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15:00:25

현대 유니콘스/2004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현대 유니콘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007f55> 파일:현대 유니콘스 심볼.svg 현대 유니콘스
역대 시즌
(삼미, 청보, 태평양 시절 포함)
}}} ||
{{{#!wiki style="color:#FAB93D;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982 1983 1984 1985(전) 1985(후)
6위 3위
전기 2위
후기 공동 2위
6위 6위 6위
후기 4위
1986 1987 1988 1989 1990
6위
전기 6위
후기 7위
7위
전기 7위
후기 5위
7위
전기 6위
후기 7위
3위
5위
1991 1992 1993 1994 1995
5위 6위 8위 2위
7위
1996 1997 1998 1999 2000
2위
6위 '''1위
'''
드림 3위 '''1위
'''
2001 2002 2003 2004 2005
3위
4위
'''1위
'''
'''1위
'''
7위
2006 2007 파일:현대 유니콘스 워드마크.svg
3위
6위
: 우승: 준우승 | : 포스트시즌 진출
}}}}}} ||

현대 유니콘스 시즌별 성적
2003 시즌 2004 시즌 2005 시즌
현대 유니콘스 2004년 페넌트레이스 월별 일정
4월 5월 6월 7월 8월 9~10월
현대 유니콘스 2004 시즌 성적
순위 승률 1위와의 승차
1 / 8 75 5 53 0.586 0.0

1. 개요2. 4월3. 5월4. 6월5. 7월6. 8월7. 9~10월8. 포스트시즌9. 총평10. 선수별 개인 성적
10.1. 투수10.2. 타자
11. 수상 및 기록12. 둘러보기 틀

[clearfix]

1. 개요

현대 유니콘스의 2004 시즌을 정리한 문서.

2. 4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 유니콘스/2004년/4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5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 유니콘스/2004년/5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6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 유니콘스/2004년/6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7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 유니콘스/2004년/7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8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 유니콘스/2004년/8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9~10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 유니콘스/2004년/9~10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포스트시즌

8.1. 한국시리즈

2004년 한국시리즈
삼성 라이온즈 VS 현대 유니콘스
<rowcolor=#fab93d> 경기 경기 시간 경기장 원정 경기 결과 방송사
1차전 10월 21일 (목) 18:00 수원 야구장 X 삼성 2 : 3 현대 O KBS2
2차전 10월 22일 (금) 18:00 삼성 8 : 8 현대 SBS
3차전 10월 24일(일) 14:00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X 현대 3 : 8 삼성 O KBS1
4차전 10월 25일 (월) 18:00 현대 0 : 0 삼성 SBS
5차전 10월 27일 (수) 18:00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X 삼성 1 : 4 현대 O KBS2
6차전 10월 28일 (목) 18:00 X 현대 0 : 1 삼성 O SBS
7차전 10월 29일 (금) 18:00 삼성 6 : 6 현대 KBS2
8차전 10월 30일 (토) 16:00 X 삼성 2 : 3 현대 O SBS
9차전 11월 1일 (월) 18:00 O 현대 8 : 7 삼성 X KBS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04년 한국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총평

팀의 마지막 우승을 하였으며, 전무후무한 한국시리즈 9차전까지 가서 우승을 차지한 시즌이었다.
시즌 전 부동의 2루수 박종호가 삼성으로 이적하면서 야수진에서의 출혈이 심화되었다. 그러나 계투 자원인 권준헌을 주고 데려온 송지만이 외야진에서 든든한 한 축을 담당하였고, 브룸바가 수위타자에 홈런 2위를 기록하며 각성하였다. 전준호도 도루왕을 차지하며 노익장을 과시하였다. 2루수도 채종국-김일경 등으로 돌려막으며 어찌저찌 박종호의 공백을 막을 수 있었다. 물론 몬스터 시즌을 보낸 지난 해와 달리 심정수가 부진하였고, 3루수 정성훈이 병풍 사건으로 시즌 말미에 팀을 이탈하면서 야수진에 큰 구멍이 생겼으나 결국 김재박 감독의 용병술로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시즌 후 부동의 유격수인 박진만과 심정수가 FA로 삼성에 이적하면서 현대 왕조의 몰락이 가시화되고 말았다.
한편 투수진에선 정민태가 결국 몰락하고 말았다. 이 시즌 이후로 정민태는 더 이상 승리를 기록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용병 선발 피어리가 1선발 역할을 잘 수행해주었고, 김수경에 더해 신인 오재영이 선발진 한 축을 담당하며 신인상을 수상하였다. 한편 전준호, 송신영, 이상열, 신철인 그리고 최강 마무리의 면모를 보여준 조용준이 버틴 계투진은 리그 최정상이었으며, 지난 시즌에 이어 솔리드한 투수진의 힘으로 우승을 차지하는 것이 가능했다.

10. 선수별 개인 성적

  • 진한 표시는 리그 5위내 성적. 붉은 글씨는 1위 입상 성적.

10.1. 투수

  • 우완
이름 경기수 선발등판 이닝 세이브 홀드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36 피어리 28 28 181⅔
(4위)
16
(4위)
6 0 0 3.32 166
(5위)
70 130
20 정민태 28 28 165⅔ 7 14
(2위)
0 0 5.00 193
(2위)
50 123
30 김수경 26 26 152⅔ 11 8 0 0 4.01 151 65 100
61 전준호 49 6 112⅓ 2 5 0 4 4.41 101 59 74
19 송신영 59 1 81⅔ 8 0 1 6 3.53 85 32 64
51 조용준 63 0 75 10 3 34
(2위)
0 2.28 67 25 56
23 신철인 29 0 29 1 0 0 1 2.48 24 13 30
18 위재영 10 4 28⅔ 1 1 0 0 4.71 28 16 14
45 김성태 20 0 24 1 1 0 1 8.25 32 14 17
55 이대환 15 0 21⅔ 0 0 1 0 4.98 19 13 13
65 이동학 3 0 5⅔ 0 1 0 0 11.12 11 8 2
41 황두성 3 0 5⅓ 0 0 0 0 13.50 12 2 7
54 임선동 2 2 3⅔ 0 0 0 0 17.18 9 6 1
33 신동민 1 0 1⅔ 0 0 0 0 0.00 2 1 2
49 박준수 1 0 1⅓ 0 0 0 0 0.00 0 1 0
  • 좌완
이름 경기수 선발등판 이닝 세이브 홀드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59 오재영 30 25 149 10 9 0 0 3.99 135 58 113
29 마일영 26 13 80⅓ 4 4 0 0 4.71 99 43 46
11 이상열 81
(2위)
0 60 4 1 0 20
(2위)
2.55 55 19 46
67 김민범 18 0 7⅔ 0 0 0 0 0.00 4 4 4

10.2. 타자

  • 포수
이름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2 김동수 113 311 .251 78 13 1 2 31 38 2
12 강귀태 84 141 .284 40 6 1 4 21 10 1
  • 내야수
이름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16 정성훈 118 470 .266 125 23 0 8 59 66 1
10 이숭용 133 468 .293 137 29
(공동 5위)
0 9 85 60 0
7 박진만 129 434 .286 124 18 0 17 69 65 6
9 채종국 128 327 .275 90 19 0 4 34 40 4
5 김일경 83 122 .221 27 2 0 0 9 19 3
42 이택근 41 57 .211 12 1 0 2 8 9 0
3 김민우 18 48 .125 6 1 0 0 3 7 1
15 서한규 72 31 .194 6 0 0 0 3 9 1
6 지석훈 59 42 .214 9 0 0 1 5 8 1
  • 외야수
이름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1 전준호 132 487 .292 142 10 7 4 48 88 53
17 송지만 132 486 .265 129 21 0 22 74 80 6
24 브룸바 132 475 .343 163
(2위)
25 1 33
(2위)
105
92 7
32 심정수 102 367 .256 94 14 1 22 78 64 0
64 전근표 79 108 .296 32 6 0 7 15 17 0
13 조재호 87 98 .204 20 1 1 0 7 10 1
8 정수성 88 32 .125 4 0 0 0 1 17 13
25 강병식 16 17 .176 3 1 0 0 1 0 1

11. 수상 및 기록

12.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007f55><tablebgcolor=#007f55> 파일:현대 유니콘스 엠블럼.svg현대 유니콘스
관련 문서
}}}
{{{#!wiki style="color: #FAB93D;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기본 정보 현대그룹삼청태현(삼미 슈퍼스타즈, 청보 핀토스, 태평양 돌핀스, 현대 유니콘스)|현대 유니콘스 2군
해체 후 재창단 키움 히어로즈
역사 정보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구단 역사역대 시즌실업 현대연고 이전
1994년 한국시리즈1996년 한국시리즈1998년 한국시리즈(V1)2000년 한국시리즈(V2)2003년 한국시리즈(V3)2004년 한국시리즈(V4)
역대 감독역대 주장역대 1차 지명 선수사건 사고암흑기
세부 정보 선수단등번호유니폼재계 라이벌 시리즈
경기장 숭의야구장(1996~1999)수원종합운동장 야구장(2000~2007)춘천공설운동장 야구장원당 야구장(제2 홈구장)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061731> 파일:KBO 리그 로고(1982~2012).svg 한국프로야구
구단별 2004 시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파일:현대 유니콘스 엠블럼.svg 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0~2005).svg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04~2009).svg 파일:삼성 라이온즈 워드마크(1995~2007).svg
현대 유니콘스
2004년
SK 와이번스
2004년
KIA 타이거즈
2004년
삼성 라이온즈
2004년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1994~2006).svg 파일:LG 트윈스 엠블럼(1990~2005).svg 파일:두산 베어스 마스코트 엠블럼(1999~2009).svg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3~2008).svg
한화 이글스
2004년
LG 트윈스
2004년
두산 베어스
2004년
롯데 자이언츠
2004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