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7 18:44:51

인천-브리즈번 항공노선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인천국제공항공사 영문 로고_상하.svg파일:인천국제공항공사 영문 로고_상하 화이트.svg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인천국제공항 항공 노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aab5><colcolor=#fff> 국내선



<colbgcolor=#00aab5><colcolor=#fff> 일본
중국
중화권
몽골




베트남
필리핀
태국
이외
그 외
아시아권
러시아
태평양
대양주
유럽

미국
이외
아프리카
}}}}}}}}} ||
1. 개요2. 역사 및 현황
2.1. 코로나19 이전2.2. 2020년 3월 이후2.3. 2023년 중순 이후2.4. 2025년 기준
3. 항공편4. 관련 문서

1. 개요

인천국제공항호주 브리즈번 공항을 잇는 항공노선.

브리즈번 공항은 연계교통이 다양하고 인근 골드코스트(공항), 선샤인코스트(공항)와도 비교적 가깝기 때문에, 행선지가 그 쪽일 경우는 물론이고 타 지역 환승 연계 용도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다만 위 지역들이 브리즈번에서 남, 북으로 각각 직선거리로 100km가량 떨어져있기 때문에 인천-김포만큼 빠르게 환승하기는 힘들며, 별도의 여정으로 간주되어 수하물도 직접 찾아다 다시 맡겨야 하니 주의. 그러니 부득이하게 이런 형태로 환승을 하게 된 경우에는 스톱오버를 하듯 브리즈번에 잠시 체류하며 관광을 즐긴 뒤 이동하는 것도 방법이다.

2. 역사 및 현황

2.1. 코로나19 이전

대한항공을 중심으로 인천국제공항과 브리즈번 공항 간 직항 노선이 정기적으로 운항되었으며, 수요에 따라 간헐적으로 저비용 항공사전세기 편성도 이루어졌다.

브리즈번은 시드니보다는 수요가 낮아 매일 운항까진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그래도 이게 호주에선 한국발 수요가 높은 쪽이었다. 여담으로 시드니와 더불어 호주의 투톱 도시이며 인구도 대동소이한 멜버른에는 인천발 직항이 계절편으로만 존재하며, 다른 지역에는 한국발 직항이 거의 없다시피했고 생겨도 단기간 운영하다 없어지곤 하는 형편이다. 젯스타에서 옆동네 골드코스트에, 진에어에서 케언즈에 한때 직항을 운영했던 정도. 공교롭게도 전부 퀸즐랜드내 지역들이자 휴양으로 유명한 곳들이다.

2.2. 2020년 3월 이후

코로나19 팬데믹의 여파로 국제선 항공 수요가 세계적으로 급감했고, 호주도 예외는 아니어서 인천–브리즈번 직항 노선 역시 2020년 3월 중순을 기점으로 전면 운항 중단되었다. 이 시기를 전후해 대한항공 및 기타 항공사 모두 해당 노선 운항을 중단했으며, 약 3년간 운휴 상태가 지속되었다.

2.3. 2023년 중순 이후

대한항공이 2023년 4월경부터 인천–브리즈번 노선의 정기편 운항을 재개하였다.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정규 스케줄에 복귀한 대한항공은 초기에는 주 3~4회 수준으로 노선을 운영하였으며, 이후 주 5회 이상으로 증편하였다. 이 시기부터 항공 수요 회복과 함께 노선 정상화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젯스타가 팬데믹 이전에 한때 운항했던 인천-골드코스트 직항도 이 시기에 인천-브리즈번으로 변경되어 복항하였다. 그래서 골드코스트에서는 인천행 직항이 사라지고 말았다. 다만 앞서 서술하였듯 양 지역은 가까운 편이라 육로 추가 이동을 통해 대처할 수 있으며, 젯스타를 그대로 이용하되 시드니에서 환승하는 형태로 이용할 수도 있다. 젯스타는 일정에 따라 브리즈번-인천행도 시드니 환승을 통해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 각 지역에서 시드니로 가는 국내선이야 충분히 많고, 시드니-인천 연계편도 많으니 가능한 정책이다.

2.4. 2025년 기준

대한항공이 주 4회(월·수·금·토) 해당 노선을 운항하고 있으며, 젯스타는 주 3회(화·목·토) 직항편을 운영 중이다. 두 항공사를 통해 매일 최소 1편 이상의 직항 노선이 운항 중이므로, 팬데믹 이전 수준의 운항 회복을 넘어서 더 증편되었다고도 볼 수 있게 되었다.

3. 항공편

  • 2025년 7월 기준.
  • 코드셰어를 제외한 직항 여객편만 서술한다.
  • 기종에 대해서는 빈번하게 투입되는 기종을 제일 앞으로 서술하고, 기체 변경으로 투입되는 기종을 그 뒤에 서술했다. 즉, 당일에 기체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과 아래에 기재된 기종과 다를 수 있다는 점 유의. 또한 스케줄 조정으로 인해 출발 시간과 도착 시간, 편명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항공사 홈페이지도 참고 바람.
  • 출발 시간, 도착 시간은 모두 현지 시간이다.
<rowcolor=#fff> 서울 ICN → 브리즈번 BNE
항공사 편명 출발 도착 기종 운항횟수
파일:대한항공 로고.svg파일:대한항공 로고 화이트.svg[ST] KE407 20:05 06:45(+1) B787-9
A330-300
주 4회[2]
파일:Jetstar_Logo.svg파일:젯스타 로고 화이트.svg JQ54 21:35 08:00(+1) B787-8 주 3회[3]
<rowcolor=#fff> 브리즈번 BNE → 서울 ICN
항공사 편명 출발 도착 기종 운항횟수
파일:대한항공 로고.svg파일:대한항공 로고 화이트.svg[ST] KE408 08:30 17:35 B787-9
A330-300
주 4회[5]
파일:Jetstar_Logo.svg파일:젯스타 로고 화이트.svg JQ53 11:10 19:50 B787-8 주 3회[6]

4. 관련 문서


[ST] 스카이팀[2] 화, 목, 일요일 제외 매일 운항.[3] 화, 목, 토요일 운항.[ST] [5] 화, 목, 일요일 제외 매일 운항.[6] 화, 목, 토요일 운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