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픈뮤직에 등장하는 캐릭터에 대한 내용은 동자승(팝픈뮤직) 문서 참고하십시오.
불교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f8c00><colcolor=#fff> 신·성인 | 부처 · 여래 · 보살 · 천왕(사천왕) · 시왕 · 아라한 · 나반존자 |
세계관 | 삼천세계 · 육도윤회 · 오탁악세 | |
상징 | 법륜 · 卍 | |
경전 | 불경 · 결집 | |
종파 | 종파 · 근본 불교와 부파 불교 | |
계율 | 5계 · 오신채 | |
사원 | 절(부속 건물 · 능침사) · 선원 · 총림 · 포교당 | |
미술 | 불상 · 불화(탱화 · 만다라 · 수월관음도 · 달마도) · 불탑 · 승탑 · 보상화무늬 · 연화문 · 대장경판 | |
법구 | 금강저 · 당간지주 · 목어 · 목탁 · 불단 · 불진 · 석장 · 염주 · 범종 | |
의식 | 수계 · 예불 · 불공(사시불공) · 진언 · 다라니 · 다비식 · 발우공양 · 탁발 · 방생 · 재(49재) · 참선 · 사경 | |
문화 | 법회(설법) · 범패 · 찬불가 · 승복(가사) · 사찰 요리 · 법명 · 법랍 · 불멸기원 · 연등회 · 탑돌이 · 팔관회 · 참회 · 만행 · 승무 | |
불자 | 승려(비구니 · 군종 승려 · 동자승 · 주지) · 법사 · 신자 | |
기타 | 가부좌 · 사리 · 파계(파계승) · 한국어의 외래어/산스크리트어 | }}}}}}}}} |
1. 개요
<colbgcolor=#c84,#963><colcolor=#fff> 한국어 | 동자승(童子僧) |
일본어 | [ruby(小, ruby=こ)][ruby(坊, ruby=ぼう)][ruby(主, ruby=ず)](소방주) |
2. 상세
어렸을 적부터 종교에 뜻을 두는 아이는 예나 지금이나 드물기 때문에 보통은 자기 뜻과는 상관없이 되는 경우가 많다. 즉, 부모에게 버림받거나 전쟁이나 전염병을 비롯한 인명피해를 내는 사건 및 사고 때문에 부모를 잃고 죽어가는 아이들을 승려가 거두어 동자승으로 키우거나, 가난이나 기타 사유로 부모가 아이 키우는 걸 포기하고 절에 버리고 가거나 하는 경위로 되는 경우가 많았다. 전근대에도 고아원이 있기는 했지만 수용 인원의 한계 및 접근성 문제 때문에 이런 일이 매우 흔했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에도 한동안 입에 풀칠하기도 힘든 가난한 시절이 계속되었기 때문에 이런 일이 드물지 않았다. 중세 유럽에서 갈 곳 없는 아이들이 수도원에 들어가 자라다가 수도자가 되는 것과 비슷한 경우다.그러나 21세기에는 대한민국도 선진국이 됨에 따라 사회 시스템이 잘 갖추어져 버려지는 아이도 드물어졌고 이런 아이들도 고아원에서 수용하기 때문에 무연고 아동이 절에 거두어져 동자승이 되는 일은 거의 없어졌다. 절에 의해 거두어졌다고 해도 큰 절은 산하 아동복지기구, 인근 아동복지기관 등으로 보내지기 전까지만 자라다가 가는 경우가 많아서 동자승이 되는 경우는 없다.
2015년 모 사찰의 주지가 동자승을 성폭행한 사건이 일어나는 등 불미스러운 일도 가끔씩 있고 그런 게 없더라도 애초에 절 생활이라는 것이 수면 및 여가 시간은 부족하고 노동량은 많으며 인프라는 없다시피 한 곳에서 채식 위주의 식생활로[1] 균형잡힌 영양소를 섭취하기 힘들고 성인도 견디기 힘든 고행에 가까운지라 아이들에게까지 이런 생활을 시키는 것은 아동 학대라는 논란이 있어 실제로 동자승을 받는 사찰은 거의 없어졌다. 그나마 종파에 상관없이 육식이 허용되지만 여전히 수면 시간은 부족하다.
대한불교조계종 등 많은 사찰들은 이러한 현실적 문제로 인해 오래 전부터 정식 승려(비구/비구니)가 되려 하면 일단 고졸 학력은 갖춰야 된다고 못을 박았고 적어도 만 13세는 넘기고 중학교에 재학하고 있거나 검정고시는 봐야만 출가하여 사미/사미니가 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청소년 출가자라도 고졸 학력을 갖추어야 정식 승려가 될 수 있으며 승가고시를 통해[2] 종단에서 승려 자격을 발급하고 있다. 아무래도 아동 학대의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고아를 절에서 키우는 경우라도 일종의 생활 수칙이 좀 빡센 고아원 정도로 유지하고 있으며 삭발을 시키지 않고 키우는 경우도 있다.
불교 교리에 입각해 키우기는 하지만,성장기 아이들이다 보니 영양불균형이 일어나면 안 되기 때문에 육식을 허용하는 곳도 있고[3] 피자, 치킨 같은 간식들도 사서 먹이기도 한다. 종교를 선택하는 것은 본인 재량이기 때문에 강요는 않는다. 승려가 되겠다고 하면 성인이 됐을 때 바로 승가고시를 볼 수 있게 지원해 주지만 승려가 될 뜻이 없어서 평신도로 남거나 다른 종교 혹은 무교를 선택해도 크게 뭐라고 하지 않는 분위기다. 물론 나중에 해당 사찰의 신행단체의 간부를 맡는다거나 포교사와 같이 승려와 일반 평신도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는 거사/보살 등 즉 좀 특이한 평신도가 되면 해당 사찰 혹은 해당 사찰이 속한 본사의 불교대학 수강 지원[4]을 받는 등 일부 지원을 받을 수도 있다. 물론 진짜로 동자승이 되어 버린 경우 (엄밀히 말하면 청소년 출가자) 종단에서 동국대학교나 중앙승가대학교 진학을 지원받을 수 있는데 대부분의 동자승들은 학문을 공부할 수 있으면서 네임밸류가 있는 동국대학교 진학을 선호하기 때문에 동자승들의 종착역은 동국대학교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3. 근황
21세기에는 현실에서 동자승이라고 하면 부처님오신날 관련 행사를 앞두고 일반 어린이들이 짧게는 며칠에서 길게는 1주일 정도 삭발하고 단기출가 체험을 해 보는 사례 정도밖에 없다. 이론상으로야 머리 좋은 어린 아이가 초등학교와 중학교, 심지어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에 합격한 뒤 동자승이 될 수 있겠지만 일단 그런 경우가 드물고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의무교육이라 반드시 보내야 하기 때문에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미성년자인데 승려인 청소년 출가자가 있을 수는 있지만 적어도 만 13세는 넘겨야 하니 아주 어린 나이의 동자승은 존재하지 않는 셈이다.4. 여담
이들의 일상을 다룬 다큐멘터리가 지상파에서 방영된 적이 있으며 영상 매체에 등장할 경우 개구쟁이로 나와 분위기를 띄우는 역으로 나올 때가 많다. 특히 부처님오신날과 어린이날은 시기가 비슷하다 보니 미디어에겐 두 기념일을 한번에 다룰 수 있는 소재도 되어준다.일본에서도 현대에는 동자승을 보기 어렵다. 승려 자체가 직업이고 세습하는 일본 불교 특성상 주지스님의 아들이 미리 동자승이 되어 보는 것 정도나 한국처럼 행사를 앞두고 단체로 머리 깎고 가사 장삼 두른 단기출가 동자승이 있을 뿐이다.
한국, 중국의 동자승은 단순히 장삼을 입은 모습이지만 일본의 동자승 이미지는 약간 다르다. 하얀 기모노에 '고시고로모'라는 치마 비슷한 의상을 두른 모습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한국으로 치면 갈색 행자복과 비슷한 개념의 옷이다.
경전에서는 석가모니와 야쇼다라의 아들인 라훌라가 동자승에 해당된다. 당시 아쇼다라는 남편이 돌아오자 라훌라에게 유산을 받으라고 보내줬는데 이때 유산을 주는 대신 라훌라를 출가시켰다. 당연히 어린 아이인 손자를 멋대로 출가시킨 건으로 인해 정반왕은 크게 항의했고 결국 '부모가 살아 계실 적에 출가하려면 허락을 받아야 한다. 부모를 모시고 집안을 이끌 장자는 원칙적으로 출가할 수 없되, 부득이 출가 시에는 역시나 부모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라는 계율을 새로 만들었다고 한다. 어떤 의미로는 위에 서술된 어린이 및 청소년의 출가 제한 및 출가 조건의 원조에 해당되는 셈이다.
동자승을 다룬 작품으로 함세덕이 1939년에 발표한 단막극 <동승>이 유명하다.
2025년 5월 5일(月)은 어린이날과 부처님오신날이 겹치므로 동자승들에게 의미 깊은 날이 될 것이다.
[1] 다만 동자승은 균형잡힌 영양 섭취를 위해 특별히 고기 섭취도 같이 할 수 있게 한다.[2] 대한민국은 세속 국가이므로 당연히 국가에서 종교시험을 주최하지 않는다.[3] 애초에 불교 교리상 육식이 금기는 아니다. 살생을 금지하는 것이지, 이미 죽은 동물의 고기나 공양받은 고기는 섭취해도 된다.[4] 대한불교조계종 기준으로 불교대학을 무사히 졸업하면 조계종 포교사고시 응시자격이 부여된다. 애초 불교대학은 평신도들이 불교에 대해 깊은 이해를 위해 가는 곳으로, 사미/사미니를 수지한 학인 스님들이 비구/비구니가 되기 위해 들어가는 승가대학과는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