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lcolor=#fff> 천안 이랜드 패션 물류센터 화재사고 Cheonan E-Land Fashion Logistics Center Fire Disaster | ||
| <bgcolor=#000000> 소방 비상 대응단계 | 2단계 | |
| <colbgcolor=#bc002d,#11102d> 발화 시각 | 2025년 11월 15일 06시 08분경[1] | |
| 발생 위치 | ||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풍세산단3로 111[지번] | ||
| 유형 | 화재 | |
| 원인 | 조사 중 | |
| 대피 인원 | 3명[3] | |
| 인명 피해 | 0명 | |
| 재산 피해 | 집계 중 | |
| 동원 | 인원 | 431명 |
| 장비 | 145대 | |
| 진화 헬기 11대 | ||
| 진화 여부 | 진화 완료 | |
1. 개요
2. 전개
- 11월 15일 오전 6시 8분, 4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
- 화재 현장에는 의류와 신발 등의 가연성 소재가 많아 진화에 난항을 겪고 있다.
- 오전 6시 15분, 화재 발생 약 7분만에 대응 1단계를 발령하였다.
- 오전 7시 1분, 가용 소방력이 진압을 함에도 역으로 불길이 점점 거세지자 대응 2단계로 격상하였다. 이에 따라 충북, 경기도, 세종시, 전북, 경북 소재 소방서에도 출동지령이 내려왔고 중앙119구조본부도 출동했으며 대용량포 방사시스템도 출동했다. 현장에는 실제로 천안지역임에도 경기도, 전북 소속 소방차가 많이 보이고, 일부 경북 소속 초대형물탱크차[4]가 동원되었다.
- 오전 8시경, 건물 일부가 소실되었다.
- 한편 화재건물 근처에 위치한 농기계 제작사인 대동 중부사업본부 쪽[5]에서도 복사열로 인해 부지 내 건물에 연기가 피어나자, 회사 관계자들과 소방당국이 화들짝 놀라 즉시 고가사다리차의 방수 방향을 대동 쪽으로 틀기도 했다. 복사열의 위력이 얼마나 위험한지 알 수 있는 부분.
| 11월 15일 13시 20분 |
| |
| 화재 발생 후 한나절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불길이 잡히질 않고 있다. |
- 오후 3시 35분, 화재발생 9시간 30분만에 초진이 완료되었다.
11월 15일 15시 35분 파일:천안창고화재.jpg 초진이 완료된 모습 - 11월 16일 오전 9시 51분, 대응 1단계가 완전히 해제되었다.
- 11월 17일 오후 6시 11분, 화재가 완전히 진압되었다.
3. 원인
- 사고가 발생한 3, 4층은 전기로 작동하는 지게차 로봇이 배치된 구역이었다. 경찰과 소방은 이를 위해 연결한전기 배선을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다.#
4. 피해
| 파일:MYH20251117021400038_P4.jpg |
- 해당 물류센터는 지하 1층 지상 4층 연면적 19만 3,210 m²의 초대형 물류센터로, 보관되어 있던 의류와 신발 1,100만여 점은 사실상 전소되었다. #
- 이랜드패션 계열 뉴발란스, 스파오 등 브랜드는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물류센터 운영 일정에 예상치 못한 지연 이슈가 발생해 일부 주문의 출고가 평소보다 늦어지고 있다"며 "순차적으로 출고 준비 중이고, 정확한 일정은 확인되는대로 안내하겠다"고 밝혔다.
- 이랜드패션에서 가장 큰 물류센터의 전소로 인해 이랜드패션의 영업에 매우 심각한 차질이 있을 수준의 소실이 일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곧 있을 블랙 프라이데이 행사는 물론이고 내년 이월행사 전체가 날아갈 거라는 소문이 돌고 있다.
- 이 화재로 물류센터는 뼈대만 위태롭게 유지중이라 붕괴위험으로 철저하게 통제중이다.
5. 기타
- 큰 규모의 물류센터 화재였지만, 화재 발생시간이 오전 6시로 출근시간대 이전이었던지라 물류센터 내의 상주 인원이 적었던 관계로 정말 다행히도 큰 인명피해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 2025년에만 풍세일반산업단지 내 입주업체에서 화재가 잇따라 발생하여, 겨울철 화재예방을 위해 천안동남소방서 주관으로 화재 발생 3일 전에 풍세산단 입주업체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화재예방 간담회를 실시했었다. 이 간담회에는 천안시 관계자도 참석했었다. 4월 25일 화장품 제조업체 화재, 9월 30일 반도체 제조업체 화재, 11월 6일 이번에 화재가 발생한 물류센터 건물 내 식당에서 화재, 11월 12일 풍세산단 입주기업 화재예방 간담회 실시
| ⚠️ 안전안내문자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안전안내문자 모두 보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025-11-15 06:50 [천안시] 오늘 06:08 동남구 풍세면 용정리 이랜드팬션[6] 화재로 연기 발생. 인근 주민은 사고지점에서 먼 곳으로 이동하시고, 차량은 우회하시기 바랍니다 |
| 2025-11-15 07:20 [천안시] 오늘 06:08분 동남구 풍세면 용정리 이랜드팬션 화재로 연기 발생. 인근 주민은 사고지점에서 먼 곳으로 이동하시고, 차량은 우회하시기 바랍니다. | |
| 2025-11-15 07:23 [천안시] 오늘 06:08분 동남구 풍세면 용정리 이랜드물류센터 화재로 연기 발생. 인근 주민은 사고지점에서 먼 곳으로 이동하시고, 차량은 우회하시기 바랍니다. | |
| 2025-11-15 08:16 [천안시] 오늘 06:08분 동남구 풍세면 용정리 이랜드물류센터 화재로 연기 발생. 인근 주민은 사고지점에서 먼 곳으로 이동하시고, 차량은 우회하시기 바랍니다. | |
| 2025-11-15 08:53 [천안시] 오늘 06:08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이랜드물류센터 화재로 다량의 연기발생. 인근주민은 창문을 닫고 연기흡입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 2025-11-15 10:07 [공주시] 오늘 06:08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이랜드물류센터 화재로 다량의 연기발생. 천안 인접지 주민분들께서는 창문을 닫고 연기흡입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 2025-11-15 10:13 [천안시] 오늘 06:08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이랜드물류센터 화재로 다량의 연기발생. 인근주민은 창문을 닫고 연기흡입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 2025-11-15 12:29 [충청남도] 금일 06:08경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이랜드물류센터 화재 발생. 연기 및 분진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기 바랍니다. #캡쳐본 | }}}}}}}}} |
==# 보도 #==
천안 이랜드 물류센터 화재, 9시간 반 만에 '초진'…인명피해 없어
이랜드 물류센터 화재‥수천 미터 상공에서도 포착
시뻘건 불길 휩싸여 '활활'…"재난영화인 줄" 무슨 일
이랜드패션 물류센터 대형 화재…“검은 연기 하늘 가득”
'축구장 27개 규모' 이랜드 물류창고 화재, 이틀째 진화 작업
불길에 건물 절반 '와르르'‥이랜드 물류센터 이틀째 진화
'전기 배선 발화' 추정…이랜드 창고 발화 당시 영상 확보
'축구장 27개' 타면서 주변 정전·분진 피해‥CCTV엔 3층 불꽃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 <rowcolor=#fff> 한국의 화재 사고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80년대 이전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tablewidth=100%><colcolor=#bc002d> 1426년 | <colcolor=#373a3c,#ddd>한양 대화재V |
| 1922년 | 행촌동 화재 사고? | ||
| 1950년대 | 부산역전 대화재 (1953년)A, 부산 용두산 대화재 (1954년)H, 태신호 화재 (1956년)H | ||
| 1960년 | 1960년 서문시장 화재A, 부산 국제고무공장 화재A | ||
| 1970년대 | 대연각호텔 화재 사고 (1971년)A, 서울시민회관 화재 사고 (1972년)A, 뉴남산관광호텔 화재 (1974년)A, 대왕코너 화재사고 (1972~1975년)A, 1975년 서문시장 화재 (1975년)H | ||
| 1980년대 | 광주 지하살롱 화재 사고 (1980)A, 대구 초원의집 화재 사고 (1983)A, 청량리 가스 폭발 사고 (1983년)A, 부산 대아호텔 화재 사건 (1984년)H, 극동호 유람선 화재 사건 (1987년)A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9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bc002d> 1990년 | <colcolor=#373a3c,#ddd>혜영 용철 사건H, 1990년 연쇄 방화사건V |
| 1991년 | 거성관 방화 사건V | |
| 1992년 | 용봉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H 원주 왕국회관 화재 사고V | |
| 1994년 | 봉대산 불다람쥐 17년 연쇄 방화사건(~2011년)V,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 1994년 서울 내쇼날프라스틱 화재 참사? | |
| 1995년 | 경기여자기술학원 화재 사건V, 남포동 노래방 화재사고H,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 사고H | |
| 1996년 | 1996년 고성 산불H, 후암동 방화 살인사건V | |
| 1997년 | 부천 다세대주택 가스 폭발 사고V A | |
| 1998년 | 부산 범창콜드프라자 화재 사고H | |
| 1999년 |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 사고A, 인천 인현동 호프집 화재 참사H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0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bc002d> 2000년 | <colcolor=#373a3c,#ddd>2000년 4월 동해안 산불H, 군산 화재 참사(~2002년)? |
| 2001년 | 홍제동 방화 사건V, 2001년 부산 인회빌딩 방화 참사V, 예지학원 화재 사고H, 2001년 서울 녹번동 연쇄방화사건V | |
| 2002년 | 2002년 청양-예산 산불H | |
| 2003년 | 대구 지하철 참사V, 천안초등학교 축구부 합숙소 화재 사고A | |
| 2004년 | 대구·경산 연쇄 방화 사건V, 하얀성 화재 사건H 2004년 4월 안산 유사휘발유 공장화재 H | |
| 2005년 | 서울 지하철 7호선 방화 사건V, 2005년 양양 산불?, 2005년 수성구 목욕탕 화재 사고?, 2005년 서문시장 화재A, 대구 달성터널 폭발사고A | |
| 2006년 | 잠실 고시원 화재 사고V 2006년 효성주얼리 시티 화재사고H | |
| 2007년 | 여수외국인보호소 화재 참사H, 2007년 이천 CJ물류센터 화재 사고? | |
| 2008년 | 이천 냉동창고 화재 사고H, 서천 슈퍼 화재사건V, 숭례문 방화 사건V | |
| 2009년 | 화왕산 억새 태우기 사고H, 용산4구역 철거현장 화재 사건H, 부산 실내사격장 화재 사고? |
| A: 누전, 장비 고장 | H: 사람에 의한 실화 | V: 고의적 방화 | ?: 원인 불명/조사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