시아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소녀
파일:SAC21.jpg파일:SAC22.jpg파일:SAC23.jpg파일:SAC24.jpg파일:SAC25.jpg
No. 21

2021. 3. 31.
No. 22

2021. 4. 15.
No. 23

2021. 4. 16.
No. 24

2021. 4. 22.
No. 25

2021. 4. 29.
스파이럴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크루엘라캐시트럭콰이어트 플레이스 2
파일:SAC26.jpg
파일:SAC27.jpg
파일:SAC28.jpg
파일:SAC29.jpg
파일:SAC30.jpg
No. 26

2021. 5. 12.
No. 27

2021. 5. 19.
No. 28

2021. 5. 26.
No. 29

2021. 6. 9.
No. 30

2021. 6. 16.
루카킬러의 보디가드 2인 더 하이츠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블랙 위도우
파일:SAC31.jpg
파일:SAC32.jpg
파일:SAC33.jpg
파일:SAC34.jpg
파일:SAC35.jpg
No. 31

2021. 6. 17.
No. 32

2021. 6. 23.
No. 33

2021. 6. 30.
No. 34

2021. 6. 30.
No. 35

2021. 7. 14.
랑종내 남자친구의 결혼식보스 베이비 2이도공간정글 크루즈
파일:SAC36.jpg
파일:SAC37.jpg
파일:SAC38.jpg
파일:SAC39.jpg
파일:SAC40.jpg
No. 36

2021. 7. 14.
No. 37

2021. 7. 14.
No. 38

2021. 7. 21.
No. 39

2021. 7. 21.
No. 40

2021. 7. 28.
⠀[ No. 41-60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296EAF>모가디슈
더 수어사이드 스쿼드인질레미니센스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
파일:SAC41.jpg
파일:SAC42.jpg
파일:SAC43.jpg
파일:SAC44.jpg
파일:SAC45.jpg
No. 41

2021. 7. 28.
No. 42

2021. 8. 4.
No. 43

2021. 8. 18.
No. 44

2021. 8. 25.
No. 45

2021. 9. 1.
기적007 노 타임 투 다이용과 주근깨 공주베놈 2: 렛 데어 비 카니지
파일:SAC46.jpg
파일:SAC47.jpg
파일:SAC48.jpg
파일:SAC49.gif
파일:SAC50.jpg
No. 46

2021. 9. 15.
No. 47

2021. 9. 29.
No. 48

2021. 9. 29.
No. 49

2021. 10. 13.
No. 50

2021. 10. 20.
고장난 론이터널스엔칸토: 마법의 세계매트릭스리슨
파일:SAC51.jpg
파일:SAC52.jpg
파일:SAC53.jpg
파일:SAC54.jpg
파일:SAC55.jpg
No. 51

2021. 10. 27.
No. 52

2021. 11. 10.
No. 53

2021. 11. 24.
No. 54

2021. 12. 9.
No. 55

2021. 12. 9.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매트릭스: 리저렉션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경관의 피특송
파일:SAC56.gif
파일:SAC57.jpg
파일:SAC58.jpg
파일:SAC59.jpg
파일:SAC60.jpg
No. 56

2021. 12. 15.
No. 57

2021. 12. 22.
No. 58

2021. 12. 22.
No. 59

2022. 1. 5.
No. 60

2021. 1. 12.
⠀[ No. 61-80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000000>레지던트 이블: 라쿤시티
해적: 도깨비 깃발킹메이커나일 강의 죽음언차티드
파일:SAC61.jpg
파일:SAC62.gif
파일:SAC63.jpg
파일:SAC64.jpg
파일:SAC65.jpg
No. 61

2022. 1. 19.
No. 62

2022. 1. 26.
No. 63

2022. 1. 26.
No. 64

2022. 2. 9.
No. 65

2022. 2. 16.
시라노더 배트맨모비우스수퍼 소닉 2신비한 동물들과 덤블도어의 비밀
파일:SAC66.jpg
파일:SAC67.jpg
파일:SAC68.gif
파일:SAC69.jpg
파일:SAC70.jpg
No. 66

2022. 2. 23.
No. 67

2022. 3. 1.
No. 68

2022. 3. 30.
No. 69

2022. 4. 6.
No. 70

2022. 4. 13.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범죄도시2쥬라기 월드: 도미니언브로커마녀(魔女) Part2. The Other One
파일:SAC71.jpg
파일:SAC72.jpg
파일:SAC73.jpg
파일:SAC74.jpg
파일:SAC75.jpg
No. 71

2022. 5. 11.
No. 72

2022. 5. 18.
No. 73

2022. 6. 1.
No. 74

2022. 6. 8.
No. 75

2022. 6. 15.
버즈 라이트이어탑건: 매버릭헤어질 결심토르: 러브 앤 썬더엘비스
파일:SAC76.jpg
파일:SAC77.jpg
파일:SAC78.jpg
파일:SAC79.jpg
파일:SAC80.jpg
No. 76

2022. 6. 15.
No. 77

2022. 6. 22.
No. 78

2022. 6. 29.
No. 79

2022. 7. 13.
No. 80

2022. 7. 13.
⠀[ No. 81-100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FB7344>미니언즈 2
외계+인 1부한산: 용의 출현비상선언헌트
파일:SAC82.gif
파일:SAC83.jpg
파일:SAC84.jpg
파일:SAC85.jpg
No. 81

2022. 7. 20.
No. 82

2022. 7. 20.
No. 83

2022. 7. 27.
No. 84

2022. 8. 3.
No. 85

2022. 2. 16.
불릿 트레인공조2: 인터내셔날인생은 아름다워정직한 후보 2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파일:SAC86.jpg
파일:SAC87.jpg
파일:SAC88.jpg
파일:SAC89.jpg
파일:SAC90.jpg
No. 86

2022. 8. 24.
No. 87

2022. 9. 7.
No. 88

2022. 9. 28.
No. 89

2022. 9. 28.
No. 90

2022. 10. 12.
블랙 아담자백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데시벨스트레인지 월드
파일:SAC91.jpg
파일:SAC92.jpg
파일:SAC93.jpg
파일:SAC94.jpg
파일:SAC95.jpg
No. 91

2022. 10. 19.
No. 92

2022. 10. 26.
No. 93

2022. 11. 9.
No. 94

2022. 11. 16.
No. 95

2022. 11. 23.
올빼미원피스 필름 레드아바타: 물의 길영웅젠틀맨
파일:SAC96.jpg
파일:SAC97.jpg
파일:SAC98.jpg
파일:SAC99.jpg
파일:SAC100.jpg
No. 96

2022. 11. 23.
No. 97

2022. 11. 30.
No. 98

2022. 12. 21.
No. 99

2022. 12. 21.
No. 100

2022. 12. 28.
⠀[ No. 101-120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D15345>스위치
더 퍼스트 슬램덩크교섭유령바빌론
파일:SAC101.jpg
파일:SAC102.jpg
파일:SAC103.jpg
파일:SAC104.jpg
파일:SAC105.jpg
No. 101

2023. 1. 4.
No. 102

2023. 1. 14.
No. 103

2023. 1. 18.
No. 104

2023. 1. 18.
No. 105

2023. 2. 1.
타이타닉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대외비스즈메의 문단속사잠! 신들의 분노
파일:SAC106.jpg
파일:SAC107.jpg
파일:SAC108.jpg
파일:SAC109.jpg
파일:SAC110.jpg
No. 106

2023. 2. 8.
No. 107

2023. 2. 15.
No. 108

2023. 3. 1.
No. 109

2023. 3. 8.
No. 110

2023. 3. 15.
소울메이트던전 앤 드래곤: 도적들의 명예존 윅 4거울 속 외딴 성킬링 로맨스
파일:SAC111.jpg
파일:SAC112.jpg
파일:SAC113.jpg
파일:SAC114.jpg
파일:SAC115.jpg
No. 111

2023. 3. 15.
No. 112

2023. 3. 29.
No. 113

2023. 4. 12.
No. 114

2023. 4. 12.
No. 115

2023. 4. 14.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슬픔의 삼각형스즈메의 문단속
파일:SAC116.jpg
파일:SAC117.jpg
파일:SAC118.jpg
파일:SAC119.jpg
파일:SAC120.jpg
No. 116

2023. 4. 26.
No. 117

2023. 5. 3.
No. 118

2023. 5. 10.
No. 119

2023. 5. 17.
No. 120

2023. 5. 17.
⠀[ No. 121-140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5f504b>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아기공룡 둘리: 얼음별 대모험 리마스터링인어공주범죄도시3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파일:SAC121.jpg
파일:SAC122.jpg
파일:SAC123.jpg
파일:SAC124.jpg
파일:SAC125.jpg
No. 121

2023. 5. 16.
No. 122

2023. 5. 24.
No. 123

2023. 5. 24.
No. 124

2023. 5. 31.
No. 125

2023. 6. 6.
극장판 포켓몬스터 DP: 아르세우스 초극의 시공으로엘리멘탈플래시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귀공자
파일:SAC126.jpg
파일:SAC127.jpg
파일:SAC128.jpg
파일:SAC129.jpg
파일:SAC130.jpg
No. 126

2023. 6. 14.
No. 127

2023. 6. 14.
No. 128

2023. 6. 15.
No. 129

2023. 6. 21.
No. 130

2023. 6. 21.
애스터로이드 시티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여름날 우리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밀수
파일:SAC131.jpg
파일:SAC132.jpg
파일:SAC133.jpg
파일:SAC134.jpg
파일:SAC135.jpg
No. 131

2023. 6. 28.
No. 132

2023. 6. 28.
No. 133

2023. 6. 28.
No. 134

2023. 7. 12.
No. 135

2023. 7. 26.
바비더 문비공식작전콘크리트 유토피아오펜하이머
파일:SAC136.jpg
파일:SAC137.jpg
파일:SAC138.jpg
파일:SAC139.jpg
파일:SAC140.jpg
No. 136

2023. 7. 26.
No. 137

2023. 8. 2.
No. 138

2023. 8. 2.
No. 139

2023. 8. 9.
No. 140

2023. 8. 15.
⠀[ No. 141-160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151c2f>
닌자터틀: 뮤턴트 대소동거미집천박사 퇴마 연구소: 설경의 비밀1947 보스톤
파일:SAC141.jpg
파일:SAC142.jpg
파일:SAC143.jpg
파일:SAC144.jpg
파일:SAC145.jpg
No. 141

2023. 9. 6.
No. 142

2023. 9. 14.
No. 143

2023. 9. 27.
No. 144

2023. 9. 27.
No. 145

2023. 9. 27.
크리에이터화란블루 자이언트플라워 킬링 문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파일:SAC146.jpg
파일:SAC147.jpg
파일:SAC148.jpg
파일:SAC149.jpg
파일:SAC150.jpg
No. 146

2023. 10. 4.
No. 147

2023. 10. 11.
No. 148

2023. 10. 18.
No. 149

2023. 10. 19.
No. 150

2023. 10. 25.
톡 투 미키리에의 노래서울의 봄괴물싱글 인 서울
파일:SAC151.gif
파일:SAC152.jpg
파일:SAC153.jpg
파일:SAC154.jpg
파일:SAC155.jpg
No. 151

2023. 11. 1.
No. 152

2023. 11. 1.
No. 153

2023. 11. 22.
No. 154

2023. 11. 29.
No. 155

2023. 11. 29.
나폴레옹3일의 휴가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노량: 죽음의 바다신차원! 짱구는 못말려 더 무비: 초능력 대결전 ~날아라 수제김밥~
파일:SAC156.jpg
파일:SAC157.jpg
파일:SAC158.jpg
파일:SAC159.jpg
파일:SAC160.jpg
No. 156

2023. 12. 6.
No. 157

2023. 12. 6.
No. 158

2023. 12. 20.
No. 159

2023. 12. 20.
No. 160

2023. 12. 27.
⠀[ No. 161-180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182b70>위시
립세의 사계웡카소풍파묘
파일:SAC161.jpg
파일:SAC162.jpg
파일:SAC163.jpg
파일:SAC164.jpg
파일:SAC165.jpg
No. 161

2024. 1. 3.
No. 162

2024. 1. 10.
No. 163

2024. 1. 31.
No. 164

2024. 2. 7.
No. 165

2024. 2. 22.
가여운 것들밥 말리: 원 러브메이 디셈버오멘: 저주의 시작유미의 세포들 더 무비
파일:SAC166.jpg
파일:SAC167.jpg
파일:SAC168.jpg
파일:SAC169.jpg
파일:SAC170.jpg
No. 166

2024. 3. 6.
No. 167

2024. 3. 13.
No. 168

2024. 3. 13.
No. 169

2024. 4. 6.
No. 170

2024. 4. 10.
쿵푸팬더 4범죄도시4혹성탈출: 새로운 시대극장판 하이큐!! 쓰레기장의 결전이프: 상상의 친구
파일:SAC171.jpg
파일:SAC172.jpg
파일:SAC173.jpg
파일:SAC174.jpg
파일:SAC175.jpg
No. 171

2024. 4. 10.
No. 172

2024. 4. 24.
No. 173

2024. 5. 8.
No. 174

2024. 5. 15.
No. 175

2024. 5. 15.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청춘 18X2 너에게로 이어지는 길설계자드림 시나리오존 오브 인터레스트
파일:SAC176.jpg
파일:SAC177.jpg
파일:SAC178.jpg
파일:SAC180.gif
No. 176

2024. 5. 22.
No. 177

2024. 5. 22.
No. 178

2024. 5. 31.
No. 179

2024. 5. 29.
No. 180

2024. 6. 5.
⠀[ No. 181-200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ffcc9f>원더랜드
인사이드 아웃 2하이재킹핸섬가이즈콰이어트 플레이스: 첫째 날
파일:SAC181.jpg
파일:SAC182.jpg
파일:SAC183.jpg
파일:SAC184.jpg
파일:SAC185.jpg
No. 181

2024. 6. 5.
No. 182

2024. 6. 12.
No. 183

2024. 6. 21.
No. 184

2024. 6. 26.
No. 185

2024. 6. 26.
탈주슈퍼배드 4데드풀과 울버린파일럿리볼버
파일:SAC186.jpg
파일:SAC187.jpg
파일:SAC188.jpg
파일:SAC189.jpg
파일:SAC190.jpg
No. 186

2024. 7. 3.
No. 187

2024. 7. 24.
No. 188

2024. 7. 24.
No. 189

2024. 7. 31.
No. 190

2024. 8. 7.
빅토리행복의 나라에이리언: 로물루스비틀쥬스 비틀쥬스우리가 끝이야
파일:SAC191.jpg
파일:SAC192.jpg
파일:SAC193.jpg
파일:SAC194.jpg
파일:SAC195.jpg
No. 191

2024. 8. 14.
No. 192

2024. 8. 14.
No. 193

2024. 8. 14.
No. 194

2024. 9. 4.
No. 195

2024. 9. 13.
트랜스포머 ONE대도시의 사랑법조커: 폴리 아 되베테랑2보통의 가족
파일:SAC196.jpg
파일:SAC197.jpg
파일:SAC198.jpg
파일:SAC199.jpg
파일:SAC200.jpg
No. 196

2024. 9. 25.
No. 197

2024. 10. 1.
No. 198

2024. 10. 1.
No. 199

2024. 10. 2.
No. 200

2024. 10. 16.
⠀[ No. 201-220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f9f9f9>스마일 2
베놈: 라스트 댄스아마존 활명수청설글래디에이터 II
파일:SAC201.jpg
파일:SAC202.jpg
파일:SAC203.jpg
파일:SAC204.jpg
파일:SAC205.jpg
No. 201

2024. 10. 16.
No. 202

2024. 10. 23.
No. 203

2024. 10. 30.
No. 204

2024. 11. 6.
No. 205

2024. 11. 13.
4월이 되면 그녀는사흘히든페이스위키드모아나 2
파일:SAC206.jpg
파일:SAC207.jpg
파일:SAC208.jpg
파일:SAC209.jpg
파일:SAC210.jpg
No. 206

2024. 11. 13.
No. 207

2024. 11. 14.
No. 208

2024. 11. 20.
No. 209

2024. 11. 20.
No. 210

2024. 11. 27.
1승소방관서브스턴스대가족무파사: 라이온 킹
파일:SAC211.jpg
파일:SAC212.jpg
파일:SAC213.jpg
파일:SAC214.jpg
파일:SAC215.jpg
No. 211

2024. 12. 4.
No. 212

2024. 12. 4.
No. 213

2024. 12. 11.
No. 214

2024. 12. 11.
No. 215

2024. 12. 18.
하얼빈시빌 워: 분열의 시대보고타: 마지막 기회의 땅수퍼 소닉3페라리
파일:SAC216.jpg
파일:SAC217.jpg
파일:SAC218.jpg
파일:SAC219.jpg
파일:SAC220.jpg
No. 216

2024. 12. 24.
No. 217

2024. 12. 31.
No. 218

2024. 12. 31.
No. 219

2025. 1. 1.
No. 220

2025. 1. 8.
⠀[ No. 221-240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264184>히트맨2
검은 수녀들말할 수 없는 비밀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퇴마록
파일:SAC221.jpg
파일:SAC222.jpg
파일:SAC223.jpg
파일:SAC224.jpg
파일:SAC225.jpg
No. 221

2025. 1. 22.
No. 222

2025. 1. 24.
No. 223

2025. 1. 27.
No. 224

2025. 2. 12.
No. 225

2025. 2. 21.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소녀(한국 영화)괜찮아 괜찮아 괜찮아!미키 17노보케인플로우
파일:SAC226.jpg
파일:SAC227.jpg
파일:SAC228.jpg
파일:SAC229.jpg
파일:SAC230.jpg
No. 226

2025. 2. 21.
No. 227

2025. 2. 26.
No. 228

2025. 2. 28.
No. 229

2025. 3. 12.
No. 230

2025. 3. 19.
백설공주스트리밍승부아마추어야당
파일:SAC231.jpg
파일:SAC232.jpg
파일:SAC233.jpg
파일:SAC234.jpg
파일:SAC235.jpg
No. 231

2025. 3. 19.
No. 232

2025. 3. 21.
No. 233

2025. 3. 26.
No. 234

2025. 4. 9.
No. 235

2025. 4. 16.
거룩한 밤: 데몬 헌터스썬더볼츠*파과괴수 8호: 미션 리컨바이러스
파일:SAC236.jpg
파일:SAC237.jpg
파일:SAC238.jpg
파일:SAC239.jpg
파일:SAC240.jpg
No. 236

2025. 4. 30.
No. 237

2025. 4. 30.
No. 238

2025. 4. 30.
No. 239

2025. 5. 7.
No. 240

2025. 5. 7.
⠀[ No. 241-260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db9706>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릴로 & 스티치하이파이브소주전쟁드래곤 길들이기
파일:SAC241.jpg
파일:SAC242.jpg
파일:SAC243.jpg
파일:SAC244.jpg
파일:SAC245.jpg
No. 241

2025. 5. 17.
No. 242

2025. 5. 21.
No. 243

2025. 5. 30.
No. 244

2025. 5. 30.
No. 245

2025. 6. 6.
태양의 노래엘리오F1 더 무비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슈퍼맨
파일:SAC246.jpg
파일:SAC247.jpg
파일:SAC248.jpg
파일:SAC249.jpg
파일:SAC250.jpg
No. 246

2025. 6. 11.
No. 247

2025. 6. 18.
No. 248

2025. 6. 25.
No. 249

2025. 7. 2.
No. 250

2025. 7. 9.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그림이야기전지적 독자 시점판타스틱 4: 새로운 출발좀비딸스머프
파일:SAC251.jpg
파일:SAC252.jpg
파일:SAC253.jpg
파일:SAC254.jpg
파일:SAC255.jpg
No. 251

2025. 7. 23.
No. 252

2025. 7. 23.
No. 253

2025. 7. 24.
No. 254

2025. 7. 30.
No. 255

2025. 8. 6.
발레리나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얼굴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어쩔수가없다
파일:SAC256.jpg
파일:SAC257.jpg
파일:SAC258.jpg
파일:SAC259.jpg
파일:SAC260.jpg
No. 256

2025. 8. 6.
No. 257

2025. 8. 25.
No. 258

2025. 9. 11.
No. 259

2025. 9. 24.
No. 260

2025. 9. 24.
⠀[ No. 261-280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D06221>원 배틀 애프터 어나더
연의 편지나쁜계집애: 달려라 하니트론: 아레스극장판 주술회전: 회옥·옥절
파일:SAC261.jpg
파일:SAC262.jpg
파일:SAC263.jpg
파일:SAC264.jpg
파일:SAC265.jpg
No. 261

2025. 10. 1.
No. 262

2025. 10. 1.
No. 263

2025. 10. 7.
No. 264

2025. 10. 8.
No. 265

2025. 10. 16.
퍼스트 라이드프레데터: 죽음의 땅나우 유 씨 미 3
파일:SAC266.jpg
파일:SAC267.jpg
No. 266

2025. 10. 29.
No. 267

2025. 11. 5.
No. 268

2025. 11. 12.
⠀[ Sp. 1-20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947EA9>너의 이름은.
날씨의 아이팬텀: 더 뮤지컬 라이브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비상선언
파일:SACS1.gif
파일:SACS1.gif
파일:SACS3.jpg
파일:SACS4.jpg
Sp. 1

2021. 9. 9.
Sp. 2

2021. 9. 9.
Sp. 3

2021. 12. 1.
Sp. 4

2022. 4. 21.
Sp. 5

2022. 8. 3.
모가디슈(재개봉)원피스 필름 레드탑건: 매버릭아바타: 물의 길초속 5센티미터
파일:SACS6.jpg
파일:SACS7.jpg
파일:SACS8.jpg
파일:SACS9.jpg
파일:SACS10.jpg
Sp. 6

2022. 9. 7.
Sp. 7

2022. 11. 30.
Sp. 8

2022. 12. 7.
Sp. 9

2022. 12. 14.
Sp. 10

2023. 4. 20.
BTS Solo Documentaries미션 임파서블: 폴아웃올드보이그래비티다크 나이트
파일:SACS11-1.jpg
파일:SACS12.jpg
파일:SACS13.jpg
파일:SACS14.jpg
파일:SACS15.jpg
Sp. 11

2023. 6. 16.
Sp. 12

2023. 7. 5.
Sp. 13

2023. 9. 20.
Sp. 14

2023. 10. 25.
Sp. 15

2023. 11. 15.
시간을 달리는 소녀러브 액츄얼리냉정과 열정사이겨울왕국
겨울왕국 2
스즈메의 문단속
파일:SACS16.jpg
파일:SACS17.jpg
파일:SACS18.jpg
파일:SACS19.jpg
파일:SACS20.jpg
Sp. 16

2023. 11. 22.
Sp. 17

2023. 12. 6.
Sp. 18

2023. 12. 6.
Sp. 19

2023. 12. 7.
Sp. 20

2024. 1. 10.
⠀[ Sp. 21-40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006cb7>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작은 아씨들이프 온리추락의 해부
파일:SACS21.jpg
파일:SACS22.jpg
파일:SACS23.jpg
파일:SACS24.jpg
파일:SACS25.jpg
Sp. 21

2024. 1. 17.
Sp. 22

2024. 1. 17.
Sp. 23

2024. 2. 14.
Sp. 24

2024. 2. 21.
Sp. 25

2024. 2. 28.
패스트 라이브즈로봇 드림이승윤 콘서트 도킹 : 리프트오프남은 인생 10년꽃다발 같은 사랑을 했다
파일:SACS26.jpg
파일:SACS27.jpg
파일:SACS28.jpg
파일:SACS29.jpg
파일:SACS30.jpg
Sp. 26

2024. 2. 29.
Sp. 27

2024. 3. 4.
Sp. 28

2024. 3. 22.
Sp. 29

2024. 4. 3.
Sp. 30

2024. 4. 10.
목소리의 형태김준수 콘서트 무비 챕터 원: 레크리에이션태극기 휘날리며너는 달밤에 빛나고그녀
파일:SACS31.jpg
파일:SACS32.jpg
파일:SACS33.jpg
파일:SACS34.jpg
파일:SACS35.jpg
Sp. 31

2024. 5. 9.
Sp. 32

2024. 6. 5.
Sp. 33

2024. 6. 6.
Sp. 34

2024. 6. 12.
Sp. 35

2024. 6. 12.
듄: 파트 2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소녀소년시절의 너슈퍼배드 3
미니언즈
극장판 바이올렛 에버가든
파일:SACS36.jpg
파일:SACS37.jpg
파일:SACS38.jpg
파일:SACS39.jpg
파일:SACS40.jpg
Sp. 36

2024. 6. 19.
Sp. 37

2024. 6. 26.
Sp. 38

2024. 6. 26.
Sp. 39

2024. 7. 3.
Sp. 40

2024. 7. 3.
⠀[ Sp. 41-60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4599a4>바이올렛 에버가든 외전: 영원과 자동수기인형
러브 라이즈 블리딩볼빨간사춘기: 메리 고 라운드 더 무비그리고 바통은 넘겨졌다호밀밭의 반항아
파일:SACS41.jpg
파일:SACS42.jpg
파일:SACS43.jpg
파일:SACS44.jpg
파일:SACS45.jpg
Sp. 41

2024. 7. 3.
Sp. 42

2024. 7. 10.
Sp. 43

2024. 7. 12.
Sp. 44

2024. 7. 17.
Sp. 45

2024. 8. 21.
비긴 어게인수 분간의 응원을아이브 더 퍼스트 월드투어 인 시네마보이후드4분 44초
파일:SACS46.jpg
파일:SACS47.jpg
파일:SACS48.jpg
파일:SACS49.jpg
파일:SACS50.jpg
Sp. 46

2024. 9. 18.
Sp. 47

2024. 9. 25.
Sp. 48

2024. 10. 16.
Sp. 49

2024. 10. 30.
Sp. 50

2024. 11. 1.
극장판 미스터리라 하지 말지어다포레스트 검프김범수 25주년 콘서트 필름 : 여행이터널 선샤인데드데드 데몬즈 디디디디 디스트럭션: 파트1
파일:SACS51.jpg
파일:SACS52.jpg
파일:SACS53.jpg
파일:SACS54.jpg
파일:SACS55.jpg
Sp. 51

2024. 11. 27.
Sp. 52

2024. 12. 4.
Sp. 53

2024. 12. 11.
Sp. 54

2024. 12. 18.
Sp. 55

2025. 1. 8.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죽은 시인의 사회데드데드 데몬즈 디디디디 디스트럭션: 파트2클로저500일의 썸머
파일:SACS56.jpg
파일:SACS57.jpg
파일:SACS58.jpg
파일:SACS59.jpg
파일:SACS60.jpg
Sp. 56

2025. 1. 22.
Sp. 57

2025. 1. 27.
Sp. 58

2025. 2. 5.
Sp. 59

2025. 2. 5.
Sp. 60

2025. 2. 12.
⠀[ Sp. 61-80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e8e6da>패딩턴: 페루에 가다!
양들의 침묵위플래쉬에밀리아 페레즈존 윅
파일:SACS61.jpg
파일:SACS62.jpg
파일:SACS63.jpg
파일:SACS64.jpg
파일:SACS65.jpg
Sp. 61

2025. 2. 19.
Sp. 62

2025. 3. 7.
Sp. 63

2025. 3. 12.
Sp. 64

2025. 3. 12.
Sp. 65

2025. 3. 19.
패왕별희 디 오리지널케이온헤레틱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마리아
파일:SACS66.jpg
파일:SACS67.jpg
파일:SACS68.jpg
파일:SACS69.jpg
파일:SACS70.jpg
Sp. 66

2025. 3. 26.
Sp. 67

2025. 3. 26.
Sp. 68

2025. 4. 2.
Sp. 69

2025. 4. 9.
Sp. 70

2025. 4. 16.
4월 이야기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플립아마데우스 오리지널 리마스터링
파일:SACS71.jpg
파일:SACS72.jpg
파일:SACS73.jpg
파일:SACS74.jpg
파일:SACS75.jpg
Sp. 71

2025. 4. 30.
Sp. 72

2025. 5. 10.
Sp. 73

2025. 5. 14.
Sp. 74

2025. 5. 21.
Sp. 75

2025. 6. 4.
빅 피쉬클리프행어 리마스터드시네마 천국영화 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 외로움쟁이 용셔터 아일랜드
파일:SACS76.jpg
파일:SACS77.jpg
파일:SACS78.jpg
파일:SACS79.jpg
파일:SACS80.jpg
Sp. 76

2025. 6. 11.
Sp. 77

2025. 6. 18.
Sp. 78

2025. 7. 2.
Sp. 79

2025. 7. 10.
Sp. 80

2025. 7. 23.
⠀[ Sp. 81-100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DED0C3>죠스
로마의 휴일E.T.괴물의 아이대부
파일:SACS81.jpg
파일:SACS82.jpg
파일:SACS83.jpg
파일:SACS84.jpg
파일:SACS85.jpg
Sp. 81

2025. 8. 6.
Sp. 82

2025. 8. 20.
Sp. 83

2025. 9. 3.
Sp. 84

2025. 9. 10.
Sp. 85

2025. 9. 17.
모노노케 히메100미터.대부 2늑대아이이노센스
파일:SACS86.jpg
파일:SACS87.jpg
파일:SACS88.jpg
파일:SACS89.jpg
파일:SACS90.jpg
Sp. 86

2025. 9. 17.
Sp. 87

2025. 10. 8.
Sp. 88

2025. 10. 15.
Sp. 89

2025. 10. 22.
Sp. 90

2025. 10. 29.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지금, 만나러 갑니다
파일:SACS91.jpg
파일:SACS92.jpg
Sp. 91

2025. 11. 5.
Sp. 92

2025. 11. 5.
}}} ||

[1] 스즈메의 문단속 미술 감독 보좌[2] 다음작인 신 진구의 해저귀암성 감독. 도라에몽 극장판의 쿠키 영상은 일반적으로 다음 극장판의 감독이 제작한다.[3] 세계 최초 공개 시사회. 역대 최초로 일본이 아닌 다른 국가에서 월드 프리미어를 진행하였다.[4] 홍콩에서는 정식 개봉일보다 빠른 7월 19일에 선행 개봉될 예정이다.[5] 도라에몽 극장판 시리즈 역대 일본 흥행 3위, 10월 기준 2025년 일본 영화 흥행 순위 7위.[6] 관객 수 380만.[7] 역대 도라에몽 극장판 한국 흥행 12위.[8] 모두의 색으로, 세계는 선명해진다.[9] 물론 실제의 박쥐에게 초콜릿은 먹으면 테오브로민 때문에 사망할 수도 있는 위험한 음식이다. 악마 박쥐라 상관없다.[10] 타임 패트롤 본에서 림 스트림을 맡았다.[11] 작중 1년 전에 돌아가셨다.[스포일러] 고백한 클레어는 진짜가 아니었지만 결말부에 진짜 클레어가 꿈을 통해 기억을 공유하고 있었다는 것이 밝혀지며 결국 고백한 것이 되었다.[13] 때문에 1년 전 공개된 작품인 타임 패트롤 본에서 요원들이 타고 다녔던 타임 보트와 매우 유사한 디자인의 타임 보트를 타고 다닌다.[14] 한일 성우 모두 원본과 중복이다.[15] 이는 영화의 메시지를 잘 보여주는 장면이기도 하다. 비록 그림은 못그려서 외모나 말투는 불완전할지라도, 도라에몽과의 오랜 새월 추억과 우정 덕분에 진심을 담고 정성스럽게 그린 결과 원본 도라에몽처럼 진구를 생각하는 마음과 도구를 꺼낼 수 있어 이젤을 물리치는 결정타를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16] 이 때 그림을 잘 그려야 한다는 진구의 말에 진구 아빠는 "그림에서 중요한 것은 잘 그리는 것이 아니다"라면서 말을 하다가 잠들어 버린다.[17] 또한, 그 푸른색은 현대 기술로는 재현이 불가능한 특별한 색이며, 해당 색을 낼 수 있는 광석이 발견된다면 다이아몬드 보다도 더 높은 가치를 갖고 있을 것이란 사실도 추가로 전해진다.[18] 전작의 지구교향곡은 등장인물이 가상의 외계어를 하는 설정이었지만, 그림이야기는 중세 유럽을 배경으로 하며 아트리아 공국도 이탈리아에서 모티브를 따온 만큼 현대 지구인들이 통역 곤약을 반드시 사용해야 할 처지까지는 아니다. 실제로 로마 제국 시절에 사용한 라틴어와 현재 유럽에서 사용되는 로망스어군 언어들의 관계는 사실상 중국의 한문과 현재 중국어의 '7대 방언'(실제로는 개별 언어 취급) 간 관계와 유사한 측면이 있으며, 당장 영화 배경인 13세기와 얼마 차이가 나지 않는 14세기 초에 집필된 단테 알리기에리신곡이 현재 사용되는 표준 이탈리아어와 큰 차이가 없다. 하지만 여전히 현재에도 이탈리아 내부의 방언들은 다른 로망스어군 언어처럼 개별 언어로 나뉠 정도로 결정적인 차이가 있지 않을 뿐, 미묘한 듯 하면서도 상당히 큰 차이를 가져다 줄 수 있는 요소가 있기 때문에, 통역 곤약을 먹은 것은 이러한 언어학적 문제로 인한 오해를 피하기 위함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별개로 로망스어권 유럽인들조차 라틴어의 벽에서 절망을 느껴 왔는데, 동아시아 출신인 이들은 어족이 전혀 다르니 통역 곤약을 쓸 수밖에는 없다. 초반부에 클레어와 마이로가 일본어를 하는 것은 관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인 것.[19] 진구 아빠가 보던 뉴스에 나온 것과 동일한 그림이다.[20] 원판 제목. 이외에도 다른 국가들에서도 유사하게 번역됐으나, 한국만 유일하게 제목에서 '세계'를 뺀 '그림이야기'라는 제목으로 번역이 되었다. 사실 영화 극초반부를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이 현실 세계에서 진행되므로 오히려 한국판 제목이 더 적절한 제목이라는 평가도 있다.[21] 여담으로, 차이는 초콜릿의 맛을 '지옥 같은 달콤함'이라 평했고, 클레어는 '천국 같은 달콤함'이라고 했는데, 차이가 악마임을 고려하면 두 쪽 다 상당한 칭찬.[22] 이렇게 되면 과거의 사람인 클레어가 그림 속으로 들어갈 수 있었던 이유가 명확해짐과 동시에, 도라에몽의 세계관에서는 시공간의 이상 현상도 자주 나타나는 편이므로 합리적인 추측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도라에몽 극장판에서는 이렇게 특정 상황에 대한 추측을 하면 대부분 맞아 떨어지는 편이고, 후반부까지도 이와 관련해 추가적인 언급이 없어서 이 추측이 사실일 것으로 보였지만...[23] 여담이지만 도라에몽이 이 기계를 가동시키면서 칭카라 호이를 외친다.[24] 더빙판은 '흐르는 국수'로 번역되었다.[25] 나가시소멘을 처음 먹어본 마이로가 클레어에게도 먹어볼 것을 권유하지만, 클레어는 질색을 하며 거절하고 대신에 차이와 함께 초콜릿이 뿌려진 프렌치 토스트를 먹는다.[26] 중간에 클레어와 차이가 침대에서 뛰며 노는데 이슬이는 같이 목욕하자고 권하자 클레어 자신은 목욕을 싫어한다고 거부하자 이에 충격 먹는다.[27] 본작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도구이다.[28] 다만 이 도구는 "물 건물 제조기" 라는 멀쩡한 명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번역명이 바뀌었다.[29] 여담이지만 도라에몽이 이 기계를 가동시키며 칭카라 호이를 외친다.[30] 진구의 남극 꽁꽁 대모험 이후[55] 8년 만에 등장한 도구다.[31] 번역명이 바뀌었다. 원래 명칭은 그 공기포.[32] 기존 음원이 일본판의 MR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던 것과는 달리 본작에서는 일본판과 동일한 MR을 사용하였으며, 노래 자체도 기존의 이재현 성우가 아닌 다른 사람이 부른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본작 개봉 이후에 방영된 신 도라에몽 25기에서는 다시 기존 음원이 사용되었다.[33] 올바른 맞춤법은 '바라'이다.[34] 다만 인물 작화는 다소 불안정한 편이고, 작화 매수도 기존 도라에몽 극장판에 비해서 적은 편이기에 아쉽다는 의견도 존재한다.[35] 진구의 인어대해전, 진구의 우주영웅기, 진구의 지구 교향곡 등 보통 이런 경우에는 도라에몽 극장판 만의 특색이 사라졌다는 점에서 팬들에게 혹평을 받는 경우도 있는데, 이번작은 작품 자체의 완성도가 워낙 좋고 전달하려는 메세지 또한 확실하다 보니 별 다른 비판 의견이 나오지 않았다.[36] 다만 이러한 점이 오히려 성인들에게는 장점으로 작용하여, 위에서 언급한 장점들과 더불어서 수작이라는 평가를 듣는데에 한몫했다.[37] 마찬가지로 복선 회수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던 전작도 이러한 의견이 꽤나 있었다. 다만 복선 회수를 제외하면 개연성이나 스토리에 있어서 큰 비판을 받았던 전작과는 다르게, 스토리 자체는 좋은 편이라 호평하는 의견이 대다수이며, 복선 회수의 퀄리티 자체도 전작보다 더 좋아졌다는 평가가 많다.[38] 연예인 캐스팅 자체는 초록거인전 이후로도 꾸준히 계속되어 왔지만, 이렇게 논란이 된 것은 초록거인전 이후로 거의 처음. 실제로 대부분의 리뷰에서 스즈카 오지의 연기력이 본작의 유일한 옥에 티로 꼽힐 정도로 혹평을 받았다.[39] 야후! 재팬의 경우, 기존에 철인군단이 4.2점으로 가장 높은 평점을 유지하고 있던 것을 이번작이 뛰어넘었고, Filmarks에서는 도라에몽 극장판 최초로 평점 4점을 돌파하였다.[40] ~ 2025/09/09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41] 대원미디어 유튜브 채널에는 다음 날인 6월 24일 공개되었다.[42] 다만 하필이면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과 같은 주차에 개봉하는 바람에 2위임에도 1위인 미션 임파서블과는 수익이 약 두 배 가량 차이났다.[43] 물론 달 탐사기는 TV판 제작진 교체, 우주소전쟁의 경우에는 전작의 코로나로 인한 개봉 연기 등의 이유가 있었고, 지구교향곡은 포스터와 영화 정보 자체는 7월 초에 공개되었다.[44] 그동안은 너의 이름은., 날씨의 아이에서 배경 미술을 담당하고, 스즈메의 문단속에서는 미술 감독 보좌를 맡는 등 신카이 마코토 감독 작품 위주로 참여하였다.[45] 다만, 한국판에서는 이전과는 달리 일본판 MR을 그대로 사용해서, 가사만 한국어로 나왔다.[46] 1600년 경 활동했던 일본의 화가.[47] 여담으로, 작중 배경인 아트리아 왕국의 이름의 유래도 이탈리아에서 따온 것이라고 한다.[48] 진구의 우주소전쟁 2021과도 유사한 케이스인데, 우주소전쟁의 경우에는 글자 배치 정도만 다르다면 본작은 로고의 색 자체가 달라졌다는 차이점이 있다.[49] 꿈의 삼총사에서는 지팡이가 아닌 빗자루를 갖고 다녔고, 옷도 모자와 상, 하의가 일체형인 로브의 형태가 아니었다는 것을 감안할 필요는 있지만 리메이크라면 어느 정도 복장 변경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둘 필요는 있다.[50] 실제로 진구의 신공룡의 경우에는 진구의 공룡대탐험에서 모티브만 따와 초반 전개만 동일하고 후반부 스토리에 차별화를 둬 호평을 받은 바가 있다.[51] 그리고 결국 9월에 특보가 공개되면서 3년 연속 오리지널 작품인 것이 확정되었다.[52] 마계대모험에서는 구판과 달리 비중이 매우 늘었고, 철인군단에서도 구판에서는 등장하지 않았던 것과는 달리 테라모토 유키요 감독이 감독한 신판에서는 짧게나마 등장했으며, 비밀도구 박물관에서도 초반에만 짧게 나오는 등 스토리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더라도 어떻게든 출연하였다.[53] 추가로, 테라모토 유키요 감독이 그동안 전체적으로 도라미와 이슬이 같은 여자 캐릭터를 밀어주는 모습을 보였던 만큼 이슬이의 활약도 기대해 볼 만하다.[54] 다만 9월에 공개된 특보 영상에는 등장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