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0 14:06:41

법회


파일:불교 종교표지(흰색).svg파일:1px 투명.svg불교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8c00><colcolor=#fff> 신·성인 부처 · 여래 · 보살 · 천왕(사천왕) · 시왕 · 아라한 · 나반존자
세계관 삼천세계 · 육도윤회 · 오탁악세
상징 법륜 ·
경전 불경 · 결집
종파 종파 · 근본 불교와 부파 불교
계율 5계 · 오신채
사원 (부속 건물 · 능침사) · 선원 · 총림 · 포교당
미술 불상 · 불화(탱화 · 만다라 · 수월관음도 · 달마도) · 불탑 · 승탑 · 보상화무늬 · 연화문 · 대장경판
법구 금강저 · 당간지주 · 목어 · 목탁 · 불단 · 불진 · 석장 · 염주 · 범종
의식 수계 · 예불 · 불공(사시불공) · 진언 · 다라니 · 다비식 · 발우공양 · 탁발 · 방생 · (49재) · 참선 · 사경
문화 법회(설법) · 범패 · 찬불가 · 승복(가사) · 사찰 요리 · 법명 · 법랍 · 불멸기원 · 연등회 · 탑돌이 · 팔관회 · 참회 · 만행 · 승무
불자 승려(비구니 · 군종 승려 · 동자승 · 주지) · 법사 · 신자
기타 가부좌 · 사리 · 파계(파계승) · 한국어의 외래어/산스크리트어 }}}}}}}}}

1. 개요2. 상세3. 관련 항목

1. 개요

불교에서 불도(佛道)를 닦기 위해서 설정한 일정한 구역, 또는 그 곳에서 진행되는 행사를 가리킨다.

2. 상세

불경 또는 불교의 가르침을 설법하는 집회 행사로 승려와 신도가 한 곳에 모여 불사를 하는 모임을 말하며, 이때 법회가 열리는 장소를 뜻하는 용어인 도량(道場)으로 지칭되기도 한다.[1] 그밖에도 법사(法事), 불사(佛事), 재회(齋會), 법요(法要), 재(齋) 또는 불재(佛齋)이라고도 하며, 가장 널리 알려진 법회는 천도재, 사십구재(四十九齋)이다. 조금 더 간추려 말하면 불교적인 목적의 집회 및 불교 관련 제반사업 전반이 법회라고 할 수 있다.

법회 중에서도 밀교 의식이 결합되어 고도로 신비화된[2] 갖가지 불교 의식이 수반된 종교 의식을 '도량'이라고 한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법회 즉 '도량'이 가장 성행했던 것은 고려 시대였는데, 조선의 억불 정책과 함께 조선 초기 이후 점차 사라지게 되었고, 살아남아 이어진 '도량'들의 명칭도 도량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법회 또는 법석, 재(齋)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게 되어 오늘날에는 법회 또는 불사(佛事)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화엄도량을 화엄회·화엄법회·화엄산림법회·화엄불사 등으로 사용한 것이 그 예이며, 도량의식법회의 수도 고려시대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다.

물론 법회에 신비주의적인 종교적 의식만 있었던 것은 아니며, 부처의 탄신과 성도(成道), 입멸(入滅)한 날을 기리거나 불교 경전 강의, 승려의 출가나 사찰 신축 및 중창을 기념해서 열리기도 했고[3] 법회를 여는 주최 측도 꼭 승려만이 아니라 세속의 권력자였기에[4] 승려뿐 아니라 법회에 모인 사람들에게 '자선' 비슷하게 식사를 공양하거나 하는 등 세력을 과시하기도 했다. 승려들 간에 불교 이론 문제를 토론하는 세미나 기능도 법회가 담당했다. 또 한번 이런 법회가 열리면 이곳저곳에서 사람들이 몰려들기 때문에, 모인 사람(혹은 승려)들끼리 필요로 하는 물건이나 재료, 관련 정보를 교환하며 사교적 모임을 겸하는 일종의 '장터'가 되기도 했다. 이렇게 법회 등 불교적 목적으로 모인 자리에서 열리는 비정규적인 시장을 '승시(僧市)'라고 불렀는데, 승시는 조선 말기까지도 남아있었다고 한다.

법회에서 의식음악으로 쓰이던 음악을 범패(梵唄)라고 부른다.

모든 법회는 삼귀의로 시작해서 사홍서원으로 끝난다.
삼귀의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거룩한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거룩한 스님들께 귀의합니다.
사홍서원
중생을 다 건지리오다.
번뇌를 다 끊으리오다.
법문을 다 배우오리다.
불도를 다 이루오리다.

원불교에서도 법회라는 용어를 쓴다.

법회가 열리는 날짜는 '재일(齋日)'이라고도, '잿날'이라고도 부른다. 현재도 사찰에서 나누어 주는 달력이나 각 사찰들의 홈페이지에 가 보면 따로 법회나 행사 항목을 두고 언제언제에 무슨 법회를 한다고 명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관음재일이라던가 지장재일이라던가. 매달 음력 초하루에 정기적으로 열리는 법회도 있으고, 기독교에서 주일 예배, 미사를 하듯 매주 일요일에 정기법회를 열기도 한다. 특히 은 불교에서 법회가 가장 많은 계절이다.

3. 관련 항목


[1] 이 도량은 꼭 사찰의 법당이 아니어도 상관없다. 승려와 신도가 불교적인 목적을 이유로 모였다면 그곳이 바로 '도량'이 된다. 승려의 출가의식이나 연등회 역시 법회로 정의할 수 있다.[2] 즉 질병을 낫게 하거나 가뭄 등 천재지변이 없도록 하고, 전생에 저지른 악업을 현세에서나마 씻고 수명을 연장하게 하며 도둑이나 외적을 굴복시키기 위한. 그러니까 엄밀한 의미에서는 이것 역시 기복신앙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3] 어떤 법회가 열렸음을 계기로 창건되는 사찰도 많았다.[4] 대부분 왕실이나 귀족, 아니면 그 지방에서 힘깨나 쓴다는 호족이 대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