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서울특별시청 | 부산광역시청 | 대구광역시청 | 인천광역시청 | 광주광역시청 | |
대전광역시청 | 울산광역시청 | 세종특별자치시청 | 경기도청 북부청사 | 강원특별자치도청 | |
충청북도청 | 충청남도청 | 전북특별자치도청 | 전라남도청 | 경상북도청 | |
경상남도청 | 제주특별자치도청 | 이북5도청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본청 | 동부청사 | }}} | |||||
<colbgcolor=#0070bb><colcolor=#fff> 슬로건 | 경북의 힘으로 새로운 대한민국 | ||||||
주소 | <colbgcolor=#0070bb><colcolor=#fff> 본청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도청대로 455 (갈전리) | |||||
동부청사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동부청사로 2 (이인리) | ||||||
국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광역시도 | 경상북도 | ||||||
직원 수 | 1,403명[1] | ||||||
예산 | 12조 820억 원 (2023년) | ||||||
도지사 | | 이철우 (재선)[2] | |||||
부지사 | 김학홍 (행정) 양금희 (경제) | ||||||
|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경상북도의 도청.[3]도청사와 더불어 도의회, 도교육청, 도경찰청, 도체신청, 도소방본부 등 각급 유관기관도 함께 이전했다.
2. 역사
1896년(건양 원년) 13도제에 따라 설치됐다. 경술국치 이후 일제강점기 시기 대구 경상감영공원의 선화당 건물에 들어섰으며 광복 이후 1966년에 대구시 북구 산격동(현 대구광역시청/산격청사)으로 이전했다.1981년 대구시가 대구직할시로 승격, 경상북도에서 분리되며 도청이 경상북도 관할 내에 위치하지 않게됐다.
2008년 도청신도시 조성 예정지가 안동시-예천군으로 확정됐고, 2016년 2월 22일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에서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갈전리로 이전했다. 구 도청 부지는 논의 끝에 청사 공간 부족으로 곤란을 겪고 있는 대구광역시청의 별관으로 이용하기로 결정했으며, 도 관련 기관은 경북남부건설사업소[4]만 산격동 옛 청사에 남아 있다. 경상북도청 후적지 활용 논란 문서로.
새로 이전한 안동시-예천군 일대에는 신도시인 경북도청이전신도시를 건설하고 있다.
3. 청사
3.1. 본청
경상북도청 신청사는 한국의 광역자치단체 청사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5][6] 게다가 청와대와 유사한 형태로 지어짐은 물론이고 청와대보다도 규모가 훨씬 크다 보니, 조감도를 접한 네티즌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안겨 주기도 했다. 거기에 조선시대 황궁우와 환구단 구조를 기본으로 한 듯한 디자인으로 설계됐다.#그야말로 한국 최고의 호화청사로 건설비용만 4천억 원 이상이 들었고 하천, 연못 조성 등 청사 이외의 시설에도 무려 140억 원을 사용했다. 이전까지 호화청사로 유명했던 성남시청(약 3220억 원), 용인시청(약 1900억 원)의 건설비용을 크게 넘어섰다.[7] 경북도는 신도청사 건립비용을 메우기 위해 2018년 대구시 북구 산격동에 위치한 옛 경상북도청 터를 문화체육관광부에 2111억 원에 매각했다.기사 경북도는 현재 대구 북구 학정동 도농업기술원과 인근에 위치한 도공무원교육원도 추가 매각 할 계획인데 매각 대금은 각각 최소 1500억, 871억 원을 웃돌 것이다. 대구에 위치한 옛 경북도교육청 부지 역시 법제처 협의 후 매각할 계획이다.기사
다만 이런 청사를 짓게 된 이유 자체가 한옥과 콘크리트를 혼합한 박조건축 스타일로 지으면서, 한옥 관련 명장 및 무형문화재들을 대거 초빙하여 짓기로 했기 때문에 이런 허가가 나온 것이다. 그냥 유리궁전 스타일로 짓는다 하면 기획재정부가 무조건 반대로 일관하는데, 한옥 스타일로 건축하면서 무형문화재 기술 전수 등 전통 보전이라는 카드를 경북도가 꺼내들자 기재부가 승인을 내준 것이다.
3.2. 동부 청사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용흥로 90 (과거 용흥중학교) |
경상북도 면적이 전국에서 가장 큰데다 태백산맥으로 인해 본청과의 접근성이 다소 떨어지는 경북 동부지역(포항시, 경주시, 영덕군, 울진군, 울릉군)[8][9]의 해양관광, 항만물류, 에너지, 원자력을 비롯한 동해안권의 민원행정서비스, 해양수산업무를 담당할 제2청사가 논의됐다.
2018년 1월 '환동해지역본부'로 포항시 남구 지곡동에 위치한 포항테크노파크에 임시로 입주했다. 2019년 3월 1일 경상북도 동부청사로 이름을 바꾸고, 폐교된 용흥중학교 건물을 개조해서 입주했다. 현재는 독도재단도 이 건물에 입주했다.
포항시 북구 흥해읍 이인리 포항경제자유구역에 사업비 250억 원을 들여 동부청사 정식 건물이 2021년 말 완공될 예정이었으나 2023년 초로 연기됐고 2021년 6월 15일 기공식을 개최했다.#
2024년 7월 1일부터 정식 운영을 시작하였다. #
4. 조직
해당 홈페이지로.4.1. 휘하 시/군청
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 청사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81818,#e5e5e5 | 자치시 | |||||||||||||||||||||||||||||
경산시 | 경주시 | 구미시 | 김천시 | 문경시 | ||||||||||||||||||||||||||
경산시청 | 경주시청 | 구미시청 | 김천시청 | 문경시청 | ||||||||||||||||||||||||||
상주시 | 안동시 도청 | 영주시 | 영천시 | 포항시 | ||||||||||||||||||||||||||
상주시청 | 안동시청 | 영주시청 | 영천시청 | 포항시청 | }}}{{{#!wiki style="margin: -6px -1px" | 자치군 | ||||||||||||||||||||||||
고령군 | 봉화군 | 성주군 | 영덕군 | 영양군 | ||||||||||||||||||||||||||
고령군청 | 봉화군청 | 성주군청 | 영덕군청 | 영양군청 | ||||||||||||||||||||||||||
예천군 | 울릉군 | 울진군 | 의성군 | 청도군 | ||||||||||||||||||||||||||
예천군청 | 울릉군청 | 울진군청 | 의성군청 | 청도군청 | }}}{{{#!wiki style="margin: -6px -1px" | 청송군 | 칠곡군 | |||||||||||||||||||||||
청송군청 | 칠곡군청 |
4.2. 산하기관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70bb> | }}} |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70bb><colcolor=#fff> 지방공기업 | 경상북도개발공사 | 경상북도문화관광공사 | |
지방출연기관 | 경북연구원 | 경상북도포항의료원 | 경상북도김천의료원 | 경상북도안동의료원 | 경북테크노파크 |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 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 경상북도경제진흥원 | 경북신용보증재단 | 한국국학진흥원 | 경북문화재단 | 경상북도환경연수원 | 환동해산업연구원 | 경북행복재단 | 경북여성정책개발원 | 경상북도청소년육성재단 | 경상북도인재평생교육진흥원 | 독도재단 | 경상북도농식품유통교육진흥원 | 새마을재단 |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 ||
지방출자기관 | 경북통상 |
4.2.1. 지방공기업
- 경상북도개발공사
- 경상북도문화관광공사: 2023년 7월 문화엑스포를 흡수했다.
4.2.2. 지방출연기관
- 경북연구원
- 경상북도포항의료원
- 경상북도김천의료원
- 경상북도안동의료원
- 경북테크노파크
-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 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 경상북도경제진흥원
- 경북신용보증재단
- 한국국학진흥원
- 경북문화재단: 2023년 7월 경상북도콘텐츠진흥원을 흡수했다.
- 경상북도환경연수원
- 환동해산업연구원
- 경북행복재단
- 경북여성정책개발원
- 경상북도청소년육성재단
- 경상북도인재평생교육진흥원
- 독도재단
- 경상북도농식품유통교육진흥원
- 새마을재단
-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4.2.3. 지방출자기관
- 경북통상(주)
5. 역대 도지사
경상북도지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정현모 | 제2대 조재천 | 제3대 신현돈 | 제4대 이근직 | 제5대 송관수 |
제6대 오림근 | 제7대 조준영 | 제8대 이호근 | 제9대 박경원 | 제10대 김인 | |
제11대 양택식 | 제12대 김덕엽 | 제13대 구자춘 | 제14대 김수학 | 제15대 김무연 | |
제16대 김성배 | 제17대 정채진 | 제18대 이상희 | 제19대 이상배 | 제20대 김상조 | |
제21대 김우현 | 제22대 이판석 | 제23대 이의근 | 제24대 우명규 | 제25대 심우영 | |
제26-28대 이의근 | 제29-31대 김관용 | 제32·33대 이철우 | |||
일제강점기 및 미군정 경상북도지사 | }}}}}}}}} |
경상북도지사 문서로.
6.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6.1. 안동 본청
6.1.1. 시내버스
경북도청(540590) * 예천 방면 | |
안동시 시내버스 | |
급행 | |
일반간선 | |
지선 | |
예천군 농어촌버스 | |
농어촌 |
경북도청(540596) * 안동 방면 | |
안동시 시내버스 | |
급행 | |
일반간선 | |
지선 | |
예천군 농어촌버스 | |
농어촌 |
풍천중학교(540637) * 안동 방면 | |
안동시 시내버스 | |
급행 | |
일반간선 | |
지선 | |
예천군 농어촌버스 | |
농어촌 | 구담 쌍호 |
풍천중학교(540638) * 예천 방면 | |
안동시 시내버스 | |
급행 | |
일반간선 | |
지선 | |
예천군 농어촌버스 | |
농어촌 |
6.1.2. 시외버스
자세한 내용은 경북도청 시외버스 정류장 문서 참고하십시오.6.1.3. 철도
- 일반 철도역: 안동역(KTX-이음, 무궁화호, 누리로)
6.2. 동부청사
6.2.1. 버스
경북도청 환동해본부(399410) | |
일반순환 |
경북도청 환동해본부(399411) | |
일반순환 |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71bb>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71bb><colcolor=#fff> 기관 | 경상북도청 · 산하 기관 | |
기초자치단체 | 기초자치단체 · 기초자치단체장(1기 · 2기 · 3기 · 4기 · 5기 · 6기 · 7기) · 시·군청 · 기초자치의회 | ||
도로 | 도로 · 대로 · 경상남도의 지방도 | ||
대중교통 | 대구 도시철도 · 버스 | ||
주거 | 공동주택 | ||
교육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과학고 · 과학중점고 · 예술고) · 각종학교 · 특수학교 · 대학교 | ||
시설 | 병원 | }}}}}}}}} |
[1] 국가직 공무원 제외.[2] 민선 7·8기.[3] 주소는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도청대로 455(갈전리 1155).[4] 학정동에서 옮겨 왔으며, 사업소 부지는 칠곡경대병원에 넘어갔다. 본래 종합건설사업소 본소였으며, 도청 이전 후 북부사업소(북부청사)와 남부사업소(산격동)로 분리됐다.[5] 2028년 이후에나 舊 두류정수장 부지에 'H'자 모양의 28층 높이의 신청사로 완공될 대구광역시청도 가장 규모가 크게 지어지긴 하지만, 결국 경상북도청을 따라잡지는 못한다.[6] 물론 한국의 광역자치단체 청사 중에서 가장 인원이 많은 곳은 당연히 서울특별시청. 2위인 경기도청과 근소한 차이다.[7] 사실 경상북도청이 건설비용 역대 최대이기는 하지만 광역자치단체 청사임은 감안해야 한다. 성남시와 용인시는 대도시이기는 하나 기초자치단체임에도 저 금액을 들여 청사를 지었다. 다만 성남시청의 규모는 들인 돈에 비하면 경북도청의 그것에 크게 못 미치는데, 이유는 물론 땅값 차이(...).[8] 이들을 합친 인구수는 약 90만 명.[9] 청주시, 부천시, 남양주시의 인구등을 넘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