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시공여행 (2004) Doraemon: Nobita in the Wan-Nyan Spacetime Odysseys ドラえもん のび太のワンニャン[ruby(時空伝, ruby=じくうでん)]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min-width: 256px" | 도라에몽 극장판 시리즈 | ||||||||
|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와 바람의 마을 | → |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시공여행 | → |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공룡대탐험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96702><colcolor=#E2D6C2> 장르 | <colbgcolor=#fff,#1c1d1f><colcolor=#373a3c,#dddddd>애니메이션, 액션, 드라마, 코미디, 일상, 동물 | |||||||
| 원작 | 후지코 F. 후지오 | ||||||||
| 감독 | 시바야마 츠토무 | ||||||||
| 각본 | 키시마 노부아키(岸間信明) | ||||||||
| 총 작화감독 | 와타나베 아유무 | ||||||||
| 작화감독 | 카라이 테츠로(加来哲郎) 카네코 시즈에 후지모리 마사야 세키네 마사유키(関根昌之) | ||||||||
| 그림 콘티 | 시바야마 츠토무 후지모리 마사야 | ||||||||
| 연출 | 후지모리 마사야 와타나베 아유무 | ||||||||
| 미술 설정 | 누마이 노부오(沼井信朗) | ||||||||
| 미술 감독 | 시미즈 토시유키(清水としゆき) | ||||||||
| 색채 디자인 | 마츠타니 사나에(松谷早苗) 호리모시 토모코(堀越智子) | ||||||||
| 촬영 감독 | 쿠마가이 마사히로(熊谷正弘) | ||||||||
| 편집 | 오카야스 하지메(岡安 肇) | ||||||||
| 영상 검수 | 하라 테츠오(原鐵夫) 나카미네 치토세(中峰ちとせ) 나가사와 미나코(長澤美奈子) 에가와 요지(江川陽司) | ||||||||
| 효과 | 쇼지 마사히로(庄司雅弘) | ||||||||
| 특수 효과 | 미우라 리나(三浦理奈) 카키타 유키코(垣田由紀子) 우스이 코지(笛吹康二) | ||||||||
| 녹음 감독 | 우라카미 야스오(浦上靖夫) | ||||||||
| 음악 | 호리이 카츠미(堀井勝美) | ||||||||
| 주제가 | 시마타니 히토미 - 「꿈 같은 날씨」 | ||||||||
| 프로듀서 | 야마다 토시히데(山田俊秀) 키무라 준이치(木村純一) 오구라 쿠미(小倉久美) 오오사와 마사타카(大澤正享) 하마다 치카(濱田千佳) 오오타 켄지(太田賢司) | ||||||||
| 수입사 | |||||||||
| 제작 협력 | 후지코 프로 ADK | ||||||||
| 제작사 | 쇼가쿠칸 신에이 동화 테레비 아사히 | ||||||||
| 배급사 | |||||||||
| 개봉일 | |||||||||
| 상영 시간 | 84분 | ||||||||
| 월드 박스오피스 | $27,900,000 | ||||||||
| 일본 박스오피스 | 30.5억 엔[1] | ||||||||
| 국내 스트리밍 | |||||||||
| 상영 등급 | |||||||||
| 관련 사이트 | }}}}}}}}} | ||||||||
1. 개요
| |
| ぼくたち、また会えるよね。 우리, 다시 만날 수 있겠지? 캐치프레이즈 |
2. PV
| 예고편 |
3. 시놉시스
||<tablewidth=100%><width=10%><tablebgcolor=#ffffff,#1c1d1f><tablebordercolor=#ffffff,#1c1d1f>
어느 날, 노비타는 강가에서 만난 강아지를 집으로 데리고 와 도라에몽의 도구 '벽걸이 개집'을 써서 몰래 기르기 시작한다. 노비타는 강아지의 이름을 「이치」라고 정하고, 노비타와 이치는 금세 친해진다.
한편, 마을에서는 인간에게 버려지는 애완동물의 수가 매우 많았고, 그 수가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점점 늘어나자 노비타와 친구들은 타임머신을 타고 동물들이 자유롭게 살 수 있는 3억년 전의 세계로 가 '진화·퇴화 광선총'으로 동물들을 진화시키고 나라를 만든다. 이후 노비타는 이치에게 "내일 꼭 다시 올게"라는 약속을 하고 일행은 현대로 돌아간다.
다음 날, 타임머신을 타고 3억년 전으로 향하지만, 시공간 속에서 시간 왜곡 공간에 휘말리며 목표 시간대보다 1000년이라는 시간이 더 지난 세계에 도착한다. 그 시대에는 전 날 두고 갔던 동물들의 후손으로 생각되는 개와 고양이로 이루어진 문명사회가 있었고, 하치, 치코, 다쿠 등의 친구들과 만나 그들의 부모가 냐옹랜드에서 행방불명이 되어 버렸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리고 그 때, 지구에는 직경 약 20km의 초거대 운석이 충돌하려 하는데...
한편, 마을에서는 인간에게 버려지는 애완동물의 수가 매우 많았고, 그 수가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점점 늘어나자 노비타와 친구들은 타임머신을 타고 동물들이 자유롭게 살 수 있는 3억년 전의 세계로 가 '진화·퇴화 광선총'으로 동물들을 진화시키고 나라를 만든다. 이후 노비타는 이치에게 "내일 꼭 다시 올게"라는 약속을 하고 일행은 현대로 돌아간다.
다음 날, 타임머신을 타고 3억년 전으로 향하지만, 시공간 속에서 시간 왜곡 공간에 휘말리며 목표 시간대보다 1000년이라는 시간이 더 지난 세계에 도착한다. 그 시대에는 전 날 두고 갔던 동물들의 후손으로 생각되는 개와 고양이로 이루어진 문명사회가 있었고, 하치, 치코, 다쿠 등의 친구들과 만나 그들의 부모가 냐옹랜드에서 행방불명이 되어 버렸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리고 그 때, 지구에는 직경 약 20km의 초거대 운석이 충돌하려 하는데...
— 시놉시스(일본)||
4. 등장인물
4.1. 주요 등장인물
- 노비 노비타 / 노진구 - 오하라 노리코 / 김정아
- 미나모토 시즈카 / 신이슬 - 노무라 미치코 / 조현정
4.2. 극장판 오리지널 등장인물
- 이치 (イチ) / 바둑이
<rowcolor=#E2D6C2> 진화 전 진화 후 노년기
성우는 하야시바라 메구미 / 김연우(본모습), 사카 오사무 / 안효민 (늙은 모습).
더빙판 이름은 바둑이. 진구가 주워온 강아지. 진구가 강가에서 야구공을 찾다가 만났으며 진구와 친해지게 되어 보살핌을 받게 된다. 그러나 계속 키우기에는 애로사항이 발생하면서 진구와 친구들의 손에 이끌려 3억 년 전의 과거로 가는데, 그곳에서 진화퇴화광선총에 의해 이족보행이 가능해지고 한번만 가르쳐 주어도 기계를 다룰 수 있을 정도로 진화한다. 진구의 켄다마[3]를 좋아하고, 수영을 못한다.
- 하치 (ハチ) / 바돌이
성우는 하야시바라 메구미 / 김연우.
더빙판 이름은 바돌이. 바둑이를 닮은 강아지. 진구는 처음 보자마자 바둑이와 닮았다 생각하지만, 정작 자신은 바둑이가 아니라며 바돌이라 정정한다. 그러나 스토리가 진행되고 기억이 되살아나면서 정체가 밝혀지는데...
{{{#!folding 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 바돌이의 친구들
<rowcolor=#E2D6C2> 왼쪽부터 부루타로, 치코, 다쿠 - 치코 (チーコ) / 치코
성우는 시마타니 히토미[7] / 문유정. 바돌이의 친구로 진구 일행에서는 이슬이와 비슷한 포지션을 갖고 있다. 냐옹랜드에서 실종된 부모님을 찾고 있다. 아버지의 직업은 수학자로 그 자신도 계산이 특기. 견종은 말티즈이다. - 다쿠 (ダク) / 다크
성우는 세키 토모카즈[8] / 김혜성[9]. 더빙판 이름은 다크. 바돌이의 친구로 진구네 일행의 비실이 포지션. 냐옹랜드에서 실종된 아버지를 찾고 있다. 아버지의 직업은 컴퓨터 과학자. 코믹스판에서는 어머니도 같이 등장했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나오지 않았다. 또 만화책에서는 간사이벤을 사용했지만 애니화하면서 이 설정 역시 무시되었다. 견종은 닥스훈트. - 부루타로 (ブルタロー) / 불동이
성우는 에가와 히사오 / 안효민. 더빙판 이름은 불동이. 바돌이의 친구로 진구 일행의 퉁퉁이 포지션이다. 고양이 더 랜드에서 실종된 아버지를 찾고 있다. 퉁퉁이 포지션답게 덩치가 크고 힘이 강하다. 역시 냐옹랜드에서 실종된 아버지를 찾고 있다. 아버지의 직업은 자동차 정비공. 다크처럼 코믹스 판에서는 어머니도 같이 등장했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나오지 않았다. 견종은 불도그. - 바돌이와 친구들의 부모
| |
바돌이와 치코, 다크, 불동이의 부모. 특히 가운데의 하얀 고양이는 바돌이의 양어머니로, 하치를 주워 키운다. 만화판에서는 하치의 양아버지로 추정되는 고양이도 등장하지만 극장판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 즈부 (ズブ) / 홀딱이
성우는 미즈타니 유코 / 강시현[10][11]. 대원 정발판 이름은 흠뻑이. 애니메이션판에서는 홀딱이로 변경되었다. 진구가 발견한 고양이. 원래 인간이 키우던 고양이였으나 버림받았으며,[12] 이후 코믹스판 기준으로 산전수전을 겪으면서 눈매가 험악해진다. 비를 맞고 있던 것을 바둑이가 발견한 후, 진구가 돌보게 되었으나 인간에 대한 감정이 악화해서 그런지 진구를 따르는 모습은 없다.[13][14] 과거 세계에 도착했을 때도 홀로 있었는데 그러면서 도라에몽의 도구인 진화퇴화광선총을 눈여겨본다. 그 후 어둠의 묵시록이라는 기록서를 만들어 남기며 홀딱이의 인간에 대한 증오는 이후 냐옹대왕이 이어받게 되었다. 어찌 보면 피해자가 된 가해자 속성을 가진 캐릭터지만, 인간인 진구에게 도움을 받았음에도 인간을 계속 증오했던 것을 보면 그리 좋은 평가를 받지는 못하는 이번 극장판의 만악의 근원.[15]
- 네코쟈라(ネコジャラ) / 냐옹대왕
성우는 이즈미야 시게루 / 신경선. 더빙판 이름은 냐옹대왕. 홀딱이의 후손이자 고양이족의 보스. 거대 유원지를 운영하는 부자로 다음 대통령 후보로 거론될 정도다. 선조가 저술한 어둠의 묵시록과 망가진 진화퇴화광선총을 갖고 있으며, 타임머신을 이용해 인간세계로 간 다음, 인간을 자신들의 애완동물로 삼으려고 도라에몽을 이용하려 한다. 그 후 샤미가 배신하자 내동댕이치는데 이에 격앙한 도라에몽에게 극딜당하고, 노비타 신상을 가지러 가는 일행들을 막다가 빅 라이트로 거대해진 켄다마에 맞고 추락, 어둠의 묵시록도 불에 타버렸다. 결국 탈출 우주선에서 죄수 신세가 되어버린다. 수인+데부 속성이라 그런지 음지에서 인기가 많다(...).
- 냐고(ニャーゴ)
<rowcolor=#E2D6C2> 후손 조상 (하얀 고양이)
성우는 후루카와 토시오 / 이인석[16]. 냐옹대왕의 부하로서, 냉혹한 성격의 소유자로 굉장히 악랄한 녀석. 이 녀석도 홀딱이와 함께 버려진 고양이의 후손이다. 샤미는 나중에 냐옹대왕을 배신하고 도라에몽 일행과 뜻을 함께 하지만, 이 녀석은 냐옹대왕과 마찬가지로 조상이 버려진 고양이인지라 끝까지 죄를 뉘우치지 않고 도라에몽 일행을 괴롭힌다. 물론 탈출 우주선에서는 냐옹대왕과 함께 죄수 신세가 되어버린다.
- 샤미 (シャミー)
성우는 카나이 미카[17] / 김도영. 고양이족의 유명 여가수, 처음에는 도라에몽을 이용해 냐옹대왕에게 충성을 바치지만,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냐옹대왕을 배신하고 도라에몽에게 협력한다. 후반부 방주의 발사 레버를 올리라는 냐옹대왕의 명령을 거부하여 그의 칼에 맞는데, 그 때 도라에몽에게 사과를 하고는 의식을 잃고 쓰러진다. 그런데 그 이후로 등장이 없어서 그대로 사망한 것인가 싶더니 최후반부 진구 일행과 바둑이 일행이 이별하는 장면에서는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살아서 무사히 구조되긴 한 모양.
- 대통령
성우는 오오히라 토오루 / 이현. 완냥국의 대통령으로, 지구에 운석이 접근하고 있는 사실을 충돌 36시간 전까지 은폐하고 있었으며, 국민을 이주시키기 위해 비밀리에 '지구 탈출 정책'을 실시한다. 냐옹대왕을 매우 신뢰했었지만, 후반부에 배신당한다.
5. 음악
| OP ドラえもんのうた 도라에몽의 노래 | |
| | |
| | |
| <colbgcolor=#C96702><colcolor=#E2D6C2> 노래 | <colbgcolor=#ffffff,#2d2f34> |
| 작사 | 쿠스베 타쿠미(楠部工) 바바 스스무(ばばすすむ) (보조) |
| 작곡 | 키쿠치 슌스케 |
| 편곡 | |
5.1. 주제가
| ED YUME日和 꿈같은 날씨 | ||
| Movie ver. | ||
| Full ver. | ||
| <colbgcolor=#C96702><colcolor=#E2D6C2> 노래 | <colbgcolor=#ffffff,#2d2f34> 시마타니 히토미(치코) | |
| 작사 | 오바타 히데유키(小幡英之) | |
| 작곡 | 미야자키 아유미(宮崎歩) | |
| 편곡 | 무네카타 히토시(宗像仁志)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黃金のシンバル鳴らすように 킨노 신바루 나라스요오니 황금의 심벌즈를 울리듯이 ささやくのはお日樣 사사야쿠노와오히사마 속삭이는 건 해님 「一緖においで 木木の宴に」 잇쇼니 오이데 키기노 우타게니 「함께 가자, 나무들의 연회에」 耳を 澄ましましょう 미미오 스마시마쇼 귀를 기울여봐요. シャボンの雲で顔を洗い 샤본노 쿠모데 카오오 아라이 비누 구름으로 얼굴을 씻고 そよそよ風と散步 소요소요카제토 산포 산들바람과 산책 「大丈夫きっと…」羽根になるココロ 다이죠부 킷토 하네니 나루 코코로 「괜찮아요, 분명히...」날개가 될 마음. ヒカリへと 放してごらん 히카리에토 하나시테고란 빛을 향해 풀어줘요. 虹を結んで空のリボン 니지오 무슨데 소라노 리본 무지개를 엮어 하늘의 리본으로. 君の笑顔へ贈り物よ 키미노 에가오에 오쿠리모노요 그대의 미소에 보내는 선물이에요. 願いをかけましょう夢日和 네가이오 카케마쇼 유메비요리 소원을 빌어봐요, 꿈 같은 날씨. 明日また しあわせで あるように 아시타마타 시아와세데 아루요오니 내일 또 행복해지기를. 雲の綿菓子つまんでは 쿠모노 와타가시 츠만데와 구름 과자를 먹으며 ひと休みの草原 히토야스미노 소오겐 잠시 쉬는 초원. 「風はどこへ 歸ってゆくの?」 카제와 도코에 카엣테유쿠노 「바람은 어디로 돌아가는 걸까?」 鳥に 尋ねましょう 토리니 타즈네마쇼 새에게 물어봐요. 夕日のレ-ス肩にかけて 유우히노 레스 카타니 카케테 석양의 레이스를 어깨에 걸치고 伸びてく影と驅けっこ 노비테쿠 카게토 카켓코 길어지는 그림자와 경주. 「見守ってるずっと…」光る宵月の 미마못테루 즛토 히카루 요이즈키노 「지켜보고 있어요, 계속...」빛나는 저녁 달의 優しさに 抱かれてごらん 야사시사니 다카레테고란 상냥함에 안겨 봐요. 星を列べて空のボタン 호시오 나라베테 소라노보탄 별을 늘어놓아 하늘의 버튼으로. 夜のカ-テンを留めてあげる 요루노 카텐오 토메테아게루 밤의 커튼을 쳐줄게요. 明日も逢えるよ夢日和 아시타모 아에루요 유메비요리 내일도 만날 수 있어요, 꿈 같은 날씨. その笑顔 忘れずに いるなら 소노에가오 와스레즈니 이루나라 그 미소를 잊지 않는다면. 「大丈夫きっと…」羽根になるココロ 다이죠부 킷토 하네니 나루 코코로 「괜찮아요, 분명히...」날개가 될 마음. ヒカリへと 放してごらん 히카리에토 하나시테고란 빛을 향해 풀어줘요. 虹を結んで空のリボン 니지오 무슨데 소라노 리본 무지개를 엮어 하늘의 리본으로. 君の笑顔へ贈り物よ 키미노 에가오에 오쿠리모노요 그대의 미소에 보내는 선물이에요. 願いをかけましょう夢日和 네가이오 카케마쇼 유메비요리 소원을 빌어봐요, 꿈 같은 날씨. 明日また しあわせで あるように 아시타마타 시아와세데 아루요오니 내일 또 행복해지기를. ラララ… 라라라 明日また しあわせで あるように… 아시타마타 시아와세데 아루요오니 내일 또 행복해지기를... | |
6. 평가
| <nopad> |
| |
| 별점 4.2 / 5.0 |
| |
| 별점 3.8 / 5.0 |
| |
| 별점 8.7 / 10 |
| |
| 별점 4.0 / 5.0 |
여러모로 오오야마판 극장판 도라에몽 시리즈의 막을 내리는 작품답게 시리즈 내에서도 손에 꼽히는 명작이라는 평. 시바야마 츠토무 감독의 시리즈 은퇴작으로서 연출이 매우 뛰어나고, 성우진 또한 화려하여 전체적인 완성도가 매우 높다.
작가 타계 이후 나온 작품들이 팬들에게 기존 극장판 시리즈의 느낌을 잃었다면서 개봉 당시에는 쓴소리를 듣기도 했는데, 본작 역시 마찬가지로 개봉 당시에는 그다지 호평을 받는 분위기는 아니었으나 시간이 갈수록 평가가 오르면서 현재는 작가 타계 후에 나온 극장판 중에서는 가장 평가가 좋으며, 도라에몽 팬들 사이에서도 수작으로 인정받는 분위기이다.
시리즈 리뉴얼 이후 여러 주제를 전달하려다 이도저도 아니게 되어버린 작품들이 다수 나오고 있는 것과는 달리, 진구와 바둑이의 우정이라는 주제와 애완동물 유기에 대한 비판을 훌륭한 분량 조절과 연출 능력으로 짧은 러닝타임 안에 자연스럽게 담아내었다는 평. 또한, 러닝타임이 80분으로 다른 극장판들에 비해 짧은 편이기 때문에 스토리 전개가 다소 빠른데, 오히려 이렇게 짧은 러닝타임 덕분에 불필요한 장면이나 내용이 없어서 깔끔한 명작이 나올 수 있었다는 의견이 많다.[18]
이외에도 다음 작품에서는 감독을 맡게 되는 작화 감독 와타나베 아유무의 훌륭한 작화와 카네코 시즈에의 깔끔한 캐릭터 디자인, 그리고 주제가인 '꿈 같은 날씨' 또한 호평 받는 요소로서 본작의 평가를 높이는 데에 큰 역할을 했다. 이렇게 스토리, 분량 조절, 연출, 작화, 그리고 OST까지, 전체적으로 호평을 받으면서, 구 시리즈의 마지막 극장판이라는 상징성과 더불어서 현재는 시리즈 최고의 명작 중 하나로 꼽히는 작품이다.
7. 기타
- 본작은 원작 22권에서 나온 에피소드를 기반으로 했다. 원작 에피소드는 단순히 1000년 뒤의 세계로 가서 자신들이 풀어준 강아지와 고양이들의 후일담을 확인하는 수준이었지만[19], 극장판이 되면서 시공을 넘나드는 감동적인 작품이 된 것.
- 도라에몽 극장판 25주년 기념작으로 역대 도라에몽 극장판을 정리한 사이트를 만드는 등 기념행사를 했다. 작중 내에서도 유원지 25주년이란 형식으로 나온다.
- 노진구는 이 완냥시공전에서 '신'이 된다. 신상까지 있을 정도[20]. 살아갈 장소, 지성, 생존을 위한 식량을 줬다는 점에서 볼때 천지창조편처럼 모든 것의 창조자는 아니나 개고양이 인류
라고 쓰고 수인 이라고 읽는다입장에서 볼 때 신으로서의 행동은 확실하게 했다.
- 위에 엔딩크레딧 영상에서 볼 수 있듯이, 엔딩곡과 스태프 롤이 나올 때, 제작 당시 어린이들이 그려서 도라에몽 제작진 측으로 보내준 그림과 그 그림을 바탕으로 한 극중 등장인물들을 차례로 보여주었다. 물론 일본판 한정이며, 국내 정발판에서는 그림이 나오기 전에 엔딩크레딧이 컷 당해서 해당 그림을 확인할 수 없다. 또한 이 캐릭터들이 비중 있게 등장한 건 아니며 정교하게 숨어있는 편이다.
- 국내에서는 2014년 5월 1일 애니원과 챔프를 통해 첫방송되었다. 제목은 장편코믹스 정발판 제목인 진구의 시공여행. 이전년도에 진구와 바람의 마을 편에서는 원로 성우인 탁원제를 캐스팅하며 사람들의 기대를 모았지만, 이번에는 반대로 결과는 진구와 전속왕국 시즌 2.[22] 게다가 번역면에서도 나중에는 바둑이가 기억을 찾으면서 반말에서 존댓말로 바꿔야 하는데도[23] 끝까지 반말로 대사처리 하는 등 번역오류도 만만찮았다.[24]"거북아~ 거북아~ 세상에서 너만큼~ 느려터진 건 없을 거야~"로 아예 디스를 해버린다.] 담당 PD는 황태훈 PD.
만약의 근원이후 구 도라에몽 극장판 수입이 멈춘줄 알았으나 딱 3년후인 2017년 5월 1일 애니원에서 진구의 태엽도시 모험기가 더빙되었다.
- 후반부에 1세대 아날로그 기반 휴대전화가 잠깐 나온다.
- 극장판 엔딩 스탭롤에서 확인할 수 있는, 교토 애니메이션이 하청업체로 제작에 참여한 마지막 도라에몽 극장판이다.
- 2019년에 애니메이션 40주년 기념으로 일본의 방송국 WOWOW에서 디지털 리마스터링 버전을 방송하여 무척 좋아진 화질로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1] 관객 수 283만.[2] 현재는 폐쇄되었다.[3] 구슬과 막대기로 구성된 장난감의 일종.[4] 작중 초반에 타임머신을 탄 진구 일행이 시공 난류에 휘말려 신체 나이가 변했던 상황이 복선이었다.[5] 단 진구와 마주쳤을 때 어느 정도 성장한 모습으로 나온 걸 보면 완벽한 천 년이 아니라, 어느 정도 시간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6] 반면에 바둑이의 원판 이름의 유래는 1(이치).[7] 이 극장판의 엔딩곡을 부른 가수로, 성우로도 출연하였다.[8] 다음 해에 리뉴얼 된 미즈타판 도라에몽의 비실이 성우를 담당한다.[9] 이후 도라에몽: 스탠바이미에서 청년 노진구 역할을 맡는다.[10] 1년 후 더 도라에몽즈에서 왕도라를 담당했다.[11] 본작의 할머니 역도 담당했다.[12] 코믹스에선 버려질 때 자신을 버리고 가는 인간을 인식할 정도론 성숙해 있었지만, 애니메이션 편에선 그것보다도 더 어릴 때 버려진 것처럼 묘사된다.[13] 그래도 진구랑 도라에몽이 밖에서 비를 맞고 있던 것으로 데리고 이후로는 도망을 치거나 진구나 도라에몽을 공격하려는 모습은 보이진 않았다. 몸을 닦아주는 것엔 원망 어린 눈으로 노려보긴 했지만.[14] 게다가 진구가 지어주었던 홀딱이라는 이름을 그대로 사용했던 것으로 보아 애증 정도의 감정은 있었을 거라고 추측된다.[15] 다만 진구를 신으로 추앙하는 부분에 관해서까지는 크게 개입했는지는 미지수.[16] 1년후 더 도라에몽즈에서 도라 더 키드 담당.[17] 단 노래를 부를 때에는 치코의 성우이자 엔딩곡을 부른 시마타니 히토미의 목소리가 그대로 나온다.[18] 러닝타임을 과도하게 늘리는 것도 큰 문제가 된다는 점이 최근 작품들을 통해서 명확하게 드러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2024년 개봉작 진구의 지구 교향곡이 있다. 본작보다 무려 31분이나 더 긴 러닝타임으로 불필요한 장면이 많이 추가되어 혹평을 받았다.[19] 22권의 해당 에피소드를 기반으로 한 TVA 신도라에몽 375~376화 (한국판 8기 6~7화, 작은 강아지 킹의 나라, 인연편/희망편) 방영본에서는 페름기 대멸종을 다루면서 시베리안 트랩을 언급한다. TVA 구도라에몽 529 ~ 530화도 마찬가지지만 곁다리로 넣어둔 느낌이다.[20] 이 상이 후반에 큰 역할을 해냈다. 이 신상을 만든 것은 바로 과거 대통령이었던 이치다.[21] 시바야마 츠토무 감독의 제자.[22] 전속 4기인 김연우는 주연을, 강시현을 포함한 나머지 3기, 4기 성우들은 조연 캐릭터를 연기했다.[23] 다만 실제 일본판도 그렇고, 정발판 코믹스도 그렇다.[24] 그래도 거북아 거북아 노래는 잘 변안했다는 평이 많다. 정발판 코믹스에선[25] 원래 구 도라에몽은 상영 시간을 1시간 30분으로 책정하고 나머지 30분으론 단편 애니메이션을 넣어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