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해상자위관 요시카와 에이지(吉川榮治)}}}에 대한 내용은 [[요시카와 에이지(1948)]]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요시카와 에이지(1948)#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요시카와 에이지(1948)#|]]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해상자위관 요시카와 에이지(吉川榮治): }}}[[요시카와 에이지(1948)]]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요시카와 에이지(1948)#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요시카와 에이지(1948)#|]]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아사히 신문이 2000년 투표로 선정한 "지난 1천년간 일본 최고의 문인"의 리스트이다.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나쓰메 소세키 | 무라사키 시키부 | 시바 료타로 | 미야자와 겐지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마츠오 바쇼 | 다자이 오사무 | 마쓰모토 세이초 | 가와바타 야스나리 | 미시마 유키오 |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아리시마 타케오 | 무라카미 하루키 | 엔도 슈사쿠 | 세이 쇼나곤 | 요사노 아키코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모리 오가이 | 요시카와 에이지 | 오에 겐자부로 | 무라카미 류 | 이시카와 다쿠보쿠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다니자키 준이치로 | 이노우에 야스시 | 미우라 아야코 | 아베 코보 | 다카무라 고타로 | |
<rowcolor=#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후지사와 슈헤이 | 시마자키 도손 | 나카하라 츄야 | 고바야시 잇사 | 세리자와 고지로 | |
31위부터는 링크 참조. |
1. 개요
요시카와 에이지([ruby(吉川英治, ruby=よしかわえいじ)], 생몰 1892년 8월 11일~1962년 9월 7일, 향년 70세)는 일본의 소설가이다. 본명은 히데츠구([ruby(英次, ruby=ひでつぐ)])로,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출생이다.2. 생애
1914년에 등단해 대표작으로 나루토 비첩, 미야모토 무사시, 신서태합기[1] 등이 있다. 그리고 1939년부터 1945년까지 연재한 요시카와 에이지 삼국지로 유명[2]하다.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와 정확히 겹친다.이 시기 일본에서는 전쟁과 관련해 사회 전반에 군국주의가 팽배하여, 문학 등의 예술에 대해서도 이에 부역할 것을 요구받았다. 일본의 문인들은 문인보국회라는 이름으로 일본 제국 정부와 군부가 내세우는 이른바 '대동아공영권'과 태평양 전쟁의 정당성을 강조하고 찬양하는 내용의 작품을 써야 했고 그에 맞지 않는 작품은 가차없이 검열당했다. 때문에 이 시기 일본의 문인들은 그러한 전쟁과 군국주의 파시즘이 사회에 팽배한 현실에 등을 돌리고 과거의 역사로 눈을 돌려 역사물을 집필하는 경향이 있었다. 예를 들어 타니자키 준이치로는 이 시기에 겐지모노가타리의 번역에 착수했고, 다자이 오사무는 1943년 미나모토노 사네토모를 다룬 '우대신 사네토모'라는 소설을 썼다.[3]
필명인 에이지는 출판사가 본명인 히데츠구의 한자 英次를 英治로 잘못 표기한 것에서 유래했는데, 본인이 이를 마음에 들어해서 그대로 필명으로 사용하게 되었다고 한다.
소설가가 되기 전에는 가정 형편이 어려워 소학교를 중퇴하고 생계를 위해 공장을 전전했다고 하며, 1926년에 나루토 비첩을 통해 인기 작가가 되었다. 1938년에 중일전쟁 때 마이니치 신문사의 특파원으로 중국에 갔으며, 1939년 2월부터 신서태합기(新書太閤記)를 연재하였고, 7월에 미야모토 무사시가 완결된 뒤 8월부터 삼국지를 연재한다. 이중 신서 태합기는 군국주의 일본의 팽창을 도요토미 히데요시 시대를 통해 정당화하려 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종전 이후 패전에 충격을 받아 펜을 내려놓은 적도 있으나 1947년부터 연재를 다시 시작했으며, 1960년에 문화훈장을 받았고 사후에는 그의 이름을 딴 상이 만들어졌다.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가 살았던 시대상의 한계였음을 감안해도 일본군의 전쟁수행에 적극적으로 찬동했던 극우 성향의 작가로, 전시에만 해도 1942년에 일본해군에 발탁되어 해군 전사(戦史) 편찬에도 참여했으며, 야마구치 다몬 제독 같은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 해군 전사자들의 전기를 마이니치 신문에 연재하는 등 일본 군부의 팽창 정책을 문학으로 정당화하고 옹호하였다는 혐의를 벗어나기 어렵다. 패전 뒤 은둔 중이던 츠지 마사노부의 도피 자금을 대준 전력도 있다.
그가 저술한 요시카와 에이지 삼국지는 대한민국, 일본에서 여러 작품에 영향을 줬는데, 일본에서는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가 이 요시카와 에이지 삼국지를 기초로 삼아 만들어졌다. 대한민국에서는 20세기에 대부분 모종강본 아니면 요시카와 에이지 삼국지를 기초로 삼아 재창작된 판본만 나올 정도였으며, 만화로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 고우영 삼국지가 있다.
다른 것 없이 요시카와 에이지는 책의 판매량이 모든 것을 설명하는 작가로서, 특히 그의 대표작인 미야모토 무사시는 지금까지 대략 1억 2천만 부 정도가 팔린 것으로 되어 있다. 전 세계의 베스트셀러 해리 포터 시리즈가 대략 4억 5천만 부 정도로 추산하는 걸로 보면 1930~40년대라는 시대를 감안하지 않더라도 엄청난 판매량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요시카와가 사망할 당시 일본 인구는 1억을 넘지 않았다.
3. 문학상
본인의 이름을 딴 문학상으로 '요시카와 에이지 문학상', '요시카와 에이지 문학신인상', '요시카와 에이지 문화상'이 있다. 이 가운데 문학신인상은 신인공모상이 아니라 아쿠타가와상처럼 신인급 작가에게 주는 상이다. '요시카와 에이지 문화상'은 일본의 문화활동에 현저히 공헌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모두 요시카와 에이지가 생전에 마이니치 신문에 기부하면서 창설되었으며, 현재는 코단샤 내의 요시카와 에이지 국민문화 진흥회라는 재단 법인에 의해 개최되고 있다. 1960년대부터 이어지는 유서깊은 문학상으로 꼽힌다.2016년에는 문학상과 문화상 50주년을 맞이하여 문고상이 신설되었다. 5권 이상 계속되는 시리즈 문고 소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4. 마주 활동
마주이자 친구이며 동시기에 같이 유명했던 소설가 키쿠치 칸[4]의 권유로 1939년부터 마주를 했었는데, 단순히 경주마 여럿을 보유한 유명인이 아닌 뛰어난 실력을 가진 명마들로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1953년에 스프링 스테이크스, 도쿄 암말 특별, 퀸 스테이크스, 나카야마 4세 스테이크스를 우승하고, 1954년 나카야마 기념까지 우승하며 최초의 케이슈샤상 최우수 5세 이상 암말로 뽑힌 체리오, 1955년 사츠키상을 우승한 케곤이 대표적이다.하지만 1956년 도쿄 우준에 출주한 엔메이가 1코너의 낙마사고로 예후불량으로 살처분 되고, 당시 엔메이의 기수였던 아베 쇼타로가 중상을 입어 기수 생활이 끝나버리는 비극을 겪은 이후로는 마주를 그만두고 골프에 전념하게 되었다. 아베 쇼타로는 은퇴후 조교사로 전향했다.
[1] 국내에는 '전국지'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었다. 동서문화사 대망 13~17권으로 "다이코"라는 명칭으로 번역되었다.[2] 국내에 코너스톤 출판사에서 완역 출간되어 있다.[3] 식민지 조선도 마찬가지여서, 이광수나 최남선, 서정주처럼 적극적으로 나서서, 혹은 소극적으로 내몰려서 이러한 일본 제국의 '대동아공영권'을 찬양하는 내용, 내선일체를 강조하며 전쟁 참여를 독려하는 내용의 작품을 쓴 문인, 연극 연출가들이 있는가 하면 현진건처럼 그러한 글을 쓰기를 거부하는 것을 넘어 아예 황순원처럼 절필하고 고향으로 내려가 버리는 문인도 있었다.[4] 이름을 훈독한 키쿠치 히로시라고도 했다. 마주로서는 1940년 천황상의 전신인 제실어상전을 우승한 토키노 치카라를 보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