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5 17:00:24

엘사게이트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요2. 특징
2.1. 표현되는 장면
2.1.1. 스토리 부분
2.2. 운영 방식
3. 도용된 작품4. 경과5. 후폭풍6. 중국으로의 유입7. 목적8. 언론 보도 및 관련 자료9. 해당 유튜버10. 관련 문서

1. 개요

Elsagate

엘사게이트유튜브에 올라온 대량의 이상한 동영상들과 해당 영상을 생산하는 그 채널들에 얽힌 의혹들에 대한 사건이다.

해당 채널들은 겉으로 보기엔 겨울왕국엘사, 마블의 스파이더맨, 미키 마우스 등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캐릭터들을 주인공으로 한 애니메이션이나 실사 영상으로 위장하고 있었으나, 상상도 할 수 없는 선정적 장면과 비윤리적 내용이 담겨 있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등장한 캐릭터가 겨울왕국의 엘사[1]였기 때문에 엘사게이트라는 명칭이 붙었다. 하단의 도용당한 작품 목록을 보면 알 수 있겠지만, 새로운 작품이 매년 나올 때마다 그 인기에 편승하여 자극적인 콘텐츠들이 대량으로 생산되는 상황이 반복되며 유튜브에서 현재진행형으로 일어나고 있다. 당연히 이런 영상들은 어린이는 물론 성인들에게조차 아무 의미도 못주는, 쓸모없고 불쾌한 내용들 뿐이다.

이 때문에 과격한 표현이 담긴 동영상이라도 연령에 의한 열람 제한이 미리 걸려 있는 경우나, 본편의 앞서에 충분한 주의를 하고 있는 것은 애당초 엘사게이트로 취급되지 않는다. 또한 겉으론 아동용 카툰체 같은 디자인을 하고 있으나 실제 내용이 성인용으로 과격한 표현이 담긴 것(예: 사우스 파크Happy Tree Friends, Don't Hug Me I'm Scared 등)과도 전혀 다르다.[2]

다만 해당 동영상들을 직접 확인해보면 썸네일이 선정적일 뿐 정작 진짜 영상 내용은 그냥 전형적인 저퀄리티 아동 애니메이션이다. 물론 아동 애니메이션이 선정적인 썸네일을 사용하는 것 자체가 문제긴 하지만 단순히 관심을 끌기 위해 행해진 클릭베이트 문제가 또 다시 관심을 끌기 위해 음모론이 덧붙여져 과장된 클릭베이트로 확대생산된 셈.

2. 특징

한 군데서 이 모든 것을 많이 만들어내는 건 아니고 제작 방식(실사 영상, 조잡한 2D 애니메이션, 클레이 애니메이션 등)과 도용하는 작품이 제작하는 곳마다 다르긴 하지만[3] 대체로 아래에 나열된 특징을 적어도 두세 가지 이상 띠고 있다고 보면 된다. 그리고 저연령층들의 이목을 끌기 위해 지나치게 밝은 원색 위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후술하겠지만 최근에는 AI로 영상을 마구잡이로 찍어대는 채널도 많아졌다.

2.1. 표현되는 장면

2.1.1. 스토리 부분

엘사게이트보단 콘텐츠팜에서 더 두드러지는 요소. 이들의 경우 제대로 이야기가 흘러가긴 하지만, 제대로 된 애니메이션에 비하면 상당히 엉망인 걸 바로 눈치챌 수 있다.

간혹 엘사게이트의 성향도 띄는 경우엔 위의 요소들도 스토리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 지루한 전개: 철저하게 어린유저만 노리고 영상 양산하기에만 급급하는 콘텐츠 팜의 특성상 이야기는 깊게 흘러가지 못하고 너무 유치하고 가볍게 흘러가는 경우가 대다수. 때문에 조금만 나이 들어도 제대로 흥미를 갖지 못하거나, 오히려 오글거리거나 불쾌할 전개가 대부분이다.
  • 캐릭터 붕괴: 콘텐츠 팜이 원작 팬한테 제일 욕먹는 이유중 하나. 어째 캐릭터들의 행동이랑 성격이 원작이랑 전혀 매칭되지 않은 경우가 매우 많다. 콘텐츠 팜의 특성상 제대로 원작을 존중하면서 만들 이유가 전무하기 때문이다.
  • 개연성 전무: 스토리가 거의 의식의 흐름대로 흘러가며, 조금 생각만 해도 쉽게 되거나 해낼 일을 너무 질질 끄거나 못해내는 경우가 있으며, 스토리에 반전이 있는 경우도 별다른 복선이나 암시도 없이 갑툭튀하는 경우도 많다. 물론 철저하게 병맛만 노린 애니메이션이면 별 문제는 없지만 콘텐츠 팜은 그런것도 아닌지라 오히려 퀄리티만 낮춰 보이게 된다.

2.2. 운영 방식

  • 제목썸네일 등으로 낚시
  • 조회수 조작
  • 매크로 등을 이용하여 문장이 부자연스러운 댓글을 작성
  • 채널 이름만 달리한 채 같은 영상을 올리는 채널을 여럿 운영
  • 좋아요를 눌러서 영상의 캐릭터를 도와달라며 좋아요 클릭 유도

3. 도용된 작품

엘사게이트의 또 다른 문제 중 하나로 명백한 저작권 침해가 있다. 당장 이 사건을 지칭하는 명칭에 들어가는 엘사만 해도 저작권 침해에 굉장히 엄격하기로 유명한 디즈니 사의 캐릭터이다.

하지만 일일이 저작권 제한('저작권이 제3자에게 있는 컨텐츠 삽입')을 걸기 불가능할 정도로 많은 영상이 올라오기 때문에 실질적인 대응이 불가능에 가까워졌다. 흔한 악성 채널이 으레 그렇듯 오랜 요청을 통해 활동 정지를 먹여도 바로 새 계정을 파서 영상을 올리는 등 유튜브 내의 시스템만으로는 완전한 처리가 불가능하다.

시간이 지나면서 디즈니, 마블 등의 캐릭터뿐만 아니라 상어 가족 등의 유명한 유튜브 컨텐츠들도 엘사게이트의 도용에 피해를 입는 사례가 속출하기 시작했다.

목록에 성인용 작품이나 밈들도 뜨문뜨문 섞여 있는 것을 보면 알겠지만, 이들은 알고리즘 편승이 쉬운 인터넷 밈에 크게 집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중 몇몇 작품은 원작 자체의 인기가 떨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영상 제작이 줄어버린 시리즈도 있다. 대표적으로 언더테일이나 어몽어스.

외에 양산형 게임들도 엘사게이트 영상들과 비슷한 느낌을 가진 것들이 매우 많다.

4. 경과

성인들이 만든 패러디 포르노 동영상은 성인 사이트나 자신들만의 커뮤니티에서만 유통되며, 겉으로 보기에도 성인용 영상임을 알아보기 쉽고 유통의 대상 또한 성인을 타겟으로 하는 것과 달리 엘사게이트의 영상들은 적극적으로 아동층을 겨냥하여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충격을 주었다. 해피 트리 프렌즈, 사우스 파크처럼 전연령대 작품인 척하는 성인 애니메이션의 경우도 명백히 성인용으로 만들어진 작품으로 시청연령 경고문이 있고 어린이는 볼 수 없는 것이 원칙이나, 엘사게이트의 영상들은 이런 것도 아니다.

이들은 유튜브 등지에서 어린이용 영상 채널로 가장하여 비슷한 내용의 영상을 대량 주기적으로 업로드하고 있으며, 유튜브 외에도 구글 플레이 등에 업로드되는 모바일 게임으로도 제작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성인물 동영상이 유통 관리 소홀로 일반 사이트에 가끔 노출되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다.

엘사게이트 관련 영상은 상당수가 서양풍의 2D/3D 애니메이션이지만, 실제 배우가 나오는(의상의 퀄리티는 대체로 조악한 편) 성적인 실사영상이나 심지어 실제 아동이 등장하는 영상도 확인되었다.

유튜브에서는 어느 영상이 끝나면 비슷한 키워드를 가진 다음 영상들로 자동으로 넘어가는데, 이 기능을 수동으로 끄지 않을 경우 한 번 엘사게이트 영상이 걸리게 되면 관련 영상만 끊임없이 재생되어 특히 미취학 아동의 경우 아무런 의심 없이 이런 영상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폭력, 성적인 내용이 함유되어 있지만 스쳐 지나가듯 보면 일반 어린이용 애니와 비슷한 그림체를 띄고 있고, 경쾌한 음악, 아이 웃음소리 같은 효과음이 사용되기 때문에 소리만으로는 이런 유해한 내용인지 파악되지 않아 보호자가 사태 파악을 제대로 하기 힘든 점도 문제로 대두되었다.

유튜브에 올라오는 그 많은 영상을 구글이 직접 하나하나 검사할 수는 없는 노릇이므로, 부적절한 콘텐츠에 대한 필터링은 알고리즘에 의한 자동화 시스템과 사용자의 신고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엘사게이트 영상들은 맥락에 맞지 않는 매크로 댓글, 가짜 조회수 등으로 알고리즘의 검열을 회피하고 있다. 유명 회사의 지적재산을 도용하고 있긴 하지만, 기계적 필터링의 기준이 되는 원본 영상은 사용하지 않으므로 유튜브의 자동 저작권 필터링에도 걸리지 않는다. 결국 엘사게이트 동영상 중 상당수가 아동용 플랫폼인 유튜브 키즈에 노출되고 있다.

한국어로 된 영상도 존재하며(물론 자동번역된 것이라 번역은 형편없다), 심지어 뽀로로 같은 한국 애니메이션의 캐릭터가 도용된 영상도 존재한다고 한다. 크레용 신짱을 도용한 영상도 발견된 것으로 보아 전세계의 유명한 어린이용 작품이라면 닥치는 대로 사용하는 것 같다.[8] 실사 영상의 경우 국적은 추측 불가능하지만 아시아인이 등장하는 영상도 존재한다. 2017년 12월 6일 기준으로 자연스러운 한국어 대사를 하는 영상들도 확인되었다.

이 이슈는 미국을 넘어 전 세계의 토론거리가 되었으며, 한국 언론에서도 외신을 인용해 여러 번 다루었고 한국 맘카페 등에서도 주의사항이 공유되었다. 유튜브가 제대로 된 대처를 하지 못했기 때문에 자녀가 유튜브를 사용하지 못하게 막고 쥬니어네이버넷플릭스, 케이블 TVIPTVVOD 서비스처럼 지정된 회사(아이코닉스, 디즈니, 투니버스, 해즈브로, EBS 등)에서만 영상을 공급받는 플랫폼을 이용할 수 밖에 없을 정도가 되었다.

급기야 열받은 유튜브 대형 광고주들이 광고 중단을 걸어 버렸다. 도이체방크, 아디다스, 마즈,[9] 캐드버리[10] 등의 다국적 기업들이 광고 중단을 선언하고 불만을 성토할 정도로 사태가 급속히 악화되었으며, 다른 대형 광고주들도 이들을 따라 광고 중단을 걸 가능성이 높아진 만큼 유튜브 입장에선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태였다.

예전에도 유튜브에서 오만 사건이 벌어진 적이 있었지만 이 사건의 파급효과는 주요 타겟이나 규모 면에서 비교가 안 되게 크고, 다수의 대형 광고주들이 동시에 광고 중단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ISIL 같은 테러 단체들이 프로파간다 목적으로 유튜브를 이용했을 때도 눈 하나 깜짝 않던 광고주들이 바로 민감한 대응을 보인 것만 봐도 엘사게이트가 얼마나 큰 사건인지를 알 수 있다. 일단 전자의 영상들이야 성인을 대상으로 한 거라 시청자들 입장에선 무시해도 되지만 후자인 엘사게이트는 무조건 정서가 발달되지 않은 아동만을 겨냥해서 죄질이 더 나쁠 수밖에 없다.
때문에 유튜브 측에서는 부회장이 직접 나서서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하는 등 사태 진화에 심혈을 기울였으나 잘 되지 않았다. 2017년 11월 26일 기준으로 엄청나게 많은 엘사게이트 관련 영상들이 유튜브에서 검색될 정도였다.

2018년 2월 8일을 기준으로 다행스럽게 유튜브 Kids에서는 엘사게이트 영상들이 모두 차단된 상태이다. 남은 흔적들은 일반 유튜브에서만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아동들이 일반 유튜브로 안 들어갈 것이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완전히 안심할 수 없게 되었다. 무엇보다 유튜브 Kids 영상으로 판별되는 방식이 업로더가 Kids 영상이라고 지정하지 않으면 순전히 인공지능 봇만을 통하기 때문에 의도치 않게 판별되는 수위가 높은 영상이 있는 상태이다.[11]

한편 2020년에는 안전가족을 활용하여 만든 자극적이고 불건전한 합성물들이 유튜브에 대거 양산되는 바람에 행정안전부에 신고를 당하는 일이 발생했는데, 이걸 보고 한국판 엘사게이트라고 평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2021년 들어서 Among Us의 캐릭터들이 똥을 싸거나 엉덩이를 때리는 등 엘사게이트와 유사한 애니메이션들이 다시 유튜브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Friday Night Funkin' 및 그 모드의 캐릭터들이나 Poppy Playtime의 캐릭터들 또한 그런 애니메이션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와 함께 이와 같은 영상을 패러디 및 풍자한 'Youtube kids be like'라는 밈도 만들어지고 있다.

2023년 후반 경, Skibidi Toilet 시리즈의 제작자 DaFuq!?Boom!이 엘사게이트를 저격하면서 엘사게이트 영상에 대한 강력 대응을 예고하면서 유튜브의 무능함을 비판했다. 부회장이 나서서 사과한 것과 개선을 약속한 것의 정반대로 상황이 흘러가는 중.

2024년 초반부터는 엘사게이트와 비슷한 부류의 양산형 컨텐츠 전문계정을 "Content Farm"(조회수 농장)으로 일컫고 있다. 영상의 종류가 엘사게이트가 아니더라도 저품질 영상을 찍어내서 조회수 벌이를 유도하는 밈 유튜버 등도[12] Content Farm으로 불리고 있다. 잦은 업로드 빈도에다가 어메이징 디지털 서커스같은 성공한 인디 웹 애니메이션들도 소재로 쓰이는 상황이라 원작자들도 이러한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AI 영상이 발달한 여파로 AI로 만든 조회수 농장도 양산되고 있다.[13]

2025년도에도 문제는 전혀 나아지지 않고, 아예 여러 소재끼리 짬뽕해버린 저급한 AI영상이 계속 늘어나기만 하는 추세다. 게다가 2024년도 후반쯤에 미성년자가 만든 작품인 SPRUNKI[14]Fundamental Paper Education[15] 이 도용되어 엄청난 타격을 입어서 시리즈의 중단과 제작자에게 깊은 상처를 주면서 엘사게이트의 심각성이 다시 한번 들어났다.

5. 후폭풍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튜브/노란딱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튜브/노란딱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튜브/노란딱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중국으로의 유입

유튜브를 차단을 비롯해 엄격한 검열을 하는 중국의 동영상 사이트들도 예외는 아니었다.

중국 정부의 검열 조치로 유튜브를 비롯한 외국 동영상 사이트의 접속이 차단되어 있지만, 중국 사이트 이용자 중 차단된 외국 사이트에서 영상을 퍼오는 사람이 없는 것은 아니다. 또는 중국 바깥의 사람들이 무조건 유튜브만 하지는 않듯 다른 동영상 사이트에서도 활동하는 유저들이 있어서이다.[16] 아무래도 이 과정에서 중국으로 유입된 듯 싶다. 요우쿠 등 중국 동영상 사이트도 조치에 들어갔다고 한다. 2월 기준으로 뿌리뽑힌 것으로 보이며, 바이두에서는 "엘사"가 검색 불가어로 지정되기도 했다. 중국 정부는 이 일을 계기로 "후먀오(護苗, 어린이 보호) 2018" 단속을 지속할 것이라고 했다.(기사) 결국 중국의 인터넷 검열에 명분이 더해진 셈.

더욱 어이없는 사실은 중국에서 이를 모방해 실제 아동을 나무에 묶거나 막대기로 폭행하는 연출을 하는 영상 등이 제작되는 끔찍한 일이 일어났다는 것이다!(레딧) 오죽하면 레딧에 "처음으로 중국의 검열을 긍정하게 되었다.", "만든 사람 수용소에 가길 바란다."라는 댓글이 올라왔을 정도. 다행히 해당 영상도 삭제되었다.

7. 목적

항상 그렇듯 이런 문제의 원인은 대체로 클릭베이트, 즉 광고 수익을 목적으로 한 사례들이다. 아이러니한 것은 이 현상을 다루면서 클릭 유도를 위해 소아성애자들의 음모라든가 인신매매를 위한 암호공유지라는 등의 음모론을 퍼뜨리는 매체들이 많았다. 특히 음모론자들이 퍼뜨리고 다녔던 이른바 피자게이트와의 유사성이 크게 두드러진다. 엘사게이트의 음모론적 성격은 Verge의 기사가 참고할 만 하다. 참고

8. 언론 보도 및 관련 자료

9. 해당 유튜버

  • 5-Minute Crafts: 구독자가 천만을 넘기는 콘텐츠 팜. 선정성은 없으나 따라했다간 위험할 수도 있는 가짜 라이프핵을 마구 찍는 악성 유튜버다.
  • BENJIxScarlett: AI로 작곡한 퀄리티가 매우 낮은 저급한 노래 영상들을 마구 찍어내는 유튜버. 본래는 영상 퀄리티가 어처구니 없어서 가끔 언급되는 걸 빼면 큰 관심을 갖지 못했지만 스프런키 노래 이후 악명이 더욱 높아졌다.
  • GameToons: 스프런키 콘텐츠팜으로 악명높다. 구미도라만큼 선정적이진 않으나 부적절하고 기괴한 장면이 가끔 있다.
  • Gummy Dora: 애니메이터 형식의 엘사게이트 유튜버. 채널을 보면 알겠지만 썸네일이 거의 다 매우 선정적이고 영상 자체의 퀄리티는 그나마 괜찮으나 부적절한 내용이 많고 등장인물들의 소리가 매우 단순해서 성의가 느껴지지 않는다.
  • Hornstromp Games: 부계정을 많이 소유한 콘텐츠 팜. 이유는 돈을 더 많이 벌기 위해서로 보인다. 영상 퀄리티도 스토리 퀄리티도 떨어지는 편이다. 스프런키 영상으로도 악명 높았지만 어째선지 그 영상들은 다 내려간 상태.
  • LankyBox: SPRUNKI의 몰락에 기여한 사람 중 하나로 악명높다.
  • Moon(유튜버): 이런 류의 애니메이션들을 끊임없이 만들어내다 계정을 팔고 잠적했다.
  • Ulpu: 위의 벤지처럼 심각한 퀄리티의 AI노래를 찍어내는 유튜버. 영상의 퀄리티는 더욱 심각한데다 더욱 선정적이다.

10. 관련 문서


[1] 그 다음으로 가장 많이 나오는 게 스파이더맨이다.[2] 애당초 이런 매체물들은 엘사게이트마냥 특정 취향에 맹목적으로 집착하는 작품은 아니기 때문에 비교 자체가 설레발이다.[3] 예를 들어 문제의 엘사/스파이더맨 크로스오버 실사 영상은 소위 Webs and Tiaras라는 데서 만들었다고 한다.[4] 이는 일부 로블계들도 이런 전개를 쓴다[5] 심지어 ASMR이랍시고 혐오스러운 여드름 치료를 표방한 채널까지있다.[6] 엘사게이트보단 youtube poop에 더 비슷한 영상이 많으나, 그렇다고 엘사게이트에 적은 숫자가 있는 것도 아니다.[7] 참고, 참고2, 참고 3, 참고 4, 참고 5[8] 이 영상들의 경우 엘사게이트 제작자들과 같은 집단이 만든 영상인지 아닌지 아직 추측 단계이나 비슷하게 스카톨로지, 납치 등이 소재로 쓰이고 어린이를 겨냥해 영상이 올라온 것으로 보아 엘사게이트의 일종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는 사람들이 많다.[9] 스니커즈, 트윅스로 유명한 세계적인 식품 회사.[10] 대한민국에서의 인지도는 낮은 편이나 원래는 영국 브랜드로 영국제 초콜렛에서 가장 유명한 편이다. 지금은 크래프트 하인즈의 계열사로, 크래프트 하인즈가 크래프트 푸드이던 시절에 인수되었다. 인수가액, 모기업만 봐도 알 수 있지만 역시나 거대기업이다.[11] 앞서 설명된 Happy Tree Friends는 처음부터 성인용 동영상으로 업로드하나 AI가 멋대로 Kids 영상으로 판단하고 바꿔 버린 적이 있다.[12] Masteroogway(본채널 정지됨), Meme Zee, ArcadeAssassin 등.[13] AI로 만든 영상들은 기성 작품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을 소재로 만든 영상보다는, 자체적으로 캐릭터를 생성해 영상을 찍어대는 경우가 많다.[14] 고어 인크레디박스 모드.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도용한 콘텐츠 팜 빛 엘사게이트가 급속도로 불어나서 스프런키 뿐만 아니라 원조 인크레디박스에도 막대한 피해를 입혀버려 인크레디박스를 의도치 않게 궤멸시킬 뻔 했고 제작자는 이러한 저질 콘텐츠 팜과 악성 팬덤, 악성 안티들에게 시달려서 결국 스프런키의 업데이트를 멈췄다.[15] 역시나 고어 영상. 마찬가지로 저급하고 선정적인 엘사게이트와 콘템츠팜에 심하게 시달렸고 그로 인한 생겨난악성안티들한테도 사이버불링도 당해서 시리즈를 중단시킨데다가 그럼에도 제작자에게 끝까지 NSFW아트를 보내는 등의 몹쓸 행위에 시달리다 결국 지금은 인터넷을 잠시 떠난 상태다.[16] 실제로 중국인은 외국 사이트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지만 외국인은 중국 사이트에 문제 없이 진입 가능하다.[17] 해외 사이트에 올라온 괴상한 플래시 게임들도 언급되었다. 다만 이런 괴상한 플래시 게임은 엘사게이트 이전에 나왔던 것으로 이전에 나왔던 플래시 게임의 형태(치과, 여드름치료, 옷입히기 등)을 단순히 캐릭터만 엘사로 바꾼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