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20:09

독도대첩

독도 전투에서 넘어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405486,#000031> 독립운동
1920~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서부전선 교전
194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개성 인근 교전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개성 송악산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포천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옹진-은파산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양양 돌입 사건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춘천 682고지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지리산 공비 토벌전
1951 ~ 195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남로당 깃발.png 조선인민유격대
일본 해상보안청의 평화선 침범 사건
1952 ~ 1965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일본 해상보안청의 독도 무단침범 및 점령시도 사건
1953 ~ 1956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독도대첩
1954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1.21 사태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베트남 전쟁
1965 ~ 1973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3.7 완전작전
197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3.23 완전작전
198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판문점 총격사건
198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헤자즈 왕국 국기.svg 이라크
5.22 완전작전
199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제1연평해전
199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07
파일:탈레반 기(1996~2021).svg 탈레반 정권
제2연평해전
200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이라크 전쟁
2003 ~ 201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바트당 당기.svg 이라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 카에다 및 저항 세력
항구적 자유 작전
2009 ~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대청해전
200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천안함 피격 사건
201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연평도 포격전
201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아덴만 여명 작전
2011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201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대 IS 군사 개입
2015 ~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L
2020년 5월 GP 총격 사건
202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파일:일본 황실.svg 일본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FC0> 이승만 라인 분쟁
,1952~1965,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대한민국
일본 해상보안청의 독도 무단침범 및 점령시도 사건
,1953 ~ 1956,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대한민국
라제즈드노이호 사건
,1953,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독도대첩
,1954,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대한민국
일본 순시선 괴선박 격침 사건
,2001,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이라크 전쟁
,2003 ~ 2011,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파일:바트당 당기.svg 후세인 정권 이라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 카에다 및 저항 세력 }}}}}}}}}

독도대첩
獨島大捷
파일:독도 지도.svg
장소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 남면 도동[1]
독도
날짜 1954년 11월 21일
결과 독도의용수비대의 승리
해상보안청의 독도 무단 침입 및 점령 실패
교전 국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대한민국|]]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일본|]]
교전 세력
독도의용수비대 해상보안청
지휘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홍순칠|]]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황영문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서기종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정원도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김병렬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유원식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김인갑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요시다 시게루|]]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야마구치 덴
병력
지휘관 포함 33명
병사 규모 불명
정찰기 1기
함정 3척
피해 규모
없음
함정 1척 중파
사상자 16명

1. 개요2. 전개3. 결과4. 여담5. 참고 자료

[clearfix]

1. 개요

1954년 11월 21일 대한민국 독도의용수비대일본 해상보안청독도 침입을 격퇴한 전투.

2. 전개

1954년 11월 21일 아침 독도의용수비대 홍순칠 대장이 독도를 점령할 목적으로 접근중인 1천톤급 일본함정 PS 9, 10, 16함 총 3척의 함정과 항공기를 발견하고 휘하 지휘관과 대원들에게 알려 전투태세를 갖추라 명령했고 이후 일본함정을 향한 경고총성과 함께 전투가 시작됐다.

전투가 시작된 지 얼마 안 되어 6.25 전쟁때 특무상사를 달 정도로 명사수인 제1전투대장 서기종박격포 초탄을 PS 9함에 명중시켜 선수에서 몇 사람이 나가떨어졌고 잠시 후 검은 연기를 뿜으며 예인되었다. [2]

그러나 당시 독도의용수비대의 무장은 상당히 열악했기에 상륙을 허용하면 패배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검게 칠한 통나무를 정상부에 올린 뒤 대포처럼 꾸며[3] 아무튼 일본 함정들은 이러한 저항에 더 이상의 접근을 포기했고, 이후 3척의 함정이 퇴각하고 항공기 역시 주변을 맴돌다 돌아가 버렸다.

3. 결과

NHK 정오 뉴스에 그들의 소위 '독도'에서 한국경비대가 발포를 해서 일본 해상보안청 함정들이 피해를 입고 16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즉각 한국 정부에 항의각서를 제출하고, 당시 독도우표가 첨부된 우편물을 일본에서 한국으로 반송했다고 한다.

4. 여담

  • 홍순칠 대장의 수기에 따르면 1953~1956년 3년 동안 독도에서 독도의용수비대와 일본 해상보안청 함정 사이에 세 차례 총격전이 벌어졌다고 한다.
  • 최완근 차장/국가보훈부 “독도대첩의 이러한 전과는 현재 우리나라가 독도를 실효적으로 지배할 수 있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습니다.”라는 의견을 밝혔다.#
  • 2023년 11월 16일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102회에서 방송되었다.#

5. 참고 자료


[1] 현 울릉읍 독도리[2] 보병이 육상전에서 넓은 탄착범위를 상정하고 고각으로 사용하는 박격포를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데다 해상에서 움직이는 물체인 1천톤급 군함에 맞추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다른 전사에서도 기록된 바가 거의 없다. 비교적 최근 사례로는 포클랜드 전쟁에서 아르헨티나 육군영국 해군을 상대로 박격포를 포함한 육상용 소형 화기들을 사용해 저항했다는 일부 기록 정도. 두 사례 모두 이렇게 비정형적으로 대응해야 할 정도로 대함 무장이 매우 열악했다는 것이 공통점이다.[3] 이 대포(?)는 이전에도 일본 함선을 쫓아내는 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으며, 일본이 한국 정부에 항의서한을 보낼 정도로 상당히 그럴듯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