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2 16:11:13

제2만덕터널


만덕터널
제1만덕터널 제2만덕터널 만덕초읍(아시아드)터널

第二萬德터널 | 2nd Mandeok Tunnel

파일:제2만덕터널(1).jpg[1]
만덕터널 주행영상 148-1번 탑승 촬영본.[2]

1. 개요2. 규모3. 역사4. 특징5. 통과하는 대중교통6. 헬게이트7. 관련 문서

1. 개요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동래구 온천동을 잇는 왕복 4차로의 터널이다. 제1만덕터널과 달리 상하행선이 완벽하게 분리된 쌍굴의 구조라서 역주행해서 들어오지 않는 이상 차량 간의 정면 충돌의 우려가 없다. 14번 국도40번 부산광역시도의 일부이기도 하다.

보통 만덕터널이라고 하면 이 터널을 의미한다. 보통 제1만덕터널을 1터널, 제2만덕터널을 2터널이라 부른다. 최근에 개통한 제3만덕터널은 만덕초읍터널이라고 불리운다.

상황실 번호는 051-790-7070.

2. 규모

  • 총 길이는 3,084m이다.[3] 세부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 만덕동에서 터널로 진입하는 길이 640m, 폭 32.7m ~ 42.6m의 8차로 도로
    • 길이 1,740m, 폭: 9.4m, 높이: 4.5m, 편도 2차로로 구성된 쌍굴식 터널이다.
    • 터널에서 미남교차로로 가는 길이 704.48m, 폭 32.7m의 왕복 8차로 도로

3. 역사

1973년에 개통한 제1만덕터널을 대체 및 보완하기 위해 1984년 7월에 착공하여 1988년 4월에 완공하였다. 제1만덕터널은 왕복 2차로 터널[4]로 당시 극심한 정체를 빚고 있었고 제2만덕터널의 개통은 만덕 - 동래 간 정체를 해소 하는 해결책이었다. 터널 축조는 대림산업의 민간투자로 이루어졌다. 총 공사비는 437억 7천 8백만원이며 그중 부산직할시(당시)가 91억원, 대림산업이 346억 7천 8백만원을 부담했다.[5]

1988년 6월부터 2005년 6월 30일까지 통행료를 걷었으며, 무료화 직전 통행료는 소형차 400원, 대형차 500원이었다.[6] 2004년 통행료 수입은 101억원이었으며 2005년 하루 통행량은 7만6000대였다.

개통 당시에는 터널 조명으로 저압나트륨등 램프를 사용하였으나 2009년에 cdm계열 cpo램프로 전면 교체되었다.
2024년 2월 기준으로 상하행 터널 내부 등이 전부 백색 LED로 교체되었다. 덕분에 이전에 어두웠던 것과 달리 환골탈태 수준으로 밝아졌다.

4. 특징

북구동래구를 가장 빠르게 이어주는 길이기 때문에 출퇴근시에 교통 체증이 매우 심각하다. 부산에서 가장 많이 막히는 곳 중 하나가 바로 이 만덕터널이다.

현재 만덕터널의 교통량을 분담할 제3만덕터널[7] 공사가 완료되었고 만덕~센텀 지하 고속화도로가 착공됐으며, 산성터널[8]은 개통하여 운영중이다.[9] 산성터널은 부산외부순환도로망의 핵심 구간이 된다.

만덕에서 동래 방향으로 갈 때, 터널 종점부터 내리막길이 있고 특히 터널 진입시 차로 수가 축소되므로(6차로-4차로) 이 구간을 운전할 경우 주의하여야 한다.

이 터널은 동래구해운대구에서 북부산, 경남권으로 가려면 반드시 거쳐야만 남해고속도로로 진입이 가능하다. 그래서 시내도로라는 우회로가 있는 동서고가로와는 달리 이쪽은 터널을 새로 짓거나 크게 돌아가지 않는 이상 우회로가 없기 때문에[10] 항상 정체가 심했던 구간이다. 이 곳을 굳이 우회해서 경남권으로 가려면 백양터널을 이용하거나 번영로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하여 양산JC를 거쳐 중앙고속도로지선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들도 밀리는 건 매한가지다. 하지만 2018년 이후로는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금정산터널, 산성터널과 윤산터널이라는 대체우회도로가 한두개 더 생겨서 그나마 사정은 나아진 편... 통행료를 더 내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만덕터널에서 교통체증을 겪는 시간과 공회전 시 발생하는 기름값 등을 모두 감안해보면 더욱 나을 것이다.[11]

5. 통과하는 대중교통

북구와 동래구, 금정구, 해운대구를 가장 빠르게 잇는 터널이기 때문에 수많은 시내버스, 시외버스 노선이 이 터널을 경유하여 지나간다.

5.1. 시외버스

참고로 시외버스 노선들은 제2만덕터널이 교통 체증으로 인하여 정체가 매우 심각해지면 제1만덕터널로 우회하여 가는 경우도 많다.

5.2. 시내버스

5.3. 부산 도시철도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이 만덕 - 미남역 구간에서 제2만덕터널 아래를 지나가며, 경부고속선 금정터널이 제2만덕터널과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사이를 교차하여 지나간다.

6. 헬게이트

2005년 무료화 직전 통행량 : 약 73,000대/일
2015년 통행량 : 101,412대/일
2021년 통행량 : 79,854대/일

윗 문단에 적혀진대로 북구랑 동래구를 이어주는 가장 빠르고 편한 길목[13]이기 때문에 출퇴근 러시아워 시간대는 물론 평소에도 100% 대규모 교통체증으로 인한 헬게이트가 항상 열린다. 사상 - 서면 - 연산동 - 동래로 돌아갈 수 있으나 너무 빙 돌아가므로 선택지가 여기 말고는 없다.[14] 더군다나 만덕터널 앞이 남해고속도로 입구가 시작되는 부근이어서 고속도로를 경유하는 시외버스나 각종 차량들 통행량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사고 한번 잘못 나게 되면 대규모 주차장으로 변한다. 심할 경우 안에서 무려 1시간 동안 본의아니게 갇혀 있었던 사람도 있었다. 터널을 빠져나가면 남해고속도로의 진입로인 구포IC랑 바로 연결되는 입구가 나오기 때문에 고속도로 방향으로 가는 차량들도 너나할것 없이 모두 이 터널을 통과해야만 한다. 명절 시즌에는 말이 필요한지?

부산광역시에서는 본 터널의 우회도로로 1터널을 포함해 만덕초읍(3터널), 산성터널. 만덕~센텀 지하 고속화도로 사업을 진행하였다.

이럴땐 맨 먼저 만들어진 제1만덕터널이 우회도로 역할을 할지도 모르는데 애당초 이쪽은 터널 진입로가 구불구불 산길로 되어있고 왕복 2차로 터널이기 때문에 도움이 많이 되진 않는다.[15] 원래 제2만덕터널은 제1만덕터널의 압도적인 교통량을 분산시키고 교통혼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건설된 터널이었는데 이제는 1터널, 2터널 전부 다 막힌다.(...)[16] 특히 1터널은 왕복 2차로이기에 사고 한번 잘못 나면 매우 골치가 아파진다.동서지옥의 재림 [17]

만덕터널로 들어가기 전 만덕역이 있는 만덕교차로 구간은 제1만덕터널과 제2만덕터널의 갈림길이 되기 때문에 신호등 대기시간이 상당히 길다. 때문에 계속 차량들이 몰려들어오는데 다 소화해 낼 수 없기 때문에 교통체증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그래도 2018년 9월 18일 부로 산성터널이 개통해서 출퇴근 시간때를 제외하면 교통체증이 약간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퇴근시(17:00~18:00)에는 미남교차로에서 내성교차로 구간 정체가 매우 심각하다.[18]

또한 도로구조에도 문제가 있는 것이 외부도로는 편도 4차로(왕복 8차로)인데 제2터널은 편도2차로(왕복 4차로)이라 병목현상이 안 생길래야 안 생길 수가 없다.

2023년 7월 1일, 만덕초읍(아시아드)터널이 개통하면서 이 구간의 교통 체증도 한결 나아질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고 만덕2터널의 정체는 약간이나마 줄었다.

7. 관련 문서


[1] 미남교에서 촬영한 사진으로 터널 주변 옹벽이 리모델링 이전인 걸로 보아 2010년에 찍은 사진으로 보인다.[2] 심야 시간대라 교통 체증이 거의 없는 것이다. 평시엔 정말 많이 막힌다.[3] 실제 터널 길이 + 미남로타리까지 가는 진입로 길이[4] 편도 2차로가 아니다.[5] 제2만덕 TUNNEL 건설지, 부산직할시 및 대림산업 발행 1988년 p31[6] 부산 구덕·제2만덕터널 통행료 폐지[7] 북구 만덕동과 부산진구 초읍동을 잇는 터널.[8] 북구 화명동과 금정구 장전동을 잇는 터널.[9] 소형차량기준 1500원[10] 만덕1터널이 조커역할을 하지만 산을 오르락 내리락 하는 구간이 많아 시간은 비슷하다. 거기다 2터널이 밀릴 걸 예상하고 1터널로 가려고 하는 사람이 한둘이 아닌지라...[11] 실제로 이들 터널의 개통으로 컨테이너 대형 화물차들이 만덕터널을 거쳐가는 경우가 극히 줄어들었다. 아니나다를까 시에서 컨테이너 화물차들의 만덕터널 진입을 금지시킨 덕분에 2022년 현재 시점에는 제2만덕터널에 화물차량들이 활개치고 다니는 경우는 완전히 사라졌다. 때문에 화물차량은 유료도로인 산성터널이나 금정산터널로 가야 한다. 물론 시내도로를 이용해서 갈 바에야 빠르고 편하게 산성터널이나 금정산터널로 가는 것이 여러모로 이득이다.[12] 부산 내에 있는 터널을 통과하는 유일한 김해시 시내버스이자 유이한 경상남도 시내버스이다. 다른 노선은 거제 버스 2000으로 가덕해저터널과 가덕터널을 통과한다. 부산의 터널을 지나는 특성상 이 터널을 지날때는 김해시 BIS가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13] 제1만덕터널만덕고개길도 있으나 빙빙 돌아가느라 시간이 더 걸린다. 온천1,3동, 사직2동은 1터널과 직결되어 더 가깝고, 부산대 남문까진 금정마을로-우장춘로 루트로 인해 더 가깝다. 여기에 우회할 차량까지 합세하는 것. 방금 말했듯 여기가 밀릴 걸 예상하고 돌아가려는 사람이 한둘이 아니라...[14] 가려면 갈 수 있지만 이쪽도 밀리려면 밀린다. 더군다나 BRT 시행으로 중앙대로가 개판이 된데다 초보자는 안 받는다는 부산 관내 교차로의 끝판왕 연산교차로까지 버티고 있다.[15] 다만 남해고속도로 종점~만덕사거리 구간은 2만덕 터널을 타기위해 차량줄이 늘어지는데, 좌측 1터널 쪽은 줄이 적은 관계로 이 시간을 줄이기 위해 와일드 카드로 1터널을 타는 경우도 있긴 하다.[16] 항상 말하듯 여기가 밀릴 걸 예상하고 돌아가려는 사람이 한둘이 아니라...[17] 왕복 4차로인데 이쪽은 만덕터널, 아니, 마의 터널로 불리는 창원1터널보다 이동량이 많다.[18] 특히 금요일에는 무려 오후1~3시 부터 동래방향으로 차가 막히기 시작한다. 어쩔 수 없는 것이, 동래역 근방 도로는 사실상 24시간 통행량이 많아 심할 때는 새벽 3~4시에도 정체가 발생하는 구간이다. 터널 하나 더 뚫린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닌 것. 그래서 부산시에서는 만덕~센텀 지하 고속화도로를 건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