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13:46:24

HELLDIVERS 2/무기/주 무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HELLDIVERS 2/무기


||<-2><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e900><bgcolor=#ffe900,#111><height=95> 파일:Helldivers_2_black.svg파일:Helldivers_2.svg||<-2><bgcolor=#ffe900,#111><color=#000,#e0e0e0>HELLDIVERS™ 2
관련 문서 | 설정 | 평가 ||
<colbgcolor=#111><colcolor=#e0e0e0,#ffe900> 시스템 <color#212529,#ddd>은하계 전쟁 (시나리오 · 임무 목록) | 행성 | 자원 | 함선 모듈 | DSS | 스토어 | 옵션 | 피해 계산
장비 <color#212529,#ddd>무기 (주 무기 · 보조 · 투척) | 방어구 | 스트라타젬 (공격 · 방어 · 보급 · 임무) | 부스터 | 치장
<nopad> <nopad> <nopad>
<nopad> 틀: 시리즈 · HELLDIVERS 2 · 임무 · 장비 · 테르미니드 · 오토마톤 · 일루미닛



||<-5><tablealign=center><tablewidth=450px><tablebordercolor=#000,#ffe900><rowbgcolor=#ffe900,#111> 파일:HD2 날개 좌 검정.svg파일:HD2 날개 좌 노랑.svg 장비 파일:HD2 날개 우 검정.svg파일:HD2 날개 우 노랑.svg ||
<colbgcolor=#111><colcolor=#e0e0e0,#ffe900> 무기 주 무기 1 · 보조 2 · 지원 무기 3 · 투척 무기 4 | 배낭 5
방어구 경량 방어구 · 일반 방어구 · 중량 방어구
스트라타젬 <nopad> <nopad> <nopad> <nopad>
부스터 치장

1. 태그2. 돌격소총
2.1. AR-23 리버레이터2.2. AR-23P 리버레이터 페네트레이터2.3. AR-23C 리버레이터 컨커시브2.4. AR-23A 리버레이터 카빈2.5. AR-61 텐더라이저2.6. BR-14 어드주디케이터2.7. StA-52 돌격소총
3. 지정사수소총
3.1. R-2124 콘스티튜션3.2. R-63 딜리전스3.3. R-63CS 딜리전스 카운터 저격소총
4. 저격 소총
4.1. PLAS-39 가속 소총
5. 기관단총
5.1. MP-98 나이트5.2. StA-11 기관단총5.3. SMG-32 레프리맨드5.4. SMG-37 디펜더5.5. SMG-72 퍼멜러
6. 산탄총
6.1. SG-8 퍼니셔6.2. SG-8S 슬러거6.3. SG-20 홀트6.4. SG-451 쿡아웃6.5. SG-225 브레이커6.6. SG-225SP 브레이커 스프레이 앤 프레이6.7. SG-225IE 브레이커 인센디어리
7. 폭발성
7.1. CB-9 익스플로딩 크로스보우7.2. R-36 이럽터
8. 에너지계
8.1. SG-8P 퍼니셔 플라즈마8.2. ARC-12 블리처8.3. LAS-5 사이스8.4. LAS-16 시클8.5. PLAS-1 스코처8.6. PLAS-101 퓨리파이어
9. 특수
9.1. FLAM-66 토처9.2. JAR-5 도미네이터

1. 태그

공격: [DMG][DPS][RPM][Ergo]
관통: [AP][AP0][AP1][AP2][AP3][AP4][AP5][AP6][AP7][AP8][AP9][AP10]
장갑: [AV][AV0][AV1][AV2][AV3][AV4][AV5][AV6][AV7][AV8][AV9]
체력: [Main][DR][ExDR][%][DE][BaDR][치명][출혈][다운][체질]
피격 반응: [ST][INT][PF]
상태 효과: [Min][Max][화염][네이팜][가스][기절][산성][출혈⒣]

2. 돌격소총

여타 게임에서 그렇듯 다재다능한 성능을 발휘하는 무기군. 그러나 동시에 모든 상황에 대응하기에는 애매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근접전에서의 순간 대응은 샷건류에 밀리고 중장거리 정밀 교전은 지정사수소총에 밀리며 유틸성은 폭발무기와 에너지류에 밀린다. 사수의 실력에 따라 탄 효율이 크게 갈리며 약간 아쉬운 화력을 3번 무기나 스트라타젬의 활용, 적절한 점사와 신중한 사격을 통해 매워주는 것이 권장된다.

탄창의 마지막 탄약 3발은 탄창이 비기 직전임을 사수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붉은 색 예광탄으로 삽탄되어있다.[49] 인터페이스를 끄는 플레이를 하거나 다른 아군과 같이 싸울 때 엄호해야 할 타이밍을 볼 때 어느정도 도움이 된다.

2.1. AR-23 리버레이터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AR-23 리버레이터.png
||
<nopad>돌격소총
AR-23 리버레이터 AR-23 Liberator
SEAF 표준 돌격소총으로, 균형잡힌 위력, 연사율, 무게로 작은 표적을 상대하기 좋습니다.
The SEAF standard assault rifle, balancing power, fire rate, and weight for a reliable weapon against smaller targets.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70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45
||
반동
14
연사율
640
속성 경장갑 관통[AP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발당 피해량[DMG] 70 일반 · 15 내구
장탄 수 45발(+약실 1발)
소지 탄창 [ruby(6,ruby=최초,color=#999)] / 8개
탄약 상자 보충 탄창 4개
재장전 시간 3초 · 2초(전술)
발사 속도 640 RPM
조정간 자동 | 반자동 | 점사
조준경 25m | 50m | 100m
인체 공학성[Ergo] 65%(기본) 54%(실제)[53]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7/10,ruby=수평 / 수직)] ㏕ [ruby(5/20,ruby=수평 / 수직)] ㏕ 4 ㏕
비고 전술 조명 · 레이저포인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5.5x50mm 전피갑탄(5.5x50mm Full Metal Jacket)"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70 15 2 25-°/ 2 60-°/ 2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15 10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5.5mm 4.5g 3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90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4% 7.2% 13.3% 25%
}}}}}}}}} ||

기본으로 제공되는 5.5x50mm 불펍 돌격소총. 디자인은 TAR-21HS VHS를 닮았다. 슈퍼지구 군대(SEAF)제식 소총으로, 전작AR-19 리버레이터를 계승하는 무기다. 부족함 없는 단발 위력, 넉넉한 장탄 수, 빠른 전술재장전 속도, 적당한 연사력, 낮은 반동과 최대 100m의 조준경 등, 경장갑관통[AP2]의 연사 가능한 주무기 중 가장 균형잡힌 성능이라, 근중거리에서 총알받이나, 기간병을 제거할 때 지속적으로 화력을 투사하기 좋다. 다만 분대장이나, 방어특화의 기간병 이상부터는 힘이 빠지거나 공격이 통하지 않으므로 적절한 다른 장비를 챙겨야할 필요가 있다.[55]

무난히 사용할 수 있지만 처음에 제공되는 주무기라 차후에 해금되는 다른 고화력 혹은 고연사 무기와 비교하면 손색이 있다. 따로 특별하게 탄창을 많이 소지할 수 있지도 않아서 끊어쏘고 앉아쏴서 반동제어와 정확성을 극대화하여 완벽하게 다루더라도 고난이도로 올라갈수록 늘어나는 적의 물량 때문에 지속적인 화력을 투사하는데도 한계가 있고, 일일이 전술 재장전을 해도 탄약도 모자라고 적의 물량에 압도되는 것을 늦출 뿐이다.

다만 이는 사실 고난이도인 만큼 압도되라고 물량이 쏟아져 나오는 것이긴 하다, 애초에 일정 난이도 이상 되면 전면전을 하기 보다는 목표만 완료하고 빠른 기동력으로 도주하는 전술이 더 추천되기 때문에 일정 고난이도에서 리버레이터의 효율성에 대해 따지는건 100% 공정한 평가라고 하기에는 어렵다.

리버레이터를 대체할만한 특화된 경장갑관통[AP2]의 연사형 무기는 많은 바리에이션이 준비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같은 탄종을 사용하여 탄종에 변화가 생기면 같이 패치를 받으며 고연사인 리버레이터 카빈스털워트 경기관총이 대표적이며, 사실상 무한 탄창인 시클, 저지 및 유지력 최강인 컨커시브, 고화력 고연사 저반동 텐더라이저, 연사력 최강의 기관단총 나이트, 기절탄 기관단총 퍼멜러가 있다.

헬다이버2 인트로 컷신에서도 제식 병기인 만큼 헬다이버들이 리버레이터를 사용하긴 하는데, 잘 보면 인트로 외주 업체의 실수로 탄창 결합이 안되어 있다.

제식 병기이기에 SEAF들도 사용한다. 유출된 SEAF 분대 호출 젬에서 기관총 사수 1명과 4명의 소총수들이 리버레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름은 해방자(Liberator)라는 뜻.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01.000.300
2024-04-29
변경
  • 대미지가 55에서 60으로 증가.
01.000.400
2024-06-13
변경
  • 내구력 높은 신체 부위에 대한 대미지를 10%에서 23%로 상향.
    • 내구력 대미지를 6에서 14로 상향.
01.001.100
2024-09-17
변경
  • 대미지가 60에서 70으로 증가.
  • 내구력 대미지가 14에서 17로 증가.
    • 실제로는 14에서 15로 증가.
  • 비틀거림 유발[ST] 능력이 10에서 15로 증가.
  • 최대 탄창 소지 수가 7개에서 8개로 증가.
  • 전투 시작 시 탄창 소지 수가 5개에서 6개로 증가.
01.001.104
2024-10-15
변경
  • 수평 반동이 30% 감소.
    • 1인칭 수평 반동이 10에서 7로 감소.
    • 무기고의 표기 반동 수치도 15에서 14로 감소.

2.2. AR-23P 리버레이터 페네트레이터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AR-23P 리버레이터 페네트레이터2.png
||
<nopad>돌격소총
AR-23P 리버레이터 페네트레이터 AR-23P Liberator Penetrator
사용자가 장갑을 지닌 표적을 제압할 수 있도록, 조준경과 철갑탄을 사용할 수 있는 개조형 리버레이터입니다.
A modified Liberator fitted with a scope and firing armor-piercing rounds, to help users take down armored targets.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40


||<tablewidth=100%><tablebgcolor=#333,#ffe900><height=2><nopad>||<nopad>||<nopad>||<nopad>||
"헬다이버 출동!" 전쟁 채권 6/10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60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45
||
반동
18
연사율
640
속성 일반 장갑 관통[AP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발당 피해량[DMG] 60 일반 · 15 내구
장탄 수 45발(+약실 1발)
소지 탄창 [ruby(5,ruby=최초,color=#999)] / 7개
탄약 상자 보충 탄창 3개
재장전 시간 3초 · 2초(전술)
발사 속도 640 RPM
조정간 자동 | 반자동 | 점사
조준경 25m | 75m | 150m
인체 공학성[Ergo] 59%(기본) 40%(실제)[61]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10/15,ruby=수평 / 수직)] ㏕ [ruby(9/17,ruby=수평 / 수직)] ㏕ 1 ㏕
비고 전술 조명 · 레이저포인터 · 총구보정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5.5x50mm 철갑탄(5.5x50mm Penetrator)"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60 15 3 25-°/ 3 60-°/ 3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10 10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5.5mm 4.5g 3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100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4.2% 6.9% 13.2% 25%
}}}}}}}}} ||

5.5x50mm 철갑탄을 발사하는 장총열 리버레이터. 비틀거림 유발능력과 피해량이 줄어들었지만, 최대 150m의 중배열 조준경이 달려 있어서 근거리부터 좀더 넓은 원거리까지도 대응할 수 있고 일반장갑 관통[AP3]의 주무기들이 적의 약점을 노릴 필요가 없다는 점 덕분에 리버레이터와 같이 균형잡힌 성능의 주무기로 평가된다.[63]

일반장갑 관통[AP3]의 주무기 중 연사형 무기는 어드주디케이터, 레프리맨드가 있는데 높은 반동제어력이나 탄약관리 능력을 요구한다. 잘 다루지 못한다면 연사형 무기중에는 상대적으로 쉬운 반동제어력과 넉넉한 탄약량으로 페네트레이터가 제일 안정적이고 쉽다.

페네트레이터를 채용했다면 일반 장갑 관통[AP3] 역량과 약간 낮은 피해량에 따라 총알받이나 기간병들을 상대하기보다는 일반장갑[AV2]~중장갑[AV3]인 분대장급이나 방어형태의 기간병을 상대하는것을 고려했을때 적합하다. 테르미니드에는 하이브 가드, 바일 스퓨어 너싱 스퓨어, 브루드 커맨더, 알파 커맨더 등이 있다. 오토마톤에는 데버스테이터 종류와 스카우트 스트라이더 종류가 있다.

여담으로 배낭 스트라타젬인 AX/AR-23 '가드 독' 드론에 달린 소총은 똑같은 5.5x50mm 철갑탄 탄환을 사용한다.

이름 뒤의 수식어는 침투자, 관통자(Penetrator)라는 뜻.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01.000.200
2024-04-02
변경
  • 완전 자동 사격 모드 사용 가능.
    • 자동 모드 추가.
01.000.400
2024-06-13
변경
  • 1인칭 조준점을 업데이트하여 가시성을 개선.[68]
01.001.100
2024-09-17
변경
  • 대미지가 45에서 60으로 증가.

미표기
  • 비틀거림 유발[ST] 능력이 15에서 10으로 감소.
01.001.104
2024-10-15
변경
  • 수평 반동이 30% 감소.
    • 1인칭 수평 반동이 15에서 10으로 감소.
    • 무기고의 표기 반동 수치도 19에서 18로 감소.
  • 탄창 용량이 30발에서 45발로 증가.
    • 탄창 모델링 변경.[70]
  • 최대 탄창 소지 수가 10개에서 7개로 감소.

2.3. AR-23C 리버레이터 컨커시브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AR-23C 리버레이터 컨커시브2.png
||
<nopad>돌격소총
AR-23C 리버레이터 컨커시브 AR-23C Liberator Concussive
대미지는 낮지만 적을 비틀거리게 하는 충격탄을 발사하는 개조형 리버레이터입니다.
A modified Liberator featuring concussive rounds which do less damage but stagger enemies.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20


||<tablewidth=100%><tablebgcolor=#2b2b2b,#111><height=2><nopad>||<nopad>||<nopad>||<nopad>||
'''[[HELLDIVERS 2/스토어#결연한 베테랑|
"결연한 베테랑"
]] 프리미엄 전쟁 채권 1/3'''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65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60
||
반동
28
연사율
320
속성 경장갑 관통[AP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발당 피해량[DMG] 65 일반 · 30 내구
장탄 수 60발(+약실 1발)
소지 탄창 [ruby(4,ruby=최초,color=#999)] / 6개
탄약 상자 보충 탄창 3개
재장전 시간 3초 · 2초(전술)
발사 속도 320 RPM
조정간 자동 | 반자동
인체 공학성[Ergo] 65%(기본) 45%(실제)[74]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25/25,ruby=수평 / 수직)] ㏕ [ruby(9/30,ruby=수평 / 수직)] ㏕ 24 ㏕
비고 전술 조명 · 레이저포인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5.5x50mm 폭발탄(5.5x50mm Explosive)"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65 30 2 25-°/ 2 60-°/ 2 80-°/ 2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35 60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5.5mm 4.5g 3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80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4.4% 7.4% 13.9% 25%
}}}}}}}}} ||

충격탄과 드럼 탄창을 장착한 저연사 리버레이터.[75]

충격탄은 일반 리버레이터의 탄환보다 적을 경직시키는 힘이 2배, 적을 밀어내는 힘이 6배에 달하는 강력한 저지력을 가진 탄환으로[76], 소형 적은 크게 밀어내고 대형종은 경직을 먹여서 제압하는 효과를 가진다.

한번 경직을 먹으면 회복될 때까지는 그 자리에 정지된다는 효과와 경직 효과가 중첩되지는 않지만 지속 시간을 리셋시킨다는 점 덕분에 다수의 적이 몰려오면 적의 사살을 보조할 수단을 꺼낸 다음[77], 한 표적에 집중 사격을 하기보다는 다수의 적들에게 한발씩 맞춘다는 생각으로 사격하면서 다수의 적들을 제어한다는 느낌으로 운용이 필요하며, 드럼 탄창이라 지속 화력 만큼은 좋아서 버그의 파운서, 헌터 테이블에서 활약하기 편하고, 그외엔 구역이나 코너 하나를 통째로 제압한다는 느낌으로 사용하게 된다. EMS 박격포 센트리만이 가능한 기예를 자리 잡고 1번 무기로 하게 되는 셈인데, 무언가를 엄호하거나 화력으로 바로 머리를 따도 발악 기믹이 있는 알파 커맨더 등을 제압해 묶어두기 좋다.

단점으로 원본 리버레이터와 5 낮은 피해량에 연사력이 절반이라 DPS가 매우 떨어진다. 그나마 내구 피해량이 피해량의 절반에 달하는 30이기 때문에, 경장갑이지만 내구성이 높은 브루드 커맨더 같은 적을 잡는데는 낫긴 하지만, 이들을 대상으로도 여전히 대미지 측면에서 다른 리버레이터류보다 떨어진다. 반동도 수평으로 심해 점사가 단발에 비해 불리하며, 배율 조준경이 달려있지 않아 지정사수 같은 역할은 수행할 수 없어 자주 움직여야 하는데, 기동중엔 순간 화력이 부족해 적을 떨쳐내며 도망칠 순 있어도 제거하거나 증원을 막기 어렵다.

적을 뒤로 밀어내는 성능인 넉백 파워가 모든 무기를 통틀어서 가장 높기 때문에 실제로 전투에서 사용해보면 적이 죽지는 않고 자꾸 뒤로 밀려만 나는 광경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기믹 덕분에 버서커스토커의 기습을 막아내어 생존하는 경우도 있지만 적이 자꾸 밀려나기 때문에 오히려 조준이 방해된다는 평가도 있다. 똑같이 충격탄을 쓴다는 설정인 퍼멜러가 아예 기절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과는 상당히 다르다.

그저 그런 단발 위력과 형편없는 연사력으로 인한 근본적인 화력의 한계[78]가 발목을 잡는데, 비슷한 경직 및 제압 역량을 지녔지만 화력이 배로 뛰어난 다른 선택지가 많아 활약이 어렵다. 애당초 난이도가 조금만 높아져도 중형 몹들도 총알받이 수준으로 쏟아지고 애당초 총알받이류 적들은 1~2발이면 사살이 가능한 밸런싱이다. 거기에 적을 빠르게 지우지 못하면 지속적으로 증원을 부르며 난이도에 따라 컨커시브로는 제압이 불가능한 중장갑 몹이 나오기때문에 호미로 막을거 가래로 막아야하는 사태가 난다.

경직 및 제압 역량이 우수한 무기 중 화력도 갖춘 선택지로 퍼멜러, 퍼니셔, 퍼니셔 플라즈마, 도미네이터, 이럽터, 쿡아웃 등이 있다. 아예 무한 탄창과 훨씬 더 강력한 제압력을 지원하는 블리처까지 존재한다.

원래 페네트레이터와 똑같이 30발 탄창이라 원본보다 짧은 탄창을 사용했는데,[79] 이후 60발로 변경되면서 드럼탄창을 사용하게 되었다.[80] 다수의 적이 몰려오는 상황에 충격을 계속해서 주며 전선을 유지하라는 의도로 보이나 무기 자체의 낮은 연사력과 데미지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버프 이후에도 여전히 사용률은 바닥을 찍는다.

이름 뒤의 수식어는 뇌진탕성의, 충격을 주는(Concussive)이라는 뜻.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01.000.100
2024-03-06
미표기
  • 이름이 변경됨
    • 전 : AR-23E 리버레이터 _익스플로시브_
    • 후 : AR-23E 리버레이터 _컨커시브_
  • 무기고의 설명문이 변경됨.
    • 전 : _폭발탄과 레드닷 조준경을 장착한_ 개조형 리버레이터 입니다. _대미지가 높은 대신 반동이 증가했습니다._
    • 후 : _대미지는 낮지만 적을 비틀거리게 하는 충격탄을 발사하는_ 개조형 리버레이터입니다.
  • 당시에는 영문만 변경었으며 한국어로는 2024/03/20 (01.000.103) 패치이후 변경되었다.
01.000.300
2024-04-29
변경
  • 대미지가 55에서 65로 증가.
01.000.400
2024-06-13
변경
  • 내구력 높은 신체 부위에 대한 대미지를 23%에서 35%로 상향.
    • 내구력 대미지가 15에서 23으로 증가.
  • 1인칭 조준점을 업데이트하여 가시성을 개선.[81]
01.001.100
2024-09-17
변경
  • 이제 30발 대신 60발을 장전할 수 있는 드럼 탄창을 사용
    • 탄창 모델링 변경.[82]
  • 탄창 개수가 10에서 6으로 감소.
    • 탄창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 가능한 탄창 수가 감소.

미표기
  • 내구력 피해가 23에서 30으로 증가.
  • 밀치기 위력[PF]이 100에서 60으로 감소.
  • 총기 전면부가 회색에서 빨간색으로 변경됨.[84]

2.4. AR-23A 리버레이터 카빈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AR-23A 리버레이터 카빈2.png
||
<nopad>돌격소총
AR-23A 리버레이터 카빈 AR-23A Liberator Carbine
근접전에서 생존율을 개선하기 위해 설계된 소형 리버레이터입니다. 연사율이 높아진 대신 집탄율이 떨어집니다.
A compact version of the Liberator designed for increased viability in close quarters. Has an increased fire rate at the cost of higher spread.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20


||<tablewidth=100%><tablebgcolor=#333,#000><height=2><nopad>||
'''[[HELLDIVERS 2/스토어#독사 특공대|
"독사 특공대"
]] 프리미엄 전쟁 채권 1/3'''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70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45
||
반동
26
연사율
920
속성 경장갑 관통[AP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발당 피해량[DMG] 70 일반 · 15 내구
장탄 수 45발(+약실 1발)
소지 탄창 [ruby(6,ruby=최초,color=#999)] / 8개
탄약 상자 보충 탄창 4개
재장전 시간 2.5초 · 1.6초(전술)
발사 속도 920 RPM
조정간 자동 | 반자동 | 점사
인체 공학성[Ergo] 70%(기본) 64%(실제)[88]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14/20,ruby=수평 / 수직)] ㏕ [ruby(6/32,ruby=수평 / 수직)] ㏕ 10 ㏕
비고 전술 조명 · 레이저포인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5.5x50mm 전피갑탄(5.5x50mm Full Metal Jacket)"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70 15 2 25-°/ 2 60-°/ 2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15 10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5.5mm 4.5g 3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90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4% 7.2% 13.3% 25%
}}}}}}}}} ||

열대우림 특수전을 위해 개조된 카빈 형태의 리버레이터. 단축된 총열 때문에 연사력이 비약적으로 증가했다.[89]

제작진의 사랑이 듬뿍 담긴 디테일이 돋보이는 총기다. 열대우림 특수전 테마에 맞춰 총몸에 밀림 위장색이 입혀져 있고, 총몸 옆에 다용도 잡낭이 달렸다. 손잡이에는 고무줄이 감겨 있으며 너클 보호대가 제거되었다. 또한 일반 소총류보다 재장전이 빠른 것을 외적으로 반영해 탄창에 손잡이가 추가 되었다. 단축된 총열 때문인지 총구 화염이 크게 증가했는데, 이는 모티브가 된 총기인 XM177에서도 보이는 현상이다.

안정성과 장거리 대응 역량을 조금 희생했지만 대단히 아쉬운 정도는 아니고, 여전히 균형감 있는 성능에 더해 모자람 없는 위력 70짜리 소총탄을 초당 15발 쏟아붓는 막강한 순간화력, 0.5초 빠른 재장전 속도, 최고의 조준 반응 속도를 자랑한다.[90]

연사력과 다소 튀는 반동 탓에 중~원거리에서 사격할때 순간화력을 살린답시고 전자동으로 뿌리다간 허공과 장갑판, 이미 죽은 시체에 총알 다 날리기 십상이기 때문에 침착하게 조준하고 적극적으로 앉아쏴 및 점사해야 진가가 드러난다. 단발 속사로 쏜다고 생각하고 잠깐씩만 당겨도 우수한 연사력 덕에 적절히 2-4점사가 되며, 앉아쏴하면 반동이 눈에 띄게 줄어서 연사해도 대부분 탄을 적중시킬 수 있다. 요령이 생기면 경장갑 총알받이들을 일대다로 신속하게 갈아마시는 데는 이만한 주무장이 없다. 우수한 연사력 덕분에 데버스테이터도 머리를 노려 두 발 안에 처리해 지원 무기의 총알을 아낄 수 있다.

연사력 탓에 총알이 턱없이 모자라는 느낌이 들 수 있는데, 적당히 지원무기와 스트라타젬을 섞어서 대응해야 한다. 탄약 낭비를 최대한 줄이고 근거리 연사, 중거리 점사로 명중탄을 내며 세심하게 사격해야 수월하게 플레이할 수 있다.

외형에서 볼 수 있듯이 기관단총처럼 운용하는 게 좋은 무기다.[91] 그래서 나이트 기관단총의 고연사 컨셉이 마음에 들지만 특유의 불안정성 때문에 현실적으로 못 써먹겠다 싶은 이에게 제격이다. 단, 화끈하게 연사하면 몇 놈 못 잡고 탄약 동나는 건 똑같다. 그런 게 목적이라면 돌격소총이나 기관단총이 아니라 지원화기 기관총으로 눈을 돌려야 한다.

여담으로, 리버레이터와 닮은 것과 별개로 모델을 따로 만들어서 여기저기 비율과 버튼 위치가 다르고 부품 호환이 전혀 안 되어 보인다.
전작의 AR-22C 패트리어트를 그대로 계승하여 대단한 순간화력이 매력적이지만, 연사력이 평범하게 빠른 정도로 설정되고 장탄 수와 휴행탄수가 퍽 줄어서 그 위상이 선조에는 못 미친다.[92]

이름 뒤의 수식어는 총기류의 분류 중 하나인 카빈(Carbine).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프리미엄 전쟁 채권
독사 특공대
2024-06-13
추가
  • 게임에 추가.
01.001.100
2024-09-17
변경
  • 대미지가 60에서 70으로 증가.
  • 내구력 대미지가 14에서 17로 증가.
    • 실제로는 14에서 15로 증가.
  • 비틀거림 유발[ST] 능력이 10에서 15로 증가.
  • 최대 탄창 소지 수가 7개에서 8개로 증가.
  • 전투 시작 시 탄창 소지 수가 5개에서 6개로 증가.
01.001.104
2024-10-15
변경
  • 수평 반동이 30% 감소.
    • 1인칭 수평 반동이 20에서 14로 감소.
    • 무기고의 표기 반동 수치는 변하지 않음.
  • 인체공학형[Ergo] 수치가 65에서 70으로 증가.
  • 재장전 시간이 3초에서 2.5초로 감소.미적용
01.001.201
2024-10-29
수정
  • 재장전 시간이 3초에서 2.5초로 0.5초 빠르게 수정.
  • 탄창 개수 표기가 올바르게 수정.

미표기
  • 탄창 모델링 변경.[95]

2.5. AR-61 텐더라이저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AR-61 텐더라이저.png
||
<nopad>돌격소총
AR-61 텐더라이저 AR-61 Tenderizer
탄창 크기는 제한적이지만 저지력이 강한 대구경 돌격 소총입니다.
A high-caliber assault rifle with a restrictive magazine size but more stopping power.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20


||<tablewidth=100%><tablebgcolor=#fff><height=2><nopad>||
"극지의 애국자" 프리미엄 전쟁 채권 1/3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95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35
||
반동
10
연사율
600
속성 경장갑 관통[AP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발당 피해량[DMG] 95 일반 · 22 내구
장탄 수 35발(+약실 1발)
소지 탄창 [ruby(5,ruby=최초,color=#999)] / 7개
탄약 상자 보충 탄창 3개
재장전 시간 3.3초 · 2.2초(전술)
발사 속도 600 RPM | 850 RPM
조정간 자동 | 반자동 | 점사
조준경 25m | 50m | 100m
인체 공학성[Ergo] 65%(기본) 54%(실제)[99]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7/7,ruby=수평 / 수직)] ㏕ [ruby(5/13,ruby=수평 / 수직)] ㏕ 4 ㏕
비고 전술 조명 · 레이저포인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Rifle Rico"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95 22 2 25-°/ 2 60-°/ 2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15 10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8mm 11g 3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82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3.3% 6.1% 11.4% 25%
}}}}}}}}} ||

대단한 단발 위력과 극한의 저반동이 장점인 대구경 8mm 돌격소총.[100] 어드주디케이터가 일반 장갑 관통[AP3]과 더 넉넉한 탄창량, 높은 반동을 가지는 대에 비해 낮은 관통력, 높은 단발 대미지와 낮은 반동으로 돌격소총 상위권을 양분하고 있다.

피해량이 95나 되기 때문에 전투소총인 어드주디케이터보다도 강한데, 그럼에도 반동이 매우 낮고 조작성이 뛰어나 전자동으로 연사해도 명중탄이 잘 나와 실질 화력이 최상급이다. 일반 장갑 관통[AP3]은 불가능해 장갑을 두른 중형은 약점을 때려야 잡을 수 있지만, 반동이 약하다는 장점 덕에 노리기 쉽다.

막강한 단발 위력과 더불어 저반동 덕에 새는 탄이 잘 없어 대미지 효율은 잘 나오는 편이지만 본격적으로 물량을 상대하기에는 어드주디케이터와 마찬가지로 부족한 장탄 수와 탄창 갯수가 발목을 잡는다. 높은 체력과 거대부위로 무장한 적들이 쏟아져나오는 고단계 테르미니드전에서 특히 부각되는 단점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포위 준비 완료 패시브가 붙은 방어구나 보급 팩 배낭과의 조합이 자주 사용된다.

특이하게도 주무기 중에서는 유일하게 연사력을 600RPM에서 850RPM으로 올리는 기능이 있다. 높은 단발 피해량 덕에 중형 몹을 순식간에 갈아버리는 화끈함을 자랑하지만, 그만큼 탄창이 동나는 속도는 더 빨라지니 유의할 것.

영화 스타쉽 트루퍼스의 간판 소총인 모리타 카빈이 떠오르는 외형이다.[103]

출시 당시 반동이 매우 작았다는 장점은 있었지만, 탄창이 작은데 대구경 소총이라는 설명과 다르게 리버레이터보다 단발 피해가 낮은 완벽한 하위 호환으로 나오며 무기의 설명과 정 반대되는 성능 때문에 외면 받았었다. 이후 어드주디케이터와 함께 상향을 받으며 지금의 성능이 되었다. 또 색상이 트레일러에서와 다르게 비취-황토색으로 이루어져 있어서[104] 장난감 같다며 욕을 먹었지만 이는 개발진 실수였고, 패치로 트레일러와 일치하도록 검정-회색 조합으로 도색됐다.

이름은 연육기, 연육제(Tenderizer) 라는 뜻. 맥락상으로는 전자가 더 어울린다.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프리미엄 전쟁 채권
극지의 애국자
2024-05-09
추가
  • 게임에 추가.
01.000.304
2024-05-14
수정
  • AR-61 텐더라이저의 색상을 수정.
01.000.400
2024-06-13
변경
  • 대미지를 60에서 95으로 상향
  • 내구력 높은 신체 부위에 대한 발사체 대미지를 10%에서 17%로 상향.
    • 실제로는 23%로 상향. 내구력 대미지가 6에서 18로 증가.
  • 장탄수가 35발에서 30발로 감소.
  • 최대 소지 탄창 수가 10에서 8로 감소.
  • 비틀거림 유발[ST] 능력이 10에서 15로 증가.

미표기
  • 재보급 상자에서 탄창 5개 대신 모든 탄창을 보충.
  • 탄약상자에서 탄창 2개 대신 3개를 보충.
01.001.002
2024-08-06
수정
  • AR-61 텐더라이저를 발사할 때 누락된 진동 기능을 추가.패드
01.001.100
2024-09-17
변경
  • 탄창의 탄약 수가 30발에서 35발로 증가.
  • 전투 시작 시 탄창 소지 수가 4개에서 5개로 증가.

미표기
  • 텐더라이저의 색상이 변경됨.[106]
01.001.104
2024-10-15
변경
  • 새로운 무기 기능: 600/850 RPM

2.6. BR-14 어드주디케이터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BR-14 어드주디케이터.png
||
<nopad>돌격소총
BR-14 어드주디케이터 BR-14 Adjudicator
높은 정확도로 장갑을 관통하는 소총 BR-14 어드주디케이터는 중형 적에게 정의로운 심판을 내릴 수 있지만, 제한적인 장탄수 때문에 큰 무리의 적을 상대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An accurate, armor-penetrating rifle, the BR-14 Adjudicator delivers righteous judgement to medium-sized enemies, though its restrictive magazine limits its effectiveness against large groups.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20


||<tablewidth=100%><tablebgcolor=#111,#000><height=2><nopad>||<nopad>||<nopad>||<nopad>||
"민주적 폭파" 프리미엄 전쟁 채권 1/3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90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30
||
반동
38
연사율
550
속성 일반 장갑 관통[AP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발당 피해량[DMG] 90 일반 · 23 내구
장탄 수 30발(+약실 1발)
소지 탄창 [ruby(6,ruby=최초,color=#999)] / 8개
탄약 상자 보충 탄창 4개
재장전 시간 3초 · 1.8초(전술)
발사 속도 550 RPM
조정간 자동 | 반자동
조준경 25m | 50m | 100m
인체 공학성[Ergo] 40%(기본) 34%(실제)[110]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17/35,ruby=수평 / 수직)] ㏕ [ruby(6/50,ruby=수평 / 수직)] ㏕ 1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Battle Rifle"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90 23 3 25-°/ 3 60-°/ 3 80-°/ 1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15 12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8mm 11g 3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82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3.3% 6.1% 11.4% 25%
}}}}}}}}} ||

돌격소총과 지정사수소총의 절충적 입지를 지닌 대구경 8mm 전자동 전투소총.[111]

단발 위력은 텐더라이저보다 약간 낮다. 전자동 사격이 가능하고 장탄 수도 30발로 넉넉한 편이지만, 반동이 세서 근거리가 아니라면 2-3점사하거나 단발 속사하는 게 정석이다. 연사가 느려터져서 재량껏 속사-점사하기 좋으므로 굳이 조정간을 반자동에 둘 것까진 없다. 거리를 유지하고 침착하게 앉아쏴로 명중탄을 내면 좋다.

버그의 소형 잡졸은 한 방에 잡지만, 단발 위력이 애매하게 모자라서 오토마톤 트루퍼들은 한 방에 못 잡는다. 그러나 데버스테이터를 머리 2발로 처치할 수 있고, 일반 장갑을 뚫기 때문에 버그와 봇을 막론하고 일반 장갑을 두른 중형도 여차하면 대충 신체 중심에 점사를 갈겨 처치할 수 있다. 정면에서 소중형을 가리지 않고 고루 상대할 수 있는 자동화기 중 위력도 뛰어난 것을 찾는다면 제격이다.

FN FAL같은 전투소총들의 디자인을 바탕으로 XM8을 연상시키는 미래적인 껍데기를 씌웠는데 웬 미끄럼틀같은 괴상한 구조물이 가스관을 덮으며 조준경 부착용 라이저 마운트까지 이어지는 모양새다. G36이나 XM8의 운반손잡이 겸 조준기도 아니고, 레일이 달린 것도 아니며 달렸다고 해도 가파른 경사가 져 있어서 조준보조 부착물을 붙일 수 없고, 방열판 역할 외에는 아무 용도가 없어 보인다. 이런 특이한 외관으로 한국 유저들 한정으로 고등어 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이름은 심판관(Adjudicator)이라는 뜻.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프리미엄 전쟁 채권
민주적 폭파
2024-04-11
추가
  • 게임에 추가.
01.000.300
2024-04-29
변경
  • 이제 기본 발사 모드가 단발에서 자동으로 변경.
  • 반동 감소.
  • 최대 탄창 소지 수가 6개에서 8개로 증가.
  • 재보급으로 받는 탄창의 수가 6개에서 8개로 증가.
  • 이제 저격소총이 아닌 돌격소총으로 분류.
01.000.400
2024-06-13
변경
  • 탄창 용량을 25발에서 30발로 상향.
  • 내구력 높은 신체 부위에 대한 발사체 대미지를 10%에서 20%로 상향.
    • 내구 대미지가 8에서 16으로 증가.
01.000.402
2024-06-18
수정
  • 어드주디케이터의 잘못된 반동 수치를 수정.
    • 무기고 반동 표기 수치를 50에서 40으로 수정.
01.001.104
2024-10-15
변경
  • 수평 반동이 30% 감소.
    • 1인칭 수평 반동이 25에서 17로 감소.
    • 무기고의 표기 반동 수치도 38에서 36으로 감소.
  • 대미지가 80에서 90으로 증가.
  • 내구력 대미지가 16에서 23으로 증가.

2.7. StA-52 돌격소총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StA-52 돌격소총.png
||
<nopad>돌격소총
StA-52 돌격소총 StA-52 Assault Rifle
대용량 드럼 탄창을 장착해 지속 사격에 적합한 돌격 소총입니다. 스탈 암즈에서 생산된 무기입니다.
An assault rifle with a high-capacity drum magazine, good for providing sustained fire. Produced by Stål Arms.
파일:HD2 슈퍼크레딧 아이콘.svg 615


||<tablewidth=100%><tablebgcolor=#75cce6,#82dffb><height=2><nopad>||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70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56
||
반동
19
연사율
790
속성 경장갑 관통[AP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발당 피해량[DMG] 70 경장갑 · 15 내구
장탄 수 56발(+약실 1발)
소지 탄창 [ruby(4,ruby=최초,color=#999)] / 6개
탄약 상자 보충 탄창 3개
재장전 시간 4.15초 · 2.45초(전술)
발사 속도 790 RPM
조정간 자동 | 반자동
인체 공학성[Ergo] 55%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10/15,ruby=수평 / 수직)] ㏕ [ruby(6/25,ruby=수평 / 수직)] ㏕ 4 ㏕
비고 가늠자 · 가늠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5.5x50mm 전피갑탄(5.5x50mm Full Metal Jacket)"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70 15 2 25-°/ 2 60-°/ 2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15 10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5.5mm 4.5g 3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90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4% 7.2% 13.3% 25%
}}}}}}}}} ||


킬존크로스오버 업데이트로 추가된 돌격소총. 형태는 킬존 2의 StA-52 돌격소총을 정확하게 가져왔다. 독특하게도 전쟁 채권이 아니라 슈퍼 스토어에서 판매되는 무기다.

일루미닛 등장 시점에 나온 무기라 그런지 무권자(좀비) 처리용으로 안성맞춤이다. 또한 다른 세력의 경장갑 적들을 상대하는데 괜찮은 효율을 보여준다.

경장갑 관통 특성과 비슷한 대미지와 연사력 때문에 리버레이터 카빈과 비교되는 편인데, Sta가 탄창당 11발이 더 들어가며 반동이 낮지만 연사력이 조금 낮은 편이고, 카빈은 소지 탄창이 많고 연사력이 높지만 반동이 좀더 높다. 각각 일장일단이 있는편.

다만 Sta는 장착된 조준경이 없어 기계식 조준기만 써야하기 때문에 원거리 교전이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탄창을 빼면 상단의 덮개가 열리며 탄창을 집어 넣고 다시 닫아야하는 기계적 특성이 있다. 때문에 재장전 시 기관총처럼 1. 탄창을 빼고, 2. 장전 손잡이를 당긴뒤, 3. 탄창을 꽂은 다음, 4. 커버를 닫는다. 순서로 진행되는데, 전술 재장전 때도 장전 손잡이를 당기는 모션만 제외할 뿐이라 재장전 시간이 꽤나 긴 단점이 있다.

더구나 연사력이 높지만 탄창 소지량은 6개로 상당히 적기 때문에 생각없이 쏘면 금방 동나는 탄약을 볼 수 있다. 연사력 때문에 탄창 소모률이 높은데, 높은 재장전 시간과 적은 탄창 소지량 때문에 난전중에 탄약 관리에 신경쓰지 않으면 하루종일 재장전하거나 탄약을 찾아다니면서 도망다니는 자신을 볼 수도 있다.

그나마 콜라보 이전에 추가된 방어구 중 재장전 단축과 소지 탄약 증가 효과가 붙어 있는 포위 준비 완료 패시브 방어구를 착용하면 이 단점을 약간 해소할 수 있다.

여담으로 StA-52의 하부 총열 덮개부분에는 일체형 손전등이 달려있는데, 킬존에서는 이 부분이 산탄총이라서 돌격소총이면서 단발 산탄총이기도 했다. 하지만 크로스오버인 킬존 2에서는 산탄총 기능이 사라지면서 헬다에서도 일반적인 돌격소총이 되었다.

애로우헤드 특유의 깨알같은 무기 디테일은 여전해서, 1인칭 사격시 총 상단에 노출된 복좌용수철이 총을 쏠 때마다 수축되는 것을 볼 수 있다.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킬존 콜라보
2024-12-18
추가
  • 스토어 로테이션에 등록.

3. 지정사수소총

정밀 반자동소총. 중장거리 저격과 높은 단발 화력을 이용한 단일 표적 제거에 특화되어 있다.
저격총이라는 특성상 쏟아지듯이 나오는 적들을 처치하는 능력이 부족해서 테르미니드전에서는 사용하기 어렵지만 장거리에서 적을 확실하게 처리하는 능력이 중요한 오토마톤전에서는 쾌적하게 사용하기 좋다.

초창기에는 지정사수소총의 상위호환 무기들이 존재하는 반면 지정사수소총들의 스펙이 매우 저열하여 모든 무기군중에서 최악의 성능을 자랑했지만, 지정사수소총 상위호환 무기로 취급되었던 슬러거가 너프되고 딜리전스 시리즈가 버프를 받으며, 카운터에 일반 장갑 관통[AP3] 능력이 부여되면서 지정사수소총으로서의 전문성을 갖추게 되었다.

3.1. R-2124 콘스티튜션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R-2124 콘스티튜션.png
||
<nopad>지정사수소총
R-2124 콘스티튜션 R-2124 Constitution
민주주의 이전 시대의 고대 유물을 모델로 만든 의전용 소총입니다. 모든 시민은 16세가 되면 군 복무를 장려하는 의미로 이 소총을 선물 받는 전통이 있습니다.
This ceremonial rifle is modeled after antique relics from pre-Democratic times. It is traditionally gifted to every citizen upon turning 16 to encourage service.
<nopad>
"해방절" 기념 특별 보상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180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5
||
반동
43
연사율
60
속성 일반 장갑 관통[AP3] · 탄약 재장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피해량[DMG] <rowcolor=#555,#ddd> 탄환 총검
180 일반 · 50 내구 110 일반 · 55 내구
장탄 수 5발
소지 탄약 [ruby(60,ruby=최초,color=#999)] / 99개
탄약 상자 보충 탄약 49개
재장전 시간 1.3초(준비동작) · 0.5초(발당)
발사 속도 60 RPM
인체 공학성[Ergo] 65%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25/25,ruby=수평 / 수직)] ㏕ [ruby(10/60,ruby=수평 / 수직)] ㏕ 0.1 ㏕
비고 한 발씩 장전 · 볼트 액션 · 가늠자 · 가늠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헌법(Constitution)"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180 50 3 25-°/ 3 60-°/ 3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20 14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8mm 20g 3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85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1.9% 3.5% 7% 25%
<nopad>
<nopad>
<nopad>
"총검(Bayonet)"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110 55 3 25-°/ 0 60-°/ 0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20 70
<nopad>
파괴 가능한 외피 부위 무시(테르미니드)
}}}}}}}}} ||

전작에도 등장한 8mm 내부 탄창 볼트 액션 소총겸 예능용 무기. 모티브는 스프링필드 M1903이다. 2024년 10월 26일 해방절을 맞아 전작의 갑옷과 함께 모든 유저들에게 무료로 지급되었다. [119]

피해량은 딜리전스딜리전스 카운터의 중간에 위치하나 BTK에 그리 큰 차이는 없다. 소형 적은 몸통에 한 발, 중형이라도 약점이나 머리에 사격하면 한 발로 사살할 수 있다. 다만 체력이 높은 브루드 커맨더스퓨어 계열, 하이브 가드는 머리를 사격해도 사살하려면 여러 발이 필요하다. 일반 장갑 관통[AP3] 덕분에 정면에서도 적을 상대할 수 있지만, 볼트 액션 방식이기 때문에 연사력이 제한되고 5발의 장탄 수도 크게 발목을 잡아 버그전에서는 애매한 무기이다. 오토마톤전에서는 트루퍼들은 어차피 물몸이고, 데바스테이터 종류들은 신중히 머리를 맞춰 쏜다면 생각보단 쓸만한 편.

지정 사수 소총 분류중에서는 장탄 수가 가장 적은 무기인데, 탄창 자체는 임무 투입시 60발, 최대 99발을 소지할 수 있다. 하지만 볼트 액션이라는 특성 때문에 탄약 소비가 적은 편이고, 필드 탄약 박스 1개에 탄약을 49개나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임무 도중 탄약이 부족할 일은 없는 편이다.

퍼니셔 계열과 동일하게 1발 장전 특성이 붙어 있지만, 볼트 액션인 특성상 재장전을 시작할 때마다 노리쇠를 여는 동작이 필요해서 관형탄창 산탄총인 퍼니셔류와 달리 장전과 발사를 병행할 수 없는 것이 단점이다. 또한 현재는 탄창을 다 비웠든 그렇지 않든 무조건 한 발씩 장전하기에, 장탄을 전부 사격하면 스피드로더로 빠르게 장전하는 세너터처럼 클립 장전 기능을 추가해달라는 헬다이버들의 요청이 쏟아지고 있다.

1인칭 조준시 기계식 조준기를 사용하는데, 모티브인 스프링필드와 동일한 조준기를 사용하기에 가늠자가 조준중인 주변을 대부분 가려서 표적을 확인하기가 힘든 편이며, 확대 배율이 없으므로 근~중거리 교전중에는 3인칭 조준이 더 편하다.
또한 1인칭으로 조준하고 사격하면 볼트 액션으로 탄을 장전하면서 조준을 유지하지 못하고 크게 흔들리기 때문에, 정확한 차탄 사격을 위해서는 총이 정렬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HELLDIVERS 2의 무기 중 최초로 총검이 장착되어 있어 더 강한 근접 공격을 할 수 있다. 기본 공격력 110, 이상적인 체형 방어구 패시브 적용시 220이고 장갑 관통력이 일반 장갑 관통[AP3]인 근접 공격을 가한다. 이상적인 체형을 기준으로 테르미니드전에서 헌터 급까지 몸샷 한방, 워리어는 머리로 한방을 낼 수 있으며 하이브 가드를 상대로도 유효타를 낼 수 있다. 오토마톤 전선에서는 스텔스를 할 때 트루퍼 종류를 몸샷 한 방으로 잡을 수 있다, 대신 어디까지나 찌르기 공격이기 때문에 아군 헬다이버를 밀치는 기능은 사라진다.

애매한 성능은 이 소총이 처음 등장했던 전작에서도 다르지 않았는데, 당시에는 대놓고 M1903을 기반으로 만든 SEAF 의장용 소총이라고 서술했으며, 근접 회피나 근접공격 스냅 같은 고급 테크닉을 익힌 고인물 헬다이버들이 체감 난이도를 올리려고 일부러 쓰는 장난감 취급이었다. 이번 작품에서는 60일 패치 이후 헬다이버의 화력 강화로 인해 게임이 너무 쉬워진 것이 아니냐고 불만을 표하는 일부 플레이어들을 위해 준비된 고난이도 총기라고 할 수 있다.

10월 26일 출시 당일에는 무료 특전 무기 + 총검 기능의 조합으로 인해 전작 HELLDIVERS컨셉질에 맛들인 전 세계의 1차 전쟁 참전용사 헬다이버들이 함께 제공된 DP-00 연방의 영웅을 착용한 채 이 무기를 들었고, 전반적인 성능과 상반되는 인기를 몰고 다녔다. 4명이 동시에 착용한 채 매머드 잡는 원시인마냥 차저한테 포위공격을 하거나, 오토마톤 전선에서 기관총을 향해 총검 돌격을 시전하는 등 은하계 곳곳에서 상당히 골때리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이름은 헌법(Constitution)이라는 뜻.[122]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해방절
2024-10-27
추가
  • 해방절 기념 무료지급.

3.2. R-63 딜리전스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R-63 딜리전스.png
||
<nopad>지정사수소총
R-63 딜리전스 R-63 Diligence
장탄 수와 연사율은 낮아졌지만 강력하고 정확한 사격이 가능한 대구경 지정사수소총입니다.
This high-caliber marksman rifle trades magazine capacity and rate of fire for powerful, accurate shots.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8


||<tablewidth=100%><tablebgcolor=#333,#ffe900><height=2><nopad>||<nopad>||<nopad>||<nopad>||
"헬다이버 출동!" 전쟁 채권 2/10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165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20
||
반동
35
연사율
350
속성 경장갑 관통[AP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발당 피해량[DMG] 165 일반 · 45 내구
장탄 수 20발(+약실 1발)
소지 탄창 [ruby(5,ruby=최초,color=#999)] / 8개
탄약 상자 보충 탄창 4개
재장전 시간 3초 · 1.9초(전술)
발사 속도 350 RPM
조준경 25m | 75m | 150m
인체 공학성[Ergo] 65%(기본) 55%(실제)[126]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25/25,ruby=수평 / 수직)] ㏕ [ruby(10/45,ruby=수평 / 수직)] ㏕ 0.5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9x70mm 전피갑탄(9x70mm Full Metal Jacket)"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165 45 2 25-°/ 2 60-°/ 2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15 14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9mm 20g 3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85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2.3% 4.3% 8.5% 25%
}}}}}}}}} ||

9x70mm 정밀 반자동 지정사수소총. 단발 위력이 리버레이터 두 발급이며, 조준경이 고배율을 지원한다. 일반적으로 근거리 전투는 넓은 시야를 가져서 반응이 쉬운 3인칭으로, 중~원거리 교전은 조준경의 배율을 높게 설정해 두고 1인칭으로 조준경을 사용하는 걸 추천한다.

발당 대미지가 높긴 하지만 반자동 소총이라는 한계 때문에 물량이 주 전략인 테르미니드 상대로는 큰 힘을 못 쓴다. 스캐빈저 같은 잡몹이야 한방에 죽고, 주 병력중 하나인 헌터는 몸체에 1발, 워리어는 1발에 머리를 터트릴 수 있지만 머리가 터진 후 특유의 생명력으로 득달같이 달려드는 걸 견제해야 하고, 뭣보다 이런 놈이 대량으로 무리지어 오기 때문에 효율이 상당히 떨어진다.

하이브 가드는 몸 정면이 중장갑[AV3]이라서 도탄되니 우회해서 사격하거나, 방어 자세일때 살짝 노출되는 몸통 아래부분을 맞춰야 해서 상대하기 까다롭고, 브루드 커맨더는 헤드샷으로 2발을 맞추면 머리가 파괴되지만 이후 워리어처럼 몸통이 살아남는다. 스퓨어 계열은 머리를 노리는 게 정석인 만큼 나쁘지 않지만 바일 스퓨어는 난이도가 6이 넘어가면 머리가 중장갑[AV3]이 돼서 피해를 입힐 수 없게 된다.

딜리전스가 현재 가장 활약하는 전장은 오토마톤. 오토마톤도 총을 사용하는 만큼 원거리에서 비교적 안전하게 사격할 수 있다는 점은 상당한 장점이며, 트루퍼 계열은 몸체에 1발[129], 정밀사격으로 머리를 노리면 데버스테이터까지 머리에 1발로 정리가 가능하다. 고지에서 사격 중이라면 스카우트 스트라이더에 탑승한 트루퍼도 일격에 제거할 수 있고 아니라도 전방 방패의 작은 슬릿 사이로 사격하면 운 좋게 처치되기도 한다.

다만 맷집이 높은 버서커는 침착하게 약점을 노리면 한방에 제거할 수 있지만 이동하면서 머리가 좌,우로 크게 흔들리기 때문에 정밀 사격이 까다로워서 부무장이나 수류탄을 사용하는 게 좋고, 헐크탱크 계열은 후방 약점을 노려야 하는데, 헐크는 방열판을 노려서 어찌어찌 잡더라도 탱크의 방열판은 중장갑[AV3]이라 최소 일반 장갑 관통[AP3](중장갑 유효)이 필요해서 아예 대처가 안 되므로 얌전히 지원무기나 스트라타젬을 꺼내들자.

이름은 근면함, 부지런함(Diligence)이라는 뜻.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01.000.300
2024-04-29
변경
  • 대미지가 112에서 125로 증가.
01.000.400
2024-06-13
변경
  • 내구력 높은 신체 부위에 대한 발사체 대미지를 10%에서 25%로 상향
    • 내구력 대미지를 13에서 32로 상향.
  • 1인칭 조준점을 업데이트하여 가시성을 개선.[132]
01.001.100
2024-09-17
변경
  • 대미지가 125에서 165로 증가.
  • 내구성 대미지가 32에서 42로 증가.
    • 실제로는 32에서 45로 증가.

3.3. R-63CS 딜리전스 카운터 저격소총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R-63CS 딜리전스 카운터 저격소총.png
||
<nopad>지정사수소총
R-63CS 딜리전스 카운터 저격소총 R-63CS Diligence Counter Sniper
개조형 딜리전스 소총으로, 대미지가 증가했지만 기동성이 감소했습니다. 단발로 발사합니다.
A modified Diligence rifle offering increased damage at the cost of some maneuverability. Fires a single bullet at a time.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40


||<tablewidth=100%><tablebgcolor=#333,#ffe900><height=2><nopad>||<nopad>||<nopad>||<nopad>||
"헬다이버 출동!" 전쟁 채권 7/10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200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15
||
반동
53
연사율
350
속성 일반 장갑 관통[AP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발당 피해량[DMG] 200 일반 · 50 내구
장탄 수 15발(+약실 1발)
소지 탄창 [ruby(4,ruby=최초,color=#999)] / 6개
탄약 상자 보충 탄창 3개
재장전 시간 3초 · 1.9초(전술)
발사 속도 350 RPM
조준경 50m | 100m | 200m
인체 공학성[Ergo] 35%(기본) 15%(실제)[136]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25/25,ruby=수평 / 수직)] ㏕ [ruby(27/60,ruby=수평 / 수직)] ㏕ 0.5 ㏕
비고 총구제동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9x70mm 고속탄(9x70mm High Velocity)"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200 50 3 25-°/ 3 60-°/ 3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20 14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9mm 20g 3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94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2.4% 4.3% 8.4% 25%
}}}}}}}}} ||

순정 딜리전스보다 위력이 소폭 증가하고 장갑 관통 능력이 일반 장갑 관통[AP3] 등급으로 증가하였으며 조준경이 200m 고배율을 지원하는 본격 저격용 버전 딜리전스. 하지만 반동이 늘어났고 장탄 수가 15발로 깎인 상황인데 최대 탄창수가 2개 줄어서 휴행 탄환이 턱없이 모자라다. 대규모 물량 처리력을 포기하고 고위험 중형 적을 집중적으로 상대하기 위한 무장.

무기의 역할로만 따지면 차라리 지원 무기인 대물 소총이 더 전문화된 무기로 판단할 수 있으나, 실제 건 핸들링은 딜리전스 카운터 쪽이 훨씬 뛰어나 약점을 빠르게 조준하기 수월하다. 여기에, 더 많은 탄창수, 적은 반동, 더 나은 1인칭 시야를 제공하기 때문에 범용성 면에서는 운용하기 더 나은 편이다.

DMR인 딜리전스의 개조형이기 때문에 테르미니드 상대로는 크게 힘을 못 쓰는 것은 동일하다. 다만 일반 장갑 관통[AP3] 덕분에 하이브 가드, 브루드 커맨더바일 스퓨어는 상당히 잘 잡는 편이다. 또한 경장갑 적을 관통해서 사선 내 다수의 적을 타격하는 특징이 있기에 워리어가 벽을 형성하며 다가오면 구멍을 뚫어줄 수는 있다.

오토마톤전에선 데버스테이터 헤드샷에 매우 뛰어난 효율을 보인다.[139] 데버스테이터 헤드샷이 1방으로 나는 고배율 총기 중에서는 건 핸들링이 가장 좋고 매우 빠른 탄속 때문에 가장 다루기 좋다. 여기에 일반 장갑 관통[AP3] 성능 덕에 헤드샷이 빗나가더라도 여차하면 몸체에 피해를 누적시켜 잡을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경전차장갑[AV4]의 상부 때문에 딜리전스로 상대가 불가능했던 강화 스카우트 스트라이더도 다리와 하체 부분은 중장갑[AV3]이므로 3발을 연달아 맞춰서 제거할 수 있는 편의성이 생긴다.
또한 높은 배율의 조준경을 장착하고 있어서 방패 때문에 약점 조준이 난해한 거대 데버스테이터도 상당히 편하게 제거할 수 있기에 헤드샷으로 빠르게 트루퍼 계열들과 데버스테이터들을 정리할 수 있는 딜리전스 카운터가 대 오토마톤전 주무기로 선호받기 시작했다.

일반 장갑 관통[AP3]탄으로 경장갑 관통[AP2]에서 한단계 증가한 수준이기 때문에 경전차장갑[AV4] 이상의 등급인 대형 오토마톤들[* 헐크, 캐넌 포탑, 탱크, 팩토리 스트라이더의 정면에서는 피해를 입힐 방법이 없다. 그래서 저격병 플레이 시 중보병까진 해당총기로, 대형 적들은 대물 소총 등의 중장갑 관통[AP4](경전차장갑 유효) 무기로 약점을 사격하는 식으로 상호 보완이 가능하다.

출시 후 약 3달간 원본 딜리전스와 별다른 성능차이가 없어서 쓸모가 없다는 악평을 받으며 버려졌던 무기였으나, 패치로 피해량[147]과 무기 조작성이 개선되면서 도미네이터와는 또 다른 느낌의 일반 장갑 대응 주무기로 재평가받고 있다.이번에는 반대로 원본 딜리전스의 포지션이 애매해졌다.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01.000.200
2024-04-02
변경
  • 경장갑 관통[AP2]에서 일반 장갑 관통[AP3]으로 관통력 증가
01.000.300
2024-04-29
변경
  • 대미지가 128에서 140으로 증가.
    • 내구력 대미지 증가도 한것으로 보이나 자세한 수치는 불명.
  • 인체공학성이 상승.수치불명
01.000.302
2024-06-13
변경
  • 1인칭 조준점을 업데이트하여 가시성을 개선.[150]
01.001.100
2024-09-17
변경
  • 대미지가 140에서 200로 증가.
  • 내구성 대미지가 14에서 50로 증가.
  • 비틀거림 유발[ST] 능력이 15에서 20로 증가.
01.001.201
2024-10-29
미표기
  • 무기고의 설명문이 변경.
    • 전 : 개조형 딜리전스 소총으로, 대미지가 증가했지만 _연사율_이 감소했습니다. 단발로 발사합니다.
    • 후 : 개조형 딜리전스 소총으로, 대미지가 증가했지만 _기동성_이 감소했습니다. 단발로 발사합니다.

4. 저격 소총

4.1. PLAS-39 가속 소총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PLAS-39 가속 소총.png
||
<nopad>저격 소총
PLAS-39 가속 소총 PLAS-39 Accelerator Rifle
발사하려면 충전이 필요한 고정밀 점사 플라즈마 소총입니다.
A high-precision burst-fire plasma rifle that must be charged to fire.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350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9
||
반동
3
연사율
550
속성 일반 장갑 관통[AP3] · 폭발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발당 피해량[DMG] <rowcolor=#555,#ddd> 직격 폭발
250 일반 · 125 내구 100 일반 · 100 내구
장탄 수 9발
소지 탄창 [ruby(6,ruby=최초,color=#999)] / 8개
탄약 상자 보충 탄창 4개
재장전 시간 3.3초 · 1.9초(전술)
발사 속도 550 RPM
조준경 50m | 100m | 200m
인체 공학성[Ergo] 40%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3/3,ruby=수평 / 수직)] ㏕ [ruby(3/3,ruby=수평 / 수직)] ㏕ 0.5 ㏕
비고 충전 · 3점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불명(불명)"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250 125 3 25-°/ 3 60-°/ 3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20 10
##폭발범위 그래프 작성법: B=A+1, 노랑A=하양B+2. 하양A, 주황A, 회색A로 그래프 범위를 정해주세요. 주황A의 최대 수치는 115입니다.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강화.svg 폭발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100 100 3 25-°/ 0 60-°/ 0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10 7
<rowcolor=#555,#ffe900> 폭발 범위
<rowcolor=#1c1d1f>
[ruby(2m,ruby=충격파)]⠀[ruby(2m,ruby=바깥 피해)]⠀⠀[ruby(1m,ruby=중심)]⠀⠀[ruby(2m,ruby=바깥 피해)]⠀[ruby(2m,ruby=충격파)]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20mm 25g 150% 5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100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36% 53.4% 68% 35%
}}}}}}}}} ||

킬존 시리즈와의 콜라보레이션으로 추가된 저격 소총.
KILLZONE: Mercenary에 등장했던 VC39 가속 소총을 가져와 구현한 물건이지만, 플라즈마 소총이라 그런지 VC대신 스코처처럼 PLAS가 붙었다.

충전후 3점사 사격 방식을 사용하는데 스코처와 거의 동일한 투사체를 발사하며, 착탄 후 작은 플라즈마 폭발을 일으킨다. 점사 간격이 짧고 반동이 매우 낮아서 사격 도중 조준이 크게 흐트러지지만 않으면 원거리에서도 3발 점사를 전부 맞출 수 있다.

단발 피해만 350으로 매우 높은데다, 3번의 점사로 짧은 시간안에 한번에 높은 대미지를 꽂아 넣을 수 있다보니 체력이 많은 단일 표적을 한번에 침묵시키는 죽창으로 사용된다.

다만 사격시 무조건 3발 점사로 발사하기 때문에 장탄수가 9발이라도 실제 탄창당 사격 횟수는 3번이며 장전 속도도 느린 편이라 사용하기 불편해 커뮤니티에서 원성을 사고 있다. 소지 탄창이 8개이고 탄약 박스 1개에 탄창을 4개 습득할 수 있더라도 탄 소비가 매우 심해서 유저들은 단발 사격 모드를 추가해 달라고 요청하는 중이다.

콜라보레이션 1차 품목들이 슈퍼스토어에서 비싸게 판매되어 커뮤니티에 불을 지르자 StA-11 기관단총,StA-X3 W.A.S.P. 스트라타젬, AC-2 복종 방어구와 함께 무료 배포되었다.

여담이지만 총기 좌측에 플라즈마 카트리지가 장착되는데, 사격을 한 번 할 때마다 카트리지의 푸른 빛이 하나씩 꺼지며 9발(3번)을 발사하면 모든 카트리지가 꺼진다[155].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킬존 콜라보
2024-12-20
추가
  • 23일에 스토어에 등록될 예정이였으나 당일 무료로 지급함.
킬존 콜라보
2025-01-08
기타
  • 2차 무료지급

5. 기관단총

권총탄을 쏘는 전자동 기관단총. 일부를 제외하면 기관단총은 보조 무기처럼 한 손 무기 특성을 지녀, 비견착 지향사격 중에도 이동 속도가 평소와 같이 유지되며, SSSD 운반이나 SH-20 탄도 방패 배낭 사용 중에도 부무장으로 전환되지 않아 주무기를 그대로 쓸 수 있다.

조준 사격이 아니라면 사격 중에도 기동성을 잃지 않는다는 장점 때문에 최소 전투로 빠르게 목표만 치고 빠지는 전략을 쓰는 솔플, 블리츠에서 채용 가치가 높다.

단발 위력은 소총과 별 차이 없지만, 장갑으로 보호받지 않는 부위 파괴에 반영되는 내구 피해량(Durable damage)이 소총탄보다 훨씬 낮아서 중대형을 잡을 때 매우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기절탄을 쓰는 퍼멜러가 아니라면 중대형보다는 총알받이 잡졸을 지우는 데 집중하는 것이 권장된다.

5.1. MP-98 나이트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MP-98 나이트.png
||
<nopad>기관단총
MP-98 나이트 MP-98 Knight
연사율이 극단적으로 높은 기관단총으로, 한 손으로 운용할 수 있습니다. 멀티태스킹에 적합합니다.
A submachine gun with an extremely high rate of fire, which can be operated with one hand. Ideal for multitasking.
<bgcolor=#000,#ffe900>
슈퍼 시민 에디션 구입 특전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65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50
||
반동
15
연사율
1380
속성 경장갑 관통[AP2] · 한 손 파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발당 피해량[DMG] 65 일반 · 7 내구
장탄 수 50발(+약실 1발)
소지 탄창 [ruby(5,ruby=최초,color=#999)] / 7개
탄약 상자 보충 탄창 3개
재장전 시간 2.5초 · 1.7초(전술)
발사 속도 1380 RPM
조정간 자동 | 반자동 | 점사
인체 공학성[Ergo] 90%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10/20,ruby=수평 / 수직)] ㏕ [ruby(2.5/15,ruby=수평 / 수직)] ㏕ 25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9x20mm 연질피갑탄(9x20mm Soft Metal Jacket)"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65 7 2 25-°/ 2 60-°/ 2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10 5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9mm 7g 3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375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6.4% 11.8% 21.3% 25%
}}}}}}}}} ||

슈퍼 시민 에디션 구매를 통해서만 해금되는 9x20mm 기관단총. 모든 무기 중 가장 빠른 연사력을 가지고 있다. 반동이 극심해서 근중거리가 아니면 연사를 자제해야 하고, 중거리만 되어도 점사하지 않으면 쏘는 탄의 절반은 허공에 뿌려진다. 근거리 순간 화력은 괴물같으며, 그럭저럭 반동을 잡을만하지만, 막대한 연사력에 비해 예비 탄창은 7개가 최대라 만성 탄약 부족에 시달린다.

매우 빠른 연사속도와 연사 속도를 받쳐주는 50발의 탄창, 돌격소총과 크게 차이나지 않는 피해량 덕분에 카탈로그 상 브레이커류 다음으로 주무기 실질 DPS 2위를 차지하고 있다. 1탄창으로 빠르게 경장갑 정찰대 무리를 지워버릴 수 있고, 연사로 버서커브루드 커맨더, 너싱 스퓨어, 스토커같은 같은 맷집형 적도 빠르게 처리한다.

다만 연사속도에서 오는 극심한 반동 때문에 전자동 사격을 하거나 뛰면서 쏘면 집탄이 산으로 가기에 한손무기의 의의인 런앤건 역량을 못 살리는 수준이다. 때문에 중거리 교전은 앉아 쏴 자세로 적절한 점사를 곁들여서 반동을 줄이거나, 조정간을 점사로 놓고 초고속 점사 무기라고 생각하고 쓰면 좋다. 또한 1인칭 시점에서 자동 사격을 하면 총구 화염이 화면을 가리므로 대개 3인칭 시점으로 쏘게 된다.

다소 낮은 대미지를 괴물같은 연사력으로 높은 DPS를 내는 컨셉 때문에 극심한 탄약 소모는 필연적인데, 다른 무장을 번갈아 사용하며 탄소모를 늦추던가, 적의 전초기지나 관심 지점을 돌아다니며 탄약 박스로 현장보급을 하든가, 스트라타젬 중 하나에 보급 팩을 할당하는 식으로 극복해야한다.

버그전에서는 주무장으로 잡을 만한 적들이 사방천지에서 코앞까지 달려들기 때문에 연사력을 십분 활용할 상황이 많으므로 써봄직하다. 특히 고난이도에서 달려드는 헌터 처리에 탁월한 성능을 보여준다.

오토마톤전에서는 중장거리 정밀 화력이 필요한데, 1인칭 자동 사격도 못하는 이 총보다는 안정성도 원거리 화력도 모두 잡힌 리버레이터, 시클, 디펜더, 딜리전스 카운터, 스코처 등 더 효율적인 선택지가 많다.

전작의 나이트와 모델명이 동일하지만, 비슷하게 생긴 구석은 하나도 없고 FN P90와 빼닮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전 무기답게 외장은 패턴 웰디드 다마스쿠스강 상부, 목재 권총 손잡이 등으로 고급스럽게 장식되어있다.

이름은 기사(Knight)라는 뜻.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01.001.100
2024-09-17
변경
  • 대미지가 50에서 65로 증가.
  • 내구성 대미지가 5에서 7로 증가.
  • 재보급 상자에서 탄창 5개 대신 모두 보충.
  • 반동이 20에서 15로 감소.

미표기
  • 밀치기 위력[PF]이 4에서 5로 증가.

5.2. StA-11 기관단총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StA-11 기관단총.png
||
<nopad>기관단총
StA-11 기관단총 StA-11 SMG
나선형 탄창을 사용하여 탄약 용량은 늘어났지만 전면의 무게는 무거워진 기관단총입니다. 스탈 암즈에서 생산된 무기입니다.
A submachine gun with a helical-feed magazine, which gives the weapon a higher ammo capacity while making it more front-heavy. Produced by Stål Arms.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65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48
||
반동
13
연사율
1050
속성 경장갑 관통[AP2] · 한 손 파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발당 피해량[DMG] 65 일반 · 7 내구
장탄 수 48발(+약실 1발)
소지 탄창 [ruby(5,ruby=최초,color=#999)] / 7개
탄약 상자 보충 탄창 3개
재장전 시간 2.6초 · 1.7초(전술)
발사 속도 1050 RPM
인체 공학성[Ergo] 80%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10/20,ruby=수평 / 수직)] ㏕ [ruby(2.5/15,ruby=수평 / 수직)] ㏕ 25 ㏕
비고 가늠자 · 가늠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9x20mm 연질피갑탄(9x20mm Soft Metal Jacket)"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65 7 2 25-°/ 2 60-°/ 2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10 5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9mm 7g 3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375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6.4% 11.8% 21.3% 25%
}}}}}}}}} ||

킬존 시리즈와의 콜라보레이션으로 추가된 기관단총. 킬존 2에 등장했던 StA-11 기관단총을 그대로 가져왔다. PP-19를 닮은 생김새까지도.

성능은 MP-98 나이트의 옆그레이드인데 대미지, 탄창 소지량, 탄약 보충량 등 대부분의 요소가 똑같으며, 탄창에 2발 적고 연사력이 낮지만, 낮은 연사력과 함께 반동이 작아서 맞추기 쉽다.

콜라보레이션 1차 품목들이 슈퍼스토어에서 비싸게 판매되어 커뮤니티에 불을 지르자 PLAS-39 가속 소총, StA-X3 W.A.S.P. 스트라타젬, AC-2 복종 방어구와 함께 무료 배포되었다.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킬존 콜라보
2024-12-18
추가
  • 23일에 스토어에 등록될 예정이였으나 당일 무료로 지급함.
킬존 콜라보
2025-01-08
기타
  • 2차 무료지급

5.3. SMG-32 레프리맨드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SMG-32 레프리맨드.png
||
<nopad>기관단총
SMG-32 레프리맨드 SMG-32 Reprimand
대구경 탄을 사용하는 내구성 높은 기관단총으로, 높은 반동을 제어하기 위해 발사 속도가 느립니다. 근거리에서 중거리용으로 사용할 때 가장 이상적입니다.
A heavy-duty submachine gun that fires large-caliber rounds, with a slower rate of fire to manage the high recoil. Ideal for use at close to medium range.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40


||<tablewidth=100%><tablebgcolor=#bb101e><height=2><nopad>||
<bgcolor=#111> '''[[HELLDIVERS 2/스토어#진리의 집행자|
"진리의 집행자"
]] 프리미엄 전쟁 채권 2/3'''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125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25
||
반동
44
연사율
490
속성 일반 장갑 관통[AP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발당 피해량[DMG] 125 일반 · 32 내구
장탄 수 25발(+약실 1발)
소지 탄창 [ruby(5,ruby=최초,color=#999)] / 9개
탄약 상자 보충 탄창 4개
재장전 시간 3.5초 · 2.1초(전술)
발사 속도 490 RPM
조정간 자동 | 반자동 | 점사
인체 공학성[Ergo] 55%(기본) 47%(실제)[166]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25/40,ruby=수평 / 수직)] ㏕ [ruby(6/55,ruby=수평 / 수직)] ㏕ 50 ㏕
비고 전술 조명 · 레이저포인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12x25mm 전피갑탄(12x25mm Full Metal Jacket)"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125 32 3 25-°/ 3 60-°/ 3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15 10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12mm 15g 3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285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5% 9.5% 18% 25%
}}}}}}}}} ||

12x25mm[167] 권총탄을 발사하는 중(重)기관단총. 탄창 멈치의 위치나 수직 25발 탄창, HK슬랩을 사용하는 장전 방식을 봤을 때, 모티브는 H&K UMP 계열로 보인다. 전반적인 형상은 CZ 스콜피온 EVO 3과도 유사성이 있다.

중장비 기관단총이라는 설명답게 크기도 돌격소총급이라 다른 기관단총과 달리 한 손 파지 특성이 없다. 그래서 사실상 기관단총인 척하는 근거리용 전투 소총이다.

14 ㎜ 센터파이어 카트리지를 사용한다는 버딕트와 비슷한 대구경탄을 쓰기 때문에 피해량이 높아서 소형 적 대부분은 초탄 혹은 차탄으로 사살할 수 있다. 일반 장갑까지 관통하므로 하이브 가드 같은 맷집 좋은 중형 적도 쉽게 처치할 수 있다. 대신 반동이 매우 커서 서서 연사 하면 금방 조준이 하늘로 올라간다. 게다가 기관단총답지 않게 탄창이 25발로 돌격소총 미만이다. 재장전 시간도 상당히 길어 근거리에서 총알을 흩뿌리는 기관단총이라기보다는 전투 소총처럼 단발이나 1인칭 시점 짧은 점사[168]로 운용해야 한다. 연사 시에는 항상 앉거나 포복하는 버릇을 들이면 좋다.

집탄도가 크게 떨어져서 중장거리 사격 시 어찌어찌 반동을 잡더라도 약점 사격은 어렵다. 어떻게든 중장거리 화력 투사가 필요하다면 포복 후 점사를 해야 그나마 맞는 편. 그래도 다행히 기관단총이라고 화력 대비 조작성은 좋은 편이라 근거리 교전 시 조준 편의성은 준수하다.

탄창이 작은 대신 9개나 들고 다닐 수 있어 대구경 화기 치고는 휴행탄이 굉장히 많은 225발이다. 덕분에 탄을 무턱대고 난사하지 않는다면 나름대로 재보급 없이 오랜 시간 화력을 투사할 수 있다. 하지만 대구경 탄환 특성 때문인지 탄창을 완전히 다 쓰고 재장전하려면 매우 오래 걸린다. 장탄을 꼼꼼히 확인하면서 딱 1발 남기고 하는 전술 재장전을 최대한 활용하고 탄창을 다 비우지 않게끔 신경 쓰는 편이 좋다. 탄알이 바닥을 보이면 격발음 점차 둔탁해지므로 익숙해지는 것이 좋고 빨간색 탄약 막대가 바닥을 보이면 한 번 총기 확인을 하여 잔탄을 정확하게 세는 습관을 들이면 좋다.

일반 장갑 관통[AP3], 엄청난 반동, 고연사라는 3박자 특징이 어드주디케이터와 비교될 만 한데 순수 화력으로 따졌을 때는 레프리맨드가 우위다. 재장전당 총 피해량이 15% 정도 낫다는 점이 제일 크다. 하지만 어드주디케이터는 조준경 달린 돌격소총이라 중거리만 가도 우열이 뒤집어진다. 장탄수도 5발 많은 30발이 들어가서 전술 재장전 관리도 더 쉽다. 말하자면 어드주디케이터에서 화력을 더 늘리고 교전 거리와 안정성을 희생한 것이 레프리맨드라고 이해하면 된다. 소소한 비교우위로 플래시라이트가 없는 어드주케이터와 달리 레프리맨드에는 플래시라이트가 달려있기 때문에 야간 미션 중 장점이 있다.

워낙 피해량이 높아서 잘 쓰면 버그 전에선 중장갑을 제외한 거의 모든 적을 어렵지 않게 처치할 수 있다. 깡체력으로 밀어붙이는 브루드 커맨더도 머리에 정성스럽게 총알 몇 발 박아주면 죽으며, 스토커도 머리에 잘 맞추면 다가오다가 픽 쓰러져버린다. 알파 커맨더가 소환하는 알파 워리어헌터도 다리만 맞추는 게 아니라면 2발이면 잡으므로 침착하게 사격하면 소형 적 대응도 나쁘지 않은 편이다. 바일/너싱 스퓨어도 잘 잡긴 하지만 레프리맨드 적정 사거리 내면 구토를 뒤집어쓰기 십상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반면에 오토마톤 전에서는 워낙 사정거리가 짧은 탓에 그 강력한 위력을 발휘하기가 어렵다. 나쁜 정확도 때문에 우직한 몸통 때리기보다는 약점 공략이 중요한 오토마톤 전에선 사용하기가 무척 난해하다. 순수하게 화력으로 승부할 수 있는 테르미니드와 달리 오토마톤은 단순 화력보단 정밀함과 안정성이 중요하기 때문.

일루미닛 전에서는 지근거리라면 순식간에 오버시어를 갈아버리는 화력을 보여주지만, 조금 떨어져서 날아다니는 고위 오버시어나 와쳐를 잡을러면 점사가 필요하다. 조준이 완벽해도 섣불리 자동 사격을 했다간 한두발 맞고 전부 빗나가기 마련이다. 기동성만 충분하다면 넉넉한 여분의 탄과 뛰어난 저지력으로 무권자를 상대할만 하지만 그놈의 재장전 시간 때문에 도망치며 장전하다가 다른 무권자 무리가 추가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경우도 있다.

사용자 평가는 갈리는 편이지만 너무 긴 장전 시간에 대해선 모두가 안 좋은 평가를 내린다. 아무리 대구경 화기라지만 이럽터 수준으로 느린 재장전은 너무하다는 말이 많다. 게다가 이럽터는 탄약 막대가 빨간색이 되는 20% 잔탄이 곧 전술 재장전을 하면 되는 타이밍이라 볼트 액션임에도 노리쇠를 당기는 시간을 생략할 수 있다. 그래도 짧은 사거리와 한두 발씩 짧게 끊는 점사 숙달 문제만 극복하면 125 HP 대미지에 25발 장탄으로 재장전당 대미지 3125 HP라 상당한 고위력 총기로 활약할 수 있다.

이름은 질책(Reprimand)이라는 뜻.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프리미엄 전쟁 채권
진리의 집행자
2024-10-31
추가
  • 게임에 추가.

5.4. SMG-37 디펜더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SMG-37 디펜더2.png
||
<nopad>기관단총
SMG-37 디펜더 SMG-37 Defender
한 손으로 사격할 수 있는 대구경 기관단총입니다. 상대적으로 연사율이 낮습니다.
A high-caliber submachine gun which can be fired with one hand. Has a relatively low rate of fire.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15


||<tablewidth=100%><tablebgcolor=#333,#ffe900><height=2><nopad>||<nopad>||<nopad>||<nopad>||
"헬다이버 출동!" 전쟁 채권 3/10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75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45
||
반동
10
연사율
520
속성 경장갑 관통[AP2] · 한 손 파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발당 피해량[DMG] 75 일반 · 8 내구
장탄 수 45발(+약실 1발)
소지 탄창 [ruby(5,ruby=최초,color=#999)] / 7개
탄약 상자 보충 탄창 3개
재장전 시간 2.8초 · 2초(전술)
발사 속도 520 RPM
조정간 자동 | 반자동 | 점사
인체 공학성[Ergo] 90%(기본) 85%(실제)[173]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10/10,ruby=수평 / 수직)] ㏕ [ruby(5/10,ruby=수평 / 수직)] ㏕ 20 ㏕
비고 전술 조명 · 레이저포인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12x25mm 전피갑탄(12x25mm Full Metal Jacket)"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75 8 2 25-°/ 2 60-°/ 2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15 5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12mm 15g 3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285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5% 9.5% 18% 25%
}}}}}}}}} ||

균형잡힌 12x25mm 기관단총. 소총인 리버레이터보다 단발 피해량이 더 높지만, 연사력은 눈에 띄게 느리다. 장탄 수나 반동, 장전 시간은 리버레이터와 별 차이 없다.

연사력이 매우 낮아서 한두 발 빗나가면 화력 손해가 막심하니, 반동이 아주 약하다는 장점을 적극 활용해 정밀 속사로 쏘는 족족 명중시키면 좋다. 반동이 무척 약해서 배율 조준경이 없는데도 약점을 노리기 쉬워 중거리 대응 역량이 있다. 그러나 원거리에서도 명중탄을 내기 쉬운 것과 별개로 조준기가 무배율이라 장거리 대응은 어렵다. 또, 느려터진 연사력 때문에 순간화력이나 일대다 대응력이 모자라, 잡졸 떼거지나 위협적인 중형 적을 빠르게 지우기는 힘들다.

리버레이터 특유의 균형감이 마음에 든다면, 비슷한 감각이지만 단발 화력과 지속력, 안정성 면에서 더 뛰어난 디펜더를 변화구 또는 대안으로 써봄직하다.

다양한 무기들이 추가된 현시점에서 디펜더에서 주목할 부분은 한 손 파지의 유연함에 있다. 단순하게 주무기로서의 화력과 역할에만 주목하면 특출난 점 없이 애매한 무기가 될 수 있지만, 한 손 파지가 가능한 기관단총류 무기군 중에서 가장 안정적인 화력투사가 가능한 점은 디펜더 최대의 장점이다. 다른 기관단총 무기들과 디펜더를 비교해 보면, 나이트는 반동제어가 필수적인 무기라 한 손 파지에 부적합하며 퍼멜러는 디펜더보다 화력이 약한 편이다. 오토마톤전에서 방패와 함께 조합할 수 있는 무기로 퍼멜러와 함께 고려할 수 있는 무기로 꼽힌다.

세계대전 기관단총에서나 볼 법한, 시대착오적 측면 급탄에 오픈볼트 구조다.[174] 측면 급탄의 특징은 스털링 기관단총이나 스텐 기관단총 등 세계대전 기관단총에서, 느린 연사력 덕에 약하게 느껴지는 반동, 대구경 탄약은 M3 기관단총에서 따온 듯하다.

이름은 보호자(Defender)라는 뜻.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01.001.100
2024-09-17
변경
  • 대미지가 70에서 75로 증가.
  • 내구력 대미지가 7에서 8로 증가.

5.5. SMG-72 퍼멜러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SMG-72 퍼멜러.png
||
<nopad>기관단총
SMG-72 퍼멜러 SMG-72 Pummeler
적을 비틀거리게 하는 충격탄을 발사합니다. 다른 기관단총에 비해 연사율이 낮습니다.
Fires concussive rounds that stagger enemies. Slower rate of fire than other SMGs.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60


||<tablewidth=100%><tablebgcolor=#fff><height=2><nopad>||
"극지의 애국자" 프리미엄 전쟁 채권 2/3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65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45
||
반동
10
연사율
475
속성 경장갑 관통[AP2] · 한 손 파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발당 피해량[DMG] 65 일반 · 7 내구
장탄 수 45발(+약실 1발)
소지 탄창 [ruby(5,ruby=최초,color=#999)] / 7개
탄약 상자 보충 탄창 3개
재장전 시간 3초 · 2초(전술)
발사 속도 475 RPM
조정간 자동 | 반자동 | 점사
인체 공학성[Ergo] 90%(기본) 85%(실제)[178]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10/10,ruby=수평 / 수직)] ㏕ [ruby(5/10,ruby=수평 / 수직)] ㏕ 20 ㏕
비고 전술 조명 · 레이저포인터 · 기절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12x25mm 기절탄(12x25mm Stun)"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65 7 2 25-°/ 2 60-°/ 2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15 5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12mm 15g 3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21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5.1% 9.4% 17.7% 25%
<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결연함.svg 기절 효과
<rowcolor=#1c1d1f,#e0e0e0> 기절 등급 지속 시간 둔화 적용량
1/2/3/4 1.5초 - [1]
}}}}}}}}} ||

화력을 살짝 낮춘 대신 저지력을 얻은 디펜더. 이름은 폼멜에서 따온 것으로, 검술에서 칼자루의 아래 부분으로 상대의 머리를 내리치는 기술과 칼을 거꾸로 잡고 후려치는 머더스트로크를 의미한다.

디펜더에 비해 발당 화력이 낮고 연사력도 낮아서 퍼멜러의 자체적인 화력은 디펜더의 하위호환이다. 하지만 충격탄을 장비해서 타격시 강력한 경직을 가하여 적을 묶고 거대 데버스테이터의 방패를 열 수 있다. 거기에 순정에 비해 화력이 낮더라도 여전히 적당한 피해량과 한 손 파지라는 편의성, 낮은 반동 덕분에 버그, 오토마톤 양쪽 모두를 상대로 전투를 수월하게 이끌어 주는 훌륭한 무기로 평가받고 있다.

똑같이 충격탄환을 쓰는 리버레이터 컨커시브와 달리 퍼멜러는 아크 계열 무기의 특성인 기절 상태를 부여하는 특수한 탄환을 발사하는데, 타격한 적에게 효과 게이지를 쌓고 이 값이 일정 이상을 넘으면 해당 적은 기절 수류탄이나 EMS탄을 맞은 것과 유사한 기절 효과를 받는 형식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퍼멜러는 다른 무기들보다 월등하게 긴 시간 동안 적을 묶어둘 수 있고 차저와 같이 일반적으로는 경직이 통하지 않는 대상이라도 충분히 사격할 경우 기절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출시 초기에는 경직 실험 결과 차저나 헐크 같은 대형 적도 약점에 지속 타격 시 사실상 무한 스턴을 걸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어 버그성 성능이라는 추측이 나오기도 했다. 리버레이터 컨커시브나 다른 경직치가 높은 무기에서는 볼 수 없는 기믹이었기 때문. 경직치는 특정 패턴이 존재하는 적을 상대할 때 빛을 보는데, 몇 대만 맞춰도 스퓨어 종류는 토악질을 하려다 멈춰버리고 연사를 하면 스토커는 그 자리에서 꼼짝 못할정도로 무한 경직이 걸려버린다. 경직 요구치가 높은 버서커 조차 몇 발 맞으면 기절하며 로켓 데버스테이터거대 데버스테이터는 머리 위로 노출된 로켓 포드와 백팩을 맞추어도 기절하는 성능이라서 극지의 애국자 채권의 평가를 높여주는 주요 요인이다. 특히 오토마톤 전선에서 탄도 방패 배낭과 조합하면 거대 데버스테이터 무리와 정면으로 맞붙어도 경직과 방패로 참교육을 시키는 든든한 탱킹용 무기가 된다.

이후 퍼멜러가 차저나 헐크까지도 손쉽게 기절시키는 것이 과하다고 생각했는지, 대형 적의 기절 효과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는 패치가 이루어졌다. 기절 수류탄이나 EMS 효과에 대해서는 여전히 한 방에 기절을 먹는 적들이기 때문에 사실상 퍼멜러를 저격한 패치인 셈이다.

이름은 주먹찜질, 마구 때리는 자(Pummeler)라는 뜻.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프리미엄 전쟁 채권
극지의 애국자
2024-05-09
추가
  • 게임에 추가.
01.000.400
2024-06-13
간접
  • 중형, 대형 적이 쉽게 기절하지 않음.
    • 기절 효과가 있는 스트라타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주로 퍼멜러가 대형 적을 기절시키는 능력에만 영향을 줍니다.

6. 산탄총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가진 총이 대거 포진해 있는 무기군. 순간 화력이 매우 높지만, 각각 펠릿에 피해량이 분산되어 근거리일수록 강하고 원거리에서는 약해지는 클래식한 산탄총의 면모를 보여준다.

본작의 산탄총은 중거리에서도 펠릿이 그렇게 심하게 퍼지지 않으며, 거리별 대미지 감소도 없거나 거의 체감되지 않는 수준이기에 일반적으로 소총으로 대응할 만한 사거리에서도 의외로 화력이 낮지 않다. 약점을 맞출 필요가 없다면 범용성이 매우 높다는 의미. 이는 다른 말로 약점을 맞춰야 한다면 약해진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한 총기군에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총이 공존한다는 것도 특징. 강한 화력과 저지력이 필요하다면 브레이커퍼니셔, 단발 특수탄으로 강적을 하나씩 제거하는 용도라면 슬러거, 대량의 적을 광역으로 처리하는 용도라면 브레이커 스프레이 앤 프레이브레이커 인센디어리를 쓰면 된다. 에임만 받쳐 준다면 슬러거 같은 단일 특수탄 무기로 의외로 정밀사격도 커버 가능하다.

공통적인 단점은 휴행 탄수가 모자라다는 부분. 대량의 적을 상대할 때 생각 없이 쏴대다가는 총알이 모자랄 수 있다. 순간 화력과 높은 저지력으로 빠르게 위협요소를 제거하고 전장을 이탈하는 데 강하고, 완전한 섬멸을 목적으로 한다면 산탄총은 좋은 선택이 아니다.

6.1. SG-8 퍼니셔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SG-8 퍼니셔.png
||
<nopad>산탄총
SG-8 퍼니셔 SG-8 Punisher
강력한 듀얼 탄창 펌프 액션 산탄총으로, 장갑 관통력이 제한적입니다. 작고 빠른 표적에 적합합니다.
A powerful dual magazine pump-action shotgun, with limited armor penetration. Ideal for small and fast targets.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4


||<tablewidth=100%><tablebgcolor=#333,#ffe900><height=2><nopad>||<nopad>||<nopad>||<nopad>||
"헬다이버 출동!" 전쟁 채권 1/10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405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16
||
반동
120
연사율
80
속성 경장갑 관통[AP2] · 탄약 재장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산탄당 피해량[DMG] 45 일반 · 12 내구 ×9 산탄 수
장탄 수 16발
소지 탄약 [ruby(32,ruby=최초,color=#999)] / 60개
탄약 상자 보충 탄약 30개
재장전 시간 0.4초(준비동작) · 0.4초(발당) · 6.9초(전체)
발사 속도 80 RPM
분산도 150 ㏕ 수평 · 120 ㏕ 수직
인체 공학성[Ergo] 65%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ruby(40/40,ruby=수평 / 수직)] ㏕ [ruby(50/200,ruby=수평 / 수직)] ㏕
비고 한 발씩 장전 · 펌프 액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10게이지 벅샷(10-Gauge Buckshot)"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45 12 2 25-°/ 2 60-°/ 2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35 30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8mm 6g 5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385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9.2% 16.9% 30% 25%
}}}}}}}}} ||

10게이지 펌프액션 이중관형탄창 산탄총. 타 FPS에서 단골로 등장하는 펌프 액션 샷건으로, 디자인은 M&P12UTS-15를 섞은 것처럼 생겼다. 디자인에 사용된 현실 무기와 같이 장전 시 탄약을 한 발씩 넣는다는 특징이 있다.

성능은 산탄총 이라는 분류에 걸맞게 근접전 특화로, 근거리에서 소~중형 적의 정중앙이나 약점을 사격하면 대부분 한방에 처치할 수 있는 위력을 가지고 있다. 중거리까지도 제 위력이 나오므로 효율적으로 사용할려면 거리를 적당히 조절하는 능력이 요구된다. 또한 산탄에 살아남더라도 그 충격으로 인해 뒤로 밀려나거나 이동과 공격을 저지당하니 저지력도 뛰어난 편.

다만 펌프 액션이라는 특성상 연사력이 낮기 때문에 버그전에서 스캐빈저 같은 소형종이 물량으로 나오면 한방에 처치할 수는 있지만 한번에 하나씩 처치해야 하기 때문에 대규모 난전에서는 취약한 모습을 보이니 이런 경우 보조 무장이나 수류탄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재장전시 준비동작 없이 즉시 탄환을 장전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전작에서 사격 - 장전 - 사격 - 장전을 반복하는 것으로 소비한 탄약을 즉시 보충하는 테크닉도 사용할 수 있는데, 장전을 중간에 끊을 수 있기 때문에 위급 상황에서 즉각 대응 사격이 가능하고, 휴행 탄약을 버리는 낭비가 없다는 게 장점.

출시 초기엔 브레이커를 해금하기 전까지 잠시 거쳐가는 무기 취급이었으나 패치로 최대 탄약이 늘어나고 공격력과 저지력이 상향되어[182] 고질병이던 탄약 부족과 낮은 대미지 문제가 해소되었고, 현재는 높은 장탄 수와 더불어 뛰어난 유지력과 제압력을 보유한 중 소형 적 전담무기가 되었다. 스퓨어 계열이나 스토커는 물론 브루드 커맨더까지 9개의 펠릿 중 하나의 펠릿이라도 맞는다면 얄짤없이 경직에 걸리거나 뒤로 밀려나 버리며, 연신 폴짝거리는 헌터도 펠릿에 스치기만 해도 바로 경직에 걸려 후속 사격으로 확실하게 처치할 수 있다.

여담으로 헬다이버즈는 총화기 고증에 충실하여 자세히 봐야 알아차릴 수 있는 디테일까지 표현하고 있어서 극찬을 받고 있는데, 퍼니셔의 경우 탄창에 트임이 있어서 이곳으로 탄약이 얼마나 남았나를 볼수도 있다. 또한 현실에서 이중관형탄창을 사용하는 산탄총은 어느 탄창에서 탄약을 사용하는지를 전환레버로 정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다른 게임에서는 이러한 점을 표현하지 않지만 헬다이버즈 2에서는 이것을 구현해 놓았다.

이름은 응징자, 체벌자(Punisher)라는 뜻.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1.000.100
2024-03-06
변경
  • 탄약 소지 수가 40에서 60으로 증가.
  • 비틀거림 유발[ST] 능력 증가.
  • 펠릿당 대미지가 40에서 45로 증가.
    • 총 대미지가 360에서 405로 증가.

미표기
  • 반동이 110에서 120으로 증가.

6.2. SG-8S 슬러거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SG-8S 슬러거.png
||
<nopad>산탄총
SG-8S 슬러거 SG-8S Slugger
고중량 고대미지 슬러그 탄을 발사하는 개조형 퍼니셔 산탄총입니다. 대형 표적에게 큰 구멍을 내기에 적합합니다.
A Modified Punisher shotgun firing heavy, high-damage slugs. Perfect for punching holes in big targets.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60


||<tablewidth=100%><tablebgcolor=#333,#ffe900><height=2><nopad>||<nopad>||<nopad>||<nopad>||
"헬다이버 출동!" 전쟁 채권 8/10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250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16
||
반동
120
연사율
80
속성 일반 장갑 관통[AP3] · 탄약 재장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발당 피해량[DMG] 250 일반 · 75 내구
장탄 수 16발
소지 탄약 [ruby(32,ruby=최초,color=#999)] / 60개
탄약 상자 보충 탄약 30개
재장전 시간 0.4초(준비동작) · 0.4초(발당) · 6.9초(전체)
발사 속도 80 RPM
인체 공학성[Ergo] 65%(기본) 60%(실제)[187]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40/40,ruby=수평 / 수직)] ㏕ [ruby(50/200,ruby=수평 / 수직)] ㏕ 20 ㏕
비고 한 발씩 장전 · 펌프 액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10게이지 슬러그(10-Gauge Slug)"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250 75 3 25-°/ 3 60-°/ 3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30 35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18mm 50g 20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39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21.6% 35.4% 53.6% 25%
}}}}}}}}} ||

퍼니셔슬러그 건 형태 파생형. 단일 탄자인 10게이지 슬러그탄을 쏘는 특성상 산탄총이 아니라 단발 소총에 가깝게 운용이 변했다. 지정사수소총보다 높은 피해를 산탄총 특유의 높은 저지력과 함께 펌프액션으로 꽂을 수 있는 게 장점.

익숙해지면 나름 저격이 가능할 수준의 명중률이 나오며, 원본 무기처럼 장전을 취소하고 즉각 사격이 가능하고 조준선 정렬도 빨라서 오토마톤 전에서 약점 조준에 활용하기도 좋다. 경직 수치가 높아서 스퓨어급 중형 적도 경직을 가하여 공격 패턴을 취소할 수 있다. 반면 연사력이 굉장히 낮고 반동도 높으며 총 탄약량도 적어서 퍼니셔 이상으로 난전에 취약하다. 그래서 범용성 높은 무기라기보다 도미네이터, 스코처 등과 유사하게 일반 장갑 이상의 적을 저격하는 특수 목적 주무기로 활용된다. 셋 중 비교하면 탄속이 가장 빠르고 조작성이 좋아 정밀 조준 성능이 가장 뛰어나나 탄성비와 연사가 낮은 게 약점.

이전에는 예비 탄환이 40발이라서 지속적으로 탄 부족 현상에 시달렸는데, 패치로 예비 탄약 20발 추가 버프를 받으면서[188] 딱 아쉬웠던 부분이 개선되며 사용자가 확 늘고 저지력과 높은 피해량 덕분에 버그전에서 주력 픽으로 떠올라 만능에 가까운 면모를 보인 적 있다. 다만 패치[189]에 의한 성능 변화가 크다보니 고무줄처럼 사용자가 크게 늘어나고 줄어드는 다사다난한 역사를 지닌 총 중 하나이다.

여담으로 개머리판에 탄환이 붙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탄환은 장식이 아니라 실제로 탄약을 거의 전부 소진한 상태에서 재장전 시 재장전을 할 때마다 하나씩 사라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190] 다만 개머리판에 붙은 탄약을 꺼내서 장전하는 모션은 없어서 살짝 아쉬운 부분.

추가로 무기 선택창에서 총구 내부를 보면 실제 슬러그 건처럼 총열에 강선이 파여있다.

이름은 강타자(Slugger)라는 뜻. 야구 용어인 슬러거와 같은 말인데, 해당 총기가 쓰는 탄이 슬러그탄이라는 점에서 따 온 언어 유희가 들어가 있다.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01.000.100
2024-03-06
미표기
  • 에비 탄약 용량이 40에서 60으로 증가.
  • 반동이 110에서 120으로 증가.
01.000.200
2024-04-02
변경
  • 비틀거림 유발[ST] 능력 감소.
  • 철거 위력[DE] 능력 감소.
  • 대미지가 280에서 250으로 감소.
  • 무기고 메뉴의 장갑 관통력 태그를 경장갑 관통[AP2]에서 일반 장갑 관통[AP3]으로 수정.
01.000.400
2024-06-13
변경
  • 1인칭 조준점을 업데이트하여 가시성을 개선.[195]
01.001.002
2024-08-06
변경
  • 비틀거림 유발[ST]능력이 20에서 30으로 증가.
  • 항력 계수가 50%에서 200%로 증가.
  • 분산도 증가.

6.3. SG-20 홀트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SG-20 홀트.png
||
<nopad>산탄총
SG-20 홀트 SG-20 Halt
인도적 사항을 준수하기 위해 두 개의 독립된 탄창을 갖춘 무기입니다. 하나는 장갑 관통용 플레세트탄이고 다른 하나는 기절탄입니다.
A humane compliance weapon with two separate magazines: one for armor-penetrating flechette rounds and one for stun rounds.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20


||<tablewidth=100%><tablebgcolor=#bb101e><height=2><nopad>||
<bgcolor=#111> '''[[HELLDIVERS 2/스토어#진리의 집행자|
"진리의 집행자"
]] 프리미엄 전쟁 채권 1/3'''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385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16
||
반동
120
연사율
80
속성 경장갑 관통[AP2] · 일반 장갑 관통[AP3] · 탄약 재장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산탄당 피해량[DMG] <rowcolor=#555,#ddd> 플레셰트 기절탄
35 일반 · 10 내구 × 11 산탄 수 6 일반 · 2 내구 × 20 산탄 수
장탄 수 8 × 8발
소지 탄약 [ruby(32,ruby=최초,color=#999)] / 60개
탄약 상자 보충 탄약 30개
재장전 시간 1.2초(준비동작) · 0.3초(발당) · 3.6초(한 튜브)
발사 속도 80 RPM
분산도 300 ㏕ 수평 · 200 ㏕ 수직
인체 공학성[Ergo] 65%(기본) 60%(실제)[201]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ruby(40/40,ruby=수평 / 수직)] ㏕ [ruby(50/200,ruby=수평 / 수직)] ㏕
비고 한 발씩 장전 · 펌프 액션 · 탄종 변경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10게이지 플레셰트(10-Gauge Flechette)"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35 10 3 25-°/ 3 60-°/ 3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20 20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8mm 6g 3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385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5.5% 10.8% 19.8% 25%
<nopad>
<nopad>
<nopad>
"10게이지 기절탄(10-Gauge Stun Rounds)"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6 2 2 25-°/ 2 60-°/ 2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15 10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5.5mm 4.5g 3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80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4.4% 7.4% 13.9% 25%
<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결연함.svg 기절 효과
<rowcolor=#1c1d1f,#e0e0e0> 기절 등급 지속 시간 둔화 적용량
1/2/3/4 5초 - [1]
}}}}}}}}} ||

한쪽 튜브에는 플레셰트 탄환[202]을, 다른쪽에는 적을 기절시키는 탄환을 장전한 이중관형탄창 펌프액션 산탄총. 재장전 키를 길게 눌러서 총기 조정으로 튜브를 바꿔 어떤 탄환을 사용할지 정할 수 있다.

플레셰트 탄환은 퍼니셔 계열의 벅샷에 비해 피해량이 약간 낮고 저지력이 부족하지만, 일반 장갑을 관통 할 수 있으며 집탄률이 높기 때문에 중거리에서도 적을 쉽게 처치할 수 있다.

기절탄은 맞은 적을 기절시켜서 무방비 상태로 만드는 특수 산탄이다. 펠릿을 한 발이라도 맞으면[203] 대부분의 적이 기절하고 펠릿이 넓게 퍼지기 때문에 CC기로서 탁월한 성능을 보인다. 대신 피해량이 심각하게 낮아서 스캐빈저 같은 잡몹도 근거리에서 펠릿을 전부 맞춰야 겨우 사살할 수 있고, 헌터워리어 이상 되면 머리를 노려서 사격해도 최소 2발 이상이 필요하다. 기절탄은 적을 사살할 때 쓰지 말도록 하자.

적을 무방비하게 만드는 기절탄과 함께 일반 장갑을 관통하는 플레셰트탄을 사용할 수 있어 들고 가면 교전 난이도가 낮아진다. 우선 하이브 가드도 정면에서 머리에 플레셰트를 2발을 꽂으면 사살할 수 있고, 데버스테이터버서커, 브루드 커맨더스퓨어 계열도 기절탄으로 먼저 제압하고 편안하게 머리를 노려서 사격하면 처치할 수 있다. 때문에 어떤 패턴이 걸리던 난이도가 크게 하락한다. 다만 플레셰트탄이 집탄률이 나쁜 편은 아니지만 결국 산탄총이기 때문에 중~원거리에 있는 적을 대처하기가 힘드니 이를 보완할 수단을 챙겨야 한다.

또다른 단점으로, 홀트는 2개의 탄창에 각각의 탄환을 장전하기에 실질적으로 퍼니셔 계열과 비교해 탄창이 절반이다. 재장전 캔슬이 먹히니, 적절히 써서 반토막 탄창의 약점을 커버해주는게 좋다. 장전시 현재 선택된 탄약의 탄창만 장전하기에 전투 후 항상 다른쪽의 탄창도 확인하고 장전을 해줘야 한다.

사용할 탄종을 바꾸는 방법이 원버튼 형태가 아니라 총기 조정을 불러오고 바꾸는 형태라 사용하기 힘든 점도 단점이다. 무기 자체가 상황에 따라 두가지 탄종을 바꿔가며 사용하는 것을 전재로 만들어졌는데 사용하는 탄환을 바꾸는 방법이 번거롭다보니, CC능력은 좋지만 대미지가 낮은 기절탄을 사용하기 보다는 그냥 플레셰트 상태로 두고 장탄 수 절반짜리 퍼니셔/슬러거로 사용하기도 한다.

인게임 내에선 키 설정을 바꿔서 간이 형태로 탄종 변경을 원버튼 형태로 변형할 수는 있는데, 옵션 -> 마우스 및 키보드 -> 버튼 할당 변경 -> 전투 탭에서 "무기 휠 열기"와 "무기 휠 우"를 설정 되어 있지 않은 키로 바꾸고, 둘 다 누르기 상태로 해두면 할당해 놓은 키를 한 번 누르는 것으로 한 번에 탄종을 바꾸게 된다. 다만 이것은 홀트만 해당하는게 아니라 모든 무기가 동일하게 적용되는 공통 사항이 되기 때문에 이후 다른 무장을 사용할 때 불편할 수도 있으니 주의.

게임 외적으로는 해당 글을 참조하면 게임 옵션에서 설정된 키와 별개로 원버튼 형태의 탄종 변환이 가능하다. 역시 모든 무기에 동일하게 적용되지만 위 방법과 달리 무기 휠을 여는 키와 무기 설정을 조정하는 키가 여러 개가 되기 때문에[204] 무기 휠을 계속 열어둔 상태에서 수동으로 조절하는 방법과 딸깍 한 번으로 조정하는 방법 둘 모두를 사용 가능하다. 홀트 탄종 변환 외에 오토캐논의 대공포탄 탄종 변환, 기관총의 RPM 변환, 조준경의 배율 조절 등도 모두 원버튼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응용하는 것도 가능.

특이하게도 각각의 탄약을 따로 가지고 다니는 게 아니라 탄종 구분없이 60발의 여분 탄약을 가지고 다닐 수 있는데, 정작 장전할 때는 현재 선택한 탄종으로 바뀐다.탄환 인챈트 예비탄창도 퍼니셔와 같은 60발 밖에 되지 않는데, 2가지 탄이 한 탄창을 공유하다보니 두 탄환을 같이 운용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므로 한 탄환의 역할에만 집중해서 운용하는 것이 좋다.

사용자들의 평가는 극단적으로 나뉜다. 긍정적인 입장에서는 화력과 유틸성을 전부 챙겼다고 평하며, 부정적인 입장에서는 화력과 유틸성을 굳이 하나의 무기에 몰아넣은 탓에 어느쪽도 특화되지 못하여 실전성능이 애매하다 평한다.

이름은 정지(Halt)라는 뜻. 일반적으로 정지를 뜻하는 스톱(stop)보다는 고압적이고 군사적인 용어다.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프리미엄 전쟁 채권
진리의 집행자
2024-10-31
추가
  • 게임에 추가.

6.4. SG-451 쿡아웃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SG-451 쿡아웃.png
||
<nopad>산탄총
SG-451 쿡아웃 SG-451 Cookout
인이 함유된 작은 소이탄을 발사하여 목표물에 불을 붙이는 펌프 산탄총입니다.
A pump shotgun that fires a burst of incendiary phosphorus pellets, setting targets ablaze.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20


||<tablewidth=100%><tablebgcolor=#522e20,#fd9900><height=2><nopad>||
"자유의 불길" 프리미엄 전쟁 채권 1/3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320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16
||
반동
100
연사율
80
속성 경장갑 관통[AP2] · 탄약 재장전 · 소이[화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산탄당 피해량[DMG] 16 일반 · 3 내구 ×20 산탄 수
장탄 수 16발
소지 탄약 [ruby(32,ruby=최초,color=#999)] / 60개
탄약 상자 보충 탄약 30개
재장전 시간 0.4초(준비동작) · 0.4초(발당) · 6.9초(전체)
발사 속도 80 RPM
분산도 180 ㏕ 수평 · 140 ㏕ 수직
인체 공학성[Ergo] 65%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ruby(40/40,ruby=수평 / 수직)] ㏕ [ruby(50/200,ruby=수평 / 수직)] ㏕
비고 한 발씩 장전 · 펌프 액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10게이지 드래곤의 화염(10-Gauge Dragon Flame)"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16 3 2 25-°/ 2 60-°/ 2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35 30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8mm 2g 8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12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33.7% 52.5% 68% 100%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HELLDIVERS 2/시스템/피해 계산#상태 효과|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인화성 물질.svg {{{-2 {{{#!wiki style="display: none;display: inline;"]] ||
<rowcolor=#1c1d1f,#e0e0e0>
초당 피해
초당 피해 + 모듈
장갑 관통력 지속 시간 적용량
50
50 +13
4 / 4 / 4 / 0 3초 [ 1 ]
}}}}}}}}} ||

퍼니셔드레곤 브레스 소이 탄환을 장착한 파생형.

전체적인 성능은 퍼니셔와 동일하지만 소이탄 지속 피해를 합친 무기이다. 한 번에 적을 죽이지 못해도 화상 지속 피해를 통해 결국 죽일 수 있고 소이 특성상 산탄총 유효 사정거리 보다 멀리 있는 적들에게 탄환을 흩뿌려도 소이 피해를 묻혀 녹여버릴 수 있다. 여전히 산탄총급 저지력을 보유하고 있기에 중형 적들의 공격을 취소시키거나 크게 뒤로 밀어낼 수 있다.

분산도가 크다는 특징은 장단점이 있다. 다수 졸개를 상대할 때는 산탄을 흩뿌려서 경직과 화상 피해를 광역으로 가하기 좋은 특징이지만 중거리에서 단일 적을 상대할 때는 자탄이 새어나가서 BTK가 더 많이 필요하다.

소이탄과 화염 무기 계열을 통해 부여할 수 있는 화상 상태는 약 3초 동안 지속되며 매 초마다 약 50의 지속 피해를 입힌다. 다시 화상이 부여되면 중첩되는 대신 지속 시간이 갱신되는 메커니즘은 공통이다. 화상 피해는 맞은 부위에 무관하게 본체 생명력 풀에 피해가 누적되기 때문에 치명 부위[209]가 파괴되지 않는 이상 본체 생명력이 소진되어야 사망하는 게임 특성상 펠릿을 어디에 맞추었든 화상 피해를 강요한다. 사지 제거가 힘들다는 단점은 어떤 적이든 공평하게 화상 피해로 지질 수 있다는 장점이 되기도 한다.[210]

내구 피해가 낮아 내구력이 높은 적을 처치할 때 시간이 오래 걸린다. 특히 같은 패치에서 등장한 알파 커맨더는 약점인 머리가 2단계 경장갑에 내구력 70%를 두르고 있기 때문에 탄 낙차까지 고려하면 실전에서 6-7발가량을 머리에 맞춰야 한다. 따라서 이런 억센 적을 상대로는 경직과 화상을 먹인 후 지원 화기로 처리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 경우 블리처와 운용 방식이 유사해진다.

무기 하나에 소이 효과에 높은 저지력을 겸비하고 있어서 테르미니드전에서 매우 강력한 성능을 보인다. 헌터 미만 체급들은 소이탄 1~2 발이면 모조리 타 죽고, 헌터나 워리어들은 화상에 걸린 채로 머리가 날아가도 발악 패턴이 가능하지만 쿡아웃은 경직과 밀쳐내기로 그럴 가능성을 원천차단한다. 슈리커도 소이탄을 뿌려주면 에프킬라 맞은 해충처럼 떨어진다. 브루드 커맨더는 내구력이 높아 죽이는데 시간이 좀 들어가지만 역시 경직과 밀쳐냄으로 브루드 커맨더가 쓰는 가장 위험한 능력인 돌진과 머리 파괴 후 발악 패턴을 저지할 수 있다. 심지어 스토커도 넉백은 안되지만 경직을 시켜서 바보로 만들 수 있고 화상이 걸리면 위장을 해도 잘 보이기 때문에 후속 처치가 쉬워진다. 하이브 가드가 쿡아웃으로 상대하기 가장 성가신데 맞으면 어차피 제자리에서 고정 방어 상태가 돼서 저지력이 크게 필요 없는 적인데 반해 일반 장갑(AC 3)을 두르고 있는 데다가 약점 부위를 노리기에는 쿡아웃 분산도가 너무 크다보니 화상만으로 죽여야 돼서 급수에 비해서 탄약과 시간 소모가 큰 편이다. 이 경우 관통력 4 이상인 지원 무기로 교체하거나 보조 무기를 일반 장갑 관통이 가능한 버딕트[211] 혹은 아예 완전 관통AP 4이 되는 세나터나 크리스퍼, 혹은 그냥 테르미니드 전에서 인기 만점인 유탄 권총 2발로 처리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브루드 커맨더 발악 패턴이나 스토커 기습 때문에 갑자기 근접전에 휘말릴 수 있어서 테르미니드 전투에서는 무기 저지력이 중요하다. 이때 쿡아웃은 저지력과 잡졸 처리 능력을 동시에 갖고 있기 때문에 접근전에 걸린 상황에서 부시웨커 같은 것으로 교체하다 맞아 죽을 일이 적다. 보조 무기가 아예 근접전 대응이 불가능한 유탄 권총인 경우 쿡아웃과 역할 분담하기 더 좋다.

헬다이버스 2에서 실탄계 산탄총 테크닉 중 하나인 단발 사격 후 단발 재장전이 매우 유리하게 작용하는 무기기도 하다. 이 방식으로 사격하면 필연적으로 연사율이 떨어지는데 소이 무기 특성상 그동안에도 적들이 불타 죽기 때문에 탄약당 유효 피해량 자체는 오히려 올라가기 때문이다. 여유로울 때 단발 재장전하고 급할 때 전탄 발사 후 거리를 벌리면서 완전 재장전을 하는 식으로 싸우기 좋다.

이름은 야외 요리 파티(Cookout)라는 뜻으로, 조금 더 정확히 얘기하면 야외에서 먹는 요리의 대표주자인 바비큐를 뜻하는 말이기도 하다. 그래서인지 생김새가 바비큐 장비와 비슷한 편.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프리미엄 전쟁 채권
자유의 불길
2024-08-06
추가
  • 게임에 추가.

6.5. SG-225 브레이커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SG-225 브레이커2.png
||
<nopad>산탄총
SG-225 브레이커 SG-225 Breaker
높은 연사율의 전자동 산탄총으로, 군중 통제에 탁월합니다. 장전을 자주 해야합니다.
A fully-automatic shotgun with a high rate of fire, excellent for controlling crowds. Requires frequent reloading.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20


||<tablewidth=100%><tablebgcolor=#333,#ffe900><height=2><nopad>||<nopad>||<nopad>||<nopad>||
"헬다이버 출동!" 전쟁 채권 4/10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330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16
||
반동
55
연사율
300
속성 경장갑 관통[AP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산탄당 피해량[DMG] 30 일반 · 6 내구 ×11 산탄 수
장탄 수 16발(+약실 1발)
소지 탄창 [ruby(5,ruby=최초,color=#999)] / 7개
탄약 상자 보충 탄창 3개
재장전 시간 2.5초 · 1.8초(전술)
발사 속도 300 RPM
조정간 자동 | 반자동
인체 공학성[Ergo] 65%(기본) 60%(실제)[215]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23/35,ruby=수평 / 수직)] ㏕ [ruby(35/80,ruby=수평 / 수직)] ㏕ 100 ㏕
비고 전술 조명 · 레이저포인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12게이지 벅샷(12-Gauge Buckshot)"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30 6 2 25-°/ 2 60-°/ 2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15 10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8mm 4g 5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36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13.2% 24.4% 39.8% 25%
}}}}}}}}} ||

박스 탄창을 사용하는 12게이지 자동 산탄총. 전작의 동명 총과 같거나 조금 더 높은 위상을 가지고 있는데, 출시 초기 압도적인 화력으로 나사빠진 주무기들 중에서 한줄기 빛같은 성능을 뽐내며 보호막 생성 팩, 레일건과 함께 소위 교복핏으로 불리며 가장 많은 선택을 받는 난이도 불문 만능무기였고 무기의 상향 평준화가 이루어진 지금도 다양한 선택지 중 하나로 남아 있다.

산탄총 특성상 발당 위력이 매우 높은데, 이걸 연사로 사격할 수 있다보니 순간 화력이 매우 뛰어나서 헌터급 이하의 적들은 떼로 몰려와도 가볍게 치워버리며, 화력이 매우 높은 만큼 맷집이 강한 브루드 커맨더버서커, 또는 장갑이 벗겨진 중대형몹 조차도 연사로 짧은 시간 내에 절단낼 수 있다.

하지만 높은 순간 화력을 대가로 반동이 크기 때문에 꽤 높은 연사력과 합쳐져서 적절한 점사로 사격하지 않으면 탄을 허공에 흩뿌리는 경우가 있으며, 연사 능력에 비해 장탄 수가 16발로 조금 적은 편이라 다급하게 연사하면 금세 탄창이 바닥나기 쉽다. 조정간은 전자동과 반자동을 지원하는데, 거리가 조금이라도 벌어지면 반동 때문에 전탄 명중이 어려우므로 자동으로 조정간을 맞춰두고 평소에는 필요한 만큼 점사를, 근거리 대응 시 연사로 사격하는 것을 추천한다.

산탄총이면서도 펠릿의 분산도가 크지 않아 중거리까지 효과적인데, 그럼에도 오토마톤의 약점 부위에 정확히 정밀 조준이 될 만한 성능은 아니면서 일반적인 FPS류의 산탄총처럼 적당한 거리에서 뭉쳐 오는 적들 여럿을 한 발로 동시에 공격하는 상황은 거의 없는 꽤나 오묘한 영역에 속해 있다.
그래도 근중거리에서는 꽤 탄이 모이기 때문에 데바스테이터 머리를 1~3발 내에 따내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총기들도 크게 상향되며 브레이커의 너프[216]가 롤백된 현재 시점에는 출시 초기처럼 비교불가의 우위를 보여주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버그전, 오토마톤전을 막론하고 무난하게 선택할만한 총이라는 입지를 가지고 있다. 현재는 주로 중거리 화력이 우수하나 근접전에 문제가 있는 대물 소총, 오토캐넌 등의 지원 무기를 선택할 때 약점을 보완하는 느낌으로 선택되는 편.

여담으로 장탄 수 너프를 맞았을때 개발자들이 단순히 수치조정으로 그치지 않고 탄창을 두꺼운 더블스택 모델링에서 슬림한 싱글스택 모델링으로 교체[217]한적이 있다. 지금은 다시 장탄 수가 조절되며 원래 모델로 돌아왔지만 개발진의 미친 디테일을 엿볼 수 있는 부분.

이름의 뜻은 파쇄자(Breaker)라는 뜻.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01.000.100
2024-03-06
변경
  • 탄창 용량이 16발에서 13발로 감소.
    • 탄창 모델링 변경.[218]
  • 반동이 30에서 55로 증가.
01.001.100
2024-09-17
변경
  • 확장 탄창을 사용해 탄약 용량이 13개에서 16개로 증가.
  • 비틀거림 유발[ST] 능력이 10에서 15로 증가.

6.6. SG-225SP 브레이커 스프레이 앤 프레이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SG-225SP 브레이커 스프레이 앤 프레이2.png
||
<nopad>산탄총
SG-225SP 브레이커 스프레이 앤 프레이 SG-225SP Breaker Spray & Pray
개조형 브레이커 산탄총으로, 넓은 범위에 소형 표적을 소탕하는 작은 펠릿 형태의 버드샷을 발사합니다.
A modified breaker shotgun firing birdshot, small pellets which saturate and area to clear up smaller targets.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60


||<tablewidth=100%><tablebgcolor=#333,#ffe900><height=2><nopad>||<nopad>||<nopad>||<nopad>||
"헬다이버 출동!" 전쟁 채권 9/10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240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26
||
반동
45
연사율
330
속성 경장갑 관통[AP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산탄당 피해량[DMG] 15 일반 · 4 내구 ×16 산탄 수
장탄 수 26발(+약실 1발)
소지 탄창 [ruby(6,ruby=최초,color=#999)] / 8개
탄약 상자 보충 탄창 4개
재장전 시간 3초 · 2.1초(전술)
발사 속도 330 RPM
분산도 320 ㏕ 수평 · 60 ㏕ 수직
인체 공학성[Ergo] 50%(기본) 33%(실제)[223]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ruby(35/35,ruby=수평 / 수직)] ㏕ [ruby(35/50,ruby=수평 / 수직)] ㏕
비고 전술 조명 · 덕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12게이지 버드샷(12-Gauge Birdshot)"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15 4 2 25-°/ 2 60-°/ 2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3 1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3mm 1g 5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25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7.4% 14.6% 25.9% 25%
}}}}}}}}} ||

단발 위력이 살짝 낮은 버드샷 탄환을 물리고, 펠릿이 수평으로 넓게 퍼지게 하는 덕빌 초크와 장탄 수가 2배 정도인 드럼 탄창을 사용하여 옆으로 넓게 분산된 소형 적들을 상대하는데 특화된 개조형 브레이커.

경장갑 잡졸 물량들을 상대하는 데 특화된 무기로, 총의 이름인 Spray and pray 역시 정확한 조준 없이 무작위로 총알을 많이 발사하는, 정확도보다는 양으로 승부하는 전술을 의미한다. 이름처럼 난사하는데 최적화된 총기인데 피해량이 줄었지만 연사력이 소폭 증가하였으며, 소지 탄창 수가 1개 많고 드럼 탄창을 사용하기 때문에 탄 소비를 충당한다. 더구나 드럼 탄창을 사용함에도 장전속도가 원본 브레이커 보다는 살짝 느릴 뿐, 빠른 편이라 화력 공백이 짧다는 장점도 있다.

오토마톤 전에서는 기용하기 애매한 편이다. 트루퍼를 처리하기에는 좋지만 집탄률 때문에 교전거리가 멀어지면 그마저도 살상력이 급격히 떨어지고, 버서커가 밀고들어올 때 저지력이 없다는 것이 치명적이다. 그리고 오토마톤의 또 다른 주력인 데버스테이터는 머리를 제외하고 일반 장갑[AV2] 내지는 중장갑[AV3]을 두르고 있어서 작은 머리에 펠릿이 마구 박히는 게 아니면 공격이 완전히 무력화되는 점도 발목을 잡는다.

반대로 테르미니드 전에서는 원본이 탄소비로 허덕이게 되는 스캐빈저헌터 물량에게 매우 강력하다. 대형 유닛들의 빈도가 줄어들고 잡졸의 비율이 커진 패치 이후로는 나름 강점을 가진다. 탄착군의 형태가 위아래는 좁고 좌우로 긴 타원형을 하고 있어 양옆으로 퍼진 채 다가오는 스캐빈저와 헌터 무리를 상대하는데 유용하며, 특히 파운서 테이블을 탄약 걱정 없이 클레이 사격하듯 매우 손쉽게 상대할 수 있다. 다만 주 보병진을 이루는 워리어는 잡몹 주제에 생각보다 단단한 맷집을 가지고 있어서 사격을 여러 번 버텨내므로 낮아진 피해량을 감안해서 익숙해져야 한다.

출시 초기엔 만장일치로 주무장 중 최악이었고 실 테스팅조차 없이 단순 수치 딸깍질로 만들었다는 정황이 너무도 확실해서[226] 형편없는 무기 밸런스를 논할 때 빠지지 않고 언급되었다. 이후 지속적인 패치[227]를 통해 확실한 잡몹 특화 병기로 자리잡았으며, 인센디어리와 달리 넉넉한 탄창과 화염으로 인한 팀킬 문제에서 비교적 자유롭기 때문에 취향에 따라 고를 수 있는 선택지가 늘었다고 볼 수 있다.

2024년 12월 13일 일루미닛 침공 후 평가가 올랐는데, 좀비게임을 연상케하는 일루미닛 무권자의 압도적인 물량공세에 탁월하며 함선 쉴드(체력2500)를 파괴하는데 11~13발을 빠른속도로 퍼부울수 있기 때문이다.

옆으로 누워서 쏠 때는 펠릿이 수평이 아닌 수직 방향으로 퍼지는 깨알같은 디테일이 있다.

이름 뒤의 수식어는 흩뿌리고 기도하기(Spray & Pray)라는 뜻인데, 자동 무기의 사격 방식을 표현하는 군사 용어[228] 겸 마케팅 용어로, 아마추어들이 자동 화기를 아무렇게나 막 쏘면서 효과가 있기를 바라는 것을 설명하는 뜻이며, 마케팅적 용어로는 광고의 질 대신 자본과 홍보 수단을 잔뜩 동원해 물량빨로 밀어붙이는 비효율적인 마케팅 방식을 뜻한다. 한국으로 치면 질보다 양과 비슷한 의미. '스프레이' 와 '프레이' 의 영어 발음이 비슷하다는 점을 이용한 언어유희이기도 하다.[229]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01.000.100
2024-03-06
변경
  • 장갑 관통력 증가.
  • 연사율이 300에서 330으로 증가.
  • 한 발당 펠릿 수가 12에서 16으로 증가.
    • 총 대미지가 144에서 192로 증가
  • 탄창 용량이 32발에서 26발로 감소
01.000.400
2024-06-13
변경
  • 1인칭 조준점을 업데이트하여 가시성을 개선.[232]
01.001.100
2024-09-17
변경
  • 탄착군을 수직에서 수평으로 만들어주는 덕빌 총구를 탑재.[233]
    • 수직 분산도가 줄어들고 수평 분산도가 늘어남.
  • 총 대미지가 192에서 240으로 증가.
    • 펠릿당 대미지가 12에서 15로 증가
01.002.001
2024-12-13
변경
  • 인체공학성[Ergo]이 20에서 50로 증가.

6.7. SG-225IE 브레이커 인센디어리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SG-225IE 브레이커 인센디어리.png
||
<nopad>산탄총
SG-225IE 브레이커 인센디어리 SG-225IE Breaker Incendiary
소이 발사체를 발사하는 개조형 브레이커 산탄총입니다. 사용중에 발열이 심해서 연사가 제한적[235]입니다.
A modified breaker shotgun firing incendiary projectiles. Generates heat during use, so limited to burst fire.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60


||<tablewidth=100%><tablebgcolor=#2b2b2b,#111><height=2><nopad>||<nopad>||<nopad>||<nopad>||
'''[[HELLDIVERS 2/스토어#결연한 베테랑|
"결연한 베테랑"
]] 프리미엄 전쟁 채권 2/3'''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240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25
||
반동
41
연사율
300
속성 경장갑 관통[AP2] · 소이[화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산탄당 피해량[DMG] 20 일반 · 10 내구 ×12 산탄 수
장탄 수 25발(+약실 1발)
소지 탄창 [ruby(3,ruby=최초,color=#999)] / 4개
탄약 상자 보충 탄창 2개
재장전 시간 2.5초 · 1.7초(전술)
발사 속도 300 RPM
조정간 점사 | 반자동
인체 공학성[Ergo] 50%(기본) 32%(실제)[240]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20/25,ruby=수평 / 수직)] ㏕ [ruby(25/60,ruby=수평 / 수직)] ㏕ 300 ㏕
비고 전술 조명 · 레이저포인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12게이지 자유의 불꽃(12-Gauge Liberty Fire)"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20 10 2 25-°/ 2 60-°/ 2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10 10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8mm 2g 8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12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33.7% 52.5% 68% 100%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HELLDIVERS 2/시스템/피해 계산#상태 효과|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인화성 물질.svg {{{-2 {{{#!wiki style="display: none;display: inline;"]] ||
<rowcolor=#1c1d1f,#e0e0e0>
초당 피해
초당 피해 + 모듈
장갑 관통력 지속 시간 적용량
50
50 +13
4 / 4 / 4 / 0 3초 [ 1 ]
}}}}}}}}} ||

드래곤 브레스 소이탄을 장전한 브레이커. 전자동 대신 3점사[241]와 단발만 되며, 순정 브레이커에 비해 위력은 낮지만 적에게 불을 붙여 지속 피해를 준다.

수직 손잡이 덕분에 반동이 살짝 줄었고, 탄창을 4개만 들고 다닐 수 있지만 드럼 탄창을 사용하기에 일반 브레이커보다 장탄 수가 많으므로 실제 총 탄약량은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 단점으로 ㅡ자 조준선에 대부분의 펠렛이 집중되었던 원본에 비해 한참 넓은 범위로 펠렛이 튀기 때문에 15m 이내의 근거리가 아니면 화력이 분산되는 단점이 있다.

원본 브레이커에서 순간 화력을 덜어내고 지속 피해를 통해 장기 화력과 광역 잡졸 처리 능력을 향상시킨 버전으로, 스캐빈저 같은 잡졸이나 체력이 적은 헌터에게 일단 펠렛을 한발이라도 맞추면 2~3초 내에 화상으로 타 죽게 만드는 위력을 지녔다. 대신 브레이커가 잘 조준하면 일격에 워리어를 즉사시킬 수 있었다면 브레이커 IE는 근거리에서 전탄을 맞추더라도 지속 피해가 추가로 더해져야 사망하기에 TTK가 살짝 길다.

일단 적을 맞추기만 하면 화상 피해가 누적된다는 점 덕분에 헌터 이하급 테르미니드는 그 숫자에 상관없이 원거리에서 대충 쏘기만 해도 순식간에 삭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탄 퍼짐이 심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이는 오히려 정확한 조준 사격이 필요없게 만들어 사용자의 피로도를 크게 덜어준다. 이러한 점 덕분에 버그전을 피로하게 만드는 가장 큰 주범으로 지목받는 헌터, 그리고 마땅한 지원무기나 스트라타젬으로 처리가 쉽지 않은 슈리커를 상대로도 가장 효과적인 무기로 평가받는다. 탄 궤적이 곡사로 나가기 때문에 원거리에서 사용할 때는 약간 총구를 들어서 쏘는 것이 좋고, 최대한 많은 적에게 불을 붙인다는 느낌으로 넓은 범위에 대해 사격해주는 것이 좋다.

펠릿을 대다수 맞출 수 있는 초근접 거리에서 연사하는 상황이라면 화상 피해 뿐만 아니라 펠릿 자체의 대미지도 무시할 수 없는데, 장탄 수가 넉넉하여 높은 DPS로 굉장히 오랜 기간 동안 난사할 수 있어 브루드 커맨더스토커와 같이 체력이 높아 화상 피해로 처리하기 힘든 병종을 상대할 때도 효과적이다. 또 경장갑 관통[AP2] 무기 중에서는 하이브 가드의 처리능력이 상위권인데, 중장갑을 관통하지는 못하지만 장갑의 틈새로 파고드는 펠릿 대미지에 양념되는 화상 대미지를 통해 비교적 빠르게 처치가 가능하다.

다만 화상 피해는 차저바일 타이탄에게는 저항력이 있기 때문에 화상만으로 처치하려면 기본 맷집에 더해 처치하는데 끔찍하게 오래 걸리니 대전차 스트라타젬으로 상대하자. 스퓨어 계열도 체력이 많기 때문에 그리 효과적이지 않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브레이커 인센디어리의 펠릿 대미지는 거대부위 대상 감소율이 낮게 책정되어 있어 [243] 차저나 스퓨어를 상대로도 상당히 효율이 잘 나오는 무기에 해당한다. 특히 차저의 경우 화상에 저항이 있더라도 기절 수류탄으로 묶어두고 꽁무니 부분을 집중사격하면 웬만한 지원무기 안 부러운 TTK가 나온다.

원거리전이 주 양상인 오토마톤전에선 집탄률이 좋은 브레이커보다 유효 사격거리가 짧아 플레이어의 위험성이 높지만, 경보병 봇들은 불에 쉽게 녹일수 있어 증원을 부르는 경보병형 봇들을 빠르게 청소하는 용도로 쓸만하다. 특히 난이도가 높을수록 위험도가 높은 일반&중장갑 적들을 처리하는 쪽으로 무장 구성을 하는 것이 정석이지만, 경보병의 물량 공세도 있는지라 이들을 빨리 청소 안하면 증원 쿨타임 끝나는 대로 다시 증원을 부르는 악순환을 부를 수 있다.

몸체가 일반 장갑인 중보병 데버스테이터에게도 불이 붙기에 유의미한 화염 피해를 줄 순 있으나 순수 화염 피해로 죽이는데는 시간이 걸리기에 경장갑인 허리와 머리 위주로 쏴서 어느정도 피해를 누적 시켜야 한다. 경장갑으론 관통이 안되는 스카우트 스트라이더거대 데버스테이터는 어지간하면 대응이 어려우니 오토마톤전에서는 얌전히 집어넣자.

일루미닛 전에서 무권자 무리를 지워버리는 용도로 특화되어있으며 보호막을 벗기는 속도도 빠른 편이다. 다만 그 외의 목표물은 메인 체력이 높아서 화염 피해를 잘 버티기 때문에 제대로 잡기 힘든 편이다. 특히 와처는 25m 밖에 있을 경우 증원을 부르기 전에 혼자 저지할 수 없으므로, 쓰고 싶다면 반드시 단일 대상을 잘 잡는 지원 무기와 조합할 필요가 있다.

가장 큰 단점은 매우 큰 아군 오사의 위험이다. 산포되는 펠릿 중 하나에만 아군이 스쳐도 곧장 불이 붙으며 오사당한 아군이 불 붙자마자 바로 다이빙 해서 불을 끄지 않으면 1~2초 만에 바로 통구이가 된다.[244] 사실상 맞은걸 알아도 즉각 긴급회피를 하지 않으면 스팀팩 꽂는 속도보다 더 빠르게 사망 할 수 있기 때문에 아군의 위치를 잘 확인하고 사격해야한다. 숙련된 헬다이버들은 이 총으로 사격하다가 화면에 아군이 나타나면 바로 사격을 중지할 정도로 아군에게도 위험한 무기이다. 그래서 적절한 전투 장소와 위치를 빠르게 선점하는 능력이 아주 중요하다.

또다른 단점은 4개라는 매우 적은 탄창량이다. 드럼 탄창과 3점사 시스템 덕분에 전투시 생각보다 오래 사격할 수는 있지만, 화상 효과를 최대한 이용하지 못하고 스프레이 앤 프레이처럼 마구잡이로 갈기다 보면 어느 순간 탄창이 다 떨어지는 경우가 있으니 사격시 주의가 필요하다. 그나마 현장 보급시 박스 하나당 탄창을 2개 습득하므로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현장보급을 해주면 보급을 호출할 일이 적어지니 참고.

브레이커 너프 후 스프레이 앤 프레이와 함께 용도에 따라 적당히 기용되며 무난하게 쓰였으나 뜬금없이 2단 폭탄상향을 받은 데다가 화염 대미지가 들어가지 않던 기존의 버그도 픽스되면서[245] 버그전 한정으로 독보적인 성능을 가진 무기가 되었다. 아군 팀킬의 가능성이 다른 무기에 비해 꽤 크지만 사용자나 팀원이 조금만 신경써도 해결되는 단점이라 무기의 평가를 해칠 정도로 부각되지는 않는 편.

유독 강력한 위력 때문에 잘 이용하면 차저까지도 잡을수 있는 테르미니드 한정 최강 무기라 커뮤니티 사이에서도 너프가 예상되었고, 결국 8월 6일로 업데이트 된 자유의 확장 업데이트를 통해 반동 2배 증가, 여분 탄창 6개에서 4개로 줄어드는 너프를 받으면서, 총의 강력한 위력 자체는 전혀 줄어들지 않았지만 탄약 관리에 조금 더 신경써야 할 정도로 변했다.

너프 자체는 정당한 편이지만 너프 이유가 그저 사용률이 높다는 것 하나 뿐이어서, 사용률이 높아진 근본적인 이유인 헌터의 출현량의 지속적인 증가와 헌터의 설계 구조의 불합리함[246]에 대한 고찰이 없었기 때문에 기존의 너프식 밸런스와 다르지 않다는 불만이 나왔고, 새로 추가된 적들[247]로 인한 난이도 증가까지 겹쳐 민심이 최악으로 치달았다. 헬다이버 측에 체감될만한 상향이 아무것도 없었다는 것 역시 주요한 이유로 꼽혔다. 이 부분에 대한 피드백이 많았기에, 2024년 9월-10월 60일 패치에서 개발진의 밸런스 방향성은 브레이커 인센디어리를 비롯하여 자주 쓰이는 무장을 일단 그대로 둔 후 나머지 주무기와 보조무기를 버프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이름 뒤의 수식어는 방화범, 방화 사건(Incendiary)을 의미하며, 소이탄 등 소이 화기에 수식어로 붙는 단어이기도 하다.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01.000.200
2024-04-02
변경
  • 틱당 화염 대미지 50% 증가.모든 무기에 적용
  • 펠릿당 대미지가 15에서 20으로 증가.
    • 총 대미지가 180에서 240으로 증가.
01.000.302
2024-05-07
수정
  • 호스트가 아닌 경우에도 지속 피해 효과가 일관되게 적용되도록 수정.
01.001.002
2024-08-06
변경
  • 탄창 소지 수가 6개에서 4개로 감소
  • 반동이 28에서 41로 증가

7. 폭발성

폭발성 광역 무기를 비롯한 고화력 중화기가 포진되어 있는 무기군. 다른 주무장에 비해 주무장 화력이 훨씬 강한 대신 장탄수, 휴행탄, 조작성 등에 주무장스럽지 않은 하자가 있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에 다른 무기군과 조금 다른 세팅을 요구한다. 대표적으로 지원 무기로 주무장스러운 스털워트를 쓰고 주무장을 지원 무기처럼 쓰는 방법이 있다.

무기 대부분은 거대 신체부위[248] 혹은 비치명 부위[249]에 "내구 피해 Durable Damage"라고 해서 원래 위력에 비해 대폭 감소한 피해를 입히는데 폭발성 태그가 달린 무기는 이 내구 피해가 일반 피해와 동등하다.[250]

7.1. CB-9 익스플로딩 크로스보우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CB-9 익스플로딩 크로스보우.png
||
<nopad>폭발성
CB-9 익스플로딩 크로스보우 CB-9 Exploding Crossbow
직격 시 최대 대미지를 주는 강력한 폭발 화살을 발사합니다. 조준 시 중력을 고려하십시오.
Fires powerful exploding bolts which do maximum damage upon direct impact. Gravity must be accounted for when aiming.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80


||<tablewidth=100%><tablebgcolor=#111,#000><height=2><nopad>||<nopad>||<nopad>||<nopad>||
"민주적 폭파" 프리미엄 전쟁 채권 3/3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620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5
||
반동
35
연사율
50
속성 일반 장갑 관통[AP3] · 폭발성 · 한 손 파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발당 피해량[DMG] <rowcolor=#555,#ddd> 직격 폭발
270 일반 · 50 내구 350 일반 · 350 내구
장탄 수 5발(+약실 1발)
소지 탄창 [ruby(6,ruby=최초,color=#999)] / 8개
탄약 상자 보충 탄창 4개
재장전 시간 3.3초
발사 속도 50 RPM
인체 공학성[Ergo] 45%(기본) 40%(실제)[254]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25/25,ruby=수평 / 수직)] ㏕ [ruby(10/45,ruby=수평 / 수직)] ㏕ 0.5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폭발성 석궁 볼트(Crossbow Bolt Explosive)"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270 50 3 25-°/ 3 60-°/ 3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30 30 10
##폭발범위 그래프 작성법: B=A+1, 노랑A=하양B+2. 하양A, 주황A, 회색A로 그래프 범위를 정해주세요. 주황A의 최대 수치는 115입니다.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강화.svg 폭발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350 350 3 25-°/ 0 60-°/ 0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20 25 30
<rowcolor=#555,#ffe900> 폭발 범위
<rowcolor=#1c1d1f>
[ruby(7m,ruby=충격파)]⠀[ruby(6m,ruby=바깥 피해)]⠀⠀⠀[ruby(3m,ruby=중심)]⠀⠀⠀[ruby(6m,ruby=바깥 피해)]⠀[ruby(7m,ruby=충격파)]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15mm 100g 100% 5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10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3.9% 7.5% 13.7% 25%
}}}}}}}}} ||

폭발성 볼트를 장착한 현대식 석궁. 일반 장갑 관통[AP3]에 표기 및 실제로도 단일 대상으로 가장 강력한 피해량을 가졌고, 범위 피해로 다수의 적에게도 강하며 직격 시 강한 저지력과 적정한 철거 위력으로 뛰어난 유틸성능을 가지고 있는데 한손파지까지 있어서 모든 상황에 유용한 제일 사기적인 장비로 언급되며 사실상 1번 무기의 탈을 쓴 3번 무기다. 일단 현재 밸런스 기준으로 한국 헬다이버들이 뉴비에게 가장 추천하는 무기로 자리잡고 있다.

유이한 단점은 무기자체가 쏘는 맛이 부족하여 재미가 부족하다는 점과 오사로 인한 자해 또는 아군 상해 위험성과 인접한 지면을 향해 일정 각도로 사격 시 도탄이 발생되어 어느정도 숙련과 경험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무조건적으로 뉴비에게 추천하기에는 난감하다고 할 수 있지만 그 단점을 지워버릴 정도로 범용성이 너무나 편리해서 묻힐 정도, 자해 및 아군 상해라고는 적어놨지만 실은 왠만해선 자폭하기도 힘들다. 대부분은 폭압에 쓰러질 뿐이다.

화학 추진이 아닌 물리력으로 발사되나 발포 소음 자체는 밸런스 문제로 다른 주무기와 다르지 않으며, RPM이 낮고 발사체인 볼트에 탄낙차가 있다. 대략 50m 거리를 넘어가면 조준점에서 2m 정도 밑에 떨어지며, 100m가 넘어가면 10m까지 차이난다만 유탄 무기와 비교하면 경미한 낙차이다. 대신 발사체인 볼트의 크기가 작아 다리를 번쩍 든 워리어브루드 커맨더는 물론, 오토마톤 병력의 다리나 겨드랑이(특히 데버스테이터) 사이로 화살이 빠져나가는 일이 있을 수 있으니 주의하여 머리 끝을 노리고 사격하는게 좋으며, 근접한 적을 대응하기 위해 지면 사격 시 일정 각도에선 도탄되어 더 멀리 날아갈 수 있다는 점을 숙지하는게 좋다.

다른 유탄 무기와 비교하면 피해량이나 피해 범위, 공격속도 등에서 손색이 있긴 있다. 대표적으로 유탄에 있는 자폭에 대한 안전장치가 없다. 하지만, 유탄 권총을 재장전 없이 여러발을 더 멀리 쏠 수 있고, 충분히 거리가 떨어져 있거나 목표 대상이 된 상태가 아니라면 저속 유탄 발사기처럼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은 다른 단점을 가려준다.

주무기에서 중요한 것은 운용시간과 신속성인데 충분한 탄약량을 받기 때문에 재보급 없이 증원 병력을 혼자서 섬멸하는게 아니라면 자연스럽게 다음 재보급이나 부가관심지점에서 탄약을 보충할 수 있고 주무기라서 죽을 경우 바닥에 드롭되어 주워서 쓸 수도 있고 증원으로 보충할수도 있어서 운용시간에는 큰 문제가 없다. 신속성도 탄창에 5발이 장전되고 약실 장전[256]을 지원하여 필요한 경우 6발을 연속으로 사격할 수 있다. 또한 전술 재장전이 없기 때문에 최고 효율을 위해 탄약을 굳이 관리하지 않아도 된다. 대신 재장전 시 안전을 위한 충분한 거리 확보는 요구된다.

이러한 장점을 통해 충분한 교전거리만 확보하다면 기간병이나 뭉쳐있는 총알받이를 섬멸하는데 충분한 위력을 가지고 있고, 분대장급 적들도 3~4방 직격이면 쓰러트릴 수 있다. 특히 인간형 적들은 머리를 맞추면 즉사시키기에 충분한 피해량을 가지고 있어서 지정사수소총 무기의 속성도 일부 가지고 있다. 교전거리가 부족하여도 숙련을 통해 근접한 적들 인근 지면을 사격하여 대응할 수 있다.

이렇게 모든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팔방미인이지만, 적이 7m이내에 진입하면 절대 사격해선 안된다. 3~5m 이내에선 즉사할 위험성이 있고, 7m 이내라도 레그돌로 튕겨나가 또 다른 위험에 처할 여지가 생긴다. 당연히 아군을 지원사격 할 때도 그러한 범위 피해 거리를 생각해서 사격해야 한다.

이름은 폭발하는 석궁(Exploding Crossbow)이라는 뜻.

[ 테르미니드 전장 ]
폭발 범위가 크고 피해량과 경직 수치가 높아 잡졸들은 보통 1방에 여러 마리를 처치할 수 있고, 기간병이나 분대장도 아무리 많아야 2~3발[257] 이내로 처리 가능하며, 적이 폭발에서 살아남아도 폭발의 저지력을 통한 제압 효과로 덕분에 일방적인 공격도 가능하다.
특히 민첩하게 좌우로 회피 기동을 하는 헌터나 맷집은 약한 주제에 대량으로 몰려나오는 스캐빈저 급 적들을 처리할 때 유용한데, 적에게 직격탄을 내지 않아도 그냥 근처에만 조준하고 사격하면 폭발 범위가 크다는 점 덕분에 여러 마리를 동시에 사살하는 경우가 많아서 매우 편하다. 다만, 바닥이나 벽면에 쏘는 경우에는 입사각에 따라서 도탄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 오토마톤 전장 ]
한 손 파지 무기로 개편된 후에는 오토마톤을 상대로 하는 방탄 방패 로드아웃에서 데버스테이터, 강화 스카우트 스트라이더 처리 및 기지 파괴 용도로 쓸 수 있는 독특한 무장이 되었다. 따라서 무기 자체의 상향이라기보다는 탄도 방패 배낭의 상향으로 평가받으며 빌드의 다양성을 늘렸다는 좋은 반응을 얻었다. 잡졸들은 폭발로도 쉽게 사살이 가능하며, 데버스테이터는 얼굴에 한 방, 몸통은 어딜 맞추든 직격 두 방이면 사살할 수 있다. 거대 데버스테이터나 스카우트 스트라이더(강화 포함)를 상대로도 정면 방패에 폭발 피해를 입혀서 사살할 수 있다.


[ 일루미닛 전장 ]
실드를 펼치든 말든 오버시어를 직격 두 방에 사살이 가능하다. 폭발 무기인 만큼 밀집한 무권자에게도 유용하지만 낮은 장탄수와 느린 재장전 속도로 고생할 일이 많다[258]. 아무래도 고위 오버시어나 와쳐같은 비행체를 상대하기엔 석궁의 느린 탄속과 낙차 때문에 좀 까다로운 면이 없잖아 있지만, 어쨌든 다른 주 무기들에 비해 오버시어를 쉽게 처치할 수 있고, 전초 기지 주변의 테슬라 타워도 한 방에 철거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한 편이다.


[ 패치노트 여담 ]
이럽터와 비슷하게 패치를 통해 무기 스펙이 휙휙 바뀐 무기중 하나다. 출시 시점에는 탄속과 낙차가 더 나쁘고 철거 능력도 없었지만 살상 범위가 10 미터 정도라서 광역으로 잡졸을 처리하는 무기로서 나쁘지 않은 성능을 보였다. 그런데 출시 직후 패치로 명목상의 '조정' 과정에서 경직과 탄속이 늘어난 대신 살상 범위가 매우 좁아지고 약한 피해량은 그대로에 결정적으로 직격 피해가 일반 장갑 관통[AP3]인데 반해 폭발 피해가 경장갑 관통[AP2] 이라서 소형 적들도, 일반 장갑 적들도 못잡는 사용처 없는 신세로 전락했었다.

이후 폭발 피해 관통력이 직격과 같아지고, 피해량이 2차례에 걸쳐서 유탄과 동일한 수준으로 상향되어 헐크의 등을 단 2발에 터뜨릴 만큼 강해졌으며, 결정적으로 전초기지 철거 능력이 생기더니 폭발범위가 50% 증가하면서 매우 강력한 무기로 재탄생했다. 워낙 파격적인 성능이 된 탓에 파편을 롤백받은 이럽터보다 관심을 받아서 이럽터가 오히려 약간 묻혀버리고, 오폭과 소형 적 처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원 무기로 소형 적 상대 특화인 스털워트를 들거나 보조 무기로 대거를 드는 조합까지 고려될 정도이다.[261] 아예 무반동포를 같이 드는 극단적인 화력조합, 테르미니드전에서 지원 무기를 안 들고 공격과 센트리 스트라타젬만 들고 오는 노획 조합[262]도 제시되고 있다.

밸런스 측면에선 재미가 없다는 점을 빼면 너무나 효율이 좋아 개발진 입장에선 골치아픈 무기가 되었다. 지금까지 개발진의 행보와 그에 따른 유저들의 평가 테러와 대거 이탈 등 유저 여론의 눈치[263]를 살펴야하는 개발진의 입장에선 섣불리 무기를 너프시키거나 리밸런싱을 하기가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장탄수 증가로 인한 휴행 탄창 수 감소를 제외하면 근 몇 개월간 모든 무기들은 거의 상향만 받고 반대로 적들은 지속적인 너프로 약해지고 있다.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프리미엄 전쟁 채권
민주적 폭파
2024-04-11
추가
  • 게임에 추가.
01.000.300
2024-04-29
변경
  • 폭발범위 소폭 감소.
  • 비틀거림 유발[ST] 능력이 증가.
  • 인체공학성[Ergo]이 약간 감소
  • 발사체 속도가 증가.
  • 최대 탄창 소지 수가 12개에서 8개로 감소.
  • 재보급으로 보충하는 탄창 수가 6개에서 8개로 증가.

수정
  • 폭발성 무기들이 플레이어와 적을 밀쳐내는 것이 아닌 폭발위치로 끌어당기던 현상을 수정.
01.000.400
2024-06-13
변경
  • 폭발 장갑 관통력이 발사체와 동일하게 증가.
    • 폭발 피해 관통력이 경장갑 관통 [AP2]에서 일반 장갑 관통[AP3]로 증가..
  • 폭발피해의 철거 위력[DE]이 15에서 20으로 증가.
    • 버그 구멍과 봇 제조기 건물 파괴 가능.
  • 무기고 설명에 일반 장갑 관통 태그 추가.
  • 1인칭 조준점을 업데이트하여 가시성을 개선.[269]
01.001.002
2024-08-06
변경
  • 한 손 무기로 변경.
01.001.100
2024-09-17
변경
  • 폭발 반경이 50% 증가.
    • 중심 범위가 2m에서 3m로 증가.
    • 바깥 범위가 4m에서 6m로 증가.
    • 충격파 범위가 5m에서 7m로 증가.
  • 폭발 대미지가 150에서 350으로 증가.
01.002.001
2024-12-13
미표기
  • 직격피해의 철거 위력[DE]이 0에서 30으로 증가.
    • 바리게이트, 환풍구, 불법방송탑 등 더 많은 오브젝트를 파괴 가능.

7.2. R-36 이럽터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R-36 이럽터.png
||
<nopad>폭발성
R-36 이럽터 R-36 Eruptor
이 볼트 액션 소총은 착탄시 사방으로 파편을 날리는 제트 추진 탄약을 발사합니다. 근접전에서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This bolt-action rifle fires jet-assisted shells that explode shrapnel in all directions upon impact. Not recommended for close-quarters use.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60


||<tablewidth=100%><tablebgcolor=#111,#000><height=2><nopad>||<nopad>||<nopad>||<nopad>||
"민주적 폭파" 프리미엄 전쟁 채권 2/3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455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5
||
반동
75
연사율
25
속성 일반 장갑 관통[AP3] · 폭발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발당 피해량[DMG] <rowcolor=#555,#ddd> 직격 폭발
230 일반 · 115 내구 225 일반 · 225 내구
파편당 피해량[DMG] 110 일반 · 35 내구 ×30 파편 수
장탄 수 5발(+약실 1발)
소지 탄창 [ruby(4,ruby=최초,color=#999)] / 6개
탄약 상자 보충 탄창 3개
재장전 시간 4.7초 · 2.8초(전술)
발사 속도 25 RPM
조준경 50m | 100m | 200m
인체 공학성[Ergo] -14%(기본) -28%(실제)[275]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30/30,ruby=수평 / 수직)] ㏕ [ruby(50/120,ruby=수평 / 수직)] ㏕ 10 ㏕
비고 볼트 액션 · 125m 이후 자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20mm JAR 피닉스(20mm JAR Phoenix)"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230 115 3 25-°/ 3 60-°/ 3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30 35 20
##폭발범위 그래프 작성법: B=A+1, 노랑A=하양B+2. 하양A, 주황A, 회색A로 그래프 범위를 정해주세요. 주황A의 최대 수치는 115입니다.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강화.svg 폭발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225 225 3 25-°/ 0 60-°/ 0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20 35 40
<rowcolor=#555,#ffe900> 폭발 범위
<rowcolor=#1c1d1f>
[ruby(8m,ruby=충격파)]⠀⠀⠀[ruby(7m,ruby=바깥 피해)]⠀⠀⠀[ruby(4m,ruby=중심)]⠀⠀⠀[ruby(7m,ruby=바깥 피해)]⠀⠀⠀[ruby(8m,ruby=충격파)]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15mm 100g 0% 4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18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3.9% 7.5% 13.7% 25%
<nopad>
"파편(Sharpnel Standard)"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110 35 3 25-°/ 3 60-°/ 3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10 20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10mm 100g 4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3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1% 1.4% 2.7% 25%
}}}}}}}}} ||

20mm 제트추진 폭발탄을 발사하는 볼트액션 소총... 이라곤 하지만 실질적으로 유탄발사기에 가깝다. 정밀함을 강조한 유탄발사기라는 점에서 바렛 XM109를 연상시킨다.

탄두엔 시한-충격 신관이 내장되어 있어서 일정 거리를 비행하거나 적 혹은 지형지물에 착탄 시 폭발하며 1차로 피해를 주고 세열 수류탄과 동일한 파편을 흩뿌린다. 일반 장갑까지 관통하는 폭발 피해와 더불어 파편까지 있어 발당 화력은 폭발 무기 중 제일 강하다. 무엇보다 주 무기 중 익스플로딩 크로스보우와 함께 버그 굴과 봇 제조기 같은 전초기지, 관심 지역에 있는 컨테이너나 철조망, 정글 행성의 식생 등을 파괴할 수 있는 독보적인 특징을 보유한 무기.

파편이 있다는 특징 덕에 상황에 맞는 운용이 필요하다. 중형 적에겐 직격을 맞추고 다수의 경장갑 적은 지근거리에 폭발시키는 방식으로 살상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단, 파편이 튀는 탓에 오사 위험이 커서 근거리에선 웬만하면 쓰지 말아야 한다.

단점은 처참한 조작성과 전투 지속력이다. 현실에 있는 대다수 볼트 액션 소총은 노리쇠가 무기 후방에 달려 있는데, 이럽터는 다른 슈퍼 지구산 소총류처럼 H&K사 특유의 장전 손잡이를 연상시키는 노리쇠가 전방 총열 덮개의 끝자락에 존재한다. 이런 구조상 연사력이 매우 낮은데다가, 총이 상당히 크고 무겁기 때문인지 조준선 정렬 속도가 어마어마하게 느려 난전에서는 거의 맞추지 못한다. 여담으로 반자동, 점사 총기인 도미네이터와 똑같은 디자인이다.

또한 무게 때문인지 장전 속도가 상당히 느리며, 탄창을 비워도 노리쇠를 잡아당기고 탄창이 빈 상태에서 재장전하면 또 당기기 때문에 이럽터는 꼭 장탄을 1발은 남긴 상태에서 전술 재장전을 추천한다. 좌측 하단의 HUD에서 탄창 아이콘 붉은 색이 되면 무조건 1발 남은 상태이니 전술 재장전하자.

탄창 하나에 5발만 들어가 있고 휴행 탄창도 6개가 전부라 전투가 늘어지면 순식간에 탄창이 절반 이하로 줄어든다. 최대 사거리도 100 미터로 그 이상 날아가면 발사체가 자폭해버려서 초장거리 교전은 불가능한 점, 입사각이 너무 안 좋으면 도탄하기도 한다는 점, 폭발 범위가 커서 지근 거리 사격 시 자폭 위험이 있다는 점 등 사용 주의사항이 너무 많다.

기물 파괴 능력이 돋보이는 폭발성 석궁유탄 발사기와 자주 비교되는 무기이다. 이럽터가 직사 화기로서 빠른 탄속과 직관적인 조준 방식 덕분에 20~100 미터 교전거리에서 우수한 점이 있지만 지근 거리 자폭 위험이 다른 두 무기에 비해서 훨씬 크고[276] 초장거리로 가면 시한신관 문제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럽터는 버그 굴, 봇 제조기 이하를 파괴할 수 있는 주 무장이라는 차별점에 주목해, 기존 주무기-지원무기와는 정반대 조합으로 주로 쓰인다. 따라서 로드아웃에 컨셉을 정하거나 헌터등 이럽터로는 도무지 상대할 수 없는 적을 겨냥한 지원 화기와의 적절한 조합이 권장된다. 일반적으로는 취약한 근접전을 보완하기 위해 기관총, 스털워트 경기관총, 화염방사기 등 난전에 강한 연사력 좋은 무기를 선호하며, 아예 각 잡고 인간 센트리가 되어 적 무리에게 포위당하면 깔끔하게 폭탄 쏘고 같이 죽겠다는 심보오토캐넌, 유탄 발사기, 대물 소총, 무반동포 같이 근접전을 포기하는 세팅을 해서 팀원이 앞을 막는 동안 뒤에서 멀리 있는 적들을 맡는 플레이도 괜찮다. 정 난전 시 근접 대응이 필요하다면 이글 기총소사, 궤도 개틀링 폭격, 궤도 EMS 타격처럼 정밀하고 빠르게 자주 던질 수 있는 공격 스트라타젬 하나 정도 끼워넣는 것도 방법이다.

참고로 사격 직후 보조 무기로 교체한 다음 무기를 드는 모션이 나올 때 다시 이럽터로 바꿔들거나 스트라타젬 콘솔 조작 모션으로 후 딜레이를 캔슬하는 버그성 테크닉이 있다. 또 흙바닥류의 지면에 사격하면 폭발형 무기 마냥 조금씩 파낼 수 있다.

이쪽도 석궁만큼이나 다사다난한 일대기를 거쳤다. 출시 초기에는 이 파편 피해량이 어마어마해서 차저헐크도 발 밑에 사격해서 파편을 배면에 집중시키는 방식으로 처치할 수 있을 정도로 화력이 우수했다.[277] 게다가 파편 비산 범위가 워낙 넓어 대규모 물량도 선제타격으로 지우고 시작할 수 있었는데, 여기에 너프 전에는 휴행 탄창 무려 12개로 넉넉했기 때문에 처참한 조작감이란 단점에도 불구하고 만능 무기로 꼽혔다[278]. 이후 휴행 탄창 절반 감소 너프를 맞았고 파편 기믹마저 사라지면서 개성이 사라져 채용률이 급감했다. 당시 커뮤니티 반응은 브레이커, 레일건 너프의 재림이라며 너프 위주의 밸런싱 비판에 불을 지르기도 했다. 다만 마냥 비판만 할 수 없는 것이 당시 이럽터는 파편으로 이글 집속탄 파편을 사용해서 파편 대미지 덕분에 한 발에 9000 이상 총 피해량이 뽑히고 10 미터 거리 이상에서 사격해도 이 파편이 근처 아군은 물론 사용자에게까지 튀는 바람에 종잡을 수 없는 결과를 내서 제거했다고 한다.
나중에 폭발 피해량을 늘려줬지만 특색이 사라진지라 사용률이 크게 떨어졌었고, 이후 세열 수류탄이랑 사용이 동일한 파편이 다시 추가되면서 초창기의 명성을 되찾는데 성공했다[279].

다른 조작성이 나쁜 무기가 그렇듯이 독사 특공대 전쟁 채권에서 조작성을 개선하는 이상적인 체형 방어구 패시브가 등장함에 따라 수혜를 크게 본 대표적인 무기로 손꼽힌다. 사용자에 따라 실감은 다르겠지만 스털워트 약간 아래 수준으로 개선된 정도이다.

이름은 분출자(Eruptor)라는 뜻.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프리미엄 전쟁 채권
민주적 폭파
2024-04-11
추가
  • 게임에 추가.
01.000.300
2024-04-29
변경
  • 폭발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피해가 줄어드는 정도가 증가.중심 or 바깥범위 감소(추정)
  • 최대 탄창 수가 12개에서 6개로 감소.

수정
  • 폭발성 무기들이 플레이어와 적을 밀쳐내는 것이 아닌 폭발위치로 끌어당기던 현상을 수정.

미표기
  • 이럽터의 파편이 헬다이버에게 대미지를 주지 않던 현상을 수정.
01.000.302
2024-05-07
변경
  • 폭발 피해가 40 증가.
    • 폭발 피해가 150에서 190으로 증가.
  • 파편 제거.

수정
  • 1인칭 시점에서 일부 무기의 영점이 정렬되지 않던 문제를 수정.
01.000.400
2024-06-13
변경
  • 총 대미지가 420에서 570으로 증가.
    • 폭발피해가 190에서 340으로 증가.
    • 직격피해는 변하지 않음.
  • 1인칭 조준점을 업데이트하여 가시성을 개선.[280]
01.001.100
2024-09-17
변경
  • 유산탄이 돌아왔습니다! 여러분의 의견에 힘입어 유산탄을 다시 도입했습니다. 기존의 유산탄을 세열 수류탄 파편으로 대체하였고, 이로써 더 이상 헬다이버를 한 번에 처치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간혹 운 나쁘게도 헤드샷을 당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말이죠. 또한 유산탄의 양을 늘렸습니다
  • 파편 재추가.
    • 폭파시 30개의 파편 비산.
    • 파편 일반/내구 대미지는 110/35.
  • 폭발 대미지가 340에서 225로 감소.
  • 폭발 반경이 33% 증가.내부 반경의 17%, 외부 반경의 50%에 해당하는 크기.
    • 중심 범위가 2m에서 3m로 증가.
    • 바깥 범위가 6m에서 7m로 증가.
    • 충격파 범위가 6.5m에서 8m로 증가.
01.001.201
2024-10-29
미표기
  • 총기의 발사소리 변경.

8. 에너지계

실탄을 쓰지 않는 에너지 기반 무기. 레이저, 플라즈마, 아크 계열이 여기 속한다.
레이저
레이저 무기는 탄창 제한이 없고 재장전 없이 지속적으로 발사할 수 있으나, 장시간 사용할 경우 방열판에 무리가 가 교체해야 한다.[281] 그래서 레이저 무기는 과열 관리만 하면 실질적인 무한 탄창이다. 그러나 과열이 식는데 꽤 오랜 시간이 소요되므로, 화력을 계속 투사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과열을 너무 신경쓰기보다 방열판을 적극적으로 교체해가며 싸우거나, 잠시 부무장과 수류탄, 스트라타젬을 쓰면서 숨을 돌리는 편이 낫다.

전작에서는 레이저 무기의 실질적 무한 탄창이라는 특징을 이용해 재보급 스트라타젬을 빼고 다른 스트라타젬을 챙기는 식의 메리트를 가져갈 수 있었으나, 본작에서는 재보급 스트라타젬이 슬롯을 차지하지 않고 공용으로 기본 제공되므로 무한 탄창이라는 강점을 살리기 조금 어려워졌다. 그럼에도 보급 필요도를 낮추어 아군에게 더 많은 보급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작과 달리 반드시 재보급을 주기적으로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 보다 적극적으로 방열판을 소모시켜가며 화력을 투사할 수 있게 되었으니 꼭 시스템적으로 손해를 본 것만은 아니다.

레이저 무기의 과열 속도는 행성 환경 특성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오로지 과열 수치가 식는 냉각 속도만 행성의 혹한, 혹서 효과를 받는다. 다만 혹한, 혹서 효과 자체가 레이저 무기의 연사속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사실상 과열 속도가 바뀌기는 한다.

레이저류 무기는 과열이 최대치가 되면 자동으로 I.C.E.[282] 라고 불리는 방열판이 사출되는 방식이라 일반 재장전 시 노리쇠를 당겨줘야 하는 실탄 병기와 달리 기존의 방열판을 수동으로 제거하고 새것으로 갈아끼우는 전술 재장전보다 새 방열판을 끼우기만 하면 되는 일반 재장전이 더 빠르다는 특징이 있다. 교체를 할 거라면 방열판을 완전히 과열시킨 다음이 낫다는 얘기.

출시 초기에는 빔 계열 레이저 무기에는 오토마톤 적들의 배기판에 장갑 수치를 무시하고 피해를 줄수 있다거나, 추가 피해를 입힌다거나 하는 잘못된 정보가 있었는데, 레이저 무기들도 적의 장갑 수치와 무기의 장갑 관통/유효에 따른 시스템을 그대로 따르기 때문에 다른 무장과 별다른 차이는 없다.[283]

순수 성능 이외의 장점으로는 손전등이나 표적 지시기로 쓸만하다. 반어법이나 농담이 아니다. 이 게임은 밤 시간이 되거나 행성의 자연환경, 악천후 등이 겹치면 적들 색적이 힘들어지는데 분대에 레이저 무기가 한 명 있으면 화력 집중이 수월하다.

레이저는 질량을 가진 추진체가 아닌만큼 저지력이 없다. 헌터처럼 거리를 좁히는 공격이 위협적인 상대에게 크게 와닿는 단점이다. 다행이라면 레이저 무기류는 순수 DPS가 준수하고 반동이 거의 없어서 조준만 똑바로 하면 약점만 핀포인트로 태울 수 있다.
플라즈마
플라즈마 무기는 총구 탄속이 빠르지만 공기 저항도 많이 받는 고폭성 플라즈마 볼트를 발사한다. 탄두가 착탄하면서 광역 피해를 주기 때문에 근거리에서 사격시 자해의 가능성이 매우 높으니 주의할 것. 특이 사항으로 타 무장들과 달리 공기 저항으로 인한 사거리별 피해량 감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아크
아크는 아크 방전을 사용하는 무기로 고전압 전기를 광범위하게 방사하여 광역 공격을 가하는 무기들이다. 아크 무기는 레이저 계열 장비와 비슷하게 탄창을 무제한으로 운용할 수 있지만, 조금 다른 무기 매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레이저 무장은 지속 사격으로 과열 게이지가 쌓여 발사를 일정시간 제한하는 반면, 아크는 반대로 매 사격시 트리거를 당겨 충전하거나 발사 후 일정한 유휴 충전시간이 필요한 식이다. 또한 최초 적중이 가능한 사거리가 짧은 편이다.

타 무기와 다르게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정밀한 조준과 타격이 어렵고 예상치 못하게 다른 곳[284]에 전도될 수도 있는 번개 아크만의 특징을 가진다.

아직 무기가 스트라타젬까지 포함해 둘뿐이지만 아크 계열은 레이저류 무장과 다르게 완전 무제약 무한탄창 이라는 것도 특징이다.

8.1. SG-8P 퍼니셔 플라즈마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SG-8P 퍼니셔 플라즈마.png
||
<nopad>에너지계
SG-8P 퍼니셔 플라즈마 SG-8P Punisher Plasma
폭발성 플라즈마 탄을 발사하는 개조형 퍼니셔 산탄총입니다. 폭발성 플라즈마로 분대원이 부상을 입을 수 있으니 사격 시 유의하십시오.
A modified Punisher shotgun firing exploding plasma rounds. Fire carefully - exploding plasma can injure squadmates.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60


||<tablewidth=100%><tablebgcolor=#497680><height=2><nopad>||
"최첨단" 프리미엄 전쟁 채권 2/3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250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10
||
반동
110
연사율
80
속성 일반 장갑 관통[AP3] · 폭발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발당 피해량[DMG] <rowcolor=#555,#ddd> 직격 폭발
100 일반 · 50 내구 150 일반 · 150 내구
장탄 수 10발
소지 탄창 [ruby(6,ruby=최초,color=#999)] / 8개
탄약 상자 보충 탄창 4개
재장전 시간 2.5초
발사 속도 80 RPM
인체 공학성[Ergo] 65%(기본) 62%(실제)[288]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40/40,ruby=수평 / 수직)] ㏕ [ruby(50/180,ruby=수평 / 수직)] ㏕ 8 ㏕
비고 펌프 액션 · 폭발 근접성[289] 0.5m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퍼니셔 플라즈마 볼트(Punisher Plasma Bolt)"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100 50 2 25-°/ 2 60-°/ 2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20 10
##폭발범위 그래프 작성법: B=A+1, 노랑A=하양B+2. 하양A, 주황A, 회색A로 그래프 범위를 정해주세요. 주황A의 최대 수치는 115입니다.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강화.svg 폭발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150 150 3 25-°/ 3 60-°/ 3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35 30
<rowcolor=#555,#ffe900> 폭발 범위
<rowcolor=#1c1d1f>
[ruby(4m,ruby=충격파)]⠀[ruby(3m,ruby=바깥 피해)]⠀[ruby(2.3m,ruby=중심)]⠀[ruby(3m,ruby=바깥 피해)]⠀[ruby(4m,ruby=충격파)]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20mm 100g 300% 4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9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22.9% 39.1% 53.6% 35%
}}}}}}}}} ||

광역 피해를 입히는 플라즈마 탄을 곡사로 쏘는 퍼니셔의 개조판. 특성상 유탄 발사기와 비슷하기에 주무기 칸을 먹는 염가형 유탄 발사기와 비슷하게 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피해량과 범위, 연사 속도 측면에서 잡졸 처리능력을 따라잡지는 못했다. 또한 탄 낙차가 심한 플라즈마 무기라 원거리의 적을 상대할 때는 조준점을 상당히 위로 올려서 사격해야 하기에 정확도가 낮고 최대 사거리가 짧다. 폭발성이라 자폭 피해를 받지 않기 위해 거의 유탄 발사기급 안전 거리가 필요한 것도 단점이다.

퍼니셔 플라즈마의 투사체는 직격 피해와 광역 피해가 나눠져 있으며 직격보다 광역 피해의 비중이 높다.[290] 스캐빈저, 바일 스피터, 헌터, 트루퍼, 레이더 정도는 폭발 범위의 끝자락에 있던게 아닌 이상 폭발에 걸리면 일격사는 물론 멀티킬도 가능하다. 몸빵으로 유명한 워리어들도 2방에 단체로 사살할 수 있으며 폭발성 피해를 가지고 있기에 하이브 가드같은 중장갑[AV3] 적도 상대할 수 있다.
또한 충격력이 매우 뛰어나서 폭발에 휘말리면 큰 충격으로 폭발의 반대 방향으로 크게 밀려나며 공격이나 행동을 취소시킬 수 있다. 특히 오토마톤 전에서 소형 봇들이 쏘는 증원 신호탄을 취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다만 높은 위력과 경직은 플레이어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은 단점이다. 경갑을 입고 근거리에서 자폭시 아주 약간의 체력만 남기고 겨우 살아남을 정도로 피해가 크다. 더구나 넉백을 크게 받아 넘어지기 때문에 만약 근처에 자신을 공격하려는 적이 있으면 사망 위험성이 크게 높아진다. 자폭 위험성, 느린 연사, 작은 탄창 용량이 어우러져 난전엔 부적합하고 중거리에서 곡사 화력 지원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특히 원형인 퍼니셔와 달리 재장전 시 한발씩 장전은 불가능하고 무조건 탄창을 교환해야 한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테르미니드 전에선 폭발 무기 특성이 달려서 스퓨어 등을 처리하기에 용이하며 돌격하는 브루드 커맨더를 멈춰 세울 수 있고 에워싸는 기동을 하려는 스캐빈저바일 스피터들을 물리치기 좋지만 중거리에서 바로 붙어버리는 파운서, 헌터스토커에 물리면 자폭 위험이 너무 크기 때문에 보조 무기나 지원 화기를 지근 거리 대처 능력이 있는 것으로 갖추는 것이 강력히 권장된다.

오토마톤 전에선 낮은 엄폐물을 끼고 곡사로 공격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맞사격전에서 유리하지만, 너무 가까우면 거의 직사로 나가므로 유의해야 한다. 정면에서는 경전차장갑[AV4] 판정인 포방패 때문에 처치가 곤란한 스카우트 스트라이더도 포방패에 2~3방 가량, 다리 관절에는 1방에 폭발 피해로 조종사를 처치하는 게 가능하다. 중근거리에서 유별나게 골치아픈 적수인 거대 데버스테이터와 빠르게 근접해오는 버서커도 머리와 허리 같은 붉은색으로 빛나는 약점 부위를 맞추면 경직을 유발하며 멈춰 세우기 때문에 일방적으로 공격할 수 있다. 피해도 상당히 잘 들어가서 4~5발 정도 사격하면 처치할 수 있다.

참고로 폭발성이지만 전초기지 건물인 버그 굴과 봇 제조기 파괴는 불가능하니 주의하자.

이름 뒤의 수식어는 물질의 상태 중 하나인 플라즈마(Plasma).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프리미엄 전쟁 채권
최첨단
2024-03-14
추가
  • 게임에 추가.
1.000.300
2024-04-29
변경
  • 최대 탄창 소지 수가 12개에서 8개로 감소.
  • 재보급으로 보충하는 탄창의 수가 6개에서 8개로 증가.
  • 투사체 속도가 증가.
    • 사거리는 그대로 유지.
  • 폭발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피해가 줄어드는 정도가 완화.중심 or 바깥범위 증가(추정)
  • 이제 에너지 무기 범주에 속함.
1.000.302
2024-05-07
수정
  • 방어막 팩을 착용한 상태에서 플라즈마 퍼니셔를 발사해도 헬다이버가 피해를 입지 않음.
1.000.403
2024-06-25
수정
  • 플라스마 퍼니셔가 SH-32 방어막 생성 팩과 FX-12 방어막 생성 릴레이에서 발사가 불가능한 문제를 수정.
    • 실드 내부에서 외부로 발사해도 투사체가 폭발하는 현상 수정.
1.001.104
2024-10-15
변경
  • 플라스마 발사체의 행동을 단일화.롤백
    • 높은 공기 저항으로 인해 속도가 빠르게 감소.롤백
  • 발사체 경로가 눈에 덜 띄임.롤백
  • 반동 감소.롤백
  • 연사속도가 80에서 100으로 증가.롤백
1.001.201
2024-10-29
변경
  • 많은 헬다이버의 요청에 따라, 브라시 장군은 SG-8P 퍼니셔 플라스마에 대한 생산 변경을 철회하라는 행정 명령을 발표했습니다. (패치 01.001.104 부터)
    • 무기를 01.001.104전으로 롤백.
  • 탄창 용량이 8에서 10으로 증가.

8.2. ARC-12 블리처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ARC-12 블리처.png
||
<nopad>에너지계
ARC-12 블리처 ARC-12 Blitzer
피아를 구별하지 않고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유닛을 대상으로 넓은 범위의 고전압 전기 아크를 발사하는 산탄총입니다.
This shotgun blasts a wide burst of high-voltage electricity that arcs between all units—enemy or otherwise—within range.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80


||<tablewidth=100%><tablebgcolor=#497680><height=2><nopad>||
"최첨단" 프리미엄 전쟁 채권 3/3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250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
반동
60
연사율
45
속성 일반 장갑 관통[AP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아크당 피해량[DMG] 50 일반 · 35 내구 ×5 아크 수
발사 속도 45 RPM
사거리 25m
인체 공학성[Ergo] 65%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40/40,ruby=수평 / 수직)] ㏕ [ruby(50/180,ruby=수평 / 수직)] ㏕ 8 ㏕
비고 펌프 액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아크 샷건(Arc Shotgun)"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50 35 3 25-°/ 3 60-°/ 3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30 25
<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전도성.svg 아크 전도성
<rowcolor=#1c1d1f,#e0e0e0> 발사체 속도 사거리 조준 각도[296] 연쇄 각도[297] 상태 효과
300m/s 25m 10° 10° [기절]
<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결연함.svg 기절 효과
<rowcolor=#1c1d1f,#e0e0e0> 기절 등급 지속 시간 둔화 적용량
1/2/3/4 1.5초 - [0.7]
}}}}}}}}} ||

탄창이 무제한인 근거리 아크 방사형 산탄총.

사거리는 약 25 m이며, 5개의 아크가 발사되기에 다수의 적을 타격할 수 있지만 산탄총처럼 피해량이 분산된 만큼 하나의 아크당 피해량은 50, 내구 피해 35 이다. 일반 장갑 관통[AP3] 이므로 적들의 장갑을 무시하고 피해를 주는 지원 무기인 아크 발사기[AP7]와는 달리, 차저바일 타이탄과 같은 전차장갑AV4+ 적에게는 도탄 아이콘이 뜨며 일절 대미지를 주지 못한다.

사거리가 짧고 다수의 적을 상대로는 피해가 분산되는데다가, 아크 발사기와 달리 블리처의 아크는 다른 적에게 전도되지 않기 때문에 다수의 적을 타격하기도 힘들고, 연사력이 1.33초당 1발이라 일반적인 주 무기 산탄총처럼 단순 화력 투사의 목적으로 채택한다면 실망할 가능성이 높다.

아크 펠릿의 방향이 무작위라 여러 적에게 피해가 분산될 경우 사살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는 일도 잦지만, 탄이 퍼지면서 자동으로 상대에게 조준이 되는 판정을 잘 활용한다면 적절히 거리를 좁혀서 한 상대에게 수많은 탄을 집중하여 펠릿을 한 표적에 집탄시키는 개념으로 폭딜을 만들어낼 수도 있고, 반대로 적들이 일렬로 서있는 경우에는 약간 비스듬히 쏘면서 앞/뒤의 적들 동시에 때리는 테크닉을 구사할 수도 있다.[301]

또한 아크 무장인 만큼 적에게 강력한 경직을 주고, 같은 적에게 계속 사격하면 기절 상태이상을 걸 수 있다. EMS, 퍼멜러랑 동일한 원리로 기절치를 누적시키는 방식인데 2방 정도만에 꼼짝 못하고 주춤거리는 적들을 감상할 수 있다. 이 효과는 중형 적까지 적용되기에 짜증나게 구는 스토커, 바일/너싱 스퓨어, 데버스테이터 등을 일방적으로 전기 튀김으로 만들어버린다. 단, 계속 타격해야 기절을 유지할 수 있어서 최대한 화력을 집중 투사하는 것이 좋다.

아크 발사기와 마찬가지로 아무런 제약 없는 무제한 탄약과 재장전 없이 균등한 화력을 지속적으로 투사하는 주 무기라는 독보적인 장점을 갖고 있다. 무한탄창인 만큼 사격후 장전이 필요없지만 매 사격마다 펌프를 조작하기 때문에 매우 느리다. 참고로 펌프를 조작하기는 하지만 단발 방식은 아니라서 사격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 사격후 펌프 조작을 계속 반복한다.

일단은 블리처도 아크 무장이기에 스캐빈저헌터, 워리어에게 사격할 시, 마지막 타격이 치명타면 시체가 폭발해버리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시체에 아크가 방전되어서 딜로스가 생기는 경우가 감소하지만, 지원 무기인 아크 발사기와 달리 이미 사망한 시체에 아크를 발사해도 폭파 시킬 수는 없으니 참고.

일반적인 주 무기처럼 잡몹을 상대하는 주 화력투사 용도로 쓰기보다 지원 무기를 주력으로 사용하면서 잡몹을 떼어 놓거나 중형 개체를 기절시켜 접근을 차단하는 보조 화력으로 사용하면 좋다. 일반적인 난전에서는 범용성이 높지만 초근접상황에서 단점이 드러나는 화염방사기, 아크 발사기, 레이저 캐넌, 기관총, 스털워트 경기관총 같은 무기와 상성이 좋고, 블리처의 느린 연사속도를 커버해 줄 가드 독 로버류 백팩과 함께 운용하는 것도 괜찮다.

무기 설명에도 피아를 구별하지 않는다고 명시되어 있듯이 아군 오사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헬다이버는 펠릿 두세 개만 튀어도 빈사상태가 되거나 사망하며, 펠릿 한 개조차 EMS와 유사한 효과로 인해 스태미나를 날려버리고 헬다이버의 사지에 부상을 입히거나 그 자리에 쓰러져 바닥을 뒹굴게 해 버리니, 버그 무리에게 둘러싸인 아군의 지원이나 사선이 겹친 상황이라면 다른 무기로 엄호하도록 하자.

유저의 평가가 극과 극으로 갈리는 주무장인데 범용성을 중요시하는 유저들에게는 이도저도 아니라는 애매한 성능이라는 평가가 많고 특정 장점만을 보고 채용하는 유저들에게는 물량처리와 특히 다수의 무권자, 알파 커맨더의 처리능력과 근접해온 바일 스퓨어를 안정적으로 잡는다는점을 높게 평가하는 점으로 갈린다.

이름은 급습자(Blitzer)라는 뜻. 번개를 뜻하는 독일어 단어인 블리츠의 어원이 된 전격전에서 이름을 따온 듯 싶다.
  • 테르미니드 전에서는 무제한 탄약과 물량 통제력, 군중 제어 능력을 갖춘 무기로 채용가치가 높다. 유도성을 띤 펠릿이 작고 빠른 헌터나 급강하 하는 슈리커를 견제하기 좋으며, 브루드 커맨더, 하이브 가드[302]워리어급 적들은 물론 스토커[303]스퓨어류 몹까지 기절로 수월히 대처할 수 있다. 무한 탄창이라 장시간 전투가 부담스럽지 않다보니[304] 오히려 오래도록 위협적인 적들을 틀어막아 다른 팀원의 시간을 벌어주는 전천후 탱커로 활약할 수도 있다.
    다만 슈리커들 상대로는 강습하기 직전 25m 이내 근접시에만 처치할 수 있어 긁혀 중상을 입거나 시체에 치여 부상당하는 등의 위험부담이 크므로 아군의 도움을 받거나 기관총 센트리 등 대공방어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좋다.
  • 오토마톤 전에서는 트루퍼 처리가 쉽고 버서커데버스테이터류 몹에게 무한 경직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최대 25m의 사거리는 중거리 이상의 전투가 자주 벌어지는 오토마톤 전에서는 매우 뼈 아프고, 주력 중형 적인 스카우트 스트라이더에게 무력하다는 것이 치명적인 단점.[305] 또한 건쉽 상대로는 무용지물이기도 하거니와 결정적으로 오토마톤 전은 다른 걸출한 성능의 주 무장도 많기에 굳이 블리처를 채용할 이유는 없다.
  • 일루미닛 전에서는 펠릿 한두 발로는 다수의 무권자를 빠르게 정리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지만, 좌우로 퍼져 포위를 시도하는 테르미니드와는 달리 정면으로 무작정 달려오는 무권자들에게는 펠릿이 튀는 메커니즘상 직선관통이 되는 경우가 많다. 덕분에 의외로 다른 주무기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편이며, 탄약이 무제한이라는 특징을 살려서 설령 무권자 무리와 오버시어가 같이 달려들더라도 오버시어의 사격이 닿지 않는 사각지대에서 먼저 무권자부터 처리하는 등 부담 없이 대응할 수 있고, 다른 주무장 총기로는 엄두를 못내는 25m 이내로 접근한 다수의 오버시어를 상대로도 엄폐를 유지한다는 조건 하에 꾸준하게 기절을 넣어가면서 안정적으로 제압하는 장점은 결코 무시할 수 없다. 또한 다수의 적들을 경직시키면서 제압할 수 있는 가드독과의 궁합이 굉장히 좋은 편인데, 블리처와 가드독 모두 일반 장갑을 관통[AP3]하기 때문에 하베스터를 제외한 모든 적들에게 기절과 함께 유효한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점도 큰 시너지로 작용한다. 다만 블리처만으로 먼 거리에 있는 고위 오버시어나 와쳐를 사살하기에는 사거리가 25m로 제한되기 때문에, 결국 지원 무기나 가드독에 어느 정도는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점은 가장 치명적인 단점이다. 따라서 블리처로 모든 상황을 타개할 수는 없으므로 다수의 물량처리의 장점만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을 가장 추천한다.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프리미엄 전쟁 채권
최첨단
2024-03-14
추가
  • 게임에 추가.
01.000.103
2024-03-20
수정
  • 이제 아크 사격 횟수는 "발사 횟수"와 "적중 횟수" 통계에 포함.
01.000.104
2024-03-26
수정
  • 아크를 발사하면 게임이 멈추는 현상을 수정.
01.000.300
2024-04-29
변경
  • 발사속도가 30에서 45로 증가
01.001.002
2024-08-06
변경
  • 이제 사격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계속 발사.

수정
  • 적을 보는 시야가 장애물로 차단될 경우에 아크 무기가 볼트를 발사하지 않는 문제를 수정.
    • 이제 볼트를 발사할 수 있지만, 볼트가 장애물에 맞음.
  • 아크 무기로 수평으로 정렬된 적을 빠르게 사격할 때 불발되는 문제를 수정
01.001.100
2024-09-17
변경
  • 이제 대상이 맞을 때마다 경미한 기절 효과가 누적.
    • 발사체에 적용량 0.7의 [기절]1 효과 추가

8.3. LAS-5 사이스

||<-5><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LAS-5 사이스2.png
||
<nopad>에너지계
LAS-5 사이스 LAS-5 Scythe
지속적인 광선을 발사하는 레이저 소총입니다. 장전이 필요하지 않지만, 과열되면 방열판을 교체해야 합니다.
A laser rifle firing a continuous beam. Does not need reloading, but if it overheats a new heat sink must be fitted.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30


||<tablewidth=100%><tablebgcolor=#333,#ffe900><height=2><nopad>||<nopad>||<nopad>||<nopad>||
"헬다이버 출동!" 전쟁 채권 5/10
초당 대미지
350
사격 제한
8
반동
0
속성 경장갑 관통[AP2] · 광선[화염] · 과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초당 피해량[DMG] 350 일반 · 70 내구
발사 유지 시간 최대 8초
냉각 시간 [ruby(11.8초,ruby=초당 8.5%,color=#999)] · [ruby(7.8초,ruby=초당 12.75%,color=#999)](혹한) · [ruby(15.7초,ruby=초당 6.375%,color=#999)](혹서)
소지 방열판 [ruby(3,ruby=최초,color=#999)] / 4개
탄약 상자 보충 방열판 2개
재장전 시간 1.8초 · 3초(전술)
사거리 1000m
인체 공학성[Ergo] 65%(기본) 54%(실제)[312]
비고 전술 조명 · 레이저포인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중형 광선(Medium Beam)"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350 70 2 25-°/ 2 60-°/ 2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0 0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HELLDIVERS 2/시스템/피해 계산#상태 효과|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인화성 물질.svg {{{-2 {{{#!wiki style="display: none;display: inline;"]] ||
<rowcolor=#1c1d1f,#e0e0e0>
초당 피해
초당 피해 + 모듈
장갑 관통력 지속 시간 적용량
50
50 +13
4 / 4 / 4 / 0 3초 [ 0.5 ]
}}}}}}}}} ||

광선을 지속적으로 조사하는 무기. 사거리와 명중률이 매우 뛰어나며, 방열판을 교체하기 전까지 꽤 오랜 시간[313] 조사할 수 있는데다 방열판을 교체하는 시간도 짧은 편이라 지속 화력이 좋다.

DPS는 리버레이터 컨커시브 수준으로 낮지만, 적 하나에게 일정 시간 이상 조사할 경우 누적된 열을 통해 적을 발화시켜서 3초 간 초당 50의 화상 도트 피해를 입힐 수 있다. 화상 피해는 사이스의 피해와 별도로 들어가기 때문에 실질적인 DPS는 나쁘지 않은 수준이다.

또한 레이저 무장이기에 반동이나 떨림이 전혀 없고, 히트스캔 무기여서 1인칭 시점에서 매우 정확하게 약점을 노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버그전에서는 잡몹을 상대로 슥 긁어서 불을 붙이는 방식으로도 처리할 수 있고 슈리커를 다른 무기보다 쉽게 처치할 수 있다. 다만 잡몹으로 나오는 워리어가 은근히 맷집이 강하며 머리가 터져도 잠시 살아서 달려오는 특성 때문에 저지력이 없는 사이스는 원거리에서는 머리를 터트리고, 근거리에서 교전할때는 다리나 몸통을 노려서 발화시키는 것으로 처치해야 한다.

오토마톤 전선에서는 비교적 물몸인 경보병들을 살짝 긁는것으로 쉽게 처리가 가능하고, 반동이 없고 사격중인 지점을 레이저로 볼수 있어서 사격 도중에 조준을 고쳐서 약점을 노리기 쉽다는 장점 덕분에 정밀성을 요구하는 버서커, 데버스테이터의 머리를 노려 0.5초 정도 쏘는 것으로 비교적 쉽게 처리가 가능하다.

저평가 사유는 뜬금없게도 손맛 문제. 광선 무기이기 때문에 반동이 없어서 총을 쏘는 건지 레이저 포인터로 가리키는 건지 헷갈리는데, 적을 타격해도 잠깐 움찔거리기만 하고 불이 붙거나 신체 일부가 타서 떨어지는 것 외에는 타격감이 거의 없으며 곧이어 적이 픽 하고 쓰러져 버려서 사용할 때마다 맥빠지는 경우가 많다.

기괴한 UI로 인한 단점이 있는데, 3인칭으로 사격할 때 레이저 무장들의 특성인 삼각형 형태의 조준점이 조준중인 지점을 대부분 가리며, 사격을 이어가는 동안 삼각형 조준점이 회전하면서 조준을 방해하기에 중~원거리 전투는 1인칭이 강제된다.

플레이어의 입장에서는 배낭형 지원무기인 AX/LAS-5 '가드 독' 로버의 형태로 더 자주 보게 된다. 버그인지 의도된 사항인지는 몰라도 로버에 장착된 사이스는 과열이 일어나지 않아 무한으로 사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귀찮은 잡병을 처리하는데 탁월한 성능을 보여준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조.

출시 초기에는 데이터마이닝상으로 모든 광선형 레이저 무기에 불을 붙일 확률이 존재했지만 전혀 적용되지 않았고, AX/LAS-5 '가드 독' 로버가 헬다이버에게 오사할 때만 발화가 적용되는 버그가 있었지만, 화염 테마 전쟁 채권인 자유의 불길이 출시되는 과정에서 패치를 통해 수정되었다.

버프 패치 이전에는 조준경이 무배율 도트 사이트여서 약점을 노리기 힘들었고, 낮긴하지만 떨리는 수준의 반동이 존재해서 중거리에서 데버스테이터 머리와 같은 작은 약점을 노리기 살짝 힘들었기에 쓸만한 전투 상황이 없다는 악평과 함께 최악의 주무기 중 하나로 선꼽혔다. 이후 조정을 거치면서 모든 레이저 무기의 반동이 완전히 사라짐에 따라 말 그대로 갖다 대고 조사하기만 하면 되는 진정한 레이저로 거듭났으며, 맞은 적이 더 빨리 점화되도록 버프를 받았는데 이 업데이트에서 화염 피해도 두 배로 뻥튀기되었기에 레이저 무기의 효용성이 대폭 증가했다.

이름의 뜻은 대낫(Scythe)이라는 뜻. 참고로 전작에서 "스키스" 라는 어처구니 없는 번역을 선보인 데 반해 본작에서는 제대로 음차했다.[314]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01.000.300
2024-04-29
변경
  • 초당 대미지가 300에서 350으로 증가.
  • 최대 방열판 소지 수를 6개에서 3개로 감소.
01.000.302
2024-05-07
수정
  • 빔 무기와 관련되어 드물게 발생하는 충돌을 수정.
01.001.002
2024-08-06
미표기
  • 적을 일정시간 이상 맞출 시 불타오름.
    • 발사체의 적용량 ??의 [화염]효과 추가.
01.001.100
2024-09-17
변경
  • 냉각 시간이 감소.
  • 과열 시각 효과를 조정.
  • 조준기를 홀로그래픽에서 튜브 레드닷으로 변경.[316]
  • 적이 불에 타는 시간이 더 빨라짐.
    • 화염효과 적용량이 증가함.
  • 반동 감소.
    • 1,3인칭 수직/수평 반동이 0/0으로 아예 제거.

수정
  • 재장전 애니메이션 중 무기 변경 시 사이스와 시클의 열 축적을 우회할 수 있는 버그를 수정.
01.001.201
2024-10-29
수정
  • LAS-5 사이스의 조준기가 이제 제대로 작동.
    • 확대 및 축소 가능.

8.4. LAS-16 시클

||<-5><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LAS-16 시클.png
||
<nopad>에너지계
LAS-16 시클 LAS-16 Sickle
짧은 연사로 발사하는 레이저 소총입니다. 재장전이 필요하지 않지만, 과열되면 방열판을 교체해야 합니다.
A laser rifle, firing in short bursts. Does not need reloading, but if it overheats a new heat sink must be fitted.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20


||<tablewidth=100%><tablebgcolor=#497680><height=2><nopad>||
"최첨단" 프리미엄 전쟁 채권 1/3
대미지
55
사격 제한
7
반동
2
연사율
750
속성 경장갑 관통[AP2] · 과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발당 피해량[DMG] 55 일반 · 5 내구
발사 유지 시간 최대 7초(87발)
냉각 시간 [ruby(12.5초,ruby=초당 8%,color=#999)] · [ruby(8.33초,ruby=초당 12%,color=#999)](혹한) · [ruby(16.67초,ruby=초당 6%,color=#999)](혹서)
소지 방열판 [ruby(2,ruby=최초,color=#999)] / 3개
탄약 상자 보충 방열판 1개
재장전 시간 1.9초 · 2.8초(전술)
발사 속도 750 RPM
조준경 25m | 50m | 100m
인체 공학성[Ergo] 65%(기본) 59%(실제)[320]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2/2,ruby=수평 / 수직)] ㏕ [ruby(1/2,ruby=수평 / 수직)] ㏕ 20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레이저 탄환(Laser Long)"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55 5 2 25-°/ 2 60-°/ 2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10 10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10mm 12g 0% 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130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0% 0% 0% 25%
}}}}}}}}} ||

레이저 광선을 실탄 자동소총처럼 끊어 쏘는 특이한 레이저 소총. 발사 전 약 0.5초 가량의 예열 시간이 필요하다.[321]

실탄과 레이저의 장점을 절묘하게 절충시킨 무기이다. 실탄 화기처럼 즉발적인 피해를 입히는 탄환을 발사하며, 분당 750발이라는 준수한 연사력, 레이저 무기 특유의 초저반동과 끊어 쏘면 무한 탄약이라는 특성의 조합 덕에 순간 화력과 안정성을 모두 챙긴 무난한 무기.

가장 큰 특징은 매우 우수한 지속 화력으로, 완전 냉각된 상태에서 과열될 때까지 끊김 없이 발사하면 약 7초 간 87발 정도를 발사할 수 있다. 준 경기관총의 역량을 가진 셈. 평범한 돌격소총을 쓰듯 방열판을 갈아가며 냅다 연사하면 긴 시간에 걸쳐 수백 발을 쏟아낼 수 있다. 또한 방열판 교체 전에 적을 전부 정리하거나 부무장, 수류탄, 지원 무기로 교전하면 잠시 뒤 냉각되어 탄창 하나를 아낄 수 있는 등 소소한 장점도 있다. 단, 냉각에는 시간이 꽤 걸리니 대규모의 적을 상대로는 방열판을 아끼지 않는 편이 좋다. 방열판이 완전 과열되면 자동으로 제거되며, 이로 인해 방열판을 수동으로 제거하는 전술 재장전보다 일반 재장전이 빠르므로 사격 도중에 전술 재장전을 하기보다는 차라리 완전 과열될 때까지 쏘고 일반 재장전을 하는 것이 낫다.

한편, 발사 전 짧은 예열 시간이 필요해 전작에서처럼 단발 속사를 통한 발열 원천 방지는 불가능하고, 난전에서는 반응성이 살짝 떨어져 초근접전에선 다소 위험할 수 있다. 또한, 지속 화력은 우수하지만 산탄총 계열 무기들과 비교했을 때 순간 DPS와 저지력이 부족하고 사격 전 예열 시간으로 인해 반응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폭발적인 화력과 저지력이 필요한 특정 상황에는[322] 제 힘을 내기 힘들 수 있다.

또한 긴 연사 시간과 짧은 장전 시간이 합쳐져서 매우 높은 화력 투사가 가능하지만 탄창이 딱 3개 분량이라 과열을 자주 식히면서 무한 탄창 기능을 최대한 이용해야하며 보급을 생각하지 않고 사격하는 경우 금방 탄창이 바닥나게 된다.

여기에 레이저 계열 무기에 사용되는 삼각형 조준선이 그대로 채용되어, 사격하는 도중에는 회전하면서 사격지점을 가리기도 하고 시선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근거리 전투에는 그리 큰 문제가 없지만 중거리 이상만 되어도 3인칭으로 사격하기 불편하다.

테르미니드전에서는 다수의 소형 잡졸들, 특히 헌터를 중거리에서 빠르게 정리할 수 있기에 나쁘지 않지만, 근거리에서의 대처 능력이 살짝 떨어진다.[323] 전자동 사격 시 87발이라는 탄창을 활용하여 헌터워리어 정리에 탁월하기에 유탄 발사기오토캐넌을 주로 사용하는 유저의 주 무기로 추천되는 편이다. 오토마톤전에서는 버서커 여럿을 상대할 때 외에는 순간적인 화력과 저지력이 크게 중요하지 않고 그보다는 약점을 쉽게 타격할 수 있는 정밀성과 안정성, 그리고 탄막을 구성하는 다수의 잡몹들을 정리하기 위한 지속성이 더욱 유의미하게 작용하기에 데버스테이터를 빠르게 정리할 수단과 함께 쓰면 좋다. 일루미닛전에서 대량으로 몰려오는 무권자를 정리하기 좋아서 주무기로 사랑받고 있다. 특히나 일루미닛전이 탄약 소모가 극심한 편이라서 방열 관리만 하면 상당히 오래 쓸 수 있으면서 물량 정리와 보호막 제거에 탁월한 강점이 있는 시클에 대한 호평이 많은 편이다.

성능 외적으로는 광선형 레이저 무기의 단점 중 하나인 타격감 부재가 적다. 실탄 화기처럼 격발음이 시원하고, 사용에 전혀 지장은 없으면서 딱 타격감은 살리는 수준의 반동도 있으며, 적을 쏘면 타격음과 함께 파편이 튀기고 신체 훼손이 이루어져 무기를 쏴 맞히고 있다는 감각이 확실하다. 이후 실탄 무기같던 격발음이 레이저 무기 답게 바뀌었지만 여전히 레이저 무기 중에선 우수한 타격감을 자랑한다.

여담으로 전작에선 카빈다운 조그만 크기였지만 본작에선 개발진이 비율 조절 실수한 거 아니냐는 말이 나올 만큼 소총 치고 지나치게 큰 크기다. 캐릭터 허리춤에 매달려 있을 때 왼손과 대놓고 겹치는 정도.
그래서인지 개발진이 매 업데이트마다 시클의 사이즈를 몰래 조금씩 키우고있는것 아니냐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진짜일지도 모른다

폴아웃 시리즈레이저 라이플에서 강한 영감을 받은 듯한 외형이다.

이름은 (Sickle)이라는 뜻. 위의 사이스도 낫을 뜻하는 말이지만, 사이스는 양 손으로 들어야 하는 대낫을 뜻하고 시클은 한 손으로 들 수 있는 소낫을 뜻한다.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프리미엄 전쟁 채권
최첨단
2024-03-14
추가
  • 게임에 추가.
01.000.300
2024-04-29
변경
  • 최대 방열판 소지 수가 6개에서 3개로 감소.
수정
  • 시클이 수풀을 통과해 공격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
01.001.100
2024-09-17
수정
  • 재장전 애니메이션 중 무기 변경 시 사이스와 시클의 열 축적을 우회할 수 있는 버그를 수정.

8.5. PLAS-1 스코처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PLAS-1 스코처.png
||
<nopad>에너지계
PLAS-1 스코처 PLAS-1 Scorcher
플라스마 소총으로, 충돌 시 폭발하는 초고온 가스 볼트를 발사합니다. 폭발 반경에 근접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A plasma rifle, firing a bolt of superheated gas which explodes on impact. Avoid standing in proximity to the blast.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75


||<tablewidth=100%><tablebgcolor=#333,#ffe900><height=2><nopad>||<nopad>||<nopad>||<nopad>||
"헬다이버 출동!" 전쟁 채권 10/10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200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20
||
반동
20
연사율
350
속성 일반 장갑 관통[AP3] · 폭발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발당 피해량[DMG] <rowcolor=#555,#ddd> 직격 폭발
100 일반 · 50 내구 100 일반 · 100 내구
장탄 수 20발
소지 탄창 [ruby(3,ruby=최초,color=#999)] / 5개
탄약 상자 보충 탄창 2개
재장전 시간 2.5초
발사 속도 350 RPM
조정간 반자동 | 자동
인체 공학성[Ergo] 65%(기본) 55%(실제)[327]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20/20,ruby=수평 / 수직)] ㏕ [ruby(2/20,ruby=수평 / 수직)] ㏕ 10 ㏕
비고 전술 조명 · 레이저포인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중형 플라즈마 볼트(Plasma Bolt Medium)"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100 50 2 25-°/ 2 60-°/ 2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20 10
##폭발범위 그래프 작성법: B=A+1, 노랑A=하양B+2. 하양A, 주황A, 회색A로 그래프 범위를 정해주세요. 주황A의 최대 수치는 115입니다.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강화.svg 폭발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100 100 3 25-°/ 0 60-°/ 0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10 7
<rowcolor=#555,#ffe900> 폭발 범위
<rowcolor=#1c1d1f>
[ruby(2m,ruby=충격파)]⠀[ruby(2m,ruby=바깥 피해)]⠀⠀[ruby(1m,ruby=중심)]⠀⠀[ruby(2m,ruby=바깥 피해)]⠀[ruby(2m,ruby=충격파)]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20mm 25g 150% 5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55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33.6% 52.4% 67.9% 35%
}}}}}}}}} ||

탄착 시 작게 폭발하는 플라즈마 탄을 쏘는 직사 화기. 무료 패스인 헬다이버 출동! 채권 제일 마지막 페이지에 있는 무기로 획득 시기만 따지면 이른바 최종 티어 장비라고 볼 수 있다.

플라즈마 볼트는 총 2번에 걸쳐서 피해를 입히는데, 착탄시 직격으로 한번 피해를 입히고, 직후 플라즈마 탄환이 폭발하면서 폭발 피해를 준다.

직격 피해는 경장갑 관통[AP2]이며 100의 피해와 50의 내구 피해를 입히기에 체력이 많은 적들에게 꽤 높은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또한 직격 직후 일어나는 폭발 피해는 대미지가 100인데다 일반 장갑 관통[AP3]이라서 하이브 가드나 바일 스퓨어에게도 피해를 입힐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폭발 범위는 1~2m로 매우 좁기 때문에 다수의 소형 적들을 상대하기는 힘들고, 슬러거, 도미네이터, 리버레이터 페네트레이터와 같이 일반 장갑[AV2] 이상을 두른 중형 몹을 정리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주 무기이다.

같은 플라즈마 볼트를 쏘는 퍼니셔 플라즈마가 탄속이 느린 곡사형인 반면, 스코처는 탄속이 빠르고 낙차가 거의 없이 직사로 나간다. 아쉽게도 폭발성 무기임에도 버그 굴/봇 제조기는 물론 철조망, 컨테이너를 철거할 수는 없다. 하지만 탄착 후 폭발할 때 타격 지점에 폭발음이 발생하므로 정찰대 주변으로 탄환을 발사한 게 아니라면 소리로 정찰대를 경계 상태로 만들어 정찰 패턴을 조절 가능하다.

단점은 역시 지근거리에서 자폭 위험이 있다는 것으로, 코앞에 붙은 적에게 쏘거나 엄폐물에 잘못 걸치면 자살 무기가 된다. 광역 피해를 입히는 폭발성 무기 모두가 공유하는 문제이긴 하지만 스코처는 피해 반경이 좁아 신경쓰고 있지 않다가 낭패를 볼 수 있다. 그나마 폭발 피해에 버그가 있어 즉사할 우려가 있던 과거와 달리 현재는 정말 발 밑에 쏘는 게 아닌 이상 심각할 정도의 피해가 들어오지는 않는다. 또 폭발성 무기임에도 불구하고 저지력 자체는 썩 강하지 않아 거대/로켓 데버스테이터처럼 정면 화력이 강한 적을 상대로는 주의해야 한다.

또한 매우 작은 탄창량과 여분 탄창 소지량 또한 매우 큰 단점으로 꼽히는데, 연사기능을 지원하지만 탄창량이 고작 20발이 최대라서 점사하지 않으면 금방 탄창을 교체해야 한다. 그나마도 겨우 5개만 소지할 수 있어서 탄약 부족 현상에 계속 시달린다.

1인칭 사격 시에도 조작성이 좋은 편은 아니며 플라즈마 무기 중에서는 탄속이 빠르지만 어쨌든 히트스캔 판정은 아니라서 장거리 사격 시 명중률이 낮아 탄 소모가 심한 편이다.

테르미니드전에서는 비슷한 목적을 가지고 사용하는 슬러거, 도미네이터와 비교했을 때 스퓨어 계열이나 브루드 커맨더 같은 중형 적에게 강세를 보인다. 특히 차저도 엉덩이에 정확히 조준해서 11~12발을 적중시키면 터트릴 정도로 화력도 괜찮다.[331] 하지만 대부분 1~2발에 처치할 수는 있지만 탄창이 매우 제한된 특성상 잡몹들도 같이 처치하기에는 탄약이 모자르다는 단점이 두드러진다. 더구나 테르미니드 적 대부분이 근접하는 경향이 있어서 다른 둘에 비해 자폭을 유발하는 것도 주의점. 조작성이 좋고 거대 부위 대상으로 100% 대미지를 입힐 수 있는 폭발 대미지의 존재로 인해 차저의 꽁무니를 노려 잡는 데에는 도미네이터에 비해 용이하다.

오토마톤전에서는 스카우트 스트라이더를 정말 잘 잡는다. 조종석을 방어하는 철판에 사격하면 폭발 피해로 조종사를 2발에, 고간을 노리고 3발이면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트루퍼 계열도 역시 1발로 정리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만 사격하면 괜찮은 효율을 보인다. 또한 오토마톤의 화력 대부분을 담당하는 데버스테이터도 조준 사격만 잘하면 적절한 시간 내로 처리 가능하다. 건쉽도 한 탄창을 다 소모해야 하긴 하지만[332] 충분히 격추시킬 수 있다는 게 알려지면서 평가가 더욱 올랐다. 근접 병종인 브롤러, 어썰트 레이더, 버서커만 빠르게 정리해주면 방사 피해로 인한 위험 없이 비교적 편하게 적을 상대할 수 있다. 또한 탱크, 헐크 등 방열판이 있는 모든 적들은 방열판에 한 탄창 내지는 한 탄창 반을 쏟아부으면 제거할 수 있다. 여러모로 오토마톤 전에서 뛰어난 범용성을 자랑한다.

다만 자유의 확대 패치 이후 폭발저항을 가진 강화 스카우트 스트라이더의 등장으로 해당 적을 잡기 힘든 스코처의 픽률이 많이 떨어졌다. 또한 제트 여단 캠페인이 진행 중인 곳은 경보병들이 어썰트 레이더 마냥 날아서 근접하므로 자폭하기 쉬워져서 사용하기 위험해진다.

일루미닛전에서는 탄약이 모자라다는 것을 제외하면 완전체 무기로 취급된다. 무권자 정리, 오버시어 제거, 하베스터와 기지의 보호막 제거 등 다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다만 무권자의 물량이 많으므로 보급 팩을 매거나 탄약이 있는 위치를 항상 살펴봐야 한다.

재장전 시 총몸에서 원통형 배터리 같은 플라즈마 카트리지를 배출하고 새 것을 다시 집어넣는다. 때문에 장탄을 전부 소진해도 노리쇠 후퇴 전진을 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레이저 무기의 과열된 히트싱크/I.C.E 마냥 자동으로 배출되거나 하지도 않기 때문에, 전술 재장전과 일반 재장전에 걸리는 시간이 똑같다는 특징이 있다.

이름은 검게 태우는 자, 아주 뜨거운 것(Scorcher) 이라는 뜻.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01.000.400
2024-06-13
변경
  • 1인칭 조준점을 업데이트하여 가시성을 개선.[333]
01.001.104
2024-10-15
변경
  • 플라스마 발사체의 행동을 단일화.
    • 높은 공기 저항으로 인해 속도가 빠르게 감소.
    • 질량이 100g에서 25g로 감소.
    • 항력 계수가 50%에서 150%로 증가.
    • 거리별 대미지,탄속 감소율이 ([ruby(7.4%,ruby=25m)] > [ruby(13.6%,ruby=50m)] > [ruby(23.8%,ruby=100m)])에서 ([ruby(33.6%,ruby=25m)] > [ruby(52.4%,ruby=50m)] > [ruby(67.9%,ruby=100m)])으로 증가.
  • 새로운 무기 기능: 자동 사격 모드.
  • 발사 속도가 250에서 350으로 증가.
  • 탄창 용량이 15발에서 20발로 증가.
  • 최대 탄창 소지 수가 6개에서 5개로 감소.

8.6. PLAS-101 퓨리파이어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PLAS-101 퓨리파이어.png
||
<nopad>에너지계
PLAS-101 퓨리파이어 PLAS-101 Purifier
착탄시 폭발하는 초고온 가스 볼트를 발사하는 플라스마 총입니다. 방아쇠를 당기고 있으면 충전되며, 완전히 충전된 탄은 착탄 시 폭발합니다.
A plasma rifle firing a bolt of superheated gas, which can be charged by holding down the trigger. Charging up a shot fully makes the bolt explode on impact.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80


||<tablewidth=100%><tablebgcolor=#fff><height=2><nopad>||
"극지의 애국자" 프리미엄 전쟁 채권 3/3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500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15
||
반동
20
연사율
1000
속성 일반 장갑 관통[AP3] · 차지업 · 폭발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최소 피해량[DMG] <rowcolor=#555,#ddd> 직격 폭발
100 일반 · 50 내구 75 일반 · 75 내구
최대 피해량[DMG] <rowcolor=#555,#ddd> 직격 폭발
200 일반 · 100 내구 300 일반 · 300 내구
장탄 수 15발
소지 탄창 [ruby(4,ruby=최초,color=#999)] / 6개
탄약 상자 보충 탄창 3개
재장전 시간 2.5초
발사 속도 6000 RPM미충전[337] · 60 RPM충전
인체 공학성[Ergo] 65%(기본) 55%(실제)[339]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20/20,ruby=수평 / 수직)] ㏕ [ruby(2/20,ruby=수평 / 수직)] ㏕ 10 ㏕
비고 충전시간만큼 대미지가 최소 50%에서 최대 100%까지 선형적으로 증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플라즈마 소총 미충전(Plasma Rifle Uncharged)" [340]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100 50 3 25-°/ 3 60-°/ 3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20 10
##폭발범위 그래프 작성법: B=A+1, 노랑A=하양B+2. 하양A, 주황A, 회색A로 그래프 범위를 정해주세요. 주황A의 최대 수치는 115입니다.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강화.svg 폭발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75 75 3 25-°/ 0 60-°/ 0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10 7
<rowcolor=#555,#ffe900> 폭발 범위
<rowcolor=#1c1d1f>
[ruby(2m,ruby=충격파)]⠀[ruby(2m,ruby=바깥 피해)]⠀⠀[ruby(1m,ruby=중심)]⠀⠀[ruby(2m,ruby=바깥 피해)]⠀[ruby(2m,ruby=충격파)]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20mm 25g 15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55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34.5% 51.7% 67.7% 35%
<nopad>
<nopad>
<nopad>
"플라즈마 소총 충전(Plasma Rifle Charged)" [341]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200 100 3 25-°/ 3 60-°/ 3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20 10
##폭발범위 그래프 작성법: B=A+1, 노랑A=하양B+2. 하양A, 주황A, 회색A로 그래프 범위를 정해주세요. 주황A의 최대 수치는 115입니다.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강화.svg 폭발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300 300 3 25-°/ 0 60-°/ 0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20 35 30
<rowcolor=#555,#ffe900> 폭발 범위
<rowcolor=#1c1d1f>
[ruby(4m,ruby=충격파)]⠀[ruby(3m,ruby=바깥 피해)]⠀⠀[ruby(2.9m,ruby=중심)]⠀⠀[ruby(3m,ruby=바깥 피해)]⠀[ruby(4m,ruby=충격파)]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20mm 25g 150% 10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35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31.5% 48.2% 64.4% 35%
}}}}}}}}} ||

짧은 충전 이후 작은 폭발을 일으키는 플라즈마 탄두를 발사하는 무기로, 차징/비차징 사격을 자유롭게 바꿔가며 할 수 있다는 범용성을 가진다. 같은 플라즈마 무기들인 스코처의 직사 폭발성 화력투사 능력에 퍼니셔 플라즈마의 장점인 광역 경직 능력을 섞은 듯한 포지션이다. 거기에 탄약 수와 휴행탄창이 넉넉해 전투 지속력은 스코처나 퍼니셔 플라즈마보다 좋은 편이다.

레일건과 유사하게 충전 기믹이 있는데, 충전 없이 반자동 연사도 가능하지만 최소 충전 시간인 0.1초만 충전하면 단발 피해량이 100 + 75 = 175 에 폭발 범위도 1~2 m로 제한된다. 대신 1초 동안 완전히 충전하면 200의 직격 피해를 주고, 폭발 피해 또한 300까지 오르고 폭발 범위도 3 m로 넓어진다. 조준 UI가 아크 발사기의 그것과 똑같이 생겨서 완충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다. 따라서 스캐빈저트루퍼 계열 같은 잡졸은 단발 연사로, 브루드 커맨더스카우트 스트라이더 같은 중형급 적은 충전 사격으로 처치하는 것이 권장된다. 다만 잡졸들이 모여있는 상황이라면 완충 사격의 넓은 폭발 범위로 한 번에 쓸어담을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서 유동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사용자의 센스가 요구된다.

투사체는 스코처와 거의 동일하지만 퍼니셔 플라즈마와 유사하게 경직 능력이 있다. 대부분의 소형 적은 끝자락에 걸친 게 아니라면 폭발에 휘말리면 죽는다고 봐도 무방하고, 강한 넉백과 경직을 가하기 때문에 워리어, 버서커 같은 중형 적은 폭발의 반대 방향으로 크게 물러나고 밀려나지 않더라도 거의 모든 공격 및 이동을 중지시킨다.

일반 장갑 관통[AP3] 특성을 가진 직사 폭발성 플라즈마라는 발사체 특징 덕분에 몇 가지 이점이 있다. 일단 포방패 뒤를 타격 가능해 스카우트 스트라이더는 정면에 대놓고 쏴도 조종사를 잡을 수 있으며, 하이브 가드스퓨어 등 정면이 중장갑인 적에게도 효과적이다. 차저헐크도 잡을 수 있는데 정면에선 당연히 피해를 입히지 못하지만 후방 엉덩이나 방열판을 6발 정도 맞추면 처치 가능하다.

탄도는 스코처와 판박이로 직사에 사정거리가 매우 길고 탄 낙차도 별로 없으며 탄속도 플라즈마치고는 좀 빠른 편이라 고정 목표에 대해서는 중~원거리에서도 명중탄이 제법 나온다. 레이저 가이드와 함께 주로 실탄 무장에 달리는 플래시라이트가 장착되어 야간전에도 가시성이 나쁘지 않다는 것도 소소한 이점. 레일건과 달리 과충전 폭발 기믹이 없으므로 충전 상태를 계속 유지 가능하지만 충전을 일단 완료했다면 무조건 발사해야 한다. 충전 상태에서 다른 무기나 수류탄으로 교체해도 일단 발사하고 교체된다.

풀차징 사격을 해도 추가적인 탄약을 소모하지 않기에 탄성비와 보급효율도 매우 좋다. 현장에서 수집할 수 있는 탄약상자 1개에 탄창 3개(45발)를 수급하고, 스트라타젬으로 호출한 재보급 상자 1개에 탄창 6개(90발)를 수집할 수 있는데, 일반 장갑을 상대할 수 있는 폭발성 투사체를 발사하는 무기인 폭발성 석궁과는 확연히 차별화된 장점이다.[343]

단점은 투사체의 충돌 판정인데, 투사체가 거의 점 하나 수준의 크기라서 3인칭 조준 사격 정도로는 이동하는 적에 대한 중거리 사격이 불가능하다시피 하다. 탄도, 탄속, 폭발 범위, 반동 모두 불편하진 않지만 빗나가기에는 충분한 정도로 존재한다. 명중 판정이 매우 짜서 워리어 다리 사이로 지나가거나 트루퍼/레이더 겨드랑이로 지나간다든지 하는 어처구니 없는 일도 비일비재하고 다리를 노려도 다리 사이로 지나가는 일이 발생한다. 당연히 헤드샷 판정도 매우 좁아서 무한 경직이 들어간 데버스테이터도 헤드샷으로 빨리 잡는 게 불가능하다. 거기에 충전 중 총구에 충전 스파크가 튀어서 야간전에 1인칭으로 놓고 보면 눈 앞이 잘 보이지 않는다는 단점도 있다.

충전 사격이 하도 강력해서 이럽터마냥 볼트액션 총을 쓴다는 느낌으로 써도 좋다. 충전하는 동안 엄폐했다가 쏘고 엄폐를 반복하는 방식. 다만 버서커스토커같이 빠르게 다가오고 근접을 허용하면 안 되는 적들하고 마주쳤을 땐 비충전 연사로 빠르게 제압해야 한다.

지금은 매우 강력한 무장으로 취급되지만, 출시 당시에는 최악의 무기를 고르라고 하면 항상 순위권에 꼽히는 무기로 평가받은 무기였다. 단발 연사 기능이 없어서 무조건 충전해야만 했고, 그마저도 충전이 끝나지 않은 상태로 사격 버튼을 때면 불완전 충전 사격 대신 충전을 취소했으며, 폭발 범위가 작고 피해량조차 스코처보다 폭발 피해량이 살짝 높은 정도로 매우 낮아 퍼니셔 플라즈마의 하위호환 취급이었다. 탄도가 곧고 탄창도 많았지만 강제 충전 방식인 주제에 피해량이 너무 낮았기에 도저히 써먹을 구석이 없다는 평가가 대다수였다.

그러다가 게임의 여러 문제적인 요소를 집중적으로 보완하는 60일 패치의 마지막에 가장 큰 상향을 받은 강력한 무기로 탈바꿈했다. 스코처처럼 단발발사가 가능해지고 충전시 넓은 범위에 300의 폭발 피해를 가할 수 있는 강력한 무장이 되었으며 이는 완전충전 사격시 건쉽이나 바일 스퓨어를 직격 두방으로 처치할 수 있는 급이다. 범위 역시 증가하여 원거리에서 소형몹을 견제하기도 편하고 높은 내구 피해로 인해서 중형이상의 적들도 상대하기 편하다.

대신 완전충전 사격은 대미지가 높아진 만큼 아군이나 플레이어 본인이 폭발에 휘말리면 한방에 죽기 때문에 헌터나 파운서 같은 도약형 몹들을 조심해야하며 피격으로인한 경직등으로 조준선이 흐트러지지 않게 주의해야한다.

단발 무기치고 사속이 상당히 빠르다. 매크로로 연사 속도를 최대로 맞춰서 쏘면 차탄이 먼저 쏜 플라즈마탄에 맞아 폭발해 사용자에게 피해를 주기도 한다.

이름의 뜻은 정화자(Purifier)라는 뜻.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프리미엄 전쟁 채권
극지의 애국자
2024-05-09
추가
  • 게임에 추가.
01.000.400
2024-06-13
변경
  • 발사체 장갑 관통력이 폭발과 동일하게 증가.
    • 직격 피해 관통력이 경장갑 관통[AP2] 에서 일반 장갑 관통[AP3] 으로 상승.
  • 폭발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피해가 줄어드는 정도가 완화.중심 or 바깥범위 증가(추정)
  • 1인칭 조준점을 업데이트하여 가시성을 개선.[346]
01.001.104
2024-10-15
변경
  • 플라스마 발사체의 행동을 단일화.
    • 높은 공기 저항으로 인해 속도가 빠르게 감소.
    • 질량이 100g에서 25g로 감소.
    • 항력 계수가 50%에서 150%로 증가.
    • 중력 계수가 150%에서 100%로 감소.
    • 거리별 대미지,탄속 감소율이 ([ruby(7.1%,ruby=25m)] > [ruby(12.9%,ruby=50m)] > [ruby(23.5%,ruby=100m)])에서 ([ruby(31.5%,ruby=25m)] > [ruby(48.2%,ruby=50m)] > [ruby(64.4%,ruby=100m)])으로 증가.최대 충전만
  • 최소 충전을 추가해 최대 충전시의 대미지를 변경.
    • 최대 충전 직격 대미지가 100에서 200으로 증가.
    • 최대 충전 직격 내구력 대미지가 50에서 100으로 증가.
    • 최대 충전 폭발 대미지가 150에서 300으로 증가.
  • 충전하면 다음과 같은 대미지 배율이 적용.직격 피해만
    • 최소 충전 시간인 0.1초 충전 시 50% 대미지 배율 효과 적용.
    • 최대 충전 시간인 1초 충전 시 100% 대미지 배율 효과 적용.
  • 폭발의 경우 대미지 비율이 바뀌지는 않지만, 완전 충전 시 다른 폭발 효과를 적용.
    • 최소 충전 (0.1-0.99초): 중심 1미터, 반경 2미터, 폭발 대미지 75
    • 최대 충전 (1초): 중심 2.9미터, 반경 3미터, 폭발 대미지 300

미표기
  • 최소 충전이 0.1초가 아닌 0.01초로 설정됨.
1.001.201
2024-10-29
미표기
  • 무기고의 설명문이 변경.
    • 전 : 착탄시 폭발하는 초고온 가스 볼트를 발사하는 플라스마 총입니다. _한번 발사할 때마다 완전히 충전해야 합니다._
    • 후 : 착탄시 폭발하는 초고온 가스 볼트를 발사하는 플라스마 총입니다. _방아쇠를 당기고 있으면 충전되며, 완전히 충전된 탄은 착탄 시 폭발합니다._

9. 특수

다른 무장 계열에 속하지 않는 무기들이 들어가 있는 카테고리다.

9.1. FLAM-66 토처

||<-5><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FLAM-66 토처.png
||
<nopad>특수
FLAM-66 토처 FLAM-66 Torcher
경량형 화염방사기입니다. 분산 노즐로 가압 연료를 화염에 발사하며 안전합니다.
A lightweight flamethrower. Shoots pressurized fuel through a dispersion nozzle into an open flame.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40


||<tablewidth=100%><tablebgcolor=#522e20,#fd9900><height=2><nopad>||
"자유의 불길" 프리미엄 전쟁 채권 2/3
초당 대미지
375
용량
80
반동
2
속성 소이[화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발당 피해량[DMG] 3 일반 · 3 내구 · 270 실제 초당 대미지
장탄 수 80발(10초)
소지 탄창 [ruby(3,ruby=최초,color=#999)] / 6개
탄약 상자 보충 탄창 3개
재장전 시간 3.15초
사거리 21m
인체 공학성[Ergo] 45%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0/0,ruby=수평 / 수직)] ㏕ [ruby(0/3,ruby=수평 / 수직)] ㏕ 1 ㏕
비고 중장갑 관통[AP4]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화염방사기(Flamethrower)"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3 3 4 25-°/ 4 60-°/ 4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5 5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HELLDIVERS 2/시스템/피해 계산#상태 효과|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인화성 물질.svg {{{-2 {{{#!wiki style="display: none;display: inline;"]] ||
<rowcolor=#1c1d1f,#e0e0e0>
초당 피해
초당 피해 + 모듈
장갑 관통력 지속 시간 적용량
50
50 +13
4 / 4 / 4 / 0 3초 [ 10 ]
}}}}}}}}} ||

유일한 주무기 화염방사기.
워해머 40K의 플레이머를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인 성능은 스트라타젬으로 사용 가능한 화염방사기와 비슷한데, 유효사거리와 최초 사격시 연료의 예열이 필요하다는 점은 동일하며, 경량형이기 때문에 핸들링이 빠르지만 직사 대미지가 다소 약하다.

적에게 직접 사격하면 적에게 발화 상태이상을 입히며, 화염으로 인한 직사 피해를 동시에 입히기 때문에 헌터같은 소형 적은 불에 닿는 순간 불타 죽고, 브루드 커맨더같이 체력이 많은 적도 2~3초 정도만 지져주면 통구이로 만들어 버린다. 더구나 주무기중에서는 유일하게 중장갑 관통[AP4]이므로 하이브 가드스퓨어 계열에게도 온전한 피해를 입히고, 제한적이지만 장갑4단계인 차저에게도 정면에서 65%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또한 지면에 사격시 연료가 들러붙어 불의 장판을 만드는데, 이 장판을 지나가는 적들은 즉시 발화하며, 지면의 화염과 발화로 인한 피해를 입기 때문에 강력한 처치 능력을 지니고 있다. 참고로 불의 장판은 지면에 얼마나 사격했느냐에 따라 약 15초에서 20초 까지 지속된다.

지원 무기인 FLAM-40 화염방사기에 비해 연료통의 용량이 작지만 최대 10초까지 연사할 수 있으며, 연료통 소지량이 4개 대신 6개라 사용 가능한 연료량은 토처가 오히려 많은 편이다. 근거리에 한해서 막강한 화력을 투사할 수 있게 됨으로써 뛰어난 테르미니드 전용 근거리 특화 무장으로 평가 받는다.

단점으로 최초 사격시 연료의 예열이 필요하다는 점 때문에 적이 기습해오거나 하면 즉각적인 대응이 불가능하다. 더구나 불 붙은 연료를 분사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주무기에 비해 사거리가 짧은 편이고, 물리적인 저지력이 없기 때문에 하이브 가드나 브루드 커맨더 같은 불길을 어느정도 씹고 다가올 수 있는 적들이 대량으로 몰려오는 경우, 사격하며 뒷걸음질을 하거나 중간중간 후퇴하지 않으면 둘러싸여서 사망할 수 있으니 근접전을 보조해줄 수단을 챙기는 것이 권장된다.

또한 지원 무기의 화염 방사기보다 피해가 낮은 편인데 스트라타젬 분류가 아니라서 화염 대미지를 25% 증가시키는 함선 모듈 연소 개선의 효과를 못받기에 함선 모듈을 업그레이드 하고 나면 화력 면에서는 하위호환이 된다. 하지만 중장갑 대처를 주무기 화염방사기로 어느 정도 담당하고 다른 역할에 특화된 지원 무기를 가져가는 식으로 빌드를 다양화할 수 있어서 성능과 재미를 모두 챙길 수 있다.

참고로 다른 화염방사기류 무기도 동일하지만, 화염 줄기는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바람의 방향에 따라 화염 줄기가 크게 꺾이거나 사용자에게 되돌아 오는 경우도 있으니 한국어 설명의 안전하다는 건 슈퍼지구 특유의 뻥이라고 생각하자.

이름의 뜻은 점화 도구(Torcher)라는 뜻.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프리미엄 전쟁 채권
자유의 불길
2024-08-08
추가
  • 게임에 추가.
01.001.003
2024-08-13
수정
  • 화염방사기가 에너지 방패에 튕겨져 방어막 릴레이 돔 내에서 발사할 때 쓸모가 없게 되는 버그를 수정.
01.001.004
2024-08-20
수정
  • 화염방사기 입자가 적을 무시하는 문제를 해결.
01.001.100
2024-09-17
변경
  • 대미지가 33% 증가.
    • 입자당 대미지가 3에서 4로 증가.
  • 장갑 관통력이 일반 장갑 관통[AP3]에서 중장갑 관통[AP4]으로 증가
  • 이제 차저, 바일 타이탄, 임페일러, 헐크와 같이 더 큰 적에게 대미지를 입힐 수 있습니다.적 장갑등급 감소
  • 화염 방사 매커니즘이 자유의 확대 업데이트 이전 상태로 복구.
01.001.201
2024-10-29
수정
  • 화염방사기 및 가스 무기와 관련되어 드물게 발생하는 충돌을 수정.

9.2. JAR-5 도미네이터

||<-3><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nopad>
파일:HD2 무기 JAR-5 도미네이터.png
||
<nopad>특수
JAR-5 도미네이터 JAR-5 Dominator
제트 추진탄을 발사하는 도미네이터로, 연사율과 장탄 수가 감소한 대신 발사체 당 피해량을 높였습니다.
Firing jet-propelled rounds, the Dominator trades fire rate and magazine capacity for increased damage per projectile.
파일:HD2 메달 아이콘.svg 80


||<tablewidth=100%><tablebgcolor=#2b2b2b,#111><height=2><nopad>||<nopad>||<nopad>||<nopad>||
'''[[HELLDIVERS 2/스토어#결연한 베테랑|
"결연한 베테랑"
]] 프리미엄 전쟁 채권 3/3'''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333,#111><tablecolor=#e0e0e0><width=100px> 대미지 ||<width=200px><nopad>
275
||<width=100px> 용량 ||<width=200px><nopad>
15
||
반동
75
연사율
250
속성 일반 장갑 관통[AP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상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colbgcolor=#333,#111><colcolor=#fff,#ffe900> 발당 피해량[DMG] 275 일반 · 90 내구
장탄 수 15발(+약실 1발)
소지 탄창 [ruby(4,ruby=최초,color=#999)] / 6개
탄약 상자 보충 탄창 3개
재장전 시간 3.8초 · 2.6초(전술)
발사 속도 250 RPM
조정간 반자동 | 점사
인체 공학성[Ergo] 30%(기본) 20%(실제)[357]
반동 <rowcolor=#555,#ddd> 1인칭 3인칭 분산도
[ruby(30/30,ruby=수평 / 수직)] ㏕ [ruby(50/120,ruby=수평 / 수직)] ㏕ 10 ㏕
비고 전술 조명 · 레이저포인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발사체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15x100mm 표준탄(15x100mm Standard)"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민주주의의 가호.svg 직격 피해 ||
<rowcolor=#1c1d1f,#e0e0e0> 일반 피해 내구 피해 장갑 관통력 입사각(도탄)
275 90 3 25-°/ 3 60-°/ 3 80-°/ 0 80+°
<rowcolor=#1c1d1f,#e0e0e0> 철거 위력 비틀거림 유발 밀치기 위력
10 35 15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900><nopad>파일:HD2 방어구 패시브 포위 준비 완료.svg 탄도 제원 ||
<rowcolor=#1c1d1f,#e0e0e0> 구경 질량 항력 계수 중력 계수
15mm 100g 0% 30%
<rowcolor=#1c1d1f,#e0e0e0> 기본 탄속: 180m/s
<rowcolor=#1c1d1f,#e0e0e0> 감속 (25m) 감속 (50m) 감속 (100m) 감속 (관통)
0% 0% 0% 25%
}}}}}}}}} ||

15mm 제트추진 탄환쏘는 소총. 발 당 위력이 무려 275이며 일반 장갑을 관통해서 타격을 입힐 수 있고 저지력이 뛰어나다.

슬러거, 스코처와 비슷하게 물량을 처리하기 위한 일반적인 주 무기 역할을 기대하고 드는 무기는 아니고 주 무기로 일반 장갑 적을 전담하는 특정 로드아웃에서 주로 채택된다. 테르미니드전에서 워리어는 헤드샷 한방, 브루드 커맨더, 하이브 가드는 2발로 머리가 터지며 너싱 스퓨어는 머리 2발, 바일 스퓨어는 3~4발로 처치할 수 있다. 오토마톤전에서는 트루퍼 등 경보병은 부위 불문하고 한 방, 버서커데버스테이터를 깔끔하게 헤드샷 한방으로 처치가 가능하며 스카우트 스트라이더도 다리에 유효한 타격을 가할 수 있다. 비슷한 역할군인 슬러거, 스코처와 비교하면 처치 속도는 압도적으로 빠르지만 속도를 내기 위해선 반동과 조작성, 느린 탄속에 숙달될 필요가 있기에 불편함을 대가로 고점을 챙긴 타입이라 볼 수 있다.

일반 장갑 관통[AP3] 능력을 가진 주 무기 중에서 독보적으로 저지력과 DPS가 뛰어나 일반 장갑과 경장갑을 가진 위협적인 패턴의 적들[359]을 경직시켜 안전하고 빠르게 제압 가능하다는 점에서 메리트가 있다. 비슷하게 중간급 적에게 효과적인 석궁이나 이럽터, 퓨리파이어 등의 폭발성 주무기들과 역할이 겹치지만 도미네이터는 적이 근접한 상황에서도 플레이어가 폭발에 휘말릴 일이 없다는 은근한 장점이 있다. 실탄 무기임에도 내구 피해가 높은 편이라 테르미니드 배때지를 비롯한 내구 신체 부위[360]에도 충분히 피해가 들어간다. 탄창 당 대미지도 우수하여 깡체력이 높은 총알 스펀지형 적들을 대상으로도 효율적인 딜링을 기대할 수 있다.

단점은 반동과 조작성이 지원 화기급으로 안 좋다는 점이다. 여러모로 이론상의 위력은 뛰어나지만 사용 편의성이 발목을 잡는 무기이다. 버그전에서는 특히 헌터가 이 무기의 카운터라 불릴 정도로 악랄한 상성을 보이는데, 플레이어의 입력에 반응해서 좌우 뛰기를 해대는 헌터를 조작성 느린 도미네이터로 잡는 것이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보조 무기나 지원 무기로 잡몹 대처용 무기를 따로 드는 것이 추천된다. 가장 유사한 포지션인 슬러거와 비교하면 버그전에서는 슬러거가 그나마 조작성이 좋아서 잡몹 대처에 보다 효율적이고 오토마톤전에선 도미네이터가 딜과 경직은 슬러거보다 앞서지만 탄속과 조작성에 문제가 있어 중장거리 전에서 불리하다.

본래 조작성과 반동, 편의성 이슈[361]에도 불구하고 무기의 고점이 그다지 높지 않아 인기가 없었다. 하지만 이후 패치로 대미지와 저지력이 크게 상승해 곧바로 재조정되었고[362] 현재는 버그와 오토마톤 양쪽에서 인기가 높다.

독사 특공대이상적인 체형 방어구 패시브[363]가 제대로 패치되면서 조작성 문제가 완화되어 주가가 상승한 대표적인 무기로 손꼽힌다. 앉아쏴 자세를 취하면 점사로도 전탄 명중이 가능한 정도이다.

출시 초기에는 폭발성 피해를 주지 않음에도 폭발성 무기로 분류된 적이 있어서 플레이어에게 혼동을 주었으나, 이후 특수 무기로 분류가 변경되었다.

자이로젯을 사용하는 총기답게도 발사후 탄속이 줄어들지 않기에 거리에 따른 대미지 감소가 없다. 탄속 자체는 느리기에 크게 와닿는 부분은 아니다.

이름의 뜻은 정복자(Dominator)라는 뜻.

[ 패치 노트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1c1d1f,#e0e0e0><colbgcolor=#eee,#111><colcolor=#000,#ffe900><rowbgcolor=#eee,#111><rowcolor=#000,#e0e0e0><width=110px> 패치일자 || 변경사항 ||
01.000.200
2024-04-02
변경
  • 대미지가 200에서 300으로 증가.
  • 비틀거림 유발[ST] 능력 증가.
01.000.300
2024-04-29
변경
  • 대미지가 300에서 275로 감소.
01.000.400
2024-06-13
변경
  • 1인칭 조준점을 업데이트하여 가시성을 개선.[365]
01.001.104
2024-10-15
변경
  • 폭발성 무기 카테고리에서 특수 무기 카테고리로 이동.
01.001.201
2024-10-29
미표기
  • 도미네이터의 발사소리를 변경.




[DMG] 오른쪽 숫자는 내구 피해로, 내구력이 있는 부위에 일반 피해 대신 적용된다.[DPS] 해당 공격이 지속되는 동안 범위 내에 있으면 같은 피해를 반복적으로 받게 된다.[RPM] Rounds per minute. 1분당 발사 가능한 탄환의 수.[Ergo] Ergonomics. 핸들링이라고도 부르며, 높을 수록 총기의 조준점이 보는 방향으로 빠르게 정렬된다.[AP] Armor Penetration. 입사각도에 따른 관통력. 같은 공격이더라도 대상에 적중한 각도가 0~25°/25~60°/60~80°/80+°이냐에 따라 관통력이 결정된다.[AP0] 관통 불가.[AP1] 경장갑AV1에 피해를 65% 입힌다.[AP2] 경장갑AV1에 피해를 100%, 일반 장갑AV2에 피해를 65% 입힌다.[AP3] 일반 장갑AV2에 피해를 100%, 중장갑AV3에 피해를 65% 입힌다.[AP4] 중장갑AV3에 피해를 100%, 경전차장갑AV4에 피해를 65% 입힌다.[AP5] 경전차장갑AV4에 피해를 100%, 일반 전차장갑AV5에 피해를 65% 입힌다.[AP6] 일반 전차장갑AV5에 피해를 100%, 중전차장갑AV6에 피해를 65% 입힌다.[AP7] 중전차장갑AV6에 피해를 100%, 초중전차장갑AV7에 피해를 65% 입힌다.[AP8] 초중전차장갑AV7에 피해를 100%, AV8에 피해를 65% 입힌다.[AP9] AV8에 피해를 100%, AV9에 피해를 65% 입힌다.[AP10] 장갑 무시. 모든 장갑에 피해를 100% 입힌다.[AV] Armor Value. 장갑 등급과 같은 관통력을 가진 공격 피해는 경감, 더 낮은 관통력의 공격은 도탄된다.[AV0] 거의 모든 공격의 피해를 100% 받는다.[AV1] 경장갑 관통AP2 공격(리버레이터)의 피해를 100% 받는다. 경장갑 유효AP1 공격의 피해를 65%로 경감시킨다.[AV2] 경장갑 관통AP2 공격(리버레이터)의 피해를 65%로 경감시킨다. 그보다 낮은 관통력은 도탄시킨다.[AV3] 일반 장갑 관통AP3 공격(어드주디케이터)의 피해를 65%로 경감시킨다. 그보다 낮은 관통력은 도탄시킨다.[AV4] 중장갑 관통AP4 공격(오토캐논)의 피해를 65%로 경감시킨다. 그보다 낮은 관통력은 도탄시킨다.[AV5] 대전차1AP5 공격(레일건)의 피해를 65%로 경감시킨다. 그보다 낮은 관통력은 도탄시킨다.[AV6] 대전차2AP6 공격(무반동포)의 피해를 65%로 경감시킨다. 그보다 낮은 관통력은 도탄시킨다.[AV7] 대전차3AP7 공격(아크 발사기)의 피해를 65%로 경감시킨다. 그보다 낮은 관통력은 도탄시킨다.[AV8] 대전차4AP8 공격(스피어)의 피해를 65%로 경감시킨다. 그보다 낮은 관통력은 도탄시킨다.[AV9] 대전차5AP9 공격의 피해를 65%로 경감시킨다. 그보다 낮은 관통력은 도탄시킨다.[Main] 주요체력/총 체력. 다른 부위가 받은 피해를 영향력만큼 전달 받는다. 유닛에 따라 직접 공격이 가능할 수도, 불가능할 수도 있다.[DR] Durability. 높을수록 무기의 일반, 내구 피해 중 내구 피해에 더 크게 영향 받는다.[ExDR] Explosive Immunity. 폭발 피해가 발생했을 때, 해당 신체부위가 폭발면역인지 혹은 일부 경감인지를 결졍한다. YES는 면역, NO는 100% 피해, 25%면 받은 폭발 피해를 25% 감소하고 75%만 계산한다.[%] %toMain. 높을수록 해당 부위가 받는 피해량이 총 체력에 많이 반영된다.[DE] Demolition. 구조물이 파괴되기 위한 위력 수준. 가령 대체적으로 40의 철거위력에 닿으면 파괴되는 경우가 있다.[BaDR] Balistic Immunity. 구조물이 파괴되기 위한 철거 위력의 원천이 폭발피해여야만 적용되는지를 결정한다. Yes라면 폭발피해에서 발생된 철거위력이 아니면 철거위력이 충족되도 파괴되지 않는다.[치명] Fatal. 이 부위의 체력이 0이 되면 잔여 총 체력에 관계없이 사망한다.[출혈] Bleedsout. 해당 부위 파괴 시 활성화. 소진되면 사망하는 추가 체력을 얻는다. 초당 체력이 지정된 값만큼 감소하며, 일부 행동과 능력치가 변동된다.[다운] Downs. 해당 부위 파괴 시 활성화. 유닛의 기동력이 감소한다. 체질 태그가 있다면 함께 활성화한다.[체질] Constitution. 해당 부위 파괴 시 활성화. 소진되면 사망하는 추가 체력을 얻는다. 초당 체력이 지정된 값만큼 감소한다.[ST] Stagger. 대상이 공격에 비틀거리는 정도. 수치가 높으면 대상에 따라 경직시킬 수 있다.[INT] Interrupt. 비틀거림이 요구값을 넘길 때 경직 여부가 Yes라면 대상이 마지막으로 하던 행동이 중지된다.[PF] Pushforce. 경직된 대상을 값만큼 밀쳐낸다.[Min] 효과 누적량이 해당 수치를 넘기면 상태 효과가 시작된다. 누적량은 서서히 낮아진다.[Max] 효과 누적량은 해당 수치를 넘길 수 없다.[화염] Fire. 3초간 지속 피해 / 초당 피해 50 / 중장갑 관통AP4 / 헬다이버는 함선모듈 업그레이드 시 피해량 63으로 변경[네이팜] BurningHeavy. 직격 대상에 1.25초(5틱)간 지속 피해 / 초당 피해 400(일반), 80(내구) / 경장갑 관통AP2[가스] Gas+Confusion. 6초간 지속 피해 / 초당 피해 25 / 일반 전차장갑 관통AP6 / 같은 대상이 입는 피해는 점점 감소 / 25% 둔화 + 적은 5초간 혼란[기절] Stun. 비틀거림, 경직과는 별도로 적 유닛의 행동을 완전히 멈춘다. 4단계로 나뉘며, 단계에 따라 지속 시간이 다르다.[산성] Acid Splash. 4초간 둔화 및 지속 피해 / 일반 피해 3 / 내구 피해 0 / 경장갑 유효AP1[출혈⒣] Bleeding. 치료 전까지 지속 피해 / 초당 피해 1 / AP9[49] 실제로 쓰이는 야전 요법 중 하나다. 대표적으로 미군 중 융통성 있는 보병 부대의 경우 마지막 다섯 발 쯤을 예광탄으로 채웠다는 경험담이 종종 들려온다.[AP2] [DMG] [Ergo] [53] 부착물 데이터상 수치, 실제로 감소되는지는 불명 | 2배율 튜브 레드닷(-6) / 전술조명,레이저포인터(-5)[AP2] [55] 첫 스트라타젬에 기관총을 주는 이유가 유저에게 장갑과 장갑 관통 무기에 대해 자연스레 깨우치게 하기 위함이다.[AP2] [ST] [AP3] [DMG] [Ergo] [61] 부착물 데이터상 수치, 실제로 감소되는지는 불명 | 4배율 전투 조준경(-10) / 총구보정기(-4) / 전술조명,레이저포인터(-5)[AP3] [63] 물론, 최대 탄성비를 따진다면 약점을 쏘는게 좋고 어차피 약점을 쏠거라면 피해량이 더 높은 기본 리버레이터가 더 낫다.[AP3] [AP3] [AV2] [AV3] [68]
파일:HD2 중배율 망원 조준경 변경전.png
변경 전

파일:HD2 중배율 망원 조준경.png
변경 후
[ST] [70]
파일:HD2 무기 AR-23P 리버레이터 페네트레이터.png
[AP2] [DMG] [Ergo] [74] 부착물 데이터상 수치, 실제로 감소되는지는 불명 | 1.5배율 튜브 레드닷(-5) / 5.5mm 드럼탄창(-10) / 전술조명,레이저포인터(-5)[75] 기존의 Explosive에서 Concussive(충격탄)으로 변경되었다.[76] 일반 리버레이터와 카빈이 경직 수치가 15, 밀어내는 힘이 10이고 페네트레이터는 각각 10인데, 컨커시브는 경직이 35, 밀어내는 힘이 60이나 된다.[77] 센트리, 가스소이 같은 지속형 수류탄이나 스트라타젬, 아군[78] 65 × 320RPM(초당 5.3발)로 346.66...에 불과하다. 이는 순간화력이 부족한 것으로 악명높은 사이스의 분당 피해량 350보다도 낮다.[79] 파일:HD2 리버컨커.jpg[80] 참고로 현실의 불펍 총기와 드럼 탄창은 사수의 조작성과 조준 편의성을 크게 해치기 때문에 궁합이 좋지 않다.[81]
파일:HD2 무배율 반사 조준경 변경전.png
변경 전

파일:HD2 무배율 반사 조준경.png
변경 후
[82]
파일:HD2_무기_AR-23C_리버레이터_컨커시브.png
[PF] [84]
파일:HD2 리버컨커.jpg
변경 전

파일:AR-23C.png
변경 후
[AP2] [DMG] [Ergo] [88] 부착물 데이터상 수치, 실제로 감소되는지는 불명 | 원형 리플렉스 사이트(-1) / 전술조명,레이저포인터(-5)[89] 전체적으로 MACV-SOG가 애용한 XM177가 모티브로 보인다.[90] 카빈은 조준선 정렬 속도가 70, 이상적인 체형 방어구 패시브가 적용되면 30이 더해져 100이 되므로, 조준선 정렬 지연 수치가 0, 즉 없어진다.[91] 공간이 협소한 실내전을 위해 총열을 줄였다는 점이 비슷하다. 마찬가지로 정글 또한 나무나 수풀로 인해 지나치게 긴 장비는 여기저기 걸리고 불편하기 때문에 총열을 줄이기도 한다.[92] 패트리어트는 분당 1380발을 뱉는 괴물이었고, 장탄 수 75발짜리 특대 탄창을 12개씩이나 쟁여 다닐 수 있었다.[ST] [Ergo] [95]
파일:HD2_무기_AR-13A_리버레이터_카빈.png
[AP2] [DMG] [Ergo] [99] 부착물 데이터상 수치, 실제로 감소되는지는 불명 | 2배율 튜브 레드닷(-6) / 전술조명,레이저포인터(-5)[100] 데이터 마이닝에서 확인된 탄속은 820m/s로 리버레이터의 1,000 m/s보다 느린 편이나 여전히 아음속탄 수준으로 반동을 줄인 것은 아니다. 소총에 모종의 반동 감쇄 설계가 적용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AP3] [AP3] [103] 데이터 마이닝에서 확인된 사용 탄종 명칭인 Rifle Rico는 쟈니 리코에서 따온 이름으로 추정된다.[104] 파일:HD2 텐더라이저 변경전.jpg[ST] [106]
파일:HD2_무기_AR-61_텐더라이저.png
[AP3] [DMG] [Ergo] [110] 부착물 데이터상 수치, 실제로 감소되는지는 불명 | 2배율 튜브 레드닷(-6)[111] 이름의 BR도 전투소총(Battle Rifle)을 의미한다. 지정사수소총으로 출시되었으나, 애매한 성능으로 인해 돌격소총으로 재분류되었다.[AP2] [DMG] [Ergo] [AP3] [AP3] [DMG] [Ergo] [119] 해방절 이후 게임을 구입하는 사람들은 게임을 시작하는 즉시 무기와 방어구가 지급된다고 한다.[AP3] [AP3] [122] 그래서 컨스티튜션으로 여러 기상천외한 적들을 잡아내는 외국 영상을 보면, '과도한 폭력 없이 헌법(컨스티튜션)으로 팩토리 스트라이더나 바일 타이탄을 쓰러뜨릴 수 있다' 라는 언어유희성 개드립 댓글을 볼 수 있다.[AP2] [DMG] [Ergo] [126] 부착물 데이터상 수치, 실제로 감소되는지는 불명 | 4배율 전투 조준경(-10)[AV3] [AV3] [129] 트루퍼의 팔을 맞추면 사지 파괴가 적용되어 해당 팔이 떨어져 나가지만 살아 남는다. 제트팩을 착용한 트루퍼의 경우 제트팩을 사격하면 폭발하고 1초 후 화상 피해로 인해 쓰러진다.[AV3] [AP3] [132]
파일:HD2 중배율 망원 조준경 변경전.png
변경 전

파일:HD2 중배율 망원 조준경.png
변경 후
[AP3] [DMG] [Ergo] [136] 부착물 데이터상 수치, 실제로 감소되는지는 불명 | 10배율 저격 조준경(-14) / 15mm 총구제동기(-6)[AP3] [AP3] [139] 사실, 패치전 피해량이 순정 딜리전스 대비 꼴랑 3 높은 128 이라는 매우 특수한 수치였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제작진이 대놓고 데버스테이터 머리를 따는데 쓰라고 만들어놓은 무기임을 쉽게 추측할 수 있다.[AP3] [AV4] [AV3] [AP3] [AP2] [AV4] [AP4] [147] 128 → 140 -> 200으로 상승[AP2] [AP3] [150]
파일:HD2 고배율 저격소총 조준경 변경전.png
변경 전

파일:HD2 고배율 저격소총 조준경.png
변경 후
[ST] [AP3] [DMG] [Ergo] [155] #[AP2] [DMG] [Ergo] [PF] [AP2] [DMG] [Ergo] [AP3] [DMG] [Ergo] [166] 부착물 데이터상 수치, 실제로 감소되는지는 불명 | 사각 홀로그래픽 사이트(-3) / 전술조명,레이저포인터(-5)[167] 대략 .4725 구경. .45 ACP보다 크고 .50 AE보다 작다[168] 반동 심한 무기가 보통 그렇듯이 1인칭 사격을 하면 반동이 눈에 띄게 줄어든다. 아예 앉아/포복으로 사격 시 반동 추가 30% 감소를 주는 방어구를 입고 앉아서 1인칭으로 쏘면 자동 사격으로도 상당한 집탄율을 보여준다.[AP3] [AP2] [DMG] [Ergo] [173] 부착물 데이터상 수치, 실제로 감소되는지는 불명 | 전술조명,레이저포인터(-5)[174] 오픈볼트 구조는 워낙 단순하여 클로즈드 볼트보다 양산에는 용이하나, 정밀성이 부족하고 이물질 유입에 민감하다는 단점이 커 현대 군경용 화기에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AP2] [DMG] [Ergo] [178] 부착물 데이터상 수치, 실제로 감소되는지는 불명 | 전술조명,레이저포인터(-5)[AP2] [DMG] [Ergo] [182] 최대 탄약량 40 → 60, 펠릿 당 피해량 40 → 45, 저지력(Stagger Force) 크게 상승. 2024년 3월 6일 패치(1.000.100)[ST] [AP3] [DMG] [Ergo] [187] 부착물 데이터상 수치, 실제로 감소되는지는 불명 | 1.5배율 튜브 레드닷(-5)[188] 2024년 3월 6일 패치(1.000.100)[189] 피해량 280 → 250, 저지력 감소, 파괴력(철조망, 컨테이너 등을 파괴하던 기능) 감소. 2024.04.02(1.000.200) -> 저지력 증가, 분산도/항력 증가. 2024.08.06(1.001.002)[190] 동일하게 총몸에 탄약이 붙어있는 보조무기 산탄총 부시웨커와 함께 추가된 디테일이다.[ST] [DE] [AP2] [AP3] [195]
파일:HD2 무배율 반사 조준경 변경전.png
변경 전

파일:HD2 무배율 반사 조준경.png
변경 후
[ST] [AP2] [AP3] [DMG] [Ergo] [201] 부착물 데이터상 수치, 실제로 감소되는지는 불명 | 1.5배율 튜브 레드닷(-5)[202] 작은 못이나 화살촉을 연상케 하는 뾰족하고 날카로운 펠릿으로 되어있는 탄환이다. 헬다이버즈2와는 달리 현실에선 이 형태로 인해 탄이 불규칙하고 불안정한 궤도로 날아가기 일쑤고, 바람의 영향을 매우 크게 받고, 심하면 빗물에도 궤적이 바뀔 정도로 신뢰성이 크게 떨어져, 사실상 사장된 탄환이다.[203] 기절탄은 경장갑 관통이라 AV3 이상의 장갑에는 맞춰도 기절효과를 볼 수 없다.[204] 인게임 설정으로는 무기 휠을 여는 버튼을 단 하나만 설정 가능하지만 해당 방법으로는 A버튼, B버튼, C버튼에 '무기 휠 열기' 기능을 할당 가능하다. A버튼에는 '무기 휠 열기' 기능 하나만 할당해 기존처럼 수동으로 무기 설정을 조정하고 B버튼에는 '무기 휠 열기' + '무기 휠 좌측', C버튼에는 '무기 휠 열기' + '무기 휠 우측' 기능 두 개를 할당하여 단일 입력으로 탄종을 바꿀 수 있게 설정한 것.[AP2] [화염] [DMG] [Ergo] [209] Lethal Part. 파괴되면 부가 효과로 대상이 처치되는 부위. 차저나 바일 타이탄 머리가 대표적이다.[210] 팔, 다리는 별개로 사지 생명력(Limb Health)이 존재하며 이 생명력이 소진되면 해당 부분이 파괴되고 그에 따른 장애가 생기는 시스템이다. 사지에 가해지는 피해는 미리 정해진 비율(Durable Damage %)에 따라 주 생명력 풀에 가해진다. 물론 치명 태그가 붙은 머리 같은 부위는 파괴 시 즉사 효과가 발생한다.[211] 관통력 3이라 약점 사격 필요[AP2] [DMG] [Ergo] [215] 부착물 데이터상 수치, 실제로 감소되는지는 불명 | 전술조명,레이저포인터(-5)[216] 극초기 처참한 주무기 중 압도적인 성능으로 인해 탄창 당 탄환수가 살짝 까이고 반동이 증가하는 최초의 너프를 맞았지만 너프 이후에도 주 무기 중에서 높은 화력의 대체제가 딱히 없어 한동안 픽률이 유지되었다. 하지만 이후 전천후 만능 돌격소총인 시클이 추가되고 다른 무기들이 버프를 받으면서 발매 초기의 브레이커만 선택하던 기조가 풀리게 되고, 그중 상향된 브레이커 인센디어리가 사실상 이 무기의 상위호환이 되면서 픽률이 크게 줄어들었다.[217] 너프에 맞춰 모델링을 새로 만든 것은 아니고 인게임 데이터에 있는 미등장 총기의 탄창 모델링을 가져왔다.[218]
파일:HD2 무기 SG-225 브레이커.png
[ST] [AP2] [DMG] [Ergo] [223] 부착물 데이터상 수치, 실제로 감소되는지는 불명 | 원형 리플렉스 사이트(-1) / 12게이지 드럼탄창(-10) / 12게이지 덕빌(-3) / 전술조명(-3)[AV2] [AV3] [226] 초기 성능은 관통력 수치가 지나치게 낮은 AP1로 설정되어 장갑 1인 테르미니드 워리어를 상대로 피해량이 반감되어 공기저항 고려시 펠릿당 5라는 처참한 피해량을 냈고, 약 1~2M 거리에서 테르미니드 알이나 맵에 널부러진 폭발형 가스통과 같은 파괴 가능한 오브젝트에 있는대로 쏴도 도탄이 발생해 부숴지지 않았다. 후일 개발진이 공식적으로 밝히길 당시의 성능은 브레이커의 강화형으로서 기획한 결과였다는 어처구니 없는 답변을 날렸는데, 인게임에서 성능 테스트를 한 번이라도 했으면 모를 수가 없는 현상이었기에 국내외를 막론하고 크나큰 반발을 얻었다.[227] 연사 속도 10% 증가, 펠릿 개수 12 → 16, 탄창 크기 32 → 26, 장갑 관통력 상향, 2024년 3월 6일 패치(1.000.100). 탄착군을 수직으로 만드는 덕빌 총구 탑재, 대미지 192->240 향상 2024.09.17 패치(1.001.007). 조작성 25-> 50,2024.12.12 패치(01.002.001)[228] 발사 후 망각도 비슷한 용어.[229] 설명처럼 인게임 내에서도 잡몹들이 수십마리씩 몰려오는 상황에서 이 무기를 난사하면서 살려달라고 기도하는 걸 생각하면 재밌는 부분이다.[AP1] [AP2] [232]
파일:HD2 무배율 리플렉스 조준경 변경전.png
변경 전

파일:HD2 무배율 리플렉스 조준경.png
변경 후
[233]
파일:HD2 무기 SG-225SP 브레이커 스프레이 앤 프레이.png
[Ergo] [235] 자동사격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초보자들은 과열치가 존재하거나 샷건처럼 단발로 발사해야하는 무기인줄 착각하고는 한다.[AP2] [화염] [DMG] [Ergo] [240] 부착물 데이터상 수치, 실제로 감소되는지는 불명 | 사각 홀로그래픽 사이트(-3) / 12게이지 드럼탄창(-10) / 전술조명,레이저포인터(-5)[241] 사격 한번에 3번 점사하는 것은 아니고 방아쇠를 당기고 있는 동안 최대 3번까지만 사격하는 것이다.[AP2] [243] 50%의 감소율을 보인다. 참고로 리버레이터는 약 77%이다.[244] 패치 이전엔 팀원이 가한 지속 피해가 다른 팀원에게 적용되지 않는 버그가 있어서 피해가 거의 들어가지 않았지만 버그가 고쳐지고 화염 피해가 버프를 받으면서 재빠르게 불을 끄지 않으면 생각보다 많은 피해를 입힌다.[245] 브레이커 인센디어리 펠릿 당 피해량 15 → 20, 모든 화염 지속 피해의 피해량 50% 상승, 2024년 4월 2일 패치(1.000.200), 지속 피해가 들어가지 않던 버그 수정, 5월 7일 패치(1.000.302)[246] 사지의 갯수가 많아 각 사지가 일종의 공간장갑으로 작용하는 현상. 피해량 175인 세너터의 몸샷이 날개나 앞다리에 막혀 한 방이 안 나오는 현상이 대표적이다. 대물량 전문 주무기인 시클이 하향된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다 쏴죽이긴 말이 안되니 브인센이나 화방+방어막으로 태워죽였는데 이 둘마저 너프된 것. 쿡아웃이 빈틈을 채워주긴 했지만, 민심이 좋을리가 없다.[247] 강화 스카우트 스트라이더, 바라저 탱크, 임페일러, 알파 커맨더, 스포어 차저.[248] Massive Body Parts, 스퓨어 시리즈가 가진 담즙낭이 대표적이다.[249] Non-Lethal Parts, 대표적으로 바일 타이탄이 가진 담즙 주머니와 차저 복낭이 있다. 차저 복낭은 파괴되면 돌진 공격이 봉인되고 출혈로 결국 사망에 이르지만 즉사하진 않는다.[250] 다른 게임으로 비유하자면 해상전에서 너무 얇은 장갑을 가진 군함을 철갑탄으로 쏘면 '과관통 Overpenetration'이라고 해서 탄두가 폭발하지 않고 반대편 장갑판을 뚫고 배 밖으로 나가버려 표적에 구멍 두 개만 달랑 뚫리는 것과 비슷한 이치이다. 헬다이버스 2와 같이 그런 상황에서 철갑탄이 아닌 고폭탄을 사용하면 군함에 어마어마한 피해가 가해진다.[AP3] [DMG] [Ergo] [254] 부착물 데이터상 수치, 실제로 감소되는지는 불명 | 1.5배율 튜브 레드닷(-5)[AP3] [256] 탄창 UI에 표기되지 않는다. 대신 장전탄이 10~20% 이하기 되면 UI가 빨갛게 표시되므로 언제 장전을 해야할지 알 수 있다.[257] 스퓨어를 2발 브루드 커맨더는 많아도 3발이면 처리할 수 있다.[258] 도시 곳곳에 탄약박스가 존재하므로 틈틈이 전술재장전을 하여 한 발이라도 더 챙겨가면 편리하다.[AP3] [AP2] [261] 실제로도 9월 17일자 패치 이후 오토마톤 공방에서는 석궁+대거+탄도방패 또는 석궁+대거+지원무기 등의 조합도 나타나고 있다.[262] 관심지역에서 노획할 수 있는 지원 무기들이 전부 직간접적 버프를 받아 테르미니드에게 잘 먹히게 되었기 때문.[263] 건강한 관계는 아니다. 개발진의 자업자득이라고는 하지만, 헬다2는 협동과 희생(?)을 전제로한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식의 무기들로 옆의 동료와 상호보완 되면서도 서로를 팀킬하게 되버리는 나사 빠진 밸런스를 재미로 지향하고 있는데, 유저들이 원하는 나 혼자서도 다 터뜨릴 수 있는 밸런싱과는 아예 충돌하기 때문이다. 다만 별개로 대규모 버프 이전의 헬다2가 상당히 어려운 게임이였던 건 맞다.[ST] [Ergo] [AP2] [AP3] [DE] [269]
파일:HD2 무배율 반사 조준경 변경전.png
변경 전

파일:HD2 무배율 반사 조준경.png
변경 후
[DE] [AP3] [DMG] [DMG] [Ergo] [275] 부착물 데이터상 수치, 실제로 감소되는지는 불명 | 10배율 저격 조준경(-14)[276] 석궁은 6 미터 이내가 아니라면 약간 피해 받고 뒤로 넉백당하는 정도이며 유탄 발사기는 8 미터 이내에서는 아예 0.5초 지연 신관으로 동작한다. 이럽터를 2~8 미터 거리에서 쓰면 넉백은 물론 상당한 피해를 입으며 즉사 상황도 심심찮게 일어난다.[277] 2024년 8월 23일 개발책임자 필레스테트가 밝힌 바에 의하면 출시 당시 궤도 공중폭발 타격 스트라타젬과 동일한 파편을 사용했다고 한다. 즉 한 발 한 발이 그저 범위 좁힌 궤도 공중폭발에 가까웠다는 뜻이다.[278] 당시 이럽터는 공장도 부수고 잡몹도 정리하고 중형 적도 터뜨리는, 쓰기 어려울 뿐 사실상 오토캐넌과 거의 비슷한 포지션이었다. 오토캐넌에는 없는 대규모 물량 정리까지 가능해서 일부는 상위호환으로 평가할 정도. 시작부터 들고 가는 주 무기가 스트라타젬 슬롯을 먹는데다 배낭까지 들어야 하는 지원 화기와 동급 성능이니 좋아도 너무 좋았던 것.[279] 동시에 세열 수류탄 역시 소지수랑 파편의 양이 증가했다.[280]
파일:HD2 고배율 저격소총 조준경 변경전.png
변경 전

파일:HD2 고배율 저격소총 조준경.png
변경 후
[281] 어느정도 과열이 쌓인 상태라면 방열판이 망가지기 전에도 재장전 키를 눌러 미리 교체할 수도 있으나, 이렇게 하더라도 교체한 방열판은 다른 총기의 탄창과 똑같이 소모된다. 매스 이펙트 시리즈의 무기와 비슷한 운용 방식이다. 과열을 식히는 방식은 1편에서, 방열판을 교체하는 방식은 2편에서 따와 적용하였다.[282] Internal Cooling Element 의 줄임말이다. 직역하면 내부 냉각 요소. 헬다이버들도 보통 정식명칭 대신 "아이스"라고 말하는데, 게임할 때 솔로로 하면 재장전시 말을 안하기에 들을 수 없고 파티로 할 때 재장전시 가끔 들을 수 있다.[283] 경장갑 관통[AP2]사이스대거는 경장갑[AV1]인 헐크의 배기판에는 피해를 줄수 있지만, 중장갑[AV3]인 탱크 계열의 배기판에는 피해를 주지 못하고 반사된다. 대신 스트라타젬 무기인 레이저 캐넌은 중장갑 관통[AP4](경전차장갑 유효)이기에 최대 장갑 수치가 경전차장갑[AV4]인 헐크는 어디를 조준하든 피해를 입힐 수 있지만, 최대 장갑 수치가 일반 전차장갑[AV5]인 탱크는 정면에서 상대할 수 없고, 장갑 수치가 낮은 후방 배기판을 노려야 한다.[284] 적의 시체, 식생같은 오브젝트, 아군 헬다이버 등[AP3] [DMG] [Ergo] [288] 부착물 데이터상 수치, 실제로 감소되는지는 불명 | 사각 홀로그래픽 사이트(-3)[289] 발사체에 유효한 조건의 대상이 값(m)이내에 근접해 있을 경우, 범위 피해를 작동시키는 값. 즉 발사체가 적에게 닿기 전에 폭발하기에 직격피해를 줄 수 없다.[290] 직격이 100, 폭발피해는 150이다.[AV3] [AV4] [AP3] [DMG] [Ergo] [296] 표기된 각도 이내의 적에게 자동 명중 됨[297] 명중 후 다른 오브젝트에게 명중되는 각도[기절] [AP3] [AP7] [301] 일반적인 무기라면 앞의 적을 처리해야 뒤의 적을 공격할 수 있는데, 블리처는 펠릿이 분산되면서 앞/뒤의 모든 적을 때리는 경우가 생긴다. 이런 특징 때문에 뒤에 가려진 작은 병종이 증원을 부르다가도 무작위로 튄 펠릿에 맞아서 경직되거나 죽기도 한다.[302] 정면에서도 장갑에 유효 대미지를 입히면서 기절치가 누적되며, 4~5회 가량 공격하면 죽일 수 있다.[303] 발톱 공격은 쉽게 견제할 수 있으나, 일단 촉수 공격 모션에 들어가면 펠릿에 맞더라도 촉수를 뱉어내는 경우가 종종 있으므로 주의[304] 가드 독 로버, 레이저 캐넌, 퀘이사 캐넌, 아크 발사기 등 사실상 무한으로 운용할 수 있는 무장을 곁들이면 작전시간 40분 내내 보급을 하나도 받지 않은 채 싸우는 것도 가능하다.[305] 방패 부분은 말할 것도 없이 도탄되며, 다른 부위에 대미지가 들어가기는 하지만 치명적인 무기를 난사해대는 상대방에게 굳이 접근할 이유가 없다.[AP3] [기절] [AP2] [화염] [DMG] [Ergo] [312] 부착물 데이터상 수치, 실제로 감소되는지는 불명 | 2배율 튜브 레드닷(-6) / 전술조명,레이저포인터(-5)[313] 약 8초[314] 국내에서는 보통 이 단어를 음차할 때 "사이드"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화염] [316]
파일:HD2 무기 LAS-5 사이스.png
[AP2] [DMG] [Ergo] [320] 부착물 데이터상 수치, 실제로 감소되는지는 불명 | 2배율 튜브 레드닷(-6)[321] 예열되면서 삼각형 조준선이 점점 빠르게 회전하는데, 발사 도중 잠깐씩 끊어 쏘더라도 회전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예열이 다시 필요하지 않으니 요령껏 점사할 수 있다.[322] 지근거리까지 브루드 커맨더의 접근을 허용한 상황이나 스토커 다수가 코 앞에 나타난 상황 등.[323] 다만, 지향사격으로도 미리 예열을 시작할 수 있으니 습관을 들여두면 보완가능하다. 다이브나 근접공격도 섞어주면 더욱 좋다.[AP3] [DMG] [Ergo] [327] 부착물 데이터상 수치, 실제로 감소되는지는 불명 | 1.5배율 튜브 레드닷(-5) / 전술조명,레이저포인터(-5)[AP2] [AP3] [AV2] [331] 이 경우 엉덩이 위쪽의 갑판이 아닌 하단 부분을 직접 노려야 확실히 피해를 줄수 있으니 조준시 유념해야 한다.[332] 정확히는 추진기에 8발, 몸체에 대고 14발을 적중시키면 격추된다. 한 탄창이 20발이고 탄속 때문에 빗나가는 탄환을 생각하면 사실상 한 탄창을 다 꽂아야 한다.[333]
파일:HD2 무배율 반사 조준경 변경전.png
변경 전

파일:HD2 무배율 반사 조준경.png
변경 후
[AP3] [DMG] [DMG] [337] 최소 충전 시간이 0.1초이므로 사실상 600RPM이다.[Ergo] [339] 부착물 데이터상 수치, 실제로 감소되는지는 불명 | 1.5배율 튜브 레드닷(-5) / 전술조명,레이저포인터(-5)[340] 최소 0.1초 충전시[341] 최대 1초 충전시[AP3] [343] 유탄발사기는 보급효율이 낮아서 보급 팩 없이는 무기의 제성능을 발휘하기 힘들고, 석궁도 현장보급을 염두에 두고 동선을 짜야하며, 전투가 장기간 지속되거나 현장보급이 꼬이면 부족할 수 있다. 퓨리파이어는 풀차징으로만 운용하면 탄약이 고갈나는 경우가 사실상 없다.[AP2] [AP3] [346]
파일:HD2 무배율 반사 조준경 변경전.png
변경 전

파일:HD2 무배율 반사 조준경.png
변경 후
[화염] [DMG] [Ergo] [AP4] [AP4] [AP3] [AP4] [AP3] [DMG] [Ergo] [357] 부착물 데이터상 수치, 실제로 감소되는지는 불명 | 1.5배율 튜브 레드닷(-5) / 전술조명,레이저포인터(-5)[AP3] [359] 스토커, 브루드 커맨더, 스퓨어, 데버스테이터, 버서커 등[360] Massive Body Compartment, 주요 장기가 없거나 크기가 커서 일반적인 탄으로는 피해를 거의 입지 않는 부위.[361] 주무기 치곤 매우 느린 조작성과 반동은 각각 1인칭 조준, 반동 감소 방어구로 어느정도 해결이 가능하나 1인칭 조준시 3인칭 시점에선 크게 문제가 되지 않던 무기의 총구 화약연이 매우 짙게 남아 물리적으로 화면을 가려버려서 또 다른 의미로 정밀 조준을 힘들게 하는 깨알같은 디테일을 넣어놨다. 모든 무기 중 탄속이 가장 느린 편에 속하기 때문에 거리가 벌어지면 하탄이 나서 도트사이트 대신 하단 레이저에 맞춰 쏴야 하는 등 사용에 불편한 점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모든 주 무기에 해당되는 사항이지만 야간전에서 총구 연기에 시야가 가리는 문제는 R키를 꾹 눌러 나오는 옵션에서 전술 조명을 끄면 어느 정도 해결된다.[362] 피해량 200 → 300으로 상향조정, 저지력 증가, 2024년 4월 2일 패치(1.000.200), 피해량 300 → 275로 하향 조정, 2024년 4월 29일 패치(1.000.300). 특히 저지력은 패치 전 슬러거와 거의 동일 스펙이라 스퓨어의 담즙, 브루드 커맨더의 돌진을 캔슬할 수 있고 오토마톤 데버스테이터도 몸샷으로 경직이 들어간다.[363] 근접 공격 피해 50% 증가, 무기 조작성 향상.[ST] [365]
파일:HD2 무배율 반사 조준경 변경전.png
변경 전

파일:HD2 무배율 반사 조준경.png
변경 후


[AP2] [AV1] [AV3] [AP4] [AV4] [AV5]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r247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r247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