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14 16:19:00

움 맹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8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2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ホウ, ボウ
일본어 훈독
きざ-し, きざ-す, めぐ-む,
めばえ, も-える, も-やし
-
표준 중국어
mé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
2.1. 인명
2.1.1. 실존 인물2.1.2. 가상 인물
2.2. 지명
3. 유의자

1. 개요

萌은 '움 맹'이라는 한자로, '싹트다', '움트다' 등의 뜻을 나타낸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840C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TAB(廿日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풀 초) 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밝을 명) 자가 합쳐진 형성자다.

원래 한중일 모두 그렇게 자주 쓰는 한자가 아니었다. 이 한자가 들어가는 단어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게 '萌芽'(맹아) 정도. 그런데 일본 서브컬처에서 '모에'(萌え)라는 개념을 도입하며 이 한자를 사용하자, 그 이후로 사용빈도가 급증하게 되었다. 원래 뜻인 싹트다(萌える)가 "애정이 싹트다"라는 의미로 발전했다는 설이 있으며, 그 외에도 여러 유래가 있으나 정설은 없다.

중화권 오타쿠들 사이에서는 오쿠리가나 부분인 え를 떼 버리고 萌을 "모에"의 뜻으로 쓰고 있다. 중국어 위키피디아 萌 항목 중화권에서는 표의문자인 한자 외에 딱히 쓸 만한 문자 체계가 없기 때문에[1], 일본어 고유어를 들여올 때 훈독에 사용되는 한자로 변환한 뒤, 그대로 가져다 쓰는 경우가 많다. 오타쿠를 お+たく→御+宅→御宅族attack이라고 한다거나.

일본에서는 해당 한자를 파자해서 10월 10일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체자로 萠이 있다.

2.1. 인명

2.1.1. 실존 인물

2.1.2. 가상 인물

2.2. 지명

3. 유의자



[1] 표음성이 꼭 필요할 때 쓸 수 있는 건 로마자 정도다. 대만이나 일부 대륙 오덕들은 가나를 쓰기도 하지만, 대중적이라고 보긴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