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0 11:12:30

중리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중화민국 타오위안시에 있는 역에 대한 내용은 중리역(타오위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중화민국 이란현에 있는 역에 대한 내용은 중리역(이란현)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대전 도시철도 2호선에 있는 역에 대한 내용은 중리역(대전)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폐역 중리 - [ruby(산인, ruby=~2012)] - 함안
중리역
부전·동대구 방면
마 산
← 6.6 ㎞
목포 방면
함 안
8.9 ㎞ →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Jung-ri
한자 中里
간체자 中里
가나 [ruby(中里, ruby=チュンニ)]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함마대로 2803-3
(중리 420-1)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KN 위탁)
(마산역 관리 / 코레일 부산경남본부)
운영 기관
경전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경전선 1923년 12월 1일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철도거리표
경전선
중 리
파일:중리역.jpg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여담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경전선철도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함마대로 2803-3 (중리) 소재.
경전선 이설 사업에도 본래 모습과 자리 지켜
중리역은 1923년 12월에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옛 역사는 48.8㎡ 규모의 목조 슬레이트 단층 역사였으며 1998년 말 현재의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작은 대리석 외벽의 현대식 역사로 중리공단이 가까이 자리하고 있어 접근성이 뛰어나다.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에 소재하고 있으며 2012년 인근 다른 경전선의 역들이 경전선 이설 사업으로 옮겨지거나 폐역이 되는 중에도 본래의 모습과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그러나 기찻길의 방향과 모습은 많이 바뀌었는데, 지금은 이용되지 않는 광려천 중리천교[1]를 통해 선로변화와 시간의 흐름을 느낄 수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중리역 인근에 내서택지지구가 조성되어 있고 삼계리 방면 시내버스들은 거의 모두 중리역 앞을 거치기 때문에 연계교통도 편리하다. 간이역스러운 분위기와 달리 웬만한 중소도시 중심역만큼이나 잠재 배후인구가 많은 역이지만[2] 마산역에만 KTX가 들어가고 무궁화호도 이 역보다 마산역에 훨씬 많이 서기 때문에 이 역을 이용하는 내서읍 주민들은 많지 않은 편이다.

어차피 마산역까지 들어가는 시내버스도 많기에 이 지역 주민들은 그냥 버스 타고 바로 마산역으로 가버린다. 그리고 80번, 110번, 3002번 버스는 중리역에서 마산역이나 창원역 둘 다를 거쳐간다.

중리공단으로 가는 버스로 올 때는 환승하지 말고 중리역에서 내리지 말고 내서우체국이나 한주아파트에서 내려서 걸어가도 된다.

장거리 이동 시에는 훨씬 좋은 마산역이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어서 빛을 못 보는 역이다. 다만 완행 단거리 이동 시에는 편수만 보장되면 경쟁력이 있어 보이기 때문에 철도 동호인들은 부전-마산 광역철도를 이 역까지 연장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기도 한다. 참고로 창원시 최서단인 이 역에서 최동단인 창원중앙역까지는 무궁화호로 2,600원으로 23~24분 정도면 접근이 가능하다.

과거 1980년대만 해도 함안, 진주 지역 어르신들은 마산역보다 중리역을 더 애용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옛 마산역의 경우와 달리 지하통로 계단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어서였다고 한다(...) 시골역이기 때문에 흔히 보는 평면교차 건널목을 통해 플랫폼으로 바로 연결. 구 11번[3] 버스를 타고 마산 시내(창동)로 바로 앉아서 들어갈 수 있는 것도 보너스였다고. 물론 지금은 엘리베이터가 있다.

3. 역 주변 정보

중리역 바로 옆에 중부내륙고속도로 기점인 내서JC가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55839><bgcolor=#f55839> 연도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f55839> 비고 ||
2004년 107명
2005년 148명
2006년 139명
2007년 164명
2008년 159명
2009년 128명
2010년 134명
2011년 146명
2012년 150명
2013년 232명
2014년 269명
2015년 235명
2016년 192명
2017년 184명
2018년 178명
2019년 181명
2020년 128명
2021년 132명
2022년
출처
철도통계연보
  • 주된 수요는 중리역 서쪽인 진주시,하동군에서 나오며, 진주행 수요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중리역 서쪽 지역으로 경전선이 그나마 경쟁력을 가지는 것에 비해 동쪽 지역은 삼랑진으로 우회해서 가는 특성 및 저조한 배차간격 때문에 경쟁력을 가지기 어렵다. 그마저도 유가하락과 배차간격 감편으로 타 교통수단으로 이탈하는 중이다.
  • 장거리 수요가 거의 없는데, 주로 마산역이나 마산시외버스터미널,마산고속버스터미널,내서고속버스터미널로 버스로 이동한 후 환승하기 때문.
  • 인접하고 제일 교류가 많은 함안/마산/창원 방면 수요에서 철도는 외면 당한다. 기본적으로 내서에서 이 지역으로 가는 시내버스가 잘 짜여져 있기 때문. 함안군 소재역이 마산/창원 방면 수요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 과는 대조적이다. 함안의 경우 함안군 소재 역들이 이설로 인해 접근성이 크게 떨어진 게 크다.
  • 마산/창원 방면 수요도 미미하다. 시내버스가 잘 짜여져 있고, 내서-마산간 소요시간은 철도가 시내버스에 비해 다소 빠르지만 월등히 빠른 것은 아니며, 마산역 또한 합성동시가지에서 은근히 접근성이 떨어지는 편이며 무엇보다 열차 운행 횟수가 너무 적어서 시간표 보고 타는 것도 힘들 정도고, 각 아파트 앞에 정류장이 있는 버스에 비해 중리역 한 곳에만 서는 철도는 중리역까지 버스로 환승해 와야 하기 때문에 경쟁력이 떨어진다. 또한 마산합포구(신마산) 방면은 아예 철도가 지나가지 않아서 마산역 환승을 할 경우 빙 돌아가는 형태가 되어 소요시간이 더 걸린다. 그나마 거리가 있는 창원중앙역까지 속달성이 뛰어난 편을 살려 창원중앙역 수요가 다소 있는 편. 50분을 넘기며 환승이 1회 이상 필요한 시내버스에 비해 창원중앙역까지 22분만에 끊는다.
  • 호계리나 삼계리 쪽에선 버스가 접근성이 더 뛰어나고, 역이 인접한 중리의 경우에도 배차간격 때문에 이용하기가 상당히 까다롭다. 내서읍 호계리와 연담되어 있는 오곡리 일대 아파트 및 칠원읍 일대 또한 역세권으로의 잠재력을 충분히 지니고 있으나 사정은 마찬가지이다.
  • 이런 문제점을 해결할 방안 중 하나로 부전-마산 광역철도 연장이 있다. 역세권의 인구 규모 면에서나 역 접근성 면에서 광역철도역으로서의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마산까지 들어가는 함안군 농어촌버스에 막대한 타격이 들어갈것이 뻔하기 때문에 손실보전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함안군 입장에서 선뜻 나서기 어렵다. 또한 이용객 중 노인무임의 비중이 마산시내에 비해 높기 때문에 운영사 입장에서도 문제. 다만 반대로 광역전철을 타고 부산으로 갈 수 있기 때문에 농어촌 버스의 수요가 늘 수도 있다.

5. 승강장

파일:중리역 마산방면 20230723.jpg
마산 방향 승강장
파일:중리역 함안방면 20230723.jpg
함안 방향 승강장
마산
2 | | | | 1
함안
1 경전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진주·순천·목포 방면
2 마산·동대구·부전 방면

승강장은 2면 4선. 중간은 화물열차, ITX-새마을(구.새마을호)KTX 통과선이다.

2012년 10월 23일에 경전선 마산 ~ 진주 복선개통을 대비하여 승강장을 리모델링하고 선로 배선을 바꾸었다. 중리역의 역사는 불과 1998년에 완공된 준 신역사이지만, 그걸 부수기에는 곤란한 편이다. 사실 경전선 마산-진주 구간의 복선전철화 당시 시점인 마산역을 빼면 제자리를 지킨 유일한 역이다. 함안, 군북, 반성, 진주는 이설됐고 나머지들은 전부 폐역처리가 되었다. 다만 만약 부전-마산 광역철도가 중리역까지 연장된다면 신설될 가능성이 있다.

6. 여담

중리역에서 열차 접근시 박형욱 성우의 수도권 전철역 멜로디 타입의 방송이 나오며, 중리역에서 열차가 통과할 때와, 깨알같이 상행(삼랑진 방면)과 하행(광주송정 방면)의 멜로디 음은 수도권 전철의 안내 체계와 일치하다.

마산 전투 항목에 있는 미 육군 제25사단 전차중대의 헐 다운 방어선 사진이 중리역 옆 광려천에서 찍은 것이다. 과거에는 감천 쪽으로 들어가는 철도 인입선이 있었다고 한다. 다만 중리역은 최전선이 아니라 후방 보급기지인 마산으로 들어가는 길목에 해당했다. 실제 전투는 원북역~구 함안역사이의 방어산~삼봉산 능선에서 일진일퇴의 공방을 거듭했다.

7. 둘러보기

경전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폐역
}}}}}}}}}

파일:창원시 CI.svg 창원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철도 파일:KTX BI.svg파일:SRT BI.svg 마산역 · 창원역 · 창원중앙역
경전선 마산역 · 창원역 · 창원중앙역 · 중리역
도시철도
광역철도
창원 도시철도 · 부전-마산 광역철도 · 녹산-진해 광역철도
도로 고속도로 남해선 (북창원IC, 동창원IC) · 남해1지선 (내서IC, 서마산IC, 동마산IC) · 남해3지선 (신항IC, 진해IC) · 중부내륙선 (내서IC)
국도 2 · 5 · 14 · 25 · 58 · 77 · 79
지방도 30 · 60 · 67 · 1002 · 1020 · 1021 · 1029 · 1030
의창구의 로 · 성산구의 로 · 마산합포구의 로 · 마산회원구의 로 · 진해구의 로
버스 시내버스 창원시 시내버스 · 창원 S-BRT
버스 터미널 고속 창원종합버스터미널 · 마산고속버스터미널
시외 창원종합버스터미널 · 마산시외버스터미널 ·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 · 진해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의 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e84e0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e84e0f>
파일:창원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파일:KTX BI_White, Red.svg 마산
무궁화호 중리
}}}}}}}}}



[1] 현재 교량은 완전히 철거되었으며, 기존선의 선로 역시 2015년 기준 완전히 사라져 노반만이 남아있는 상태이다.[2] 역세권 인구만 따지면 내서읍 6만 + 함안군 칠원읍 등 포함하면 8만 근처로 작은 시 수준이다.[3] 현재의 251번. 다만 마산시내 선형은 다소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