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5 13:43:33

남총리견팔견전


{{{#!wiki ㅊ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c1c1c1,#4a4a4a> 고대
(~CE 12c)
<colbgcolor=#eeeeee,#222222> · 서사시 가키노모토노 히토마로, 저자 미상(만요슈), 기노 쓰라유키(고킨와카슈)
· 소설 저자 미상(타케토리모노가타리), 무라사키 시키부(겐지모노가타리)
산문 쇼토쿠 태자(삼경의소), 기노 쓰라유키(도사 일기), 세이 쇼나곤(마쿠라노소시), 저자 미상(고사기), 저자 미상(일본서기), 저자 미상(풍토기), 공해(비밀만다라십주심론)
중세
(CE 12c~16c)
· 서사시 후지와라노 사다이에(백인일수 · 신고킨와카슈)
· 소설 저자 미상(헤이케모노가타리), 제아미(후시카덴), 저자 미상(오토기조시)
산문 가모노 초메이(호조키), 요시다 겐코(쓰레즈레구사), 도겐(정법안장), 신란(교행신증)
근세
(CE 17c~19c)
· 서사시 마츠오 바쇼(오쿠노 호소미치), 요사 부손, 고바야시 잇사
· 소설 이하라 사이카쿠(호색일대남), 우에다 아키나리(우게쓰 이야기), 지카마쓰 몬자에몬(소네자키 신주), 쿄쿠테이 바킨(남총리견팔견전), 짓펜샤 잇쿠(도카이도주히자쿠리게)
산문 후지와라 세이카(가나세이리), 야마가 소코(성교요록), 모토오리 노리나가(고사기전), 이시다 바이간(도비문답)
근대
(CE 19c~1920s)
· 서사시 요사노 아키코(미다레가미), 이시카와 다쿠보쿠(한 줌의 모래), 기타하라 하쿠슈, 하기와라 사쿠타로(달에게 짖다)
· 소설 나쓰메 소세키(나는 고양이로소이다 · 마음 · 도련님), 모리 오가이(무희 · 기러기), 히구치 이치요(다케쿠라베), 시마자키 도손(파계), 다니자키 준이치로(치인의 사랑),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라쇼몽 · 지옥변 · 캇파), 코바야시 타키지(게공선)
산문 요시다 쇼인(유수록 · 유혼록 · 강맹차기), 후쿠자와 유키치(학문의 권장 · 서양사정), 우치무라 간조(대표적 일본인), 니시다 키타로(선의 연구), 나쓰메 소세키(현대 일본의 개화)
쇼와 문학
(CE 1920s~1960s)
· 서사시 미야자와 겐지(비에도 지지 않고 · 봄과 아수라), 나카하라 츄야(더러워져 버린 슬픔에)
· 소설 미야자와 겐지(은하철도의 밤 · 주문이 많은 요리점 · 바람의 마타사부로), 가와바타 야스나리(설국 · 천 마리 학 · 고도), 다자이 오사무(인간실격 · 사양), 다니자키 준이치로(세설), 하야시 후미코(방랑기 · 뜬구름), 미시마 유키오(금각사), 이시하라 신타로(태양의 계절), 마쓰모토 세이초(점과 선 · 제로의 초점), 야마사키 토요코(하얀거탑 · 화려한 일족 · 불모지대 · 지지 않는 태양), 아리요시 사와코(기노카와 · 복합오염), 요시카와 에이지(요시카와 에이지 삼국지 · 미야모토 무사시), 시바 료타로(료마가 간다 · 언덕 위의 구름), 아베 코보(모래의 여자 · 타인의 얼굴), 오에 겐자부로(개인적인 체험 · 만엔 원년의 풋볼), 이노우에 야스시(덴표의 용마루 · 둔황), 니이미 난키치(고키츠네)
산문 와츠지 테츠로(풍토 · 인간학으로서의 윤리학), 마루야마 마사오(현대 정치의 사상과 행동)
현대
(CE 1970s~2020s)
· 서사시 다니카와 슌타로(20억 광년의 고독), 타와라 마치(샐러드 기념일)
· 소설 무라카미 하루키(노르웨이의 숲 · 1Q84), 무라카미 류(한없이 투명에 가까운 블루), 요시모토 바나나(키친), 호시 신이치(봇코짱 · 쇼트쇼트 선집), 고마츠 사쿄(일본침몰), 츠츠이 야스타카(시간을 달리는 소녀 · 파프리카), 쿠로야나기 테츠코(창가의 토토), 미야베 미유키(화차 · 모방범), 히가시노 게이고(용의자 X의 헌신 · 백야행), 기리노 나쓰오(아웃), 무라타 사야카(편의점 인간)
산문 시오노 나나미(로마인 이야기), 아즈마 히로키(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
각 지역 문학사 둘러보기
한국문학(고전문학 · 현대문학 · 장르문학)영문학중문학일본문학
관련 문서: 일본 문학|고전주의|신고전주의|계몽주의|낭만주의|초월주의|리얼리즘|역사 소설|자연주의|탐미주의|장르문학|모더니즘|허무주의|상징주의|표현주의|디스토피아|판타지|SF문학|무협 }}}}}}}}}

1. 개요2. 등장인물
2.1. 팔견사
3. 설정4. 영향을 받은 작품

1. 개요

南總里見八犬傳[1]

《남총리견팔견전》(^일본어^난소사토미핫켄덴)은 에도 시대 후기에 써진 전기 소설이다. 1814년에 간행되기 시작하여 1842년에 완결, 총 98~102권에 달하는 초장편. 작가는 쿄쿠테이 바킨(曲亭馬琴).

무로마치 시대 중기 아와국(現 치바현 남부)를 배경을 하여, 팔견사(八犬士)라는 젊은이들의 모험을 다루고 있다. 팔견사는 공통적으로 이름에 이누(犬)의 문자가 들어가며, 각자 · · · · · · · [2]의 묵주구슬을 가지는데 이를 인의팔행의 구슬이라 한다.

108명이 양산박에 모이는 《수호전》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 에도 시대에 엄청난 인기를 누렸으며, 현대에도 일본에서 영화화[3]되거나 리메이크되는 등, 남총리견팔견전을 모델로 하여 재창작 된 사례가 매우 많다.

100권에 가까우니 어마어마하게 보이지만, 당시 책 기준으로 100권이다. 중국에서 완역한 것은 7권분인데 중국 책 1권은 한국 책 1.5권 정도이므로 한국어로 번역한다면 10권 정도 나올 듯하다.

대만 만화가 채지충이 반호 전설을 만화로 그리면서 일본의 남총리견팔견전이 반호 전설을 대놓고 베꼈다고 깠다. 그와 더불어 과거에는 일본이 중국의 문화를 베꼈는데,[4] 지금은 중국이 일본의 문화를 베끼고 있다고 자조한 것은 덤이다.

2. 등장인물

2.1. 팔견사

  • 이누즈카 시노 (효)
  • 이누카와 소우스케 (의)
  • 이누카이 겐파치 (신)
  • 이누타야 코분고 (제)
  • 이누무라 다이카쿠 (예)
  • 이누사카 케노 (지)
  • 이누야마 도세츠 (충)
  • 이누에 신베에 (인)

3. 설정

4. 영향을 받은 작품


[1] 신자체로는 南総里見八犬伝[2] 순서대로 인 의 예 지 충 신 효 제[3] 사토미 핫켄덴(里見八犬伝)이라는 타이틀로 1959년에 3편의 영화가, 1983년에 사나다 히로유키 주연의 영화가 1편 제작되었다.[4] 이건 일본만 그랬던 건 아니고 전근대 동양에서 현대의 미국과 같은 위상을 지녔던 나라가 중국이었고 당연히 조선이나 류큐, 베트남, 타이 그리고 일본 모두가 중국 문화를 배우고 수용하려고 안달이었다.[5] 원제가 《라면발견전(発見伝)》. 팔견전(八犬伝)과 발음이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