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각 원소의 어원 목록
기본 설명은 원소 기호 어원을 우선하고, 하위 설명은 별도의 한국 표준으로 읽는 어휘를 우선으로 한다.[1] |
- 수소(H): '물을 만드는'(hydro+genes, 그리스어)
- 한자어 수소(水素)는 네덜란드어 waterstof를 일본에서 번역한 것.
- 헬륨(He): 태양(helios, 그리스어)
- 리튬(Li): 암석(lithos, 그리스어)
- 베릴륨(Be): 녹주석(beryl)
- 붕소(B): 붕사(borax, 영어)
- 탄소(C): 목탄(carbo, 라틴어)
- 한자어 탄소(炭素)는 일본 난학자 우다가와 요안의 화학번역서에서 등장한 네덜란드어 Koolstof의 번역.
- 질소(N): '초석을 만드는'(nitron+genes, 그리스어)
- 한자어 질소(窒素)는 네덜란드어 Stickstof(질식시키는+물질의 의미)를 일본에서 번역한 것.
- 산소(O): '신 맛을 만드는'(oxys+genes, 그리스어)
- 한자어 산소(酸素)는 네덜란드어 zuurstof에서 직역한 것.[5]
- 플루오린(F): '흐르다'(fluore, 라틴어) 혹은 형석(fluorite, 라틴어)[6]
- 네온(Ne): '새로운'(neos, 그리스어)
- 소듐(나트륨, Na): 나트륨 - 세척용 소다(natron)[7] // 소듐 - soda(탄산나트륨, 영어)[8]
- 마그네슘(Mg): 그리스 지역명 마그네시아
- 알루미늄(Al): 백반(alumen, 라틴어)
- 규소(실리콘, Si): 부싯돌(silex, 라틴어)
- 한자어 규소(硅素/珪素)는 네덜란드어 keiaarde를 일본에서 음역(의미도 고려됨)한 것.
- 인(P): 빛+운반자(phos+phoros, 그리스어)
- 한국어 명칭인 인(燐)은 도깨비불을 뜻한다.
- 황(S): 유황(sulphur, 라틴어 ← 산스크리트어로 sulvere : 불의 근원)
- 한국어 명칭인 황(黃)은 순물질의 색에서 따왔다.[9]
- 염소(Cl): 녹황색(chloros, 그리스어)
- 한자어 염소(鹽素)는 네덜란드어 zoutstof의 의역인 일본어 塩素에서.
- 아르곤(Ar): 비활성, '게으르다'(argos, 그리스어)[10]
- 포타슘(칼륨, K): 칼륨 - 식물의 재(الْقِلْي; al-qily, 아랍어) // 포타슘 - 냄비+재(pot+ash, 영어)
- 칼슘(Ca): 석회(calx, 라틴어)
- 스칸듐(Sc): 스칸디나비아(Scandiax, 라틴어)
- 타이타늄(Ti): 그리스 신화의 신족 티탄
- 바나듐(V): 북유럽 신화의 여신 바나디스[11]
- 크로뮴(크롬, Cr): 색(chroma, 그리스어)
- 망가니즈(망간, Mn): 그리스 지역명 마그네시아
- 철(Fe): 철(ferrum, 라틴어)
- 코발트(Co): 악령(kobold, 독일어)
- 니켈(Ni): 악마의 구리(nickel, 독일어)
- 구리(Cu): 구리(cuprum, 라틴어 ← 키프로스 섬에서 유래)
- 둘뿐인 한국 고유어 어원의 원소 명칭이다.
- 아연(Zn): 톱니(zinke, 독일어)
- 한자어 아연(亞鉛)은 색깔과 모양이 납(鉛)과 비슷해서 일본에서 붙여진 이름.
- 갈륨(Ga): 프랑스(Gallia, 라틴어)
- 저마늄(Ge): 독일(Germania, 라틴어)
- 비소(As): 노란색 안료의 일종(arsenikon, 그리스어)
- 셀레늄(Se): 그리스 신화의 달의 여신 셀레네
- 브로민(브롬, Br): 악취(bromos, 그리스어)[12]
- 크립톤(Kr): 숨겨진 것(kryptos, 그리스어)
- 루비듐(Rb): 진한 붉은색(rubidus[13], 그리스어)
- 스트론튬(Sr): 스코틀랜드 지역명 Strontian
- 이트륨(Y): 스웨덴 지역명 이테르비
- 지르코늄(Zr): 금색(Zargun, 페르시아어)
- 나이오븀(니오븀, Nb): 그리스 신화에서 탄탈로스의 딸 니오베
- 몰리브데넘(Mo): 납(molybdos, 그리스어 ← 광석을 납 광석으로 오인)
- 테크네튬(Tc): 인공(technetos, 그리스어)
- 루테늄(Ru): 러시아(Ruthenia, 라틴어)
- 로듐(Rh): 장미(rhodos, 그리스어)
- 팔라듐(Pd): 소행성 팔라스(그리스 신화 아테나 여신의 이칭)
- 은(Ag): 은(argentum, 라틴어)
- 카드뮴(Cd): 그리스 신화의 인물 카드모스
- 인듐(In): 청람색(indicum, 라틴어)
- 주석(Sn): 주석(stannum, 라틴어)
- 안티모니(Sb): 안티모니(stibium, 라틴어 ← 휘안석[14])
- 영어명은 싫어한다+혼자 있는것(anti+monos, 그리스어)]
- 텔루륨(Te): 지구(tellus, 라틴어)
- 아이오딘(요오드, Ⅰ): 보라색(ioeides, 그리스어)[15]
- 제논(크세논, Xe): 낯선(xenos, 그리스어)
- 세슘(Cs): 하늘색(caesius, 그리스어)
- 바륨(Ba): 무거운(barys, 그리스어)
- 란타넘(란탄, La): 숨어 있는(lanthanein, 그리스어)
- 세륨(Ce): 소행성 세레스(←로마 신화의 농업의 여신 케레스)
- 프라세오디뮴(Pr): 녹색+쌍둥이(prasinos+didymos, 그리스어)
- 네오디뮴(Nd): 새로운+쌍둥이(neos+didymos, 그리스어)
- 프로메튬(Pm): 그리스 신화의 신 프로메테우스
- 사마륨(Sm): 사마스카이트 ← 과학자 사마르스키
- 유로퓸(Eu): 그리스 신화의 인물 에우로페
- 가돌리늄(Gd): 과학자 요한 가돌린
- 터븀(테르븀, Tb): 스웨덴 지역명 이테르비
- 디스프로슘(Dy): 얻기 어려운(dysprositos, 그리스어)
- 홀뮴(Ho): 스웨덴 지역명 스톡홀름(Holmia, 라틴어)
- 어븀(에르븀, Er): 스웨덴 지역명 이테르비
- 툴륨(Tm): 지역명 스칸디나비아(Thule, 그리스어 ← 스칸디나비아가 맞는지 논란이 있음. )
- 이터븀(이테르븀, Yb): 스웨덴 지역명 이테르비
- 루테튬(Lu): 프랑스 지역명 파리Lutenia, 라틴어)
- 하프늄(Hf): 덴마크 지역명 코펜하겐(Hafnia, 라틴어)
- 탄탈럼(Ta): 그리스 신화의 인물 탄탈로스
- 텅스텐(볼프람, W): ‘늑대의 흙”(wolfram, 독일어)
- 영어명은 tung+sten(무거운+돌, 스웨덴어)
- 레늄(Re): 라인 강(Rhenus, 라틴어)
- 오스뮴(Os): 냄새(osme, 그리스어)
- 이리듐(Ir): 그리스 신화의 무지개의 여신 이리스
- 백금(Pt): '작은 은'(platina, 스페인어)
- 한자어 백금(白金)은 네덜란드어 Witgound[16]의 번역.
- 금(Au): 금(aurum, 라틴어)
- 수은(Hg): 액체+은(hydr+argyros, 그리스어)[영어명3]
- 탈륨(Tl): 녹색 작은 가지(thallos, 그리스어)
- 납(Pb): 납(plumbum, 라틴어)
- 둘뿐인 한국 고유어 어원의 원소 명칭[18]
- 비스무트(Bi): '안티몬의 특성을 가진'(bi ismid, 아랍어) ← 그외 설도 많아 의견이 분분함.
- 폴로늄(Po): 폴란드(Polonia, 라틴어)
- 아스타틴(At): 불안정한(astatos, 그리스어)
- 라돈(Rn): 라듐(radium)+접미사 on을 붙여 변형[19]
- 프랑슘(Fr): 프랑스
- 라듐(Ra): 광선(radius, 라틴어)
- 악티늄(Ac): 광선(akitinos, 그리스어)
- 토륨(Th): 스칸디나비아 신화의 천둥의 신 토르
- 프로트악티늄(프로탁티늄, Pa) : 처음+악티늄(protos+actinium, 그리스어)
- 우라늄(U): 천왕성(←그리스 로마 신화의 우라노스)
- 넵투늄(Np): 해왕성(←그리스 로마 신화의 포세이돈(넵투누스))
- 플루토늄(Pu): 명왕성(←그리스 로마 신화의 하데스(플루토))
- 아메리슘(Am): 아메리카 ← 이탈리아 모험가 아메리고 베스푸치
- 퀴륨(Cm): 과학자 마리 퀴리와 피에르 퀴리
- 버클륨(Bk): 원소를 합성한 UC 버클리[20] ← 아일랜드 성직자 조지 버클리
- 캘리포늄(Cf): 미국 캘리포니아 주
- 아인슈타이늄(Es): 과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페르뮴(Fm): 과학자 엔리코 페르미
- 멘델레븀(Md): 과학자 드미트리 멘델레예프
- 노벨륨(No): 과학자 알프레드 노벨
- 로렌슘(Lr): 과학자 어니스트 로런스
- 러더포듐(Rf): 과학자 어니스트 러더퍼드
- 더브늄(Db): 러시아 모스크바 주 두브나 시[21]
- 시보귬(Sg): 과학자 글렌 T. 시보그
- 보륨(Bh): 과학자 닐스 보어
- 하슘(Hs): 독일 헤센 주(Hassia, 라틴어)
- 마이트너륨(Mt): 과학자 리제 마이트너
- 다름슈타튬(Ds): 독일 헤센 주 다름슈타트 현
- 뢴트게늄(Rg): 과학자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 코페르니슘(Cn): 과학자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 니호늄(Nh): 일본(にほん)
- 플레로븀(Fl): 과학자 게오르기 니콜라예비치 플레로프
- 모스코븀(Mc): 러시아 모스크바 주
- 리버모륨(Lv): 미국 캘리포니아 주 리버모어 시[22]
- 테네신(Ts): 미국 테네시 주
- 오가네손(Og): 과학자 유리 오가네시안
참고출처
1.1. 별난 원자
2. 볼만한 내용
발견한 연구소가 속한 소재지 주소, 설립자가 줄줄이 원소명이 되기도 했다.※같은 연구소에서 2개 이상의 원소가 발견된 것만 등재합니다.
미국 | 캘리포니아 주 | 버클리 | UC 버클리 |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23] |
- | 캘리포늄 | 버클륨 | 로렌슘 |
러시아 | 모스크바 주 | 두브나 | JNRI[24] | (설립자 플레로브) |
- | 모스코븀 | 더브늄 | - | 플레로븀 |
독일 | 헤센 주 | 다름슈타트 | 중이온연구소 |
- | 하슘 | 다름슈타튬 | - |
또한 광석 발견지 이름을 원소명으로 돌려쓰기도 했다.
스웨덴 이테르비 |
이트륨, 터븀, 어븀, 이터븀 |
몇몇 원소는 물리학/화학과 아예 무관한 실존인물의 이름이 붙었다. 물론 싹 다 지명 유래가 되서 그런 것.
아메리슘 | 이름을 따온 아메리고 베스푸치는 아메리카가 아시아와는 다른 땅임을 입증한 업적으로 그의 이름을 따와 대륙의 이름을 지었고, 훗날 여기에 세워진 나라 중 하나인 미국에서 아메리슘을 합성했다. |
버클륨 | 이름을 따온 조지 버클리는 아일랜드의 성공회 주교로, 자연과학에 관련된 것이라고는 미적분의 토대가 부실한 것을 비판한 것뿐이었다. 그러나 훗날 미국에 이 사람의 이름을 딴 대학을 세우게 되었고, 여기서 버클륨을 합성했다. |
리버모륨 | 이름을 따온 로버트 리버모어는 미국의 농부로, 리버모어가 세운 마을에 연구소가 세워졌고 여기서 리버모륨을 합성했다. |
[1] 관습상 명칭은 각주 참조[2] 宇田川榕菴; 1798 ~ 1846[3] 정확히는 蓬砂(봉사)라고 썼는데 둘 다 붕산 나트륨([math(\rm Na_2[B_4O_5(OH)_4]{\cdot}H_2O)])을 가리키는 말로 중국에서 번역되어 널리 쓰이고 있던 용어다.[4] 石黒忠惠; 1845 ~ 1941[5] 개화기 때는 중국에서 번역된 양기(養氣)라는 용어도 병행된 적이 있으나 도태되었다.[6] 불소(弗素)는 음차한 한자어.[7] natron은 미라용 소다(nṯrj, 고전 이집트어)가 고전 그리스어로 수입된 νῐ́τρον(nítron)에서 유래. 엄밀하게는 중세 연금술사들이 소다(탄산나트륨)와 탄산칼륨을 뭉뚱그려서 부르던 명칭.[8] 중세 유럽에서 쓰이던 두통약 sodanum에서 온 말로, sodanum은 아랍어 '두통'(صُدَاع; ṣudāʿ)을 라틴어화한 말.[9] 타국은 유황이라 하고 한국도 전에 그랬으나 근래 대세가 바뀌었다.[10] 어느 원소랑도 반응하지 않아서.[11] 바나디스는 프레이야의 이명이다.[12] 취소(臭素)는 의역한 한자어인데 근래 한국에서 거의 안쓴다.[13] 루비 역시 어원이 같다.[14] 로마 정치인 대 플리니우스가 휘안석에서 따와 명명[15] 옥소(沃素)는 의역+음역한 한자어인데 근래 한국에서 거의 안쓴다만 옥도정기라는 속어로 흔적이 남아있다.[16] 현재는 네덜란드어로 백금의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다. 현대에 백금으로 쓰이는 단어는 platina[영어명3] 영어명 Mercury는 로마 신화의 신 메르쿠리우스 유래.[18] 고구려어 內勿등에도 흔적을 보인다. 한자어 鑞과 연관짓는 설도 있다.[19] 라듐이 붕괴해서 라돈을 형성하기 때문.[20] 버클리 시 소재라서 명칭으로 됨[21] 과학 연구 계획도시[22] 정확히는 인명이다. 해당 지역에 목장을 세워 정착한 농부의 이름인데, 이곳 인근에 연구소를 세워서 이 원소를 발견함에 따라 졸지에 농부 이름이 원소명이 된 것.[23] 사이클로트론을 발명한 어니스트 로런스가 연구소명과 원소명의 유래[24] 합동원자핵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