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제2중간기 제13왕조 13대 혹은 16대 파라오 카앙크레 소베크호테프 Khaankhre Sobekhotep | ||
<colbgcolor=#decd87><colcolor=#A0522D> 휘 | 카앙크레 소베크호테프 (Khaankhre Sobekhotep)[1] | |
부왕 | 불명 | |
선대 | 네제미브레 | |
후대 | 렌세네브 | |
묘지 | 불명 | |
재위 | 이집트 파라오 | |
기원전 1735년경 재위기간 3년~4년 6개월 |
1. 개요
이집트 제2중간기 13왕조의 13대 파라오이다. 토리노 파피루스에는 소베크호테프레[2] 라고 써져있지만[3] 잘못 쓴 것으로 추측된다. 일부 학자는 그가 16대 파라오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카르나크 파라오 목록에도 카앙크레로 기록되어 있다.[4]2. 고고학적 출토 및 사료
카앙크레 소베크호테프는 아비도스에 있는 작은 신전의 부조에서 확인된다. 또한 출처가 명확하지 않은 기둥 파편에도 그의 이름이 남아 있다. 그의 즉위명은 화강암 석상 받침대에서도 확인된다.2.1. 비동시대 사료
2.1.1. 카르나크 파라오 목록
카르나크에서 발견된 파라오 목록은 투트모세 3세 치세에 작성된 것으로, 이 목록에는 그의 즉위명인 카앙크레(Khaankhre)가 기록되어 있다.2.1.2. 토리노 파피루스
토리노 파피루스의 제6열 15행에는 소베크[호테]프레(Sobek[hote]pre)라는 이름이 남아 있다. 여기서 '-레(re)'가 추가된 것은 필사의 오류일 가능성이 있으며, 원래의 이름은 소베크호테프(Sobekhotep)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견해가 있다. 이 파라오 목록은 람세스 2세 시대에 편찬된 것이며, 카앙크레 소베크호테프가 이 항목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나 확실하지 않다. '소베크호테프'라는 이름은 동시대에 동일한 이름을 사용한 여러 파라오들을 가리킬 수 있으므로, 정확한 동일 인물 여부는 단정할 수 없다. 또한 토리노 파피루스의 13왕조 부분의 손상이 심해 해석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아비도스 파라오 목록과 같은 다른 파라오 목록에서는 아메넴헤트 4세와 아흐모세 1세 사이의 여러 군주들을 생략하고 있는데, 이는 이들 군주들이 중앙집권적 통치를 하지 못하고 지방의 일부 영토만을 통치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있다.3. 학설
카앙크레 소베크호테프는 13왕조의 파라오로 간주되며, 그 정확한 연대는 학자마다 다르다.그의 재위 기간은 비교적 짧았던 것으로 보인다. 킴 라이홀트(Kim Ryholt)는 그의 재위 기간을 약 3년에서 4년 반으로 추정하고 있다.
라이홀트와 대럴 베이커(Darrell Baker)는 카앙크레 소베크호테프를 제13왕조의 13번째 파라오로 보고 있으며, 그의 재위 시기를 기원전 1735년 경으로 본다. 반면 위르겐 폰 베커라트(Jürgen von Beckerath)는 그를 제13왕조의 16번째 파라오로 분류한다.
라이홀트는 토리노 파피루스에 단순히 '소베크호테프'라고만 기재된 인물이 소베크호테프 1세와 동일인물일 가능성을 제기하며, 이 인물이 바로 카앙크레 소베크호테프일 수도 있다고 봤다. 반면 에이든 닷슨(Aidan Dodson) 등의 학자들은 카앙크레 소베크호테프와 세켐레 쿠타위 소베크호테프를 제13왕조의 서로 다른 인물로 구분한다. 에릭 비어브리어(Eric Bierbrier)는 오히려 카앙크레 소베크호테프를 1세, 세켐레 쿠타위 소베크호테프를 2세로 분류하고 있다.
최근에는 시몽 코너(Simon Connor)와 줄리앙 시에스(Julien Siesse)가 이 파라오의 기념물 양식에 대해 연구하면서, 그의 통치 시기가 기존보다 훨씬 뒤인 소베크호테프 4세 이후였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