牟 성/보리 모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牛, 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6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ボウ, ム | ||||||
일본어 훈독 | な-く, むさぼ-る | ||||||
- | |||||||
표준 중국어 | móu, mù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牟는 '성/보리 모'라는 한자로, 성씨와 보리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성/보리 |
음 | 모 | |
중국어 | 표준어 | móu, mù |
광동어 | mau4 | |
객가어 | mèu | |
민동어 | mèu | |
민남어 | bô͘ / biô | |
오어 | meu (T3) | |
상어 | lau2 | |
일본어 | 음독 | ボウ, ム |
훈독 | な-く, むさぼ-る | |
베트남어 | mâu, mưu |
지사자로, 牛(소 우) 자에 입에서 나오는 기운을 나타내는 기호(厶)을 더해 소가 소리를 내어 우는 모습을 본떴다.
가타카나 mu(ム) 의 유래가 된 한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 각복모(角福牟)
- 검모잠(劍牟岑)
- 나가무타 모에(永牟田 萌)
- 무타구치 렌야(牟田口 廉也)
- 무타 히로쿠니(牟田 弘國)
- 석가모니(釋迦牟尼)
- 위후검모(衛侯黔牟)
- 이누무타 호카(犬牟田 宝火)
- 추모왕(鄒牟王)
- 코쿠시보(黒死牟)
- 후지와라노 오토무로(藤原 乙牟漏)
3.4. 지명
牟가 들어가는 지명 (국내) | |
경기 | <colbgcolor=#fff,#191919> 이천시 백사면 모전리(牟田里) |
강원 | 홍천군 서면 모곡리(牟谷里) |
충남 | 아산시 인주면 모원리(牟元里) |
경북 | 경주시 건천읍 모량리(牟梁里) 상주시 모동면(牟東面) · 모서면(牟西面) |
경남 |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 모산리(牟山里) 포항시 남구 장기면 모포리(牟浦里) 창녕군 대지면 모산리(牟山里) · 이방면 모곡리(牟谷里) |
전남 |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牟山里) |
牟가 들어가는 지명 (일본) | |
칸사이 | 미에현 키타무로군(北牟婁郡) · 미나미무로군(南牟婁郡) 와카야마현 니시무로군(西牟婁郡) · 히가시무로군(東牟婁郡) |
시코쿠 | 도쿠시마현 카이후군 무기초(大牟田市) |
큐슈 | 후쿠오카현 오무타시(大牟田市) |
牟가 들어가는 지명 (중화권) | |
화둥 | 옌타이시 무핑구(牟平区) |
중난 | 정저우시 중무현(中牟县) |
시난 | 추슝 이족 자치주 머우딩현(牟定县) |
牟가 들어가는 지명 (기타) | |
<colbgcolor=#fff,#191919> 고모루성(古牟婁城) · 동모산(東牟山) · 모양성(牟陽城) · 모황도(牟黃島) |
3.5. 역명
역명에 牟이 들어가는 철도역 (국내) | |
| 모량신호장(牟梁信號場) |
역명에 牟이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 | |
| 신오무타역(新牟田駅) |
| 니시무타역(西牟田駅) 오무타역(大牟田駅) |
| 무기역(牟岐駅) |
■ 카라츠선 | 혼무타베역(本牟田部駅) |
| 사누키무레역(讃岐牟礼駅) |
| 무기역(牟岐駅) |
| 오무타역(大牟田駅) 핫쵸무타역(八丁牟田駅) |
| 무레역(牟礼駅) |
역명에 牟이 들어가는 철도역 (중화권) | |
칭룽도시간철도 | 무핑역(牟平站) |
룽하이철도 | 중무역(中牟站) |
3.6. 창작물
3.7. 기타
4. 유의자
- 보리
- 麥(보리 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