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키스를 뜻하는 독일어
Kuss.2. 이집트의 도시
상이집트의 주요 도시 | ||||||||||||||
헬완 (카이로) 멤피스 | → | 베니수에프 | → | 미냐 케메누 아마르나 | → | 아시유트 | → | 소하그 아크밈 | → | 기르가 티니스 아비도스 | → | 나그함마디 | → | |
덴데라 퀴나 | → | 키프트 쿠스 | → | 카르나크 룩소르 | → | 에스나 | → | 에드푸 | → | 콤옴보 | → | 아스완 아부심벨 |
쿠스 시가지 전경. 교회와 모스크가 공존하는 도시이다
이집트 상형문자로 쓴 쿠스. 당시에는 게사라 불렀다
아랍어: قوص
영어: Qus
이집트 중남부 퀴나 주의 주도. 퀴나에서 남쪽으로, 룩소르에서 동북쪽으로 20km 씩 떨어진 나일 강 동안에 위치한다. 인구는 30만 정도이다. 이집트 고왕국 시절 귀족들이 매장된 나카다의 건너편에 세워진 도시 게사로, 그 총독들 역시 나카다에 매장되기도 하였다. 헬레니즘 시기에는 아폴리노폴리스로 불렸고, 로마 제국기에는 디오클레티아노폴리스로 개칭되었다. 이슬람 정복 후 원래 지명이 회복되었다.
중세 파티마 왕조 시기 상이집트의 중심지로 번영하였고, 콥트 정교회를 비롯한 기독교도들이 다수 거주하였다. 12세기 중반 칼리파 알 하피즈의 치세에 내전에서 패한 아르메니아 출신 기독교도 재상 바흐람이 도시를 약탈하기도 하였다. 쿠스는 나일 강이 동쪽으로 휘어지는 곳에 위치하여 히자즈, 예멘 등 홍해 연안과 활발히 교역하며 번영하였다. 다만 근대 들어 북쪽 퀴나에 새로운 홍해 방면 도로가 생겨나며 그에게 주요 도시 자리를 내주었다.
3. 일본 오이타현의 행정구역
3.1. 쿠스군
3.2. 쿠스마치
4. 가공 인물
- 코세르테르의 용술사 - 쿠스
- 드래곤볼 - 쿠스
- 피를 마시는 새 - 쿠스(피를 마시는 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