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5 23:00:44

에우로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에우로페(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에우로페(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에우로페(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우로페를 다루는 창작물}}}에 대한 내용은 [[에우로페/창작물]]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에우로페/창작물#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에우로페/창작물#|]]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뜻: }}}[[에우로페(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에우로페(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에우로페(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에우로페를 다루는 창작물: }}}[[에우로페/창작물]]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에우로페/창작물#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에우로페/창작물#|]]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크레타 왕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b59162> 아스테리온의 비 미노스의 비 데우칼리온의 비 이도메네우스의 비
에우로페 파시파에 클레오파트라 메다 }}}}}}}}}

<colcolor=#b59162><colbgcolor=#663333>
페니키아 공주
크레타 왕비

에우로페
Εὐρώπη|Europe
파일:에우로페와 제우스.jpg
출신 페니키아
부모 아게노르 (아버지)
텔레팟사 (어머니)
형제자매 카드모스 (맏오빠)
킬릭스 (형제)
포이닉스 (형제)
배우자 (1) 제우스
(2) 아스테리오스
자식 (1) 슬하 3남
미노스 (장남)
사르페돈 (차남)
라다만티스 (삼남)

1. 개요2. 행적3. 위상4. 대중매체

1. 개요

그리스 로마 신화의 등장인물. 라틴어식 명칭은 '에우로파'(Europa)이며, 같은 철자를 영어식으로 읽으면 '유로파'이다.

페니키아의 왕 아게노르와 텔레팟사의 딸로 카드모스, 포이닉스, 킬릭스와 남매지간이다.[1] 부계 쪽으로는 이오의 후손이기도 한데, 이오의 아들 에파포스의 딸인 리뷔에가 포세이돈과 정을 통해서 아게노르와 벨로스를 낳았기 때문.[2][3]

그리스 신화에서는 제우스가 에우로페를 크레타 섬으로 데려가 크레타 문명이 발전했으며, 유럽이라는 지명이 그녀의 이름에서 온 것이라고 설명한다. 황소가 그녀를 데리고 다닌 모든 곳이 유럽이라는 이야기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다수 유럽 국가에서는 발행하는 장기 체류증에 황소 모양의 홀로그램과 유럽 연합 가입국 한정으로 유럽 연합 로고가 작게 표시되어 있다. 벨기에 체류증 디자인(영어) 단, 실제로는 '유럽'이라는 지명이 먼저 있었고 신화 속 인물 에우로페가 이를 따라 지어졌을 것이다.

오케아니스 에우로페, 나이아데스 중 하나이자 포타모이의 일원인 네일로스의 딸 에우로페와는 동명이인이다.

2. 행적

어느 날, 친구들과 들판에서 꽃을 따고 있던 에우로페의 모습에 반한 제우스가 황소[4]로 변신해서 그대로 납치하고 크레타에서 강간한다. 에우로페는 제우스와의 사이에서 미노스, 라다만티스, 사르페돈을 낳고, 나중에 크레타의 왕 아스테리오스[5]의 아내가 되었다. 아스테리오스의 딸 크레테의 친어머니 혹은 양어머니라고 한다.

형제들은 아버지의 명령으로 에우로페를 찾아다니다가 돌아가지 못하고 각자 다른 지방에 정착하여 카드모스테베, 포이닉스는 포이니키아, 킬릭스는 킬리키아라는 도시국가들을 세우고 왕이 되어 후손을 남겼다.

한편 에우로페는 죽은 뒤 신으로서 숭배되었고, 제우스가 변신했던 황소는 하늘로 올라가 황소자리가 되었다고 한다.

3. 위상

제우스가 건드린 여자들 중 헤르메스의 어머니 마이아와 함께 대우가 매우 좋은 인물이다. 헤라에게 별다른 화풀이복수, 해코지를 당하지도 않았고, 아들들인 미노스와 라다만티스는 생전에 강력한 군주이자 용사였으며 죽어서는 저승에서 죄를 심판하는 불멸의 판관들이 되었다. 그 외에 별다른 문제는 하루아침에 가족들과 생이별한 것, 제우스가 남편이자 선조였다는 것 말고는 없다. 주신부부가 남매 관계인 그리스 신화에서야 별로 문제될 것도 없지만.

에우로페를 필두로 한 크레타 왕가는 어째 소와 연관이 깊은 운명을 타고났다.[6]
  • 이오 : 카드모스와 에우로페의 조상. 제우스가 바람피우다 헤라에게 들켜서 암소로 둔갑시켰다가 아르고스에게 맡겨졌다.
  • 카드모스 : 에우로페의 오빠. 여동생을 찾다가 를 발견해서 그 소가 멈춘 곳에 나라(테베)를 세웠다.
  • 에우로페 : 제우스가 황소로 둔갑해서 납치했다.
  • 미노스 : 제우스와 에우로페의 세 아들 중 하나. 포세이돈의 저주로[7] 아내 파시파에수소를 사랑하게 되어 미노타우로스를 낳았다.

또한 에우로페는 원소 유로퓸의 어원이 되기도 했다.

4. 대중매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우로페/창작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우로페/창작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우로페/창작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참고로 일리아스 등에서 에우로페와 카드모스, 킬릭스의 아버지는 에우로페의 오빠로 알려진 포이닉스라고 한다. 이 때문에 포이닉스가 낳은 아이들은 형제들과 동명이인일 뿐이며 이름이 같아 전승이 섞였을지도 모른다는 해석도 있다. 아게노르의 또 다른 이름이 포이닉스란 해석도 있다.[2] 벨로스의 형제가 아닌 아들이며 포이닉스와 형제라는 전승도 있다.[3] 아게노르는 에우로페가 사라지자 세 아들들에게 '누이를 찾지 못하면 돌아올 생각 하지 말라'는 명을 내렸다. 여기에 아내 텔레팟사도 동행했으나 도중에 병사했고, 결국 딸은 물론 아들들과 아내와도 재회하지 못한 채 비참하고 쓸쓸한 죽음을 맞이했다고 한다.[4] 하얗고 잘생긴 소인 것도 모자라 크로커스 향 같은 향기로운 숨결까지 뿜었다고 한다.[5]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그 미노타우로스와는 별개의 존재다.[6] 이는 제우스가 뇌신의 계보로서 그 상징이 소이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혹은 여신 숭배 시절 기준으로 황소가 그 상징들 중 하나로 있었기 때문이거나.[7] 미노스 본인의 자업자득으로 인한 결과. 포세이돈에게 바쳐야 할 수소를 빼돌리고 다른 소를 제물로 바쳤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