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10:33:49

북구(부산광역시)

구포출장소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5007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중구(부산광역시) CI.svg
중구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서구
파일:동구(부산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영도구 CI.svg
영도구
파일:부산진구 CI.svg
부산진구
파일:동래구 CI.svg
동래구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남구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svg
북구
파일:해운대구 CI.svg
해운대구
파일:사하구 CI.svg
사하구
파일:금정구 CI.svg
금정구
파일:강서구(부산광역시) CI.svg
강서구
파일:연제구 CI.svg
[[부산광역시청|
시청
]] 연제구
파일:수영구 CI.svg
수영구
파일:사상구 CI.svg
사상구
파일:기장군 CI.svg
기장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3586><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3586>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구청
구포동
금곡동 덕천동 만덕동 화명동 }}}}}}}}}
부산광역시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svg
북구
北區
Buk-gu
}}}
<colbgcolor=#003586><colcolor=#fff> 구청 소재지 낙동대로1570번길 33 (구포동)
광역자치단체 부산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13[1]
면적 39.37㎢
인구 267,692명[2]
인구밀도 6,823.72명/㎢[3]
구청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오태원 (초선)
구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7석[4]

파일:zsdkl3gasdg.svg
6석[5]

1석[6]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석[7]
국회의원
<colbgcolor=#003586><colcolor=#fff>
파일:zsdkl3gasdg.svg
전재수 (3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성훈 (초선)
상징 구화 철쭉
구목 팽나무
구조 까치
구가 북구 찬가
지역번호 051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인구5. 지역 특징6. 교통
6.1. 관내 철도역 목록
7. 경제
7.1. 금융
8. 문화/명소/상권9. 의료10. 교육11. 정치12. 하위 행정구역13.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의 서북부에 위치한 자치구. 1978년 2월 15일에 부산진구의 일부와 김해군 대저읍·명지면·가락면(일부)을 조합하여 출범하였다. 북구에서 떨어져 나온 자치구로는 강서구·사상구 등이 있다. 특히 사상구의 분구로 현재의 북구는 서로 다닥다닥 붙어 있는 중부산권인 ··서구와는 달리[8][9] 혼자 떨어져 있는 위치에 있는 것이다.[10] 경부고속선이 아닌 경부선 본선을 타고 오면 가장 먼저 접하는 동네다.

2. 상징

파일:부산 북구청.jpg
북구청[11]
파일:external/www.bsbukgu.go.kr/s6_4_3_character01.gif
마스코트 북이[12]

3. 역사

원삼국시대 거칠산국의 영역에 해당하며, 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동래부와 양산군으로 소속이 여러차례 변경된 전력이 있다. 최종적으로 동래부(부산)의 영역이 된 것은 1906년. 지금은 구포라는 지명은 공식적으로 북구 안의 구포동으로만 남아 있지만 과거에는 구 전체가 구포면/구포읍이었고, 그 영향으로 지금도 구포동 이외 북구 일대를 구포로 통칭하기도 한다.

파일:attachment/북구(부산)/jeedo.jpg
북구 출범 당시의 영역. 당시에는 지금의 사상구강서구 대부분에 을숙도까지 포함하는 굉장히 넓은 구였다.
  • 1906년: 양산군 좌이면이 동래부로 편입되었다.
  • 1910년: 동래부가 부산부로 개칭되면서 부산부 좌이면이 됨.
  • 1914년 1월 1일: 부산부의 개항장 이외지역이 동래군으로 분리되면서, 동래군 좌이면이 됨.
  • 1918년 1월 1일: 좌이면이 구포면으로 개칭.
  • 1943년 10월 1일: 구포면이 구포읍으로 승격.
  • 1963년 1월 1일: 구포읍이 부산직할시에 편입되고 부산진구 구포출장소로 전환.
  • 1975년 10월 1일: 구포출장소가 폐지되고 부산직할시 직할 북부출장소로 전환.[13]
  • 1978년 2월 15일: 북부출장소와 김해군 대저읍·명지면(신호리 제외)·가락면(대사리·북정리·상덕리·제도리)을 조합하여 북구 신설. 북부출장소의 금성동은 동래구로 소속 변경.[14]
  • 1979년 8월 8일: 구포동이 구포1동과 구포2동으로 분리.
  • 1983년 5월 1일: 직할시 직할 강서출장소 설치.
  • 1983년 10월 1일: 덕천동이 덕천1동과 덕천2동으로 분리.
  • 1983년 12월 15일: 대저2동 을숙도·일웅도가 사하구로 소속 변경.
  • 1989년 1월 1일: 강서출장소가 강서구로 승격되어 북구에서 분리됨.
  • 1990년 1월 1일: 만덕동이 만덕1동과 만덕2동으로 분리.
  • 1992년 9월 1일: 덕천1동의 일부가 덕천3동으로, 만덕2동의 일부가 만덕3동으로 분리.
  • 1994년 7월 1일: 구포1동의 일부가 구포3동으로 분리.
  • 1995년 3월 1일: 북구의 일부(구 사상출장소)가 사상구로 승격되어 분리됨.
  • 2003년 7월 1일: 화명동이 화명1동과 화명2동으로 분리.
  • 2003년 12월 22일: 화명1동의 일부가 화명3동으로 분리.
  • 2018년 7월 3일, 정명희 당시 북구청장의 공약 중 하나인 행정구 명칭 변경을 위한 관련 절차에 본격적으로 돌입했다. 이후 2019년 4월 30일 주민대표와 전문가들로 구성된 ‘북구 명칭변경 추진위원회’가 발촉되었다.

정명희 구청장 시절 지역 주민 공모전을 통한 자치구 명칭 변경 논의가 있었지만 부정적 여론도 강해 흐지부지되다가 국민의힘 오태원 구청장으로 바뀌었고, 정명희 전 구청장이 북구 을 국회의원도 박성훈 전 해수차관에게 져서 낙선했기 때문에 지금은 변경이 거의 무산된 상황이다.

4. 인구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svg 부산광역시 북구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78년 2월 15일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15] + 경상남도 김해군 대저읍, 명지면[16], 가락면 일부[17] → 부산직할시 북구 승격 분리
1980년 338,375명
1983년 5월 1일 북구 강서출장소 → 부산직할시 강서출장소 승격 분리
1985년 334,825명
1990년 476,854명
1995년 3월 1일 북구동래군 사상면 지역 일대 → 부산광역시 사상구 승격 분리
1995년 283,351명
2000년 307,238명
2005년 335,699명
2010년 312,218명
2015년 310,484명
2020년 283,952명
2024년 10월 268,65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화명제1동 40,238명
금곡동 35,892명
화명제3동 28,652명
만덕제2동 26,642명
구포제2동 23,827명
구포제3동 18,428명
만덕제3동 17,766명
화명제2동 17,315명
만덕제1동 16,401명
구포제1동 15,593명
덕천제1동 11,864명
덕천제2동 11,317명
덕천제3동 10,137명
2023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
법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화명동 85,577명
만덕동 60,366명
구포동 57,370명
금곡동 35,583명
덕천동 34,036명
2024년 1월 기준 행정안전부 법정동별(행정동 통반 단위) 성/연령별 주민등록 인구수, 그래프 최대 값은 8.5만 명
}}}}}}}}} ||

===# 행정동별 인구추이 #===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svg 구포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동래군 구포읍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구포읍 폐지
舊구포읍 관할지역에 구포동, 금성동, 금곡동, 화명동, 덕천동, 만덕동 설치
1966년 14,217명
1970년 17,808명
1975년 24,939명
1979년 8월 8일 구포동 → 구포제1동, 구포제2동 분동
1980년 18,857명
1985년 22,195명
1990년 25,358명
1994년 7월 1일 구포제1동구포제1동, 구포제3동 분동
1995년 21,515명
2000년 18,049명
2005년 14,988명
2010년 14,332명
2015년 15,668명
2020년 14,735명
2023년 8월 15,70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svg 구포제2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9년 8월 8일 구포동 → 구포제1동, 구포제2동 분동
1980년 16,084명
1985년 20,841명
1990년 31,119명
1995년 33,314명
2000년 31,295명
2005년 31,566명
2010년 31,219명
2015년 28,587명
2020년 26,303명
2023년 8월 24,02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svg 구포제3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4년 7월 1일 구포제1동 → 구포제1동, 구포제3동 분동
1995년 28,110명
2000년 31,946명
2005년 28,597명
2010년 27,319명
2015년 24,186명
2020년 20,420명
2023년 8월 18,61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svg 금곡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동래군 구포읍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구포읍 폐지
舊구포읍 관할지역에 구포동, 금성동, 금곡동, 화명동, 덕천동, 만덕동 설치
1966년 1,040명
1970년 1,010명
1975년 1,326명
1980년 2,138명
1985년 2,796명
1990년 3,482명
1995년 35,678명
2000년 40,727명
2005년 46,457명
2010년 44,232명
2015년 44,312명
2020년 38,997명
2023년 8월 36,16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75만 명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svg 화명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동래군 구포읍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구포읍 폐지
舊구포읍 관할지역에 구포동, 금성동, 금곡동, 화명동, 덕천동, 만덕동 설치
1966년 1,880명
1970년 2,031명
1975년 3,533명
1980년 6,934명
1985년 26,435명
1990년 32,769명
1995년 28,146명
2000년 54,949명
2003년 7월 1일 화명동 → 화명제1동, 화명제2동 분동
2003년 12월 22일 화명제1동화명제1동, 화명제3동 분동
2005년 36,952명
2010년 28,591명
2015년 45,382명
2020년 42,593명
2023년 8월 40,32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5만 명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svg 화명제2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2003년 7월 1일 화명동 → 화명제1동, 화명제2동 분동
2005년 21,637명
2008년 21,735명
2009년 21,347명
2010년 21,115명
2011년 20,802명
2012년 20,275명
2013년 19,818명
2014년 19,291명
2015년 18,525명
2016년 17,998명
2017년 16,961명
2018년 16,335명
2019년 16,052명
2020년 15,437명
2021년 17,112명
2022년 17,512명
2023년 8월 17,37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svg 화명제3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2003년 12월 22일 화명동 → 화명제1동, 화명제2동 분동
2005년 34,714명
2008년 35,130명
2009년 34,753명
2010년 34,477명
2011년 34,463명
2012년 33,490명
2013년 33,549명
2014년 33,189명
2015년 32,590명
2016년 32,433명
2017년 31,815명
2018년 31,472명
2019년 30,982명
2020년 30,381명
2021년 29,748명
2022년 28,938명
2023년 8월 28,67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svg 덕천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동래군 구포읍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구포읍 폐지
舊구포읍 관할지역에 구포동, 금성동, 금곡동, 화명동, 덕천동, 만덕동 설치
1966년 1,794명
1970년 2,556명
1975년 3,994명
1980년 21,740명
1983년 10월 1일 덕천동 → 덕천제1동, 덕천제2동 분동
1985년 29,185명
1990년 33,934명
1992년 9월 1일 덕천제1동덕천제1동, 덕천제3동 분동
1995년 25,680명
2000년 21,929명
2005년 18,002명
2010년 18,115명
2015년 16,174명
2020년 12,314명
2023년 8월 11,95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svg 덕천제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3년 10월 1일 덕천동 → 덕천제1동, 덕천제2동 분동
1985년 16,463명
1990년 20,809명
1995년 22,641명
2000년 20,437명
2005년 17,216명
2010년 16,033명
2015년 13,695명
2020년 12,417명
2023년 8월 11,35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svg 덕천제3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2년 9월 1일 덕천제1동 → 덕천제1동, 덕천제3동 분동
1995년 18,765명
2000년 15,131명
2005년 14,794명
2010년 14,254명
2015년 12,474명
2020년 11,118명
2023년 8월 10,24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svg 만덕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동래군 구포읍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구포읍 폐지
舊구포읍 관할지역에 구포동, 금성동, 금곡동, 화명동, 덕천동, 만덕동 설치
1966년 943명
1970년 1,243명
1975년 2,198명
1980년 21,233명
1985년 30,764명
1990년 1월 1일 만덕동 → 만덕제1동, 만덕제2동 분동
1990년 21,059명
1995년 16,189명
2000년 15,733명
2005년 16,276명
2010년 15,121명
2015년 10,097명
2020년 12,841명
2023년 8월 16,49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svg 만덕제2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90년 1월 1일 만덕동 → 만덕제1동, 만덕제2동 분동
1990년 27,305명
1992년 9월 1일 만덕제2동만덕제2동, 만덕제3동 분동
1995년 27,003명
2000년 23,905명
2005년 24,304명
2010년 23,988명
2015년 27,380명
2020년 27,243명
2023년 8월 26,84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svg 만덕제3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2년 9월 1일 만덕제2동만덕제2동, 만덕제3동 분동
1995년 21,161명
2000년 24,545명
2005년 23,833명
2010년 23,422명
2015년 21,414명
2020년 19,153명
2023년 8월 17,91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5. 지역 특징

구포동, 덕천동, 만덕동 3개의 동이 차례대로 개발되었고 90년대 말부터 화명신도시가 개발됨에 따라 화명동, 금곡동 일대가 아파트촌으로 탈바꿈했다. 모든 도시가 그러하듯 구도심에 해당되는 구포, 덕천은 북구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지만 연식이 오래된 건물과 재건축한 아파트가 혼재되어 있는 편이다. 그 이후 개발된 만덕의 경우 주택촌으로 형성된 구만덕과 아파트촌으로 형성된 신만덕으로 나뉘어 있었는데 구만덕의 경우 재개발로 아파트촌으로 바뀌었다.

가장 위쪽에 위치한 금곡동은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그 아랫쪽 화명동은 대동화명대교를 통해 김해시, 산성터널로 금정구, 그 밑에 있는 덕천동은 남해고속도로로 강서구 대저동과 맞닿아 있으며, 그 밑에 구포동은 구포대교를 통해 강서구 대저동과 맞닿아 있다. 만덕동은 제1만덕터널제2만덕터널을 통해 동래구와 연결된다. 그리고 오르막길이 정말 많다.

북구에 있는 몇몇 시설이나 가게는 구포동이 아니라도 구포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18] 특히나 덕천교차로 상권이 구포지점와 덕천지점의 이름이 혼재되어 있으며 구포와 덕천의 경계선이기도 하고[19] 시외 관점으로 보는 경우 덕천보다 구포로 더 유명하기에 삼성전자서비스 구포지점 등 대기업 지점으로 구포지점이라 많이 사용된다. 이것은 옛날 북구 전체가 동래군 구포읍이었기 때문이다. 이게 어느정도냐면 부산 현지인들도 북구 산다고 하면 어디쯤이더라 하고 잘 떠올리질 못하는데 구포 쪽 산다 하면 대부분 알아듣는다.[20]

6. 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3586><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3586>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003586> 가람로 · 구남로 · 구남언덕로 · 구만덕로 · 기찰로
낙동북로
덕천로
만덕1로 · 만덕2로 · 만덕3로 · 모분재로
사상로 · 산성로 · 삼락천로 · 상리로 · 상학로 · 서낙동로 · 시랑로
양달로 · 와석장터로 · 용당로 · 은행나무로 · 의성로
중리로
팽나무로
학사로 · 함박봉로 · 화명신도시로 · 효열로
부산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도로망이 덕천사거리를 기준으로 십자로 만나며, 그 주변으로 시가지가 확장되어 있다. 낙동대로-만덕대로로 이어지는 동서 축은 김해시동래를 이어주기 때문에 교통량이 상시 많으며, 특히 남해고속도로만덕터널 가기 전에 종료되어 일반 도로와 합류하면서 정체가 수시로 발생한다. 남북 축은 백양대로-금곡대로로 이어지며 사상과 양산을 이어준다. 동서축과 남북축 모두 각각 부산 지하철 3호선부산 지하철 2호선을 깔고 간다.

강변대로낙동강변을 따라 사하구에서 시작되어 사상구, 북구를 거쳐 양산시로 연결된다. 덕천IC에서 남해고속도로와 만나는데, 2007년 덕천IC 완공 전에는 이 도로의 기능이 약간 제한적이었으나 나들목 개통 이후에는 북구 내부의 정체를 개선시켰다.

구포역은 경부선 일반열차 전부가 정차하며, 일부 KTX가 정차하는 중요한 역이다. 이 역은 비단 북구 등 서부산권뿐만 아니라 김해나 양산에서도 이용하기 때문에 일일 승하차 인원이 상당히 많다. 다만 경전선 KTX가 개통되고 경부고속선이 완공된 이후 KTX가 줄면서 2010년 이후 이용인원은 하락세.

6.1. 관내 철도역 목록

7. 경제

부동산업과 보건업·사회복지 서비스업, 교육서비스업의 비중이 크다. 지역내 총생산(GRDP)은 2018년을 기준하여 3조 1259억 원으로 부산시 전체 GRDP의 3.5%를 차지하여 16개 구·군 가운데 13번째에 해당한다. 경제활동별 부가가치의 비중은 부동산업(5625억 원)이 약 19%로 가장 크고, 이밖에 보건업·사회복지 서비스업(15.2%), 교육서비스업(13.7%), 도소매업(9.1%), 금융·보험업(8.9%), 건설업(6.1%) 등의 순이다. 부동산업의 부가가치는 부산시 총부가가치의 6.5%를 차지하여 16개 구·군 가운데 7번째로 비중이 크고, 보건업·사회복지 서비스업(4498억 원)과 교육서비스업(4070억 원)의 부가가치는 16개 구·군 가운데 6번째로 비중이 크다.

사업체 수는 2018년을 기준하여 1만 5224개로 부산시 전체 사업체의 5.3%를 차지하여 16개 구·군 가운데 10번째에 해당한다. 사업체별로는 도소매업체(3510개)가 23.1%로 가장 많고, 이밖에 숙박·음식점업(19.6%), 운수·창고업(15.0%), 협회·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체(12.1%), 교육서비스업체(6.5%) 등의 순이다. 전체 사업체의 약 88%가 개인 사업체이고, 종사자 5인 미만의 소규모 업체가 약 85%를 차지한다. 사업체 종사자는 6만 344명으로 부산시 전체 종사자의 4.2%를 차지하여 16개 구·군 가운데 13번째에 해당하며, 도소매업과 보건업·사회복지 서비스업, 숙박·음식점업, 교육서비스업 종사자가 58%를 웃돈다. 제조업은 식료품이 주류를 이루며, 제조업의 부가가치(768억 원)는 부산시 제조업 총부가가치의 0.5%에 그쳐 16개 구·군 가운데 중구·수영구 다음으로 비중이 낮다는 것을 타개하는 차원에서 조달청인근에 금곡도시첨단산단이 조성중이고 지식산업센터도 들어섰다.

상업은 조선 후기에 낙동강 수로를 이용한 상권이 형성되어 구포장이 5일장으로 열렸으며,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에 낙동강 제방 건설로 지금의 구포동으로 장터를 옮겨 구포시장으로 운영되었다. 구포시장은 2004년 정이있는구포시장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상설시장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구포장의 전통을 이어 매달 끝자리가 3일과 8일인 날에 5일장을 병행한다. 또한 구포동의 구남시장·구남골목시장·구포축산물도매시장, 만덕동의 만덕시장·만덕백양시장, 화명동의 화명동원시장, 덕천동의 덕천시장 등의 전통시장이 상설로 운영된다. 이밖에 유통업체로는 대형 할인점 2개소, 쇼핑센터 2개소 등이 있다. 2018년 도소매업의 부가가치(2708억 원)는 부산시 도소매업 총부가가치의 3.3%를 차지하여 16개 구·군 가운데 영도구·연제구 다음으로 비중이 낮다.

7.1. 금융

부산 북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북부산우체국 (7)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1)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2)
시중은행
신한은행 (2) 우리은행 (2)
SC제일은행 (1) 하나은행 (2)
국민은행 (3)
지방은행
부산은행 (10)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북부산농협 (9) 부산축산농협 (2)
수산업협동조합
대형기선저인망수협 (1) 대형선망수협 (1)
새마을금고
북부산새마을금고 (7) 부산화명새마을금고 (6) 신만덕새마을금고 (2) 구포새마을금고 (4)
신용협동조합
북부산신용협동조합 (3) 구남신용협동조합 (1) 만덕신용협동조합 (1) 구포신용협동조합 (2)
부산행복신용협동조합 (4)

금곡동에는 부산은행국민은행이 함께있는 공동점포가 있다.#

8. 문화/명소/상권

9. 의료

10. 교육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부산광역시 북구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구남초등학교 구포초등학교 금곡초등학교
금명초등학교 금창초등학교 대천리초등학교
덕성초등학교 덕양초등학교 덕천초등학교
만덕초등학교 명덕초등학교 명진초등학교
백산초등학교 백양초등학교 상학초등학교
신금초등학교 신덕초등학교 신천초등학교
양덕초등학교 양천초등학교 와석초등학교
용수초등학교 포천초등학교 학사초등학교
화명초등학교 화잠초등학교 화정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부산광역시 북구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가람중학교 구남중학교 구포중학교 금곡중학교 금명중학교
대천리중학교 덕천중학교 만덕중학교 명진중학교 백양중학교
신덕중학교 양덕여자중학교 용수중학교 화명중학교 화신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부산광역시 북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경혜여자고등학교 금곡고등학교 금명여자고등학교
낙동고등학교 만덕고등학교 부산백양고등학교
삼정고등학교 성도고등학교 화명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중학교가 매우 많이 포진돼 있다. 특히 화명동 관내 중학교들은 전교생 숫자 600명은 거뜬히 찍어낼 정도로 학생 수가 많다.[26] 특이하게 화명중학교와 부설 방송통신중학교가 같이 위치해 있다.

양덕여자중학교여자중학교고 나머지는 모두 남녀공학 형태다. 남자중학교는 하나도 없다. 2019학년도까지는 덕천중학교가 북구에서 유일한 남자중학교였으나 덕천여자중학교와 통합이 결정되어 여학생들도 받기 시작해서 남녀공학으로 형간전환시켰다. 이후 2022학년도에 19년도 입학생이 완전히 졸업하는 시점으로 덕천여자중학교가 폐교되면 여자중학교는 양덕여자중학교 단 하나만 남게 된다.

고등학교는 9군데나 존재하여 통학에 별 불편함은 없지만 모두 일반계 고등학교뿐이라서 특성화고등학교특수목적고등학교로 진학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구를 빠져나가야만 한다. 그나마 가장 가까운 특성화고의 경우 사상구에 위치한 서부산공업고등학교부산조리고등학교, 산성터널 너머 대진전자통신고등학교가 있다. 당감동에 위치한 부산국제고등학교한국과학영재학교 역시 백양터널만 넘으면 바로 나오고 기숙사 생활을 하기에 다닐 만하지만[27], 이건 택시나 자가용을 이용할 때의 이야기이다. 화명동이나 금곡동의 경우에는 대중교통으로 접근하기에는 상당히 어렵다.[28] 부산 유일의 외고인 부산외국어고등학교는 지하철 1, 3호선 연산역으로 접근이 가능하고 통학버스도 운영되어 접근성이 용이한 편이며 과학고의 경우 사하구 당리동 소재 부산일과학고등학교보다 산성터널 너머 남산동에 위치한 부산과학고등학교가 더 가깝다. 자사고인 부일외국어고등학교는 다소 먼 편이다. 바로 아래 사상구도 학교 개수가 매우 부족하여 다양한 계열의 특성화고가 있는 사하구 관내 특성화고로 통학하는 학생들 비율도 많이 존재한다.

4년제 종합대학은 없기 때문에 종합대학으로 가려면 구를 빠져나가야만 한다. 특히 북구의 경우 부산 관내 대학교까지 통학하는 데 애로사항이 손꼽히는데 부산 북쪽 끄트머리에 위치한 특성상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나마 구포 덕천 만덕은 사정이 나은 편이지만 화명 금곡에서는 다른 곳까지 정말 멀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연선의 신라대학교동서대학교, 동의대학교는 그나마 사정이 낫지만 경성대학교, 부경대학교, 동명대학교, 영산대학교 등의 동부산권에 위치한 대학으로 가거나 동아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고신대학교 등등의 대학으로 가려면 대중교통 이용 편도로만 1시간 넘게 잡아야 한다.[29] 산성터널이 개통되어 부산대학교부산가톨릭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로의 이동이 예전보단 한층 수월해졌다. 아니면 상대적으로 거리가 가까운 김해시에 위치한 인제대학교로 통학하는 경우도 많다.

11.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북구(부산광역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북구(부산광역시)/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


[1] 5개 법정동, 13개 행정동[2] 2024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3] 2024년 10월 기준.[4] 북구 가선거구 (구포1동, 구포2동, 구포3동, 덕천2동): 김정방, 김태식
북구 나선거구 (덕천1동, 덕천3동, 만덕1동): 김장수
북구 다선거구 (만덕2동, 만덕3동): 김기현
북구 라선거구 (금곡동, 화명2동): 김성택
북구 마선거구 (화명1동, 화명3동): 하승범
북구 비례대표: 박순자
[5] 북구 가선거구 (구포1동, 구포2동, 구포3동, 덕천2동): 김정원
북구 나선거구 (덕천1동, 덕천3동, 만덕1동): 손분연
북구 다선거구 (만덕2동, 만덕3동): 임성배
북구 라선거구 (금곡동, 화명2동): 하남욱
북구 마선거구 (화명1동, 화명3동): 김태희
북구 비례대표: 문천순
[6] 북구 마선거구 (화명1동, 화명3동): 정기수[7] 북구 제1선거구 (구포1동, 구포2동, 구포3동, 덕천2동): 박대근 (재선)
북구 제2선거구 (덕천1동, 덕천3동, 만덕1동, 만덕2동, 만덕3동): 김효정 (초선)
북구 제3선거구 (금곡동, 화명2동): 이종진 (재선)
북구 제4선거구 (화명1동, 화명3동): 박종율 (초선)
[8] 남구해운대구, 수영구와 함께 동부산권이다. 어쨌거나 동구와도 바로 접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중, 동, 서, 남구는 서로서로 붙어있는 모양새다.[9] 1983년까지는 북구와 서구가 맞닿은 적이 있었다. 후에 사하구(1983년), 사상구(1995년)가 잇따라 설치되어 지금은 해당되지 않지만.[10] 금정구와 경계를 맞대고는 있지만 생활권은 분리되어있다. 이유는 당연히 부산에서 제일 큰 산인 금정산 때문. 다만 산성터널윤산터널이 개통(두 터널은 직결된다.)된 후로는 생활권이 가까워져 북구에서의 부산대학교 통학 수요가 증가했다.[11] 본청사 (사실상 구의회) 공간 부족으로 제1별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2013년 주변 건물을 매입하여 제2별관을 꾸렸다.[12] 거북 자를 쓰는 옛 지명 구포 + '북'구에서 따왔다.[13] 같이 폐지되는 사상출장소와 한데 묶어서 출범하였다.[14] 금정산성 마을인 그 동네가 맞다. 나중에 금성동은 1988년 출범하는 금정구에 소속되어 지금에 이른다.[15] 금성동, 학장동 일부지역 제외[16] 신호리 제외[17] 북정리, 상덕리, 대사리, 제도리[18] 대표적으로 KT 구포지사(구포전화국). 덕천1동에 위치해 있다. 그리고 비슷한 위치에 구포IC 또한 만덕동에 있기도 하고.[19] 일반인들은 동네 경계를 명확히 나누지 않는다. 덕천이나 구포나...[20] 그래도 2020년대에 들어서는 덕천동의 인지도 또한 약간이나마 생겨서 덕천 산다고 해도 알아듣는 사람들도 조금씩 늘고 있는 중이다. 이는 2,3호선 환승역인 덕천역의 존재감 때문인듯 하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24] 서울 마장동축산물 도매시장 다음으로 큰 축산물도매시장이라고 한다. 북구청 뒤에 있다.[25] 매년 여기서 만세운동 재현을 한다. 학생들도 많이 와서 봉사활동 시간을 채울 수 있다.[26] 대천리중학교 제외. 화명2동 안쪽에 들어가 있어 통학하는데 많이 불편해서 근처 아파트단지나 금성동 거주 학생들만 주로 통학하는 편이다.[27] 부산국제고는 주 1회, 한과영은 월 1회 귀가한다.[28] 근처에 지하철역이 없으며, 유이하게 북구를 지나 학교 앞에 서는 버스인 부산 버스 1004부산 버스 1009-1 모두 배차간격이 긴 편이다. 기숙사 생활을 하기에 등교 때마다 챙겨가야 하는 여행가방이 걸리적거리는 건 덤. 겨우 버스를 타더라도 내리면 눈앞에는 어마어마한 등산 코스가 펼쳐진다...[29] 특히 영도구에 위치한 고신대와 해양대의 경우 편도로만 2시간 남짓 걸린다(..)[30] 한끼줍쇼에 나왔을 때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