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고대 이집트 이집트 문명 | 선왕조 | 하이집트 | 상이집트 | ||||
초기 왕조 | 제1왕조 | |||||||
제2왕조 | ||||||||
고왕국 | 제3왕조 | |||||||
제4왕조 | ||||||||
제5왕조 | ||||||||
제6왕조 | ||||||||
제1중간기 - 분열 | 제7왕조 | |||||||
제8왕조 | ||||||||
제9왕조 | 제11왕조 | |||||||
제10왕조 | ||||||||
중왕국 | 제11왕조 | |||||||
제12왕조 | ||||||||
제2중간기 | 제13왕조 | |||||||
제14왕조 | 제13왕조 | |||||||
제15왕조 (힉소스 왕조) | ||||||||
제15왕조 (힉소스 왕조) | 제16왕조 | |||||||
제15왕조 (힉소스 왕조) | ||||||||
제15왕조 (힉소스 왕조) | 제17왕조 | |||||||
신왕국 | 제18왕조 | |||||||
제19왕조 | ||||||||
제20왕조 (람세스 왕조) | ||||||||
제3중간기 | 제21왕조 (타니스 왕조) | |||||||
제22왕조 (부바스티스 왕조) | ||||||||
제22왕조 (부바스티스 왕조) | 제23왕조 | 제24왕조 | ||||||
제25왕조 (누비아 왕조) | ||||||||
말기 왕조 | 사르곤 왕조 | |||||||
제26왕조 (사이스 왕조) | ||||||||
아케메네스 왕조 제27왕조 | ||||||||
제28왕조 | ||||||||
제29왕조 | ||||||||
제30왕조 | ||||||||
아케메네스 왕조 제31왕조 | ||||||||
헬레니즘 | 아르게아스 왕조 | |||||||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제32왕조 | ||||||||
고대 로마 | 로마 공화국 | |||||||
로마 제국 팔미라 제국 | ||||||||
동로마 제국 | ||||||||
사산 왕조 | ||||||||
동로마 제국 | ||||||||
중세 이슬람 | 라쉬둔 왕조 | |||||||
우마이야 왕조 | ||||||||
아바스 왕조 | ||||||||
툴룬 왕조 | ||||||||
아바스 왕조 | ||||||||
이흐시드 왕조 | ||||||||
파티마 왕조 | ||||||||
아이유브 왕조 | ||||||||
바흐리 맘루크 | ||||||||
중근세 | 부르지 맘루크 | |||||||
오스만 제국 | ||||||||
알 카비르 | ||||||||
근대 | 오스만 제국 | |||||||
프랑스 | ||||||||
무함마드 알리 왕조 | ||||||||
이집트 헤디브국 | ||||||||
대영제국 | ||||||||
이집트 왕국 | ||||||||
현대 | 이집트 공화국 | |||||||
아랍 연합 공화국 | ||||||||
이집트 아랍 공화국 | }}}}}}}}} |
이집트 제21왕조 Twenty-first Dynasty of Egypt | ||
기원전 1077년 ~ 기원전 943년(134년) | ||
위치 | 이집트 | |
수도 | 타니스 | |
정치 체제 | 전제군주제, 제정일치 | |
국가 원수 | 파라오 | |
파라오 | 스멘데스 1세 아메넴니수 프수센네스 1세 아메네모페 대 오소르콘 시아문 프수센네스 2세 | |
언어 | 고대 이집트어 | |
종교 | 고대 이집트 종교 | |
주요 사건 | 기원전 1077년 스멘데스 1세에 의해 제21왕조 창건 기원전 943년 프수센네스 2세의 사망으로 제21왕조 단절 | |
성립 이전 | 이집트 제20왕조 | |
이후 | 이집트 제22왕조 |
[clearfix]
1. 개요
기원전 1077년부터 기원전 943년까지 지속된 고대 이집트의 왕조이다. 이집트 제3중간기에 해당한다.2. 특징
제3중간기의 첫 왕조, 수도를 타니스로 옮겨 타니스 왕조, 신관 출신이 건국한 왕조였기에 신관 왕조로도 부른다. 겉으로는 통일된 이집트처럼 보였으나 실제로는 왕권이 추락하고 지방 권력자들에게 권력이 분산되어 있어 실질적으로는 분열된 상태에 이르렀다.이 시대의 파라오들에 대한 정보는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 비해 알려진 것이 적으며, 그나마 프수센네스 1세의 무덤이 발견되었을 뿐이지만 보존 상태는 영 좋지 않다.
3. 역사
이집트 신왕국은 제18왕조, 제19왕조 때 전성기를 누렸으나 제20왕조 때부터 왕권이 추락했고, 람세스 11세 때는 지방 귀족들이 파라오의 말을 듣지 않는 지경에 이르렀다. 기원전 1077년 람세스 11세가 사망하자 제20왕조는 단절되었고, 그의 장례를 집전했던 스멘데스 1세가 파라오로 즉위하면서 제21왕조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이미 중부와 상이집트에서 세력이 커졌던 테베의 아문 대신관은 실질적으로 중부와 상이집트를 장악해 다스렸는데 파라오처럼 즉위명을 쓰고 카르투슈에 이름을 새겼으며 왕실 무덤에 묻혔다. 하지만 아메네모페 재위 시기부터 점차 그 세력이 줄어들기 시작해서[1] 파라오 직과 아문 대신관 직을 겸했던 프수센네스 2세가 후계자 없이 사망하자 뒤를 이은 셰숑크 1세부터는 파라오의 아들을 임명하게 되어 그 영향력이 급감했다.기원전 1051년에 즉위한 아메넴니수가 4년 간 재위했고, 기원전 1047년에는 프수센네스 1세가 즉위해 무려 46년 간 파라오로 있었으나 특기할만한 업적은 타니스를 완전히 수도로 탈바꿈시켰다는 것 정도이며 그의 무덤인 프수센네스 1세의 무덤이 발견되었을 뿐이다.
이후에도 아메네모페, 대 오소르콘이 즉위했으나 발견된 기록 자체가 거의 없어서 1950년대까지만 학계에도 알려진 게 거의 없었다. 대 오소르콘의 뒤를 이은 시아문은 21왕조의 파라오치고는 여러 건축 프로젝트를 진행시켰다. 수도 타니스에 있던 아문 신전을 2배로 확장했으며, 메센(Mesen)에 세운 호루스 신전을 개축했다. 그리고 옛 수도 멤피스에 자신의 즉위명을 새긴 6개의 열주와 출입구가 있는 아문 신전을 새로 지어 봉헌했다. 따라서 21왕조의 파라오들 중에서는 가장 권력이 강력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 뒤를 이은 프수센네스 2세는 시아문 재위 10년차에 사망한 아버지를 대신해 아문 대신관 직을 승계했으며 파라오에 즉위한 후에도 대신관 직을 유지하여 사실상 전 이집트를 통치했다.[2] 기원전 943년에 그가 후계자를 남기지 못하고 사망하여 왕조가 단절되었고, 리비아 메시웨시 대부족장 출신으로 프수센네스 2세 재위 시기에 군 총사령관, 왕의 수석 고문을 겸하면서 사위였던 리비아인 출신 셰숑크 1세가 파라오로 즉위하여 이집트 제22왕조를 세우게 된다.
[1] 선대 파라오인 스멘데스 1세, 아메넴니수, 프수센네스 1세는 상이집트의 비석이나 기념물에서 언급이 거의 되지 않지만, 아메네모페 때부터는 상이집트에 세운 기념물이나 비석 등에 파라오를 언급한다.[2] 이 당시의 아문 대신관은 프수센네스 3세인데, 파라오 프수센네스 2세와 동일한 인물이다. 그 증거는 세티 1세 치세에 아비도스에 지은 신전에 남은 금석문인데 '파라오 프수센네스'를 가리켜 '아문 대신관이자 군 총사령관'이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피네젬 2세의 무덤인 TT320에서 나온 문서에 아문 대신관 프수센네스 3세는 피네젬 2세의 아들이다는 서술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