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구간의 운행이 중단된 노선입니다.
본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의 일부 구간의 운영이 중단되었습니다.
본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의 일부 구간의 운영이 중단되었습니다.
|
| ||||||||||||||||||||||||||||||||||||||||||||||||||||||||||||||||||||||||||||||||||||||||||||||||||||||||||||||||||||||||
|
서부로 西部路 | Seobu-ro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수원북부순환로 (동) → | }}} | |||
← 정남 방면 남부대로 | 314번 지방도 | 견산로 | |||
노선 번호 | |||||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314)] 314번 지방도[2] | |||||
기점 | |||||
경기도 오산시 두곡동 산24-7 | |||||
종점 |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 파장IC | |||||
연장 | |||||
27.26km | |||||
개통 | |||||
1994 | 성균관대역 - 舊 북수원IC[3] 구운동 - 구운사거리 | ||||
1995. 10. | 고색사거리 - 구운동 | ||||
2006. 01. | 수원시계 - 고색사거리 | ||||
2013. | 가장교차로 - 양산동 | ||||
2014. | 오산시계 - 두곡동 | ||||
2015. 06. 26. | 양산동 - 수원시계 | ||||
2023. 09. 25. | 두곡동 - 가장교차로 | ||||
관리 | |||||
경기도 | |||||
왕복 차로 수 | |||||
4~8차로 | |||||
주요 경유지 | |||||
두곡동 ↔ 세교동 ↔ 세마동 ↔ 화산동 ↔ 고색동 ↔ 서수원터미널 ↔ 성균관대역 ↔ 파장IC |
1. 개요
경기도 오산시 두곡동 산24-7에서 출발해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 파장IC까지 이어지는 총연장 27.26km의 도로. 314번 지방도의 일부다.도로명은 기점인 오산시부터 화성시, 수원시에 이르기까지 세 지역의 서부 지역을 우회해 지나가는 도로라는 의미로 붙었으며, 공사 당시의 통칭인 서부우회도로라고도 불린다.
도로명주소상 서부로 명칭은 오산시 구간부터 부여돼 있지만, 실제로는 평택시 서탄면 구간까지 도로가 이어져 있다. 서탄면 사리 산62-1 일원에서 도로가 끊기며, 향후 서탄면 중심지인 금암리 방향과 진위역 방향으로의 연장이 예정돼 있다.[4] 평택시 구간은 도로명이 부여돼 있지 않으나 편의상 본 항목에서 함께 다룬다.
2. 구간
|■ 색상은 입체 시설|<table 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tablebordercolor=#00a495><^|1><height=32>
- [ 교차로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2d2f34><tablebordercolor=#00a495><width=140px>||<colbgcolor=#00a495><colcolor=#fff><width=10px>||<colbgcolor=#00a495><colcolor=#fff><width=10px>||<colbgcolor=#00a495><colcolor=#fff><width=100px>||<colbgcolor=#00a495><colcolor=#fff><width=10px>||<colbgcolor=#00a495><colcolor=#fff><width=10px>||<width=140px>||
경수대로1220번길과 직결 경수대로
골사그네↙↗
↘↖지지대교차로 ↘↖
↙↗경수대로
경기도인재개발원↘↖
↙↗장안로346번길
이목동↓ 수원북부순환로 ↑ ↓ ↑ 장안로
해우재↙↗
↘↖이목사거리 ↘↖
↙↗장안로
정자동안죽골삼거리 ↘↖
↙↗천천로
SK아트리움상률로
밤꽃마을뜨란채↙↗
↘↖밤꽃사거리 ↘↖
↙↗상률로
경기체육고등학교서부로2181번길
주상아파트↙↗
↘↖밤밭사거리 ↘↖
↙↗하률로
신안아파트덕영대로
월암IC↙↗
↘↖성대역사거리 ↘↖
↙↗덕영대로
화서역↓ ↓밤밭고가차도↑↑ 화산로
율전초등학교↙↗
↘↖↘↖
↙↗화산로
천천삼성래미안아파트↓ ↓밤밭고가차도↑↑ 율전로64번길
입북동↙↗
↘↖성균관대사거리 ↘↖
↙↗일월로
성균관대학교↓ ↓상구운지하차도↑↑ 수인로
안산↙↗
↘↖구운사거리 ↘↖
↙↗수인로
수원역금곡로
호매실지구↙↗
↘↖↘↖
↙↗구운로85번길
수원역↓ ↓상구운지하차도↑↑ ↓ ↓탑동지하차도↑↑ 금호로
금곡동·호매실동↙↗
↘↖탑동사거리 ↘↖
↙↗금호로
수원역↘↖
↙↗상탑로
탑동↓ ↓탑동지하차도↑↑ 탑골삼거리 ↘↖
↙↗하탑로
탑동우방파크타운아파트푸른지대삼거리 ↘↖
↙↗수봉로
자혜학교권선로
호매실IC↙↗
↘↖행정타운사거리 ↘↖
↙↗권선로
수원역호매실로
권선구행정타운↙↗
↘↖권선구청삼거리 ↓ ↓고색지하차도↑↑ 매송고색로
발안↙↗
↘↖고색사거리 ↘↖
↙↗매송고색로
공군 예비군훈련장↓ ↓고색지하차도↑↑ 오목천로
오목천동↙↗
↘↖수원델타플렉스
사거리↘↖
↙↗오목천로
고현초교산업로
수원제1·2산업단지↙↗
↘↖↘↖
↙↗산업로
수원제3산업단지서수원로
오목천동↙↗
↘↖↘↖
↙↗서부로1390번길
탑동기배로
기배동주민센터↙↗
↘↖기안사거리 ↘↖
↙↗기배로
배양동화산터널 ↓화산1지하차도 ↑장조로
화성태안3지구↙↗
↘↖↘↖
↙↗용주로
용주사↓ 화산1지하차도 ↑ ↓ 화산2지하차도 ↑ 안녕남로
안녕초등학교↙↗
↘↖↘↖
↙↗화산로
남수원현대아파트↘↖
↙↗화산남로
화성시 근로자종합복지관↓ ↓화산2지하차도 ↑↑ ↓ 안녕지하차도 ↑ 효행로
안녕IC↙↗
↘↖안녕교차로 ↘↖
↙↗효행로
화산동주민센터↓ ↓안녕지하차도↑↑ 한신IC ↘↖
↙↗10용사로
동탄양산로
양산동↙↗
↘↖↘↖
↙↗양산로
병점역↘↖
↙↗세남로
양산동독산성로
독산성세마대지↙↗
↘↖세마교차로 ↘↖
↙↗독산성로
세마역광성초교앞삼거리 ↘↖
↙↗
세마역↘↖
↙↗수청로
세교중심상가세교터널 오산대역로
공사중↙↗
↘↖금암교차로 ↘↖
↙↗오산대역로
물향기수목원금암터널 가장산업동로
오산근로복지관
↘↖쉼터공원앞삼거리
↙↗가장산업동로
오산노인전문병원↓금암터널 ↑가장로
가장산업단지↙↗
↘↖가장교차로 ↘↖
↙↗가장로
오산시청발안로
벌음동↙↗
↘↖↘↖
↙↗발안로
신동아아파트남부대로
향남IC↙↗
↘↖↘↖
↙↗남부대로
두곡동수월암길
수월암2리↙↗
↘↖수월암교차로 ↘↖
↙↗수월암길
수월암1리도로 종점 (경기 평택시 서탄면 사리 산 62-1) 공사중 (~ 진위역)
3. 특징
이 도로가 생기기 이전 서울과 화성, 용인, 오산, 평택 등을 오가는 차량들은 1번 국도, 42번 국도, 43번 국도를 이용할 수밖에 없어 수원 시내에 막대한 교통체증을 일으켰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북수원IC(경수대로(1번 국도))~성균관대역~수인로(42번 국도)~구운동~고색동(43번 국도)을 잇는 서부우회도로가 계획되었다.1989년 북수원IC~성균관대역, 수인로~고색동 구간이 착공되었고, 1994년 북수원IC~성균관대역, 수인로~구운동 구간, 1995년 10월 구운동~고색동 구간이 개통되었다. 1996년 10월 5일 북수원IC~천천지구 구간, 10월 24일 천천지구~성균관대역 구간, 12월 구운동~고색동 구간, 1998년 6월 성균관대역~구운동 구간이 각각 4차로로 확장되었다. 이후 고색동에서 멈춘 서부우회도로를 화성, 오산을 거쳐 평택 진위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이 고안되어 고색동~수원산업단지(수원시계) 구간이 2006년 1월 착공, 2008년 1월 23일 개통되었다.
2013년 오산시 가장교차로에서 양산동 일원까지 도로가 개통됐고, 2014년에는 남측 구간인 평택시 수월암교차로~오산 두곡동 남부대로 연결 구간이 개설됐다. 이어 화성시 구간이 2015년 6월 15일 전면 개통됐다. 이후 2019년에 서탄면 사리~수월암교차로 구간이 개통돼 평택시 도로명 미부여구간이 전부 연결됐으며, 2023년 9월 25일 무한성 티스푼 공사였던 오산시 두곡동~가장교차로 구간이 드디어 완공됐다.
성균관대역~파장IC 구간 왕복 6차로, 성균관대역~일월사거리 구간 왕복 4차로(+고가차도 4차로), 일월사거리~고색사거리 구간 왕복 8차로, 고색사거리~수원시계 구간 왕복 6차로이다.
출퇴근 시간에 1번 국도를 이용하여 평택 방향에서 올라오는 차량이 서부로에 진입하기 위한 루트가 한정적이다. 오산 진입 후에는 한전사거리에서 좌회전하여 남부대로를 타고 가다 진입하는 방법이 거의 유일한데 퇴근시간에는 좌회전 대기줄이 원동 힐스테이트 앞 까지 늘어서 있어서 15분 이상 대기해야 하는 일이 비일비재다. 직전 갈곶리삼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오산로를 타고 들어와서 남부대로로 합류하는 루트도 있지만 막히는 건 매한가지다.
오산 진입 전이라면 몇개의 루트가 있다. 영풍제지 앞 서탄입구삼거리에서 좌회전 하는 방법과, 진위역을 지난 후 사리교차로에서 우측으로 빠져서 고가를 타고 올라오는 길이 있는데, 이 두 가지 루트는 방꼬지길을 통해 서탄면 사리와 수월암리를 지나 서부로로 들어가는 루트이다. 다만 서부로로 진입하기 전에는 사리와 수월암리를 통과해야 하는데 그야말로 시골 골목길 혹은 농로 수준의 도로를 지나가야 하므로 운전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는 서부로 남측 평택시 구간이 시골 한복판에서 뚝 끊겨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점이기도 하다. 향후 진위역과 금암리 방향으로 도로가 연장되면 진입 루트가 하나 더 늘어나긴 하나 아직 삽도 제대로 뜨지 않은 상태라는 점이 문제.
이렇게 루트가 한정된 이유는 경부선 철도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이다. 경수대로가 경부선 철도의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고 서부로는 서쪽에 있으니 두 도로를 교차 이용하기 위해선 어떻게든 경부선을 통과해야 하는 것. 성대역 사거리를 지나서야 철도를 건너지 않고 경수대로로 이동이 가능하다.
3.1. 교통량
상습 정체가 발생하는 구간은 크게 두 군데로, 성균관대 인근과 화성-수원 시계 구간이다.성균관대 인근은 경부선 과선교로써의 역할이 매우 크고, 인근에 다른 대체 도로가 없어 교통량이 집중된다. 성균관대역 주변의 혼잡함이 더해져 양방향으로 통행량이 매우 많다.
화성-수원 시계에 위치한 화산터널 → 권선구청 구간은 퇴근 시간 정체가 극심하다. 오산에서 화성까지 연속 입체교차로 시원하게 뚫려있는 도로가 이 곳을 기점으로 평면교차로 바뀌고, 인근 산업단지에서 나오는 차량들이 몰리기 때문이다.
퇴근 시간대에 이목사거리부터 성균관대역까지 정체가 극심하다. 우선 성대역사거리의 긴 신호주기 때문에 정체가 시작되고, 밤밭사거리는 신호가 연동되어 있지만, 밤꽃사거리는 연동되어 있지 않아서, 밤꽃사거리와 안죽골삼거리 사이에 차량이 길게 늘어서 진행이 어렵다. 안죽골삼거리에서는 천천로로 좌회전하려는 차량이 1차로까지 차지하며 길게 늘어서 이목사거리까지 이어진다.
3.2. 대체도로
서쪽의 서수원로[5], 동쪽의 덕영대로가 대체도로이다.애초에 이 도로는 1번 국도와 덕영대로와 그 인근 도로의 바이패스 역할을 하려고 만들어진 도로이기도 하다.
4. 대중교통
4.1. 철도 및 도시철도
4.2. 버스
- 화성 버스 6-1
- 화성 마을버스 6-3
- 수원 버스 61
- 수원 버스 62-1
- 수원 버스 64
- 경기광주 버스 65
- 수원 버스 99
- 수원 버스 99-2
- 수원 버스 301
- 화성 버스 1009
- 수원 버스 3003
- 수원 버스 7780
- 수원 버스 7800
- 화성 버스 8000
5. 주요 시설
6. 하위 도로
6.1. 서부로2106번길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율전동에 위치한 도로. 편도 1차로 일방통행이며 제한속도는 30km/h이다.도로 양옆으로 먹거리가 가득하여 서부로2126번길과 함께 쪽문 상권을 이룬다. 2016년경 밤밭 문화의 거리 조성사업으로 보도를 넓히고 도로를 1차로로 줄여 일방통행으로 변경했다. 비슷한 시기에 세븐일레븐 건물 앞에서 성균관대학교로 바로 이어지는 통행로가 뚫려서, 이전처럼 후문을 거쳐 디귿자로 돌아가지 않을 수 있게 되었다.
율천동행정복지센터와 밤밭문화센터가 위치해 있고, 종종 거리 전체를 차 없는 거리로 통제하여 문화행사를 개최한다.
도로명을 붙이기 어려웠는지, CU부터 율전아파트까지의 구간도 서부로2106번길로 명명되어 있다. 이곳은 원룸 밀집지역으로 도로가 매우 좁고 주차차량도 많아 통행이 어렵다.
6.2. 서부로2126번길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천천동에서 출발하여 율전동에서 끝나는 도로. 왕복 2차로이며 제한속도는 30km/h이다.도로 기점에서 직결되는 정자천로13번길과 함께 성균관대학교 북동쪽을 둘러가는 도로이다. 성균관대학교 북서문(쪽문), 북문, 기숙사 지관이 위치해 있어, 성균관대학교 학생들의 주요 통학로 역할을 한다. 특히 성균관대학교 북서문부터 도로 종점까지는 먹거리가 가득하며 쪽문 상권이라 불린다. 이 구간은 보행자도 많고 주정차 차량도 많아 운행에 주의를 요한다.
도로 종점에서 서부로와 교차하고, 신호에 따라 좌회전도 가능하다. 직진시 서부로2123번길로 직결된다. 직좌 동시신호로 운영되는데 신호가 들어오고 2~3초 후 우측 횡단보도 초록불이 들어오기 때문에, 우회전 차량이 빨리 빠져주지 못하면 횡단보도에 막혀 직좌 차량들이 중앙선을 넘어 위험하게 추월하여 교차로를 통과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서부여객 마을버스 27번, 27-1번, 27-5번(출근)이 전 구간을 상시 운행하고 있으며, 성균관대역에서 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7. 사건 사고
7.1. 오산 가장교차로 옹벽 붕괴 사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산 가장교차로 옹벽 붕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산 가장교차로 옹벽 붕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025년 7월 16일, 서부로 가장교차로의 고가도로 옹벽이 폭우로 무너져 옆 진입 램프를 주행하던 차량 2대가 매몰돼 1명이 죽고 1명이 다친 사건이다.
8. 여담
- 영화 판도라의 촬영지 중 하나이다. 배경은 경부고속도로 양산IC 근처. 도로가 꽉 막히자 고속버스가 중앙분리대를 들이박고 역주행하는 장면을 한신IC에서 촬영했다. 이후 뒷따르던 차량들도 역주행(...)을 해서 정방향으로 가던 긴급자동차들을 피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 중 한 경찰차는 역주행하는 차량들을 피하지 못해 가드레일에 들이박았다(...).
- 남부대로와의 교차로는 남북방향 지하차도 건설을 염두에 두었는지 경동나비엔까지 구간은 가운데가 비어진 상태로 건설되었으나, 2023년 남부대로 ~ 발안로 구간 개통과 함께 평면교차로로 개량되었다. 이 때문에 왕복 4차로의 도로가 이 교차로를 전후로 왕복 6~8차로까지 일시적으로 넓어진다. 북쪽 구간에는 인도까지 만들어 유휴 공간을 활용중이다. 차후 지하차도가 다시 건설될지는 미지수.
[1] 당초 국토부 사고조사위원회가 설정한 조사 기간은 9월 20일까지였으나 별도 해제 관련 공지 없이 날짜 이후로도 통제가 이어지고 있다.[2] 기점~오산시 두곡동 2-3[3] 現 파장IC. 1991년 개통 당시에는 파장IC 자리에 북수원IC가 있었다. 이후 북수원IC가 현재 위치로 이동하면서 기존 교차로는 서부로와 경수대로가 만나는 '지지대교차로'라는 이름의 교차로로 바뀌었다가 수원북부순환로 개통과 함께 파장IC로 일원화됐다.[4] 314번 지방도는 이 가운데 진위역 방향 도로를 따라 가다가 견산교차로에서 1번 국도와 만난 뒤 견산로로 직결될 예정이다.[5] 조금 더 멀게 보면 봉담과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