杏 살구 행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木, 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7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アン, キョウ | ||||||
일본어 훈독 | あんず | ||||||
- | |||||||
표준 중국어 | xì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杏은 '살구 행'이라는 한자로, '살구', '살구나무'를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674F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木口(DR)로 입력한다.훈을 나타내는 木(나무 목)과 음을 나타내는 向(향할 향)의 생략형인 口(입 구)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현대중국어에서 살구라는 뜻으로 쓰이지만 HSK에는 출제되지 않는 한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한국과 일본에서는 주로 여자의 이름에 쓰인다.- 김행(金杏)
- 렌고쿠 쿄쥬로(煉獄 杏寿郎)
- 무라카와 비비안(村川 緋杏)
- 마나베 안쥬(眞鍋 杏樹)
- 사쿠라 쿄코(佐倉 杏子)
- 시라이시 안(白石 杏)
- 안리(杏里)
- 야마다 안나(山田 杏奈)
- 야마다 쿄카(山田 杏華)
- 야마모토 안나(山本 杏奈)
- 와타나베 안(渡辺 杏)
- 이세미 아로(伊勢三 杏路)
- 이와다테 유안(岩館 揺杏)
- 쿄야마 카즈사(杏山 カズサ)
- 키나시 안즈(木梨 杏子)
- 타카마키 안(高巻 杏)
- 호행아(胡杏兒)
3.4. 지명
전국에서 총 50개의 동과 리가 이 한자를 사용중인 것으로 확인된다.-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연곡면 행정리(杏亭里)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행구동(杏邱洞)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남산면 행촌리(杏村里)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평창읍 향동리(杏洞里)[A]
-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공근면 행정리(杏停里)
- 경기도 가평군 상면 행현리(杏峴里)
- 경기도 동두천시 지행동(紙杏洞)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銀杏洞)
- 경기도 시흥시 은행동(銀杏洞)
- 경기도 양평군 단월면 향소리(杏蘇里)[A]
-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행정리(杏亭里)
- 경상남도 의령군 대의면 행정리(杏亭里)
- 경상남도 합천군 봉산면 행정리(杏亭里)
-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노행리(老杏里)
- 경상북도 영양군 청기면 행화리(杏花里)
-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행곡리(杏谷里)
-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행정리(杏亭里)
- 광주광역시 남구 행암동(杏巖洞)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행정리(杏亭里)
- 대전광역시 중구 은행동(銀杏洞)
-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동(杏堂洞)
- 서울특별시 종로구 행촌동(杏村洞)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행산리(杏山里)
-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선행리(仙杏里)
- 전라남도 고흥군 고흥읍 행정리(杏丁里)
- 전라남도 나주시 왕곡면 행전리(杏田里)
-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행성리(杏成里)
-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행정리(杏亭里)
-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 행정리(杏亭里)
- 전라남도 장성군 남면 행정리(杏亭里)
-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행암리(杏園里)
-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행산리(杏山里)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운봉읍 행정리(杏亭里)
- 제주특별자치도 구좌읍 행원리(杏源里)
-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행정리(杏亭里)
- 충청남도 당진시 행정동(杏亭洞)
- 충청남도 아산시 행목동(杏木里)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행정리(杏亭里)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 행암리(杏巖里)
-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杏山里)
-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 행정리(杏亭里)
-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행정리(杏亭里)
-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행촌리(杏村里)
- 충청북도 옥천군 군서면 은행리(銀杏里)
- 충청남도 음성군 감곡면 오향리(梧杏里)[A]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행제리(杏堤里)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행정리(杏井里)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행정리(杏亭里)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일면 은행리(銀杏里)
- 충청북도 충주시 목행동(牧杏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