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31 19:56:56

도깨비불


1. 자연 현상2. 한글 자판의 도깨비불 현상3. 음악4. 창작물
4.1. 디지몬 시리즈의 구미호몬의 필살기4.2. 포켓몬스터의 기술4.3. 게임 바람의 나라에 등장하는 몬스터4.4. 파묘

1. 자연 현상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Will_o_the_wisp_by_fladdermuuus.jpg
도깨비불 혹은 인화()는 어두운 밤중에 정체를 알 수 없이 갑자기 나타나는 기이한 색의 불꽃을 말한다. 혼불이나 넋불이라고도 부른다. 영어로는 fen fire, 혹은 will-o' the-wisp, 일본어로는 오니비(火: 귀신 불) 혹은 키츠네비(火: 여우 불)[1]이라고 한다. 중화권에서는 린훠(磷火)라고 부르는데, 이쪽은 燐 대신 磷을 표준으로 삼는다.

도깨비불과 관련해서는 많은 괴담이나 설화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해지기 직전 초저녁에 뚝방길에서 도깨비불들이 날아다니다가 한 집쪽으로 쑥 날아가면 그날 밤 그집에서 누군가 죽는다는 식. 1960년대 이전 전국적 산업화가 일어나기 전 세대에서 특히 많은 목격담이 전해진다.
도깨비불의 원인은 시체가 썩으면서 나오는 메테인에 자연 속에 아주 미세하게 들어 있는 과산화수소[2]가 내는 스파크와 만나 파랗게 불타오르는 것이다. 흔히 무덤의 시체(특히, )에서 나오는 (燐)[3]의 작용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알고 있는데 시체가 부패하면서 나오는 포스핀(PH₃)을 태우면 파란 빛이 아닌 청록색 빛이 나오고 불로서 타오르는 게 아니라 폭발하기 때문에 인 가설은 도깨비불 현상에 들어 맞지 않는다.

3000년 전 고대 중국의 기록 중에 습지의 불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서양에서는 이를 과학적으로 규명하려는 시도가 있다. 1563년 영국의 윌리엄 폴크가 언급했으며, 1776년 이탈리아의 알레산드로 볼타가 메탄 습지 가스가 원인일 수도 있다고 말했는데 이는 영국의 조지프 프리스틀리와 1787년 프랑스의 피에르 버톨론이 그의 주장을 뒷받침했다.

군대 괴담의 주요 소재로 쓰일 정도로 이를 목격한 복무자가 많이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육군 부대는 대부분 산지에 위치하는터라 근처에 무덤이 있거나 부대 내에 묘지가 있는 경우가 많다.

2. 한글 자판의 도깨비불 현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도깨비불 현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깨비불 현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깨비불 현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음악

3.1. 보컬로이드 오리지널 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귀화(VOCALOID 오리지널 곡)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귀화(VOCALOID 오리지널 곡)#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귀화(VOCALOID 오리지널 곡)#|]]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aespa의 노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도깨비불 (Illusion)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깨비불 (Illusion)#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깨비불 (Illusion)#|]]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리스트 초절기교 연습곡 5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도깨비불(리스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깨비불(리스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깨비불(리스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레오폴드 고도프스키의 쇼팽의 에튀드에 대한 연습곡 4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쇼팽의 에튀드에 대한 연습곡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쇼팽의 에튀드에 대한 연습곡#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쇼팽의 에튀드에 대한 연습곡#4번\|4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창작물

4.1. 디지몬 시리즈의 구미호몬의 필살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구미호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구미호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구미호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포켓몬스터의 기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도깨비불(포켓몬스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깨비불(포켓몬스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깨비불(포켓몬스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게임 바람의 나라에 등장하는 몬스터

바람의 나라의 중급 레벨 사냥터인 도깨비굴에 등장하는 몬스터로, 경험치는 30만에서 대규모 업데이트 이후 백오만으로 늘어났다. 구버전에서는 '정체를 알 수 없이 갑자기 나타난 다'는 것을 감안했는지 조금 큰 점만 남기고 은폐도 가능했다. 드랍하는 아이템은 호박과 환수 업데이트 이후 추가된 '불의 정기'뿐이다.

4.4. 파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파묘(영화)/줄거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파묘(영화)/줄거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파묘(영화)/줄거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있을 수 없는 일, 믿을 수 없는 사람이란 뜻의 관용어 내지는 비유적 표현으로 더 많이 쓰인다. 이 일본식 표현 때문에 여우불과 혼동할 수 있으나, 대한민국에서의 여우불은 다른 현상을 이르는 말이다.[2] 강력한 산화제로 유명하다.[3] 이 한자는 원래 도깨비불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