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21 12:02:45

아메니 케마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DB76B 0%, #DECD87 20%, #DECD87 80%, #BDB76B);"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A0522D,#1f202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하이집트 <colbgcolor=#fff,#1f2023>헤주호르 니호르 흐세큐 카유 티우 테시 네헵 와즈너 하트호르 니네이스 | 메크 더블팔콘 워시
상이집트 | 핑거 스네일 피시 엘리펀트 스톡 전갈왕 1세 크로커다일 아이리 호르 전갈왕 2세 나르메르 메네스
제1왕조 나르메르 메네스 호르아하 제르 제트 메르네이트 아네지브 세메르케트 카아 스네페르카 호루스 바
제2왕조 헤텝세켐위 네브라 니네체르 누브네페르 호루스 사 웨네그 와제네스 세네지 세트 페리브센 세케미브 페렌마아트 네페르카레 1세 네페르카소카르 후제파 카세켐위
제3왕조 조세르 세켐케트 사나크테 네브카 카바 세제스 카하제트 후니
제4왕조 스네프루 쿠푸 제데프레 카프레 비케리스 멘카우레 솁세스카프 탐프티스
제5왕조 우세르카프 사후레 네페리르카레 카카이 네페레프레 솁세스카레 니우세르레 멩카우호르 제드카레 우나스
제6왕조 테티 우세르카레 페피 1세 메렌레 1세 페피 2세 메렌레 2세 니토크리스 네체르카레 네페르카 네페르
제7왕조 멩카레 네페르카레 2세 네페르카레 3세 제드카레 셰마이 네페르카레 4세 메렌호르 네페르카민 니카레 네페르카레 5세 네페르카호르
제8왕조 네페르카레 6세 네페르카민 아누 카카레 이비 네페르카우레 네페르카우호르 네페리르카레 와지카레 쿠이케르 쿠이 이체누
제9왕조 케티 1세 네페르카레 7세 네브카우레 케티 세투트 임호텝
제10왕조 메리하토르 네페르카레 8세 와카레 케티 메리카레
제11왕조 멘투호테프 1세 인테프 1세 인테프 2세 인테프 3세 멘투호테프 2세 멘투호테프 3세 멘투호테프 4세
누비아 왕조 세게르세니 카카레 이니 이이브켄트레
제12왕조 아메넴헤트 1세 세누스레트 1세 아메넴헤트 2세 세누스레트 2세 세누스레트 3세 아메넴헤트 3세 아메넴헤트 4세 소베크네페루 세앙크히브타위 세앙크히브라
제13왕조 세켐레 쿠타위 소베크호테프 손베프 네리카레 세켐카레 아메니 케마우 호테피브레 유프니 아메넴헤트 6세 세멘카레 네브누니 세헤테피브레 세와지카레 네제미브레 카앙크레 소베크호테프 렌세네브 호르 세켐레쿠타위 카바우 제드케페레우 세브카이 세제파카레 카이 아메넴헤트 7세 웨가프 켄제르 이미레메샤우 세헤테프카레 인테프 세트 메리브레 소베크호테프 3세 네페르호테프 1세 시하토르 소베크호테프 4세 메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 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 와히브레 이비아우 메르네페르레 아이 이니 1세 상켄레 세와지투 메르세켐레 이네드 세와지카레 호리 소베크호테프 7세 이니 2세 세와헨레 세네브미우 메르케페레 메르카레 세와자레 멘투호테프 세헤켄레 산크프타히
제14왕조 야크빔 세카엔레 야아무 누부세르레 카레흐 아아호테프레 셰시 네헤시 카케레우레 네베파우레 세헤브레 메르제파레 세와지카레 3세 네브제파레 웨벤레 아위브레 2세 헤리브레 네브센레 셰케페렌레 제드케레우레 산키브레 2세 카케무레 네페리브레 카카레 아카레 아나티 제드카레 베브눔 아페피 누야 와자드 셰네흐 셴셰크 카무레 야카레브 야쿠브-하르
제15왕조 샤렉 셈켐 아페라나트 살리티스 사키르-하르 키얀 야나시 아페피 카무디
제16왕조 제후티 소베크호테프 8세 네페르호테프 3세 멘투호테피 네비리라우 1세 네비리라우 2세 세멘레 베비앙크 세켐레 셰드와스트 데두모세 1세 데두모세 2세 몬투엠사프 메란크흐레 멘투호테프 세누스레트 4세 페피 3세
[[아비도스 왕조|{{{#A0522D 아비도스 왕조}}}]] 세네브카이 웨프와웨템사프 판트제니 스나아이브
제17왕조 라호테프 네브마아트레 소베켐사프 1세 소베켐사프 2세 인테프 5세 인테프 6세 인테프 7세 세나크텐레 아모세 세케넨레 타오 카모세
제18왕조 아흐모세 1세 아멘호테프 1세 투트모세 1세 투트모세 2세 하트셉수트 투트모세 3세 아멘호테프 2세 투트모세 4세 아멘호테프 3세 아케나톤 스멘크카레 네페르티티 투탕카멘 아이 호렘헤브
제19왕조 람세스 1세 세티 1세 람세스 2세 메르넵타 아멘메세스 세티 2세 십타 투스레트
제20왕조 세트나크테 람세스 3세 람세스 4세 람세스 5세 람세스 6세 람세스 7세 람세스 8세 람세스 9세 람세스 10세 람세스 11세
제21왕조 스멘데스 1세 아메넴니수 프수센네스 1세 아메네모페 대 오소르콘 시아문 프수센네스 2세
제22왕조 셰숑크 1세 오소르콘 1세 셰숑크 2세 타켈로트 1세 오소르콘 2세 셰숑크 3세 셰숑크 4세 파미 셰숑크 5세 오소르콘 4세
제23왕조 하르시에세 A 타켈로트 2세 페디바스테트 1세 셰숑크 6세 오소르콘 3세 타켈로트 3세 루다멘 이니
제24왕조 테프나크트 바켄레네프
제25왕조 피이 셰비쿠 샤바카 타하르카 타누타멘
제26왕조 네코 1세 프삼티크 1세 네코 2세 프삼티크 2세 와히브레 아흐모세 2세 프삼티크 3세
제27왕조
(아케메네스 왕조)
캄비세스 2세 바르디야 다리우스 1세 크세르크세스 1세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크세르크세스 2세 소그디아누스 다리우스 2세
제28왕조 아미르타이오스
제29왕조 네파루드 1세 하코르 프삼무테스 네파루드 2세
제30왕조 넥타네보 1세 테오스 넥타네보 2세
제31왕조
(아케메네스 왕조)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 아르세스 카바쉬 | 다리우스 3세
아르게아스 왕조 알렉산드로스 3세 필리포스 3세 알렉산드로스 4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제32 왕조)
프톨레마이오스 1세 프톨레마이오스 2세 · 아르시노에 2세 프톨레마이오스 3세 · 베레니케 2세 프톨레마이오스 4세 · 아르시노에 3세 프톨레마이오스 5세 · 클레오파트라 1세 프톨레마이오스 6세 · 클레오파트라 1세 · 클레오파트라 2세 · 프톨레마이오스 8세 프톨레마이오스 8세 프톨레마이오스 6세 (복위) · 클레오파트라 2세 (복위) · 프톨레마이오스 7세 프톨레마이오스 8세 · 클레오파트라 2세 · 클레오파트라 3세 클레오파트라 2세 프톨레마이오스 8세 (복위) · 클레오파트라 2세 · 클레오파트라 3세 (복위) 프톨레마이오스 9세 · 클레오파트라 3세 프톨레마이오스 10세 · 클레오파트라 3세 · 베레니케 3세 프톨레마이오스 9세 (복위) 베레니케 3세 · 프톨레마이오스 11세 프톨레마이오스 12세 · 클레오파트라 5세 베레니케 4세 · 클레오파트라 6세 프톨레마이오스 12세 (복위) 프톨레마이오스 13세 · 클레오파트라 7세 · 아르시노에 4세 프톨레마이오스 14세 · 클레오파트라 7세 프톨레마이오스 15세 · 클레오파트라 7세
파라오 · 아이깁투스 · 사산 · 정통 칼리파
우마이야 · 아바스 · 파티마 · 아이유브
맘루크 · 오스만 · 무함마드 알리 · 이집트
}}}}}}}}}}}}}}}

이집트 제2중간기 제13왕조 5대 파라오
아메니 케마우
Ameny Qemau
파일:Plaque_Qemaw_by_Khruner.jpg
아메니 케마우의 이름이 적혀진 석판, 현재는 개인 소장품이다.
<colbgcolor=#decd87><colcolor=#A0522D> 아메니 케마우(Ameny Qemau)[1]
부왕 세켐카레 아메넴헤트 5세[추정]
선대 세켐카레 아메넴헤트 5세
후대 호테피브레 케마우 시하르데제리테프
묘지 아메니 케마우의 피라미드
자녀 하트셉수트(Hatshepsut)♀[추정]
호테피브레 케마우 시하르데제리테프
(Hotepibre Qemau Siharnedjheritef)♂[추정]
재위 이집트 파라오
기원전 1793년~기원전 1791년
1. 개요2. 가계3. 통치4. 고고학적 증거
4.1. 다슈르 남부, 아메니 케마우의 피라미드4.2. 이름이 새겨진 판4.3. 다슈르, 하트셉수트의 피라미드4.4. 이름이 새겨진 판(plaquette)4.5. 다슈르, 하트셉수트 피라미드 관련
5. 아메니 케마우의 피라미드6. 학설


1. 개요

이집트 제2중간기 13왕조의 5대 파라오이다.

2. 가계

이집트학자 킴 라이홀트(Kim Ryholt)는 아메니 케마우라는 이름이 본질적으로 부계 계통을 나타내는 이름이라고 지적하였다. 이는 해당 인물의 아버지를 명시하는 형식의 이름으로, 아메니 케마우는 “아메니의 아들 케마우”로 해석할 수 있다. 라이홀트는 이 ‘아메니’가 케마우에 앞서 통치한 아메넴헤트 5세라고 보며, 케마우가 그의 아들이라고 결론짓는다. 이러한 견해는 다렐 베이커(Darrell Baker) 또한 공유하지만, 위르겐 폰 베케라트(Jürgen von Beckerath)는 자신의 이집트 파라오 편람에서 아메니 케마우의 왕조 내 위치를 명확히 규정하지 않고 있다.

아메니 케마우의 뒤를 이은 케마우 시하르네드제리테프는 “케마우의 아들, 호루스가 아버지를 보호하노라”로 읽을 수 있는 이름을 갖고 있어, 그의 아들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3. 통치

아메니 케마우는 2년 정도 밖에 안 되는 짧은 통치기간을 가졌기에 남은 기록이 거의 없다. 하지만 다슈르(Dahshur) 지역에 자신의 피라미드를 오랜만에 건설했다.[5][6] 또한 계속해서 파라오가 금방 죽는 등 혼란으로 인해 나일강 삼각주 지역의 통제권을 상실했다고 전해진다.

4. 고고학적 증거

아메니 케마우는 남아있는 유물이 거의 없는 파라오이며, 그의 이름은 토리노 파피루스에도 등장하지 않는다.

4.1. 다슈르 남부, 아메니 케마우의 피라미드

다슈르 남부에서 발견된 아메니 케마우의 피라미드에서는 그의 이름이 새겨진 4개의 카노푸스 단지[7] 조각이 출토되었다.

4.2. 이름이 새겨진 판

출처가 알려지지 않은 한 판에는 그의 이름이 새겨져 있으나, 일부 학자들은 이를 현대의 위조품일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4.3. 다슈르, 하트셉수트의 피라미드

다슈르 남부에서 발견된 아메니 케마우의 피라미드에서는 그의 이름이 새겨진 4개의 카노푸스 단지 조각이 출토되었다.

4.4. 이름이 새겨진 판(plaquette)

출처가 알려지지 않은 한 판에는 그의 이름이 새겨져 있으나, 일부 학자들은 이를 현대의 위조품일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4.5. 다슈르, 하트셉수트 피라미드 관련

그의 이름은 또 다른 피라미드, 즉 왕의 딸 하트셉수트(Hatshepsut)를 위한 것으로 보이는 피라미드에서도 등장한다. 2017년 4월에 다슈르 지역에서 새롭게 발견된 이 피라미드의 한 석재 블록에서 아메니 케마우의 이름이 확인되었으며, 제임스 P. 앨런(James P. Allen), 에이든 돗슨(Aidan Dodson), 토마스 슈나이더(Thomas Schneider) 같은 여러 이집트학자들이 이 블록에 새겨진 왕명을 아메니 케마우의 것이라 보는 데 동의하였다. 돗슨은 이 석재에 새겨진 이름의 질이 낮고, 한 파라오가 두 개의 피라미드를 보유하는 것이 이례적인 점에 주목해, 원래 이 피라미드는 케마우의 선왕 중 한 명의 것이었으며, 케마우가 왕명을 삭제하고 자신의 카르투슈를 새긴 뒤 피라미드를 탈취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8]

매장실에서는 석관, 카노푸스 단지, 무언가 포장되어 있는 상자들이 발견되었으며, 그 상자들에 적힌 글귀에는 케마우의 딸 중 한 명인 하트셉수트의 이름이 있어, 해당 피라미드는 그의 딸을 위해 탈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해 아메니 케마우가 두 개의 피라미드를 가지고 있는 이유를 설명이 가능하다.

5. 아메니 케마우의 피라미드

파일:Plan-complexe-ameni-kemaou_copie.jpg
이름 불명
불명
높이 35m
경사 불명

다슈르 남부에 위치한 아메니 케마우의 피라미드는 1957년에 찰스 뮈즈(Charles Musès)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1968년에 조사되었다. 피라미드는 원래 바닥 면적이 50㎡, 높이 35m였으나, 지속적인 석재 약탈로 인해 현재는 완전히 붕괴된 상태이다. 지하 구조 또한 크게 파괴되어 있다.

왕의 매장실은 하나의 커다란 석영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는 하와라(Hawara)의 아메넴헤트 3세 피라미드와 마즈구나(Mazghuna) 피라미드들과 유사한 구조이다. 이 매장실은 석관과 카노푸스 단지를 안치할 수 있도록 조각되어 있었지만, 현장에서는 이들의 파편들과 정체불명의 뼈 조각들만이 발견되었다.

6. 학설

아메니 케마우의 정확한 정체는 불명확하며, 이 시기의 다른 보다 확실히 증명된 파라오들과 동일 인물로 간주하려는 시도들이 있다. 특히, 토리노 파피루스에 아메넴헤트 5세 이후 등장하는 세호테피브레(Sehotepibre)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라이홀트는 아메니 케마우의 이름이 토리노 파피루스 상에서 아메넴헤트 5세보다 앞선 위치에 존재했던 wsf 공백[9]에 위치했을 것으로 본다. ‘wsf’는 문자 그대로 “누락됨(missing)”을 의미하며, 이 목록이 람세스 시대[10]에 복사되었을 때 이미 기록이 사라졌음을 뜻한다.

이집트학자 킴 라이홀트와 다렐 베이커는 아메니 케마우를 제13왕조의 다섯 번째 파라오로 분류하며, 기원전 1793년부터 1791년까지 약 2년간 이집트 대부분[11]을 통치한 것으로 본다.


[1] 뜻은 '아메니의 아들 케마우'로 추정되며, 여기서 아메니는 아메넴헤트 5세로 추정된다.[추정] [추정] [추정] [5] 내부는 도굴당해 많이 안남아있지만 신원이 불확실한 백골이 발견되었다.[6] 높이는 35m로 높이가 100m에 이르던 고왕조의 피라미드에 비하면 매우 쇠퇴하였다.[7] 미라를 만들 때 장기를 보관하기 위해 사용한 단지[8] 굉장히 이상하게 보이지만 이는 고대 이집트에서는 꽤나 흔한 현상이다.[9] 토리노 파피루스에는 알 수 없는 파라오에게 wsf 재위기간 6년 이런 식으로 표시했을 것으로 보인다.[10] 19왕조부터 20왕조 까지 이르는 기간[11] 단, 나일강 동부 삼각주는 예외일 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