栗을 간체자로 하는 한자에 대한 내용은 慄 문서 참고하십시오.
栗 밤 률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木,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고등학교 | 준3급 | ||||||
- | |||||||
일본어 음독 | リツ | ||||||
일본어 훈독 | くり | ||||||
- | |||||||
표준 중국어 | lì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栗은 '밤 률'이라는 한자로, 밤나무의 열매인 '밤'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밤 |
음 | 률 | |
중국어 | 표준어 | lì |
광동어 | leot6 | |
객가어 | li̍t | |
민북어 | lĭ[文] / là̤[白] | |
민동어 | lík | |
민남어 | le̍k[文] / li̍t[白] | |
오어 | liq (T5) | |
일본어 | 음독 | リツ |
훈독 | くり | |
베트남어 | lật |
유니코드에는 U+6817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MWD(一田木)로 입력한다.
밤나무의 모습을 본뜬 상형자이다. 원래는 桑(뽕나무 상)과 마찬가지로 밤송이가 주렁주렁 달려 있는 모습을 본떠 밤송이에 해당하는 윗부분이 세 번 반복되었지만, 소전에 이르러 하나로 줄었으며 현재는 覀(덮을 아)로 바뀌었다.
한문에서는 慄(떨릴 률)의 통가자로 많이 쓰였으며, 현대 중국어에서는 慄의 간체자로 쓰이고 있다.
3. 자형
갑골문 |
4. 용례
4.1. 단어
- 감률(甘栗)
- 생률(生栗)
- 외율(煨栗)
- 우율(芋栗)
- 율곡(栗谷)
- 율단자(栗團子)
- 율당(栗糖)
- 율란(栗卵)
- 율목(栗木)
- 율방(栗房)
- 율병(栗餠)
- 율보(栗甫)
- 율봉(栗蓬/栗縫)
- 율서(栗鼠)
- 율원(栗園)
- 율자(栗子)
- 율자(栗刺)
- 율정(栗亭)
- 율지(栗枝)
- 은율(殷栗)
- 조율(棗栗)
- 지율(地栗)
- 평양률(平壤栗)
- 함종률(咸從栗)
- 황률(黃栗)
4.2. 고사성어/숙어
4.3. 인명
- 고여율(高如栗)
- 김강률(金江栗)
- 오구리 무시타로(小栗 虫太郎)
- 오구리 슌(小栗 旬)
- 오구리 유이(小栗 有以)
- 오구리 카코(小栗 かこ)
- 이시구리 카나미(石栗 奏美)
- 장률(張栗)
- 츠유리 카나오(栗花落 カナヲ)
- 쿠니카이 사쿠리(那廻 早栗)
- 쿠리바야시 미나미(栗林 みな実)
- 쿠리바야시 타다미치(栗林 忠道)
- 쿠리아라레 쿠시마루(栗霰 串丸)
- 쿠리야마 리나(栗山 梨奈)
- 쿠리에다 토모에(栗枝 巴)
- 쿠리타 료칸(栗田 良寬)
- 쿠리하라 사에(栗原 紗英)
4.4. 지명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栗洞)[5]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율전동(栗田洞)[6]
- 경기도 양주시 율정동(栗亭洞)
- 경상남도 거제시 동부면 율포로(栗浦路)
- 릿토 신호장(栗東 信号場)
- 먀오리현(苗栗縣)
- 백률사(栢栗寺)
- 사사구리역(篠栗駅)
- 시테구리역(為栗駅)
- 양주율(楊州栗)
- 원율(原栗)
- 율곡로(栗谷路)
- 율구(栗口)
- 율도(栗島)
- 율봉(栗峯)
- 율지(栗支)
- 율진(栗津)
- 율촌(栗村)
- 율포(栗浦)
- 은률군(殷栗郡)
- 인천광역시 중구 율목동(栗木洞)
-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栗村面)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율봉로(栗峯路)
- 대구광역시 동구 율하동(栗下洞)
4.5. 창작물
4.6. 기타
- 대학율곡언해(大學栗谷諺解)
- 사서율곡언해(四書栗谷諺解)
- 율곡전서(栗谷全書)
- 율곡집(栗谷集)
- 율원집(栗園集)
- 율정난고(栗亭亂稿)
- 율정집(栗亭集)
- 율포 해전(栗浦 海戰)
- 중용율곡선생언해(中庸栗谷先生諺解)
5. 유의자
- 㝤(밤 구)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賈(성 가, 장사 고)
- 𨑇[⿱覀辰](농사 농)[7]
- 𣆛[⿱覀日](늦을 만)[8]
- 𣳳[⿱覀水](씻을 세)[9]
- 粟/䅇(조 속)
- 垔(막을 인)
- 𩗏(나부낄 표)[10]
- 票(표 표)
- 𰀽[⿱覀乙]
- 𡥟[⿱覀子]
- 𢙣[⿱覀心]
- 𭻌[⿱覀田]
- 𫌞[⿱覀見]
- 𫌺[⿱覀言]
- 𭦪[⿱覀㫖]
- 𬦭[⿱覀足]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搮(가릴 률)
- 溧(강이름/찰 률)
- 𩘟[⿺風栗](거셀 률)
- 𠞉[⿰栗刂](깎을 률)
- 𣗖[⿰木栗](나무끝 률)
- 篥(대이름 률)
- 慄(떨릴 률)
- 塛(막을 률)
- 㗚(명료하지않을 률)
- 𨃙[⿰𧾷栗](밟을 률)
- 𥠲(볏가리 률)
- 㟳/𦞰[⿰⺼栗](산이름 률)
- 𨍫[⿰車栗](수레이름 률)
- 麜(암고라니 률)
- 𤠫[⿰犭栗](오랑캐이름 률)
- 瑮(옥무늬 률)
- 鷅(올빼미 률)
- 傈(종족이름 률)
- 凓(찰 률)
- 𦃊[⿰糸栗](채색비단 률)
- 䔁(풀이름 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