寶 보배 보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宀, 17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20획 | ||||
고등학교 | |||||||
宝 | |||||||
일본어 음독 | ホウ | ||||||
일본어 훈독 | たから | ||||||
宝 | |||||||
표준 중국어 | bǎo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寶는 '보배 보'라는 한자로, 보배, 옥새, 진귀한 것 등을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는 U+5BF6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十一山金(JMUC)으로 입력한다.원래 이 글자는 宀(집 면), 玉(구슬 옥), 貝(조개 패) 자로 이루어진 회의자로, 집 안에 구슬과 재화가 가득한 모습을 본떠 '보물'이라는 뜻을 표현했다. 갑골문에서는 宀+玉+貝의 형태였다가, 금문에서 소리를 나타내는 缶(장군 부) 자가 추가되어 형성자가 되었으며, 이 자형이 현재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뜻이 '보배'[1]인지라 사람 이름에 자주 쓰인다.
복잡한 자형 때문에 컴퓨터 화면에서 글자 크기가 작을 때에는(특히 글자가 뭉개져서 렌더링된다면) 모양이 비슷한 열매 실(實)과 구별하기 어렵게 될 수도 있다. 다만 일본식 신자체나 중국식 간화자로는 분명히 구별된다.
다음과 같은 이체자가 있다.
- 珤 (U+73E4) : KS X 1001, 준특급 한자, 인명용 한자
- 靌 (U+974C) : KS X 1002, 인명용 한자
- 宝 (U+5B9D) : 일본 신자체, 중국 간체자, 인명용 한자
- 寳 (U+5BF3) : 인명용 한자
- 㻄 (U+3EC4) : 인명용 한자
- 寚 (U+5BDA)
- 𩇉 (U+291C9)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고보녕(高寶寧)
- 고보장(高寶臧)
- 김보라(金寶羅)
- 김보석(金寶石)
- 김보희(金寶姬)
- 나가토미 치아키(永宝 千晶)
- 모용보(慕容寶)
- 박보검(朴寶劍)
- 박보람(朴寶覽)
- 박보미(朴寶美)
- 박보영(朴寶英)
- 신보라(申寶羅): 코미디언
- 쑨바오치(孙宝琦)
- 원자바오(溫家寶)
- 이누무타 호카(犬牟田 宝火)
- 이보영(李寶英)
- 이치노세 호타로(一ノ瀬 宝太郎)
- 장보(張寶)
- 전보람(全寶藍)
- 조보아(曺寶兒)
- 조보훈(趙寶勳)
- 해보(解寶)
- 호사코 카오리(宝迫 香織)
- 호샤쿠지 렌게(宝積寺 れんげ)
- 홍금보(洪金寶)
- 황보라(黃寶羅)
3.4. 지명
- 경기도 안성시 보개면 (寶蓋面)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정동 (寶亭洞)
-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眞寶面)
- 보문산 (寶文山)
- 보성역 (寶城驛)
- 보정역 (寶亭驛)
- 싯포역 (七宝駅)
- 전라남도 보성군 (寶城郡)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보절면 (寶節面)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七寶面)
- 칠보산 (七寶山)
- 타카라초역(宝町駅)
3.5. 창작물
3.6. 기타
- 다보탑 (多寶塔)
- 도호 (東宝) (동보)
- 바오 가족
- 보로국(寶露國)
- 상평통보 (常平通寶)
- 알리페이[2] (支付宝)
- 어보 (御寶)
- 여의보주 (如意寶珠)
- 타오바오 (淘宝)
- 호에이 (宝永) (보영)
- 포 (宝) - 풀네임은 포 핑(宝 平).
- 하이멘 바오바오 (海綿寶寶) - 스폰지밥의 중화권 명칭.
3.7. 여담
명탐정 코난 미궁의 십자로에서 불상이 숨겨져있는 위치가 보배 보(宝)와 관계가 있기도 했다.바오 가족의 돌림자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