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구 도라에몽 극장판}}}에 대한 내용은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해저성]]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해저성#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해저성#|]]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구 도라에몽 극장판: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해저성]]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해저성#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해저성#|]]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극장판 도라에몽: 신 진구의 해저귀암성 (2026) Doraemon the Movie: New Novita And The Castle Of The Undersea Devil 映画ドラえもん 新・のび太の海底鬼岩城 | ||||||
| <nopad>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min-width: 256px" | 도라에몽 극장판 시리즈 | |||||
|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그림이야기 | → | 극장판 도라에몽: 신 진구의 해저귀암성 | → | 미정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7dc8><colcolor=#ffffff> 장르 | <colbgcolor=#ffffff,#2d2f34><colcolor=#373a3c,#dddddd>애니메이션, 시간여행물, 모험, 일상, 코미디, 판타지, SF, 액션, 드라마 | ||||
| 감독 | 야지마 테츠오 | |||||
| 콘티 | ||||||
| 각본 | 무라야마 이사오 | |||||
| 연출 | ||||||
| 원작 | 후지코 F. 후지오 | |||||
| 기획 | 후지코 프로 | |||||
| 감수 | ||||||
| 출연 |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 | 미즈타 와사비, 오오하라 메구미, 카카즈 유미, 키무라 스바루, 세키 토모카즈 외 | |||
| | 윤아영, 김정아, 조현정, 최낙윤, 이현주 외 | }}} | ||||
| 캐릭터 디자인 | ||||||
| 총 작화감독 | ||||||
| 원화 | ||||||
| 프롭 디자인 | ||||||
| 색채 설계 | ||||||
| 미술 감독 | ||||||
| 3D CG | ||||||
| 촬영 감독 | ||||||
| 편집 | ||||||
| 녹음 감독 | ||||||
| 음향 효과 | ||||||
| 음악 | ||||||
| 주제가 | ||||||
| 프로듀서 | ||||||
| 수석 프로듀서 | ||||||
| 제작 | 영화 도라에몽 제작위원회 (후지코 프로, 쇼가쿠칸, 테레비 아사히, ADK 이모션즈, ShoPro, 신에이 동화) | |||||
| 수입사 | ||||||
| 배급사 | ||||||
| 개봉일 | ||||||
| 상영 타입 | ||||||
| 상영 시간 | ||||||
| 월드 박스오피스 | $ | |||||
| 일본 박스오피스 | 엔 | |||||
| 대한민국 총 관람객 | 명 | |||||
| 국내 스트리밍 | ||||||
| 상영 등급 | ||||||
| 공식 홈페이지 | ||||||
| 엠블럼 | }}}}}}}}} | |||||
1. 개요
| |
| 海底1万メートル。地球には、まだ誰も知らない世界がある── 해저 1만 미터. 지구에는, 아직 아무도 모르는 세계가 있다── 캐치프레이즈 |
원제는 '신 노비타의 해저귀암성'이며, 도라에몽 극장판 4번째 작품이자 1983년 개봉작인 진구의 해저성을 리메이크한 작품이다. 주요 배경은 바닷속.
2. 포스터
| | |
| | |
| <rowcolor=#ffffff> 티저 포스터 | 메인 포스터 |
| | |
| | |
| <rowcolor=#ffffff> 티저 포스터 | 메인 포스터 |
| |
| |
3. PV
3.1. 일본
| 특보 |
3.2. 대한민국
4. 시놉시스
||<tablewidth=100%><width=10%><tablebgcolor=#ffffff,#1c1d1f><tablebordercolor=#ffffff,#1c1d1f>
시놉시스
— 시놉시스||
5. 등장인물
5.1. 주요 등장인물
5.2. 극장판 오리지널 등장인물
- 엘(エル) - 치바 쇼야 / ???
해저인들의 나라인 무 연방의 소년병. 해저에 온 도라에몽과 친구들을 감시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지만...
- 수중 버기(水中バギー) - 히로하시 료 / ???
<rowcolor=#ffffff> 기본형 축소 버전
도라에몽의 비밀 도구 중 하나로, 해저 캠프의 이동 수단으로 쓰기 위해 도라에몽이 꺼낸 수륙 양용 버기카. 바닷속을 고속으로 달릴 수 있고, 컴퓨터가 내장되어 있어서 대화도 할 수 있다.
원작에서는 크기가 큰 형태만 존재했지만, 예고편과 공식 홍보 자료 등에서의 모습을 보면 축소 기능이 있어 평상시에는 크기를 작게 줄여서 진구나 이슬이의 머리 위에 올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포세이돈(ポセイドン) - ??? / ???
6. 줄거리
7. 등장 도구
8. 음악
8.1. 주제가
| 「극장판 도라에몽: 신 진구의 해저귀암성」 주제가 미정 | ||
| <colbgcolor=#007dc8><colcolor=#fff> 노래 | ||
| 작사 | ||
| 작곡 | ||
| 편곡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8.2. 삽입곡
9. 평가
10. 흥행
10.1. 일본
10.2. 대한민국
|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1]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width: 300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
| 1주차 | 20XX-XX-XX. 1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
| 20XX-XX-XX. 2일차(목) | -명 | -위 | -원 | ||||
| 20XX-XX-XX. 3일차(금) | -명 | -위 | -원 | ||||
| 20XX-XX-XX. 4일차(토) | -명 | -위 | -원 | ||||
| 20XX-XX-XX. 5일차(일) | -명 | -위 | -원 | ||||
| 20XX-XX-XX. 6일차(월) | -명 | -위 | -원 | ||||
| 20XX-XX-XX. 7일차(화) | -명 | -위 | -원 | ||||
| 2주차 | 20XX-XX-XX. 8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
| 20XX-XX-XX. 9일차(목) | -명 | -위 | -원 | ||||
| 20XX-XX-XX. 10일차(금) | -명 | -위 | -원 | ||||
| 20XX-XX-XX. 11일차(토) | -명 | -위 | -원 | ||||
| 20XX-XX-XX. 12일차(일) | -명 | -위 | -원 | ||||
| 20XX-XX-XX. 13일차(월) | -명 | -위 | -원 | ||||
| 20XX-XX-XX. 14일차(화) | -명 | -위 | -원 | ||||
| 3주차 | 20XX-XX-XX. 15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
| 20XX-XX-XX. 16일차(목) | -명 | -위 | -원 | ||||
| 20XX-XX-XX. 17일차(금) | -명 | -위 | -원 | ||||
| 20XX-XX-XX. 18일차(토) | -명 | -위 | -원 | ||||
| 20XX-XX-XX. 19일차(일) | -명 | -위 | -원 | ||||
| 20XX-XX-XX. 20일차(월) | -명 | -위 | -원 | ||||
| 20XX-XX-XX. 21일차(화) | -명 | -위 | -원 | ||||
| 4주차 | 20XX-XX-XX. 22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
| 20XX-XX-XX. 23일차(목) | -명 | -위 | -원 | ||||
| 20XX-XX-XX. 24일차(금) | -명 | -위 | -원 | ||||
| 20XX-XX-XX. 25일차(토) | -명 | -위 | -원 | ||||
| 20XX-XX-XX. 26일차(일) | -명 | -위 | -원 | ||||
| 20XX-XX-XX. 27일차(월) | -명 | -위 | -원 | ||||
| 20XX-XX-XX. 28일차(화) | -명 | -위 | -원 |
11. 기타
- 1983년에 개봉한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해저성을 새롭게 리메이크한 작품이다. 이는 무려 43년 만의 리메이크로, 이로써 본작은 극장판 시리즈의 역대 리메이크 작품들 중에서 구판 개봉과 신판 개봉 사이의 텀이 가장 긴 작품이 되었다.[2]
- 감독은 TVA, 그리고 진구의 마계대모험, 진구와 철인군단의 콘티 등 중요 작업을 담당하거나 2024년 개봉작인 진구의 지구 교향곡에서는 연출을 맡았던 야지마 테츠오로, 감독으로서 도라에몽 극장판의 제작을 이끄는 것은 처음.[3] 또한 각본가는 무라야마 이사오로, 2023년부터 도라에몽 TVA의 각본을 다수 맡았으며[4][5] 이외에도 프리큐어 시리즈의 TVA와 극장판에 참여한 것으로 유명하다.
- 영화에 대한 정보가 공개된 당일, 감독을 맡은 야지마 테츠오의 코멘트가 공개되었다.10928m. 인류가 도달한 가장 깊은 바다 바닥.그리고 그 너머로, 도라에몽과 함께 모험을 떠나봅시다!아직 아무도 본 적 없는 생물과 풍경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생각만 해도 가슴이 두근거리지 않나요?그곳에서 마주할 선택과 결단은, 때로는 도라에몽과 친구들을 고민하게 만들지도 모릅니다.하지만 그 안에는 분명 "뜻밖의 답"이 숨어 있을 것입니다.아무도 본 적 없는 심해의 세계로.스크린 앞에서 여러분과 함께 체험할 날을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 본작의 개봉을 기념하여 후지코 F. 후지오 뮤지엄에서 진구의 해저성 대장편의 원화를 전시하는 <대장편 도라에몽 노비타의 해저 귀암성과 모험의 비밀전>이라는 전시회를 2025년 11월 1일부터 2026년 6월 21일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 2025년 10월에 개봉일이 2월 27일로 확정됐다는 소식이 전해졌는데, 이로써 본작은 역대 극장판들 중 가장 빠른 날짜에 개봉함과 더불어 최초로 2월에 개봉하는 작품이 되었다.[6] 도라에몽 극장판은 대체로 개봉 이후 박스오피스 상위권을 유지하다가 봄방학 시즌 때 정점을 찍고 명탐정 코난 극장판의 개봉 이후 관객 수가 급격히 줄어드는 양상을 보이는데, 본작이 개봉을 일찍 하는 것은 봄방학 전까지 관객을 더 모으고 코난 극장판과의 텀을 늘리면서 박스오피스 상위권에 더 오래 머무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7]
- 전작인 진구의 그림이야기의 쿠키 영상에서는 그림 속에서 튀어나온 도라에몽이 인사를 한 뒤에 바닷 속을 헤엄치는데, 이후 흰동가리의 모습이 비춰지고 도라에몽이 상어에게 쫓기는 장면을 끝으로 "2026년 봄 공개 결정!"이라는 문구가 나온다.
- 쿠키 영상에서 바닷속이 주요 소재가 될 것임을 드러내면서 2018년 개봉작인 진구의 보물섬 이후로 8년 만에 바다를 소재로 한 극장판이 나오게 되었는데, 이로 인해 팬들 사이에서는 마찬가지로 바다를 소재로 한 극장판인 진구의 해저성이나 진구의 바다 대모험의 리메이크 작일 것이라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8]
- 특히나 진구의 해저성의 경우, 초기 극장판들 중 유일하게 리메이크가 되지 않은 작품이기도 하고 실제로도 그동안 계속해서 리메이크가 고려되어 왔었던 작품인 만큼 팬들 사이에서 기대를 받고 있다.[9] 또한, 극장판 시리즈 n주년의 다음 년도에는 모두 리메이크 작이 개봉했던 징크스가 있기도.[10] 다만 어두운 분위기가 특징이었던 진구의 해저성과는 달리, 쿠키 영상은 전체적으로 밝은 분위기라서 오리지널 작품을 예상하는 팬들도 다수 존재한다.
- 한편 전작의 엔딩 크레딧에 야지마 테츠오 감독의 이름이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면서, 이번 작의 감독인 것으로 확정되었다. 대표작인 포켓몬스터 XY나 극장판 포켓몬스터: 모두의 이야기에서 보여주었듯이 작화 면에서 강점을 보이는 감독인 만큼, 작화에 있어서는 이마이 카즈아키 감독[11]의 작품들에 버금갈 것으로 보인다.
- 이외에는 야스다 슈헤이, 하네다 치오리, 토가시 유키, 마스코 히로미[12], 카쿠 유카리, 마츠타니 사나에[13] 등의 제작진들과 코믹스 웨이브 필름의 참여가 크레딧에서 확인되었는데, 야지마 테츠오도 감독으로서 참여하는 건 처음인데다 이외의 제작진들도 마츠타니 사나에를 제외하면 대체적으로 그동안 도라에몽 극장판에 별 다른 참여가 없었던 인물들인 만큼, 진구의 보물섬 때와 유사하게 변화를 통해 색다른 느낌을 주려는 것으로 보인다.[14]
12. 관련 문서
[1] ~ 20XX/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2] 기존 최장 기록은 진구의 우주전쟁과 진구의 우주소전쟁 2021의 37년이었으나 본작이 경신하게 되었다. 이외에 진구의 공룡대탐험, 진구의 마계체험, 진구의 우주여행, 진구와 철인군단, 진구의 아프리카 모험, 노비타의 일본탄생은 각각 26년, 23년, 28년, 25년, 32년, 27년 만에 리메이크가 이루어졌다.[3] 또한 감독 개인으로서는 극장판 포켓몬스터: 정글의 아이, 코코 이후로 6년 만의 감독 복귀작이기도 하다.[4] 본작의 최초 발표 당일날 방영된 생일 스페셜 에피소드인 '천공성의 비보! ~Legend of the True Hero~'의 각본도 맡았다.[5] 다만 2020년대에 들어서 TV판의 재미와 퀄리티가 날이 갈수록 하락하면서 각본에 대한 평가가 매우 나쁜 편인데, 때문에 팬들 사이에서 우려도 나오고 있지만 리메이크 작인 만큼 각본가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을 것으로 보인다.[6] 원래는 2018년까지는 대체로 3월 첫째 주 토요일, 2019년부터는 3월 첫째 주 금요일에 개봉하였다.[7] 또한 전작인 진구의 그림이야기의 흥행과도 관련이 있어보이는데, 상당한 수작으로 평가받으면서 초반 흥행 페이스는 좋았지만 개봉을 늦게 해버리는 바람에 봄방학 특수효과를 너무 일찍 받아서 후반에 다소 주춤하며 초반 페이스에 비하면 다소 아쉬운 46억 엔의 흥행 수입을 기록하였다.[8] 만약에 바다 대모험의 리메이크가 맞다면 한국 최초로 구판과 신판 모두 볼 수 있게 된다.[9] 감동적인 클라이맥스 씬과 특유의 어두운 분위기 덕분에 호평을 받는 극장판이기에 그동안 팬들의 염원이 상당했고 후지코 프로 측에서도 감독들에게 리메이크에 대한 제안을 여러 번 했던 것으로 보여지나, 배경이 바닷 속인 만큼 작화나 연출 면에 있어서 부담이 다소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야마구치 스스무 감독이 이에 대해 직접 언급하기도 하였다.[10] 극장판 25주년이었던 2005년 다음 해인 2006년에는 진구의 공룡대탐험이 개봉하였고, 2011년 진구와 철인군단, 2016년 진구의 버스 오브 재팬, 그리고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개봉이 1년 연기되어 2022년에 개봉한 진구의 우주소전쟁 2021까지 시리즈 리뉴얼 이후로 해당 징크스가 계속되어 왔었다.[11] 진구의 보물섬, 진구의 신공룡, 그리고 진구의 지구 교향곡의 감독으로, 전체적인 스토리나 짜임새에 있어서 다소 호불호가 갈리지만 작화만큼은 역대 감독들 중 최고로 꼽힌다.[12]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시리즈 작화에 참여한 전력이 있다.[13] 신에이 동화 소속 색채 디자인을 담당하는 애니메이터로, 1992년 작 진구와 구름왕국부터 2020년 개봉작 진구의 신공룡까지 거의 모든 작품에 참여해왔다. 신공룡 이후 6년 만의 복귀.[14] 진구의 보물섬의 경우, 이마이 카즈아키, 카와무라 겐키 등 제작진의 대다수를 새롭게 꾸리는 실험적인 시도를 하여 시리즈 사상 최고 흥행 수입을 거두는 기록을 세운 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