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8 18:40:41

만덕동(부산)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전라남도 여수시 만덕동}}}에 대한 내용은 [[만덕동(여수)]]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만덕동(여수)#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만덕동(여수)#|]]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전라남도 여수시 만덕동: }}}[[만덕동(여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만덕동(여수)#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만덕동(여수)#|]]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3586><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3586>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행정동 법정동
구포제1동 [[북구청(부산광역시)|
구청
]] 구포동
구포제2동
구포제3동
금곡동 금곡동
덕천제1동 덕천동
덕천제2동
덕천제3동
만덕제1동 만덕동
만덕제2동
만덕제3동
화명제1동 화명동
화명제2동
화명제3동
}}}}}}}}} ||
북구법정동
만덕동
萬德洞 | Mandeok-dong
<colbgcolor=#1d3c85><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부산광역시
기초자치단체 북구
행정표준코드 2632010300
관할 행정동 만덕1동, 만덕2동, 만덕3동
하위 행정구역 60통 305반
면적 8.78㎢
인구 61,622명[A]
인구밀도 7,018.45명/㎢
1. 개요2. 관할 행정동
2.1. 만덕1동2.2. 만덕2동2.3. 만덕3동
3. 교통
3.1. 시내버스3.2. 마을버스3.3. 도시철도
4. 교육
4.1. 초등학교4.2. 중학교4.3. 고등학교
5. 주거6. 출신 인물

1. 개요

부산광역시 북구법정동이다. 3개의 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북구화명동, 덕천동, 구포동과 인접하고 있으며 금정구장전동금성동, 동래구온천동, 사직동 그리고 부산진구초읍동과 인접하고 있다.

서쪽을 제외하면 동, 남, 북이 산으로 가로막힌 지역이라 관통하는 터널이 무려 세 개나 된다. 금곡동, 화명동과 함께 북구의 베드타운 역할을 하고 있으며, 위치 특성상 터널 하나만 넘어가면 바로 동래구연제구로 갈 수 있다.

부산시민들은 줄임말만덕이라고 부른다. 동명의 뜻은 일만 만(萬)에 덕 덕(德), 만 가지의 덕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과거 이 곳에 있었던 만덕사[2]에서 유래하였다.

고지대에 위치한 동네이며 만덕역 2번 출구 앞의 육교에 올라가서 주위를 둘러보면 어떤지 실감이 날 것이다. 지도를 보아도 백양산과 상학산 사이의 골짜기에 도시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서쪽의 덕천동, 구포동은 낙동강이 흐르기 때문에 만덕동과 고저차가 크다. 서부산과 동부산을 잇는 교통요지에 위치해 있으면서도 고지대에 위치한 지리적 특징이 부동산 가격에도 반영되어 있어 그렇게 비싼 곳은 아니다.

국내에서 가장 깊은 곳에 만들어졌다고 소문난 만덕역이 있다.[3][4] 제2만덕터널 아래를 그대로 따라가기기에 다음 역인 미남역으로 가는 시간도 보통 지하철이 다음 역 까지 가는 시간의 두세 배 가량 걸린다.[5]

만덕1동은 금정산 만덕2동, 만덕3동은 백양산을 끼고 있으며 등산로를 통해서 금정산성, 어린이대공원, 성지곡수원지 등으로 갈 수 있다. 등산로가 여러 방향으로 뻗어있고 금정산, 백양산 일대 곳곳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등산객들이 많이 찾는다.

FM 라디오는 서부산에 속하지만 황령산, 불모산 전파가 비슷하게 수신되거나, 오히려 황령산 전파가 더 잘 잡힌다. 황령산 전파는 고지대라 장애물(산)의 방해를 덜 받아 수신이 양호한 반면, 불모산 전파는 금정산백양산에 막혀 감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관련 일화[6]

선거구의 경우 21대 총선까지는 선거구가 강서구와 혼합된 선거구였으며 당시 만덕동 전체는 갑(甲) 선거구 에 속해 있었으나,[7] 22대 총선에서 북구 단독으로 2분구 된 상태에서는 1동만 을(乙) 선거구, 2동과 3동은 갑(甲) 선거구에 속하게 되었다.

2. 관할 행정동

2.1. 만덕1동

북구행정동
만덕제1동
萬德第一洞 | Mandeok 1(il)-dong
<colbgcolor=#1d3c85><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부산광역시
기초자치단체 북구
행정표준코드 3320031
관할 법정동 만덕동
하위 행정구역 17통 75반
면적 4.76㎢
인구 16,618명[A]
인구밀도 3,491.18명/㎢
정치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국회의원 | 북구 을

박성훈 (초선)
부산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김효정 (초선)
북구의원 | 나 선거구

김장수 (초선)

손분연 (재선) }}}}}}}}}
행정복지센터 만덕1로 1 (만덕동 830-34)
만덕1동 행정복지센터
1970년대 영도, 수정동 일대 구도심 재개발이 진행되면서 해당 지역 무허가 주택에 질서 없이 거주하던 피난민, 귀환 동포, 철거지 주민 등을 강제로 이주시키던 이른바 정책이주지[9]였던 바 있으며 만덕동의 다른 지역보다 일찍이 형성된 주거지역으로서 흔히 구만덕이라고 부른다.

구도심에서 이주 수용된 철거민들은 총 2,074세대, 1만여 명에 이르렀으며 지금의 만덕1로 북쪽으로 고도가 높은 쪽으로 모여 살고 있었는데, 2000년대 중반에 이곳이 주거환경개선지구[10]로 지정되면서 또다시 철거민이 되어 살던 곳을 떠나야 하는 아픔을 겪기도 하였다. 토지공사-주택공사 합병으로 보상이 지연되면서 처음 책정되었던 보상가보다 금액이 적어지기도 했고 먼저 보상을 받은 주민들과 보상이 지연된 주민들 간에 사업 시행을 놓고 마찰이 일어나는가 하면 주민 동의 절차상 문제로 소송전이 벌어지기까지 했으니 당시 사업 대상지 주민들의 고통은 이루 말로 다 못했을 것이다.#

다만 옛날처럼 무작정 다른 동네로 쫓겨나는 그런 상황은 아니고 약소하나마 다수 주민이 납득할 만큼의 보상도 되었고 지구주민 우선공급, 공공임대 등으로 나쁘지 않은 선택지들이 주어졌으며 인근 아파트들 시세도 그리 많이 비싸지 않았던 터라 당시 사업 대상지 주민들은 상당수가 여전히 만덕5지구와 그 인근에 흩어져서 살고 있다. 얼마 못가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면서 시세차익을 본 사람들도 있다.

지금은 아파트 단지들이 대규모로 들어서 있으며 주거지 우세지역으로 조용한 곳이다. 금정산 자락에 자리잡아 등산로가 여러 방향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등산하기에도 편하다.

만덕1터널쪽 산자락에는 , 오리, 염소 요리들을 파는 산장들이 많아서 만덕민속오리마을로 조성되어 있는데, 주차시설도 있고 족구장도 갖춘 곳들이 있어 단체 산행객들이 산행을 하고 나서 뒤풀이 장소로 이용하기도 한다. 여기서 홀수년마다 격년제로 오리불고기 축제도 했었는데 코로나19 이후로 열리지 않고 있다. 이외에 석불사가 있다.

이 지역에 위치한 교육시설로는 상학초등학교, 만덕초등학교, 만덕중학교가 있으며 상업시설로 하나로마트 만덕점이 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획정 당시에는 북구 갑이 아닌 북구 을로 배정되었다. 선거구 인구를 맞추려면 이 방법밖에 없어 만덕1동을 끌어온 것. 그런데 이 만덕1동은 이 지역구의 현역 의원인 전재수의 핵심 표밭으로서 4번의 총선에서 당락 상관없이 항상 전재수가 박민식을 이겼던 곳이다.[11] 그래서 만덕1동을 북구 을로 옮긴다고 하자 전재수는 "서병수 살리기"라고 잠깐 반발했다가 곧 선거구 획정을 수용했다. 선거 결과 전재수는 자신의 표밭이 없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특유의 개인기로 서병수를 넉넉한 표차로 이겨 민주당 소속으로 혼자 부산에서 당선되었으나, 전재수의 걱정은 현실화되어 북구 을로 옮겨간 만덕1동에서는 민주당 정명희 후보가 국민의힘 박성훈 후보에게 패하였다. 즉 민주당 텃밭이라기보다는 전재수 개인의 표밭임이 증명된 것이다.

2.2. 만덕2동

북구행정동
만덕제2동
萬德第二洞 | Mandeok 2(i)-dong
<colbgcolor=#1d3c85><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부산광역시
기초자치단체 북구
행정표준코드 3320032
관할 법정동 만덕동
하위 행정구역 28통 142반
면적 2.25㎢
인구 26,912명[A]
인구밀도 11,960.89명/㎢
정치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국회의원 | 북구 갑

전재수 (3선)
부산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김효정 (초선)
북구의원 | 다 선거구

김기현 (초선)

임성배 (초선) }}}}}}}}}
행정복지센터 만덕2로44번길 10
(만덕동 289-1)
만덕2동 행정복지센터
만덕2동은 만덕대로를 기준으로 남쪽으로 주택가와 아파트 단지가 많은 조용한 주거지역이다. 80년대, 90년대, 2000년대 3차례에 걸쳐 택지조성사업이 시행되어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 70년대부터 일찍이 주거지가 형성된 만덕1동(구만덕)보다 주거지 형성이 늦은 편이어서 흔히 신만덕이라고 부른다.

덕천천을 끼고 있는 덕천로 일부 지역은 저지대이나 그쪽을 벗어나면 경사도가 높은 고지대가 나와서 고저차가 심하다. 도보로 이동하기에는 힘든 부분이 있어 마을버스[13]가 고지대에 있는 주거지들을 연결하면서 사람들을 실어나르고 있다.

지금은 만덕2동이 만덕에서 인구가 가장 많고 중심지 역할을 하기에 지나가는 시내버스 노선 또한 매우 많은 편인데 동래에서 만덕터널을 넘어서 덕천, 구포 방향으로 가는 버스들은 대다수가 만덕대로를 따라 바로 내려가지 않고 만덕2동을 경유하도록 편성되어 있다.

80년대에 정책적으로 조성된 단독주택 단지인 이른바 레고마을도 만덕2동에 있어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구청에서도 주변을 찾는 관광객을 위하여 꾸준히 정비사업을 벌이고 있다.

한가운데 있는 신만덕사거리에서 만덕도서관쪽으로 올라가는 길에 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길 양쪽으로 은행나무가 가로수로 심어져 있어 가을에 은행나무 열매가 떨어질 때가 되면 은행 냄새가 지독하다. 아예 도로명 자체가 은행나무로라고 이름지어져 있으며 격년으로 가을은행잎 축제가 열린다.

방탄소년단 멤버 정국의 고향이 만덕2동이라서 화제가 된 바 있다. 만덕2동에서 이 사실을 동정 홍보나 행사에 이용하다 팬들의 항의를 받기도 했다.

만덕동 3개의 행정동 중 가장 많은 교육기관이 존재한다. 만덕동의 유일한 고등학교인 만덕고등학교도 만덕2동에 위치해 있다.

백양산을 끼고 있으며 등산로를 따라서 도보로 초읍동에 위치한 어린이대공원으로 넘어갈 수 있다.

2.3. 만덕3동

북구행정동
만덕제3동
萬德第三洞 | Mandeok 3(sam)-dong
<colbgcolor=#1d3c85><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부산광역시
기초자치단체 북구
행정표준코드 3320033
관할 법정동 만덕동
하위 행정구역 15통 88반
면적 1.76㎢
인구 18,092명[A]
인구밀도 10,279.55명/㎢
정치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국회의원 | 북구 갑

전재수 (3선)
부산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김효정 (초선)
북구의원 | 다 선거구

김기현 (초선)

임성배 (초선) }}}}}}}}}
행정복지센터 만덕3로 52 (만덕동 916-3)
만덕3동 행정복지센터

만덕3동도 절반이 넘는 구역이 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나머지 부분도 대부분 조용한 주거지이다. 쌍용예가, 럭키아파트, 벽산아파트, 그린코아아파트, 동원아파트, 현대아파트 등 아파트 단지들이 많이 위치하고 있다.

3. 교통

북쪽, 동쪽, 남쪽 3면이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 지형이다.
그렇기 때문에 동래구, 해운대구연제구, 부산진구로 넘어가려면 (반대의 경우도) 제1만덕터널, 제2만덕터널만덕초읍(아시아드)터널을 지나야 한다.

그리고 여기를 지나는 모든 시내버스 노선은 인접한 번화가이자 북구의 중심지인 덕천교차로를 거친다. 즉, 만덕에서 아무 시내버스나 타도 덕천역에 갈 수 있다는 것이다. 노선 중에서 대표적으로 구만덕을 지나는 시내버스33번 버스33-1번 버스과 함께 지나간다. 다만, 33번 버스는 부산에서 가장 배차간격이 좋은 버스였으나, 33-1번의 신설로 인해 배차간격이 엄청 길어 졌다. 307번동래한전부터 구포역까지의 구간을 직진만 하기 때문에 덕천동으로 갈 수 있는 가장 빠른 노선이다.

도시철도는 만덕역 참고.

3.1. 시내버스

경유하는 시내버스 노선들이 제법 많은 편인데 대부분 이 동네를 경유하여 만덕터널을 통과하여 동래, 부산대, 서면, 해운대 등 다른 지역으로 가는 노선들이 대다수이기에 신만덕을 거쳐서 만덕터널로 빠지는 노선들은 모두 이 동네를 경유하게 된다.

3.2. 마을버스

3.3. 도시철도

4. 교육

4.1. 초등학교

4.2. 중학교

4.3. 고등학교

5. 주거

  • 만덕삼성아파트 (총 6동 600세대, 삼성건설 건설 / 1989.02 입주)
  • 대성타워맨션 (총 5동 816세대, 대성건설 건설 / 1991.01 입주)
  • 만덕그린코아아파트 (총 16동 1468세대, 한신공영 건설 / 1991.01 입주)
  • 만덕럭키1차아파트 (총 11동 900세대, LG건설 건설 / 1991.08 입주)
  • 만덕럭키2차아파트 (총 7동 714세대, 럭키개발 건설 / 1992.07 입주)
  • 만덕동원아파트 (총 6동 988세대, 동원개발 건설 / 1992.12 입주)
  • 벽산라인훼미리타운아파트 (총 2동 322세대, 벽산건설 건설 / 1994.11 입주)
  • 만덕현대아파트 (총 1동 211세대, 현대산업개발 건설 / 1997.06 입주)
  • 협성파크아파트 (총 3동 445세대, 협성개발 건설 / 1997.10 입주)
  • 벽산라인타운2차아파트 (총 10동 1166세대, 라인주택건설 건설 / 1998.12 입주)
  • 만덕동일아파트 (총 6동 499세대, 동일주택 건설 / 1998.12 입주)
  • 만덕베르빌아파트 (총 2동 430세대, 건설알포메 건설 / 2001.07 입주)
  • 만덕2휴먼시아아파트 (총 4동 360세대, 반도건설 건설 / 2001.11 입주)
  • 신만덕유림노르웨이숲 (총 2동 218세대, 유림건설 건설 / 2003.07 입주)
  • 만덕3주공아파트 (총 12동 1350세대, 한국토지주택공사 건설 / 2003.11 입주)
  • 신만덕쌍용예가아파트 (총 6동 600세대, 쌍용건설 건설 / 2005.06 입주)
  • 상록한신휴플러스아파트 (총 11동 882세대, 한신공영 건설 / 2006.03 입주)
  • 만덕3휴먼시아아파트 (총 4동 402세대, 양우건설 건설 / 2009.11 입주)
  • 금정산센트럴포레아파트 (총 2동 216세대, 한국토지주택공사 건설 / 2011.10 입주)
  • 백양 디 이스트아파트 (총 30동 3160세대, 동문건설 건설 / 2015.10 입주)
  • 더래디언트금정산 (총 14동 1677세대, 우미건설 건설 / 2019.10 입주)
  • e편한세상 금정산 (총 11동 1969세대, 대림산업 건설 / 2021.04 입주)
  • 백양산베스티움에코프레아파트 (총 12동 593세대, 동부토건 건설 / 2022.04 입주)

6. 출신 인물



[A] 2023년 4월 주민등록인구[2] 고려 시대에는 범어사 대웅전의 4배에 달하는 거대한 규모의 금당이 있는 대규모 사찰이었다고 전해진다. 지금의 만덕사는 폐사된 이후 옛 터를 기준으로 재건한 평범한 작은 절이다. 절터는 부산광역시 기념물 3호로 지정되었다.[3] 만덕동 지역 자체의 해발고도가 높아 만덕역이 깊어진 것이고 만덕역과 다른 3호선 역사의 해발고도차가 큰 것은 아니다.[4] 이후 2023년 서해선 김포공항역 개통 후 2위로 밀려났다.[5] 동남권 광역전철에서 역 간 거리가 세 번째로 긴 구간(3.3km)이다. 첫 번째는 동해선 오시리아역 ↔ 기장역 구간인 5.7km. 두 번째는 2호선 호포역↔증산역 구간(3.5km)[6] 2004년 당시에는 마산·진주MBC(현 MBC경남)에서만 본사 프로그램인 별이 빛나는 밤에를 릴레이했기에 이곳 주민들은 해당 방송의 청취가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7] 이 때 화명동, 금곡동은 강서구 전체 지역과 함께 을(乙) 선거구에 속해 있었다.[A] [9] 반송동, 반여동, 용호동도 그때 같이 정책이주지로 조성되었다.[10] 만덕5지구[11] 박민식은 구포 태생으로 구포초-구포중 출신의 구포 토박이인 반면 전재수는 만덕초-덕천중 출신으로 만덕에서는 전재수의 지지세가 강할 수 밖에 없었다.[A] [13] 북구8, 북구9[A] [15] 구만덕을 양방향으로 경유 하는 버스 이다. 만덕1로를 경유해서 간다.[16] 신만덕으로 거쳐가지 않고 만덕대로(만덕성당)로 간다. 김해8번과 더불어 만덕대로를 전 구간 주파하는 단 둘뿐인 노선 중 하나.[17] 부산에서 만덕터널을 지나가는 유일무이한 김해시 시내버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