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0> 인천 | |
김포 | ||
부산 | ||
제주 | ||
대구 | ||
청주 | ||
한국-일본 간 선박편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transparent>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aab5><colcolor=#fff> 국내선 | ||
동 아 시 아 | <colbgcolor=#00aab5><colcolor=#fff> 일본 | ||
중국 | |||
중화권 | |||
몽골 | |||
동 남 아 시 아 | 베트남 | ||
필리핀 | |||
태국 | |||
이외 | |||
그 외 아시아권 | |||
러시아 | |||
태평양 대양주 | |||
유럽 | |||
미 주 | 미국 | ||
이외 | |||
아프리카 |
1. 개요
인천국제공항과 나리타 국제공항을 잇는 항공노선. 통칭 인리타.김네다 노선에 비해 저렴한 요금과 LCC들의 공격적인 취항으로 한일 양국을 찾는 관광객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도쿄-간토 관광 수요가 주를 이룬다.[1] 과거에는 일본항공, 전일본공수 외 델타항공, 유나이티드 항공[2]까지 취항해 항공사들이 경쟁을 벌였지만, 2013년에 대한민국 - 나리타 노선의 운수권 제한이 없어진 이후 경쟁이 심화되어 현재 외항사(FSC)들은 에티오피아 항공을 제외하고 모두 철수하여 이후에 잠시 정기편으로 운항하다 철수한 에어로케이항공을 제외한 모든 국내 항공사들과 일본 국적의 저비용 항공사인 ZIPAIR[3]와 에어재팬[4]이 해당 노선을 운항 중이다.[5]
대한항공의 경우 KE001, 002편이 나리타를 경유하는 인천-호놀룰루 구간이었다.
2. 김포-하네다 항공노선과 비교
김포 하네다 노선과 마찬가지로 양국 수도권(서울 권역과 간토 지방/도쿄 권역)을 잇는 노선이라는 점에서 자주 비교되는 노선이다.- 인천-나리타 노선이 우위인 점
- 다수 저비용 항공사들이 많이 취항하여 경쟁이 심하기 때문에 김포-하네다 항공노선보다 대체로 저렴하다. 2010년대부터 나리타 공항에 대한 운수권제한이 풀렸기 때문에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 항공사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LCC에서도 많이 취항중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표도 평일 오후같은 애매한 표라면 30만원대에 구할 수 있을 정도.[6]
- 인천국제공항에서 다양한 국제선 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 서울, 경기도, 인천 각지에서 인천국제공항으로 가는 리무진이 운행하여 서울특별시, 김포시, 부천시, 계양구, 고양시, 파주시를 제외하면 오히려 인천-나리타 노선의 접근성이 더 좋다.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이 일부 시간대 플래그십급 기종을 투입[7]하며, 신기종을 투입하면 거의 100% 조종사 실전 감각 익히기 및 운영 효율성 평가를 위해 투입한다.
- 인천국제공항의 세계구급 면세점, 공항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 스타얼라이언스 : 인천, 나리타 둘다 공항 및 기내 서비스 선택의 폭이 매우 넓으며[8] 인천과 나리타 둘다 항공사 라운지의 퀄리티가 준수한 편이다. 아시아나항공의 경우 평수기에도 비즈니스 클래스의 선호도가 높은데 좌석부터 라운지까지 비즈니스 클래스의 혜택을 많이 받을 수 있는 몇 안되는 단거리 노선인지라 수, 금, 일 16시[9], 매일 12시[10] 나리타 출발편의 경우 비즈니스가 먼저 매진이 되는 케이스도 심심찮게 보인다. 특히 인천공항은 아시아나항공 라운지가 서측 중앙 동측 3군데에서 운영을 하며 비행기 시각이 맞을 경우 인천공항 라운지 1황으로 불리는 싱가포르항공 라운지도 이용이 가능하다![11] 음식과 주류, 라운지 크기 등 아시아나 김포 라운지는 인천에 비하면 밀리는 편이기 때문. 나리타 공항은 ANA 라운지, 유나이티드 클럽 둘다 평이 괜찮다. 2025년부터는 터키항공 라운지도 이용할 수 있다.
- 인천-나리타 노선이 불리한 점
- 둘다 서울, 도쿄 중심지와는 거리가 떨어져 있다. 나리타 국제공항은 치바현 나리타시에, 인천국제공항은 인천광역시 영종도 끝단에 있다. 둘다 도쿄 및 서울 중심지에서 60km 가량 떨어져 있다.
- 대중교통을 이용한 도심으로의 진입 방법은
- 특급열차: 인천공항은 공항철도 직통열차가, 나리타공항은 N'EX와 스카이라이너가 있으나, 공항철도 직통열차는 편도 13,000원, N'EX는 도쿄역까지 편도 3,070엔, 왕복패스 5,000엔, 스카이라이너는 우에노역까지 편도 2,570엔으로 상당히 비싸다. 할인 수단이 많아 저 정규요금을 그대로 내는 경우는 없다지만 택시 등 고급 교통수단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왕복 90,000원 언저리의 교통비를 써야 빠른 탈출이 가능하다는 점은 마이너스. 더구나 저 열차들은 스카이라이너를 제외하면 배차간격이 30분 ~ 1시간 선으로 열차를 놓쳤을 때의 리스크도 매우 크다.
- 일반/쾌속열차: 인천공항은 공항철도 일반열차, 나리타공항은 케이세이 나리타 공항선-아사쿠사선 직통열차를 이용한 도심 진입방법이 있으며 특급열차에 비해 훨씬 싸지만, 긴 소요시간과 배차간격, 더불어 짐을 소지한 채로 일반열차에 탑승해야 해 불편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그나마 액세스특급을 타야 1시간 언저리로 도쿄에 갈 수 있으나, 그 열차를 놓치면 케이세이 본선 특급이나 JR 쾌속을 이용해야 하는데 이쪽은 도쿄 진입에만 1시간 30분이 넘게 걸리므로 단점이 더욱 크게 다가온다.
- 공항 리무진: 철도가 닿지 않는 곳까지 다양한 노선으로 데려다 주지만, 정시성이 떨어져 출퇴근 시간대나 연휴 등 도로 교통 상황에 따라 소요시간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 일례로 일본의 대형 연휴기간에 나리타공항에서 도쿄역까지 2시간 30분까지 걸린 사례가 존재한다.
- 인천의 경우 도심까지 접근하는데 많은 시간을, 나리타쪽은 시간과 더불어 비싼 교통비를 추가로 지불해야 한다. 반면 김포는 아예 서울시 내부에 있으며, 하네다 공항의 경우에는 케이큐 공항선과 도쿄 모노레일 하네다 공항선을 이용하면 각각 시나가와역과 하마마츠쵸역까지 진입 소요시간이 최소 11분, 평균적으로 15~20분 내외에, 도쿄역까지 30분 내외에 불과하다. 이러한 단점은 항공운임이 크게 올라가는 성수기에 김포-하네다 노선으로 승객이 분산되는 부작용이 있다. 그나마 이동 시간이 비슷한 이케부쿠로, 우에노, 아키하바라, 아사쿠사 일원은 나리타에서 출발해도 무리가 없긴 하나 이를 위해선 상기한 특급열차를 타야 시간이 엇비슷해진다.
- 과거에는 나리타에서 다양한 미주행 노선으로 환승할 수 있었으나 도쿄-미주 항공 노선 상당수가 하네다로 이전하여 환승이 예전만큼 편하지 않다.
- 인천국제공항과 나리타 국제공항 모두 어마어마한 혼잡도 때문에 사실상 연착이 그냥 일상이다. 되려 정시간에 뜨고 내리는 비행기가 희귀한 지각대장 노선. 트래픽 문제로 이착륙이 지연되어 기내대기를 하는 일이 잦다.[12]
- 제트 기류 통과 구간이라 항공난류가 굉장히 자주 일어난다. 특히 나리타 공항은 윈드시어 문제가 심해서 가끔씩 추락하는 게 아닌가 싶은 지랄맞은 착륙을 강행하는 경우가 많아서 승객들에게 불쾌한 경험을 제공하기도 한다.
- 일본 국내선과의 환승은 하네다에 비해 불리한 편이며, 한국 국내선과의 환승은 대구와 부산밖에 없다.
- 스카이팀 : 인천공항의 대한항공 라운지도 FSC값을 못한다는 말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는데, 나리타의 KAL 라운지는 사정이 더 하다. 하네다의 경우 델타항공이 새롭게 라운지를 열었고 미운영 시간대에는 일본항공 라운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스타얼라이언스는 나리타 공항에서 같은 동맹체의 ANA 라운지, 유나이티드 클럽을 이용하면 되지만 스카이팀은 그런 대체재가 전혀 없기 때문.
3. 항공편
- 2025년 9월 1일 기준.
- 코드셰어를 제외한 직항 여객편만 서술한다.
- 기종에 대해서는 빈번하게 투입되는 기종을 제일 앞으로 서술하고, 기체 변경으로 투입되는 기종을 그 뒤에 서술했다. 즉, 당일에 기체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과 아래에 기재된 기종과 다를 수 있다는 점 유의. 또한 스케줄 조정으로 인해 출발 시간과 도착 시간, 편명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항공사 홈페이지도 참고 바람.
- 출발 시간, 도착 시간은 모두 현지 시간이다.
<rowcolor=#fff> 서울/인천 ICN → 도쿄/나리타 NRT | |||||
항공사 | 편명 | 출발 | 도착 | 기종 | 운항횟수 |
| KE703 | 10:10 | 12:40 | B777-300 B787-9[참고] | 주 7회 |
KE711 | 13:00 | 15:25 | B737-900ER | 주 7회 | |
KE713 | 17:05 | 19:35 | B737-900ER B737-800 B737-8 | 주 7회 | |
KE705 | 18:35 | 21:05 | A330-300 | 주 7회 | |
| OZ142 | 07:40 | 10:20 | A321-200 | 주 7회 |
OZ102 | 09:00 | 11:20 | A380-800 A330-300 | 주 7회 | |
OZ104 | 12:40 | 14:55 | A330-300 A350-900 | 주 7회 | |
OZ106 | 15:35 | 17:55 | A330-300 B777-200ER A350-900 | 주 7회 | |
OZ108 | 18:40 | 21:00 | A330-300 | 주 7회 | |
| 7C1101 | 08:10 | 10:35 | B737-8 | 주 7회 |
7C1103 | 10:35 | 13:00 | B737-800 | 주 7회 | |
7C1105 | 11:50 | 14:20 | B737-800 | 주 7회 | |
7C1107 | 14:50 | 17:15 | B737-800 | 주 7회 | |
7C1121 | 16:20 | 18:40 | B737-800 | 주 7회 | |
| TW211 | 08:35 | 10:55 | B737-800 | 주 7회 |
TW213 | 10:20 | 12:50 | B737-800 | 주 7회 | |
TW215 | 15:30 | 17:55 | A330-300 | 주 7회 | |
| LJ201 | 07:25 | 09:50 | B737-800 | 주 7회 |
LJ203 | 08:15 | 10:35 | B777-200ER B737-800 | 주 7회 | |
LJ205 | 09:45 | 12:15 | B737-800 B737-8 | 주 7회 | |
LJ209 | 14:45 | 17:10 | B737-800 | 주 7회 | |
LJ211 | 15:35 | 18:05 | B737-800 | 주 4회 | |
| BX164 | 07:35 | 10:10 | A321-200 A321neo | 주 7회 |
BX166 | 15:05 | 17:50 | 주 7회 | ||
| RS705 | 08:10 | 10:25 | A321-200 | 주 7회 |
RS701 | 13:20 | 15:40 | 주 7회 | ||
RS703 | 18:55 | 21:25 | 주 7회 | ||
| ZE601 | 08:40 | 11:00 | B737-800 | 주 7회 |
ZE603 | 15:20 | 18:00 | B737-800 B737-8 | 주 7회 | |
| YP731 | 08:45 | 11:20 | B787-9 | 주 6회[16] |
| ET672 | 16:35 | 19:05 | B787-8 | 주 4회[유의] |
| NQ22 | 13:40 | 16:00 | B787-8 | 주 7회 |
| ZG42 | 13:05 | 15:30 | B787-8 | 주 7회 |
<rowcolor=#fff> 도쿄/나리타 NRT → 서울/인천 ICN | |||||
항공사 | 편명 | 출발 | 도착 | 기종 | 운항횟수 |
| KE704 | 14:00 | 16:40 | B787-10 B787-9 A330-300 B777-300ER | 주 7회 |
KE712 | 17:10 | 19:50 | A321neo | 주 7회 | |
KE714 | 20:40 | 23:20 | B737-900ER B737-800 B737-8 | 주 7회 | |
KE706 | 09:15 | 12:00 | A321neo | 주 7회 | |
| OZ141 | 11:35 | 14:25 | A321-200 | 주 7회 |
OZ101 | 13:20 | 15:55 | A380-800 A330-300 | 주 7회 | |
OZ103 | 16:25 | 19:10 | A330-300 A350-900 | 주 7회 | |
OZ105 | 19:25 | 22:20 | A330-300 B777-200ER A350-900 | 주 7회 | |
OZ107 | 09:00 | 11:35 | A330-300 | 주 7회 | |
| 7C1102 | 11:35 | 14:30 | B737-8 | 주 7회 |
7C1104 | 14:00 | 16:45 | B737-800 | 주 7회 | |
7C1106 | 15:20 | 18:25 | B737-800 | 주 7회 | |
7C1108 | 18:10 | 21:05 | B737-800 | 주 7회 | |
7C1122 | 19:50 | 22:50 | B737-800 | 주 7회 | |
| TW212 | 11:55 | 14:55 | B737-800 | 주 7회 |
TW214 | 14:35 | 18:05 | B737-800 | 주 7회 | |
TW216 | 18:55 | 21:50 | A330-300 | 주 7회 | |
| LJ202 | 11:10 | 13:35 | B737-800 | 주 7회 |
LJ204 | 11:35 | 14:05 | B737-800 B737-8 | 주 7회 | |
LJ206 | 13:25 | 15:55 | B737-8 | 주 7회 | |
LJ210 | 18:20 | 20:50 | B737-800 | 주 7회 | |
LJ212 | 19:05 | 21:35 | B737-800 | 주 4회 | |
| BX163 | 11:10 | 14:00 | A321-200 A321neo | 주 7회 |
BX165 | 18:50 | 22:05 | 주 7회 | ||
| RS706 | 11:25 | 14:05 | A321-200 | 주 7회 |
RS702 | 16:40 | 19:25 | 주 7회 | ||
RS704 | 22:15 | 23:59 | 주 7회 | ||
| ZE602 | 11:50 | 14:30 | B737-800 | 주 7회 |
ZE604 | 19:00 | 21:35 | B737-800 B737-8 | 주 7회 | |
| YP732 | 12:30 | 15:15 | B787-9 | 주 6회[21] |
| ET673 | 20:05 | 22:45 | B787-8 | 주 4회[유의] |
| NQ21 | 09:50 | 12:30 | B787-8 | 주 7회 |
| ZG41 | 08:55 | 11:35 | B787-8 | 주 7회 |
4. 여담
- 인천-나리타 노선은 세계에서 3번째로 바쁜 국제선 노선이다. # 2024년 연간 541만석의 좌석이 공급되었다.[24] 국내선으로는 김포-제주 항공노선이 있다면, 인천발로는 간사이행[25]과 나리타행이 그 위치를 차지하는 셈이다. 실제로 국내에서 신생 항공사들이 첫 해외 영업을 개시한다면 십중팔구 이 노선을 택하며, 그만큼 경쟁이 치열하다. 인천-나리타 항공노선은 부산-나리타 항공노선, 대구-나리타 항공노선, 청주-나리타 항공노선, 제주-나리타 항공노선과 함께 나리타 공항을 잇는 주요 일본 노선 가운데 한 노선이다.
- 대한항공이 인천국제공항, 제주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에서 나리타 직항 노선을 운항중이며 나리타 국제공항 제1터미널 북쪽 윙에서 인천 노선, 제주 노선, 부산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그래서 정오 시간대 ~ 저녁 시간대(12:45 ~ 20:40) 사이에 나리타 국제공항 제1터미널 북쪽 윙에서 입출국하면 인천, 제주, 부산으로 짧게는 몇분, 길게는 몇십분 간격으로 동시에 출도착하는 대한항공 비행기를 볼 수 있으며 나리타 공항 북쪽윙의 면세구역에 있으면 출도착 대기중인 비행기를 볼 수 있다.[26] 나리타 국제공항 제1터미널 북쪽 윙의 대한항공 카운터에서 인천, 제주, 부산행 비행기를 타기 위해 체크인하러 사람들이 많이 모이며 이때는 매우 붐빈다. 동시에 대한항공 옆 카운터에서 부산행 진에어(LJ223/LJ224)도 17:05 출발 일정으로 출발한다.
- 과거 이 노선에는 유나이티드 항공 등도 운항하던 적이 있었으나, 지금은 모두 철수한 상황이다.
- 과거 대한항공에서 운항하던 KE001/KE002편이 인천-나리타-호놀룰루 노선 형태로 운항한 적이 있었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는 단항하고 인천-호놀룰루 직항노선으로 운항중이다.
5. 관련 문서
- 한일노선
- 인천국제공항/운항노선
- 나리타 국제공항/운항노선
- 김포-하네다 항공노선
- 인천-하네다 항공노선
- 대한항공/노선망
- 아시아나항공/노선망
- 제주항공/노선망
- 티웨이항공/노선망
- 진에어/노선망
- 에어부산/노선망
- 에어서울/노선망
- 이스타항공/노선망
- 에어로케이항공/노선망
- 에어프레미아/노선망
- 에티오피아 항공/노선망
- 에어재팬/노선망
- ZIPAIR/노선망
[1] 물론 시간의 효율성 등을 이유로 상대적으로 비싼 비용임에도 김네다 노선을 이용하는 관광객 수도 적지 않은 편.[2] 김포공항 시절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전신인 노스웨스트 항공, 팬 아메리칸 항공 시절부터 운항했었으며, 여기에 더해 일본 제3의 FSC였던 일본에어시스템도 김포-나리타 노선을 운항했었다. 노스웨스트와 팬암은 각각 델타항공, 유나이티드 항공에 태평양 노선과 나리타 이원권을 매각하면서 철수했고, 일본에어시스템도 인천국제공항 개항 전에 일본항공에 합병되어 사라졌다.[3] 일본항공의 자회사[4] 전일본공수의 자회사[5] 전일본공수와 일본항공은 인리타 노선에서 철수한 뒤 각각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코드셰어만 걸어두고 있으며, 직항은 김포 하네다로만 운항하고 있다. 유나이티드, 에어 캐나다, 델타, KLM 등 다른 외국 FSC들도 한일노선 대한항공, 아시아나 편에 코드셰어를 활발히 걸어두고 있다.[6] 하네다 공항은 아직 운수권 제한이 있어서 가격대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그나마 풀린 LCC도 심야출발편 피치항공이다.[7] 이는 두 항공사 모두 미주, 유럽 장거리 뛰고 남은 시간에 장거리용 기재를 투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포국제공항은 국내선과 단거리 국제선밖에 없어서 인천국제공항에 비하면 운영하는 기종의 급이 낮고 기령도 높은 편이다. 그러나 최근에 와선 대한항공의 경우 김포 하네다 노선에 후기형 A330-300, B787-10, A321neo같은 최신기체도 종종 투입한다.[8] 가성비를 중요시하는 승객은 운임이 저렴하고 수하물 허용량이 제일 많은 에티오피아항공을, 한국어로 기내 서비스를 편하게 받고 싶은 승객은 아시아나항공을 택하면 된다.[9] B777운항[10] A380,A350운항[11] OZ102, OZ106, ET672편 이용 가능.[12] 공항 규모는 큰데 활주로가 사실상 1개뿐인 나리타 공항 특성상 정시 이착륙이 매우 어렵다. 유도로 앞뒤로 이륙하려는 비행기가 줄을 서는 상황이 비일비재하다. 인천공항은 그냥 비행기가 무지막지하게 많아서.[ST] 스카이팀[참고] 2026년 운행 스케줄부터 투입 예정이다.[SA] 스타얼라이언스[16] 화요일 제외 매일 운항.[SA] [유의] 일, 수, 금, 토요일 운항.
시점 유일한 제3국 국적 항공편으로 아디스아바바-인천은 월수목금토일 주6회 왕복이지만 월목은 인천공항에서 비행기를 돌려 아디스아바바로 돌아간다.[ST] [SA] [21] 화요일 제외 매일 운항.[SA] [유의] [24] 2023년까지 간사이 노선에 비해 뒤졌지만 2024년엔 역전되었다.[25] 세계에서 5번째로 바쁜 국제선 노선[26] 인천행 출도착 비행기: KE711/KE712, 제주행 출도착 비행기: KE2125/KE2126, 부산행 출도착 비행기: KE2131/KE2132와 KE2129/KE2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