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시내/농어촌버스 회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0 -10px;" | <colbgcolor=#f15a38><colcolor=#000> 창원시 | · · · · · · · · · · | <colbgcolor=#f15a38> 진주시 | · · · |
김해시 | · · · · | 사천시 | · | |
양산시 | · | 통영시 | · · | |
밀양시 | 거제시 | · | ||
창녕군 | 고성군 | · | ||
함안군 | 남해군 | |||
의령군 | · | 하동군 | · 섬호관광 | |
합천군 | · | 산청군 | · | |
거창군 | 함양군 |
정식명칭 | 영신버스 주식회사 |
대표자명 | 김윤선 |
설립일 | 1979년 12월 28일 |
업종명 | 운수업 |
상장유무 | 비상장 |
기업규모 |
창녕읍 순환버스 | 창녕 영신버스터미널에서 이방면까지 가는 노선. 창녕의 대다수 노선이 영신버스터미널을 기종점으로 삼는다. |
1. 개요
경상남도 창녕군 및 창원시 일부구간(북면온천), 합천군 일부구간(덕곡,적교)을 운영하는 버스 회사. 1979년에 설립되었으며 부산 회사 영신여객(부산)과 서울 회사 영신여객(서울)과 다르다.[1]차고지는 창녕읍 영신버스터미널과 남지에 남지시외버스정류장, 영산에 영산 영신버스터미널 등이 있다. (단, 시외버스 터미널과는 위치가 다르다.)[2]
2013년 이후부터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한 지역이다. 차량 도색은 대우버스 BM090의 기본도색[3]과 경상남도 공용 도색을 사용중[4]이다.
1970년대까지는 창녕군 지역에 농어촌버스가 없어, 시외버스[5]에 의존하다가, 70년대말 '우리버스'[6]라는 이름의 회사가 창녕군내 농어촌버스 사업을 개시하여 이후 영신버스[7]로 이름이 바뀌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1990년대 초까지는 신차 출고 없이 부산, 마산 등지의 중고차로만 운영했다.[8] 당시 도색은 부산, 마산의 구 도색을 그대로 썼다.[9] 창녕읍 영신버스터미널이 아닌 시외버스터미널 옆 현 CU 창녕에이스점 앞에서 출발하는 창녕읍내버스(25인승급)를 운행하기도 하였다.[10] 당시까지만 해도 창녕군 내 거주 인구가 많았던 시절로, 아침/저녁차의 경우 통학/통근 수요로 만차가 되는 일이 많았으나, 이후 군내 인구감소에 따른 영업악화로 현재는 지원금으로 운영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단, 이 시점부터 차량을 자체 출고하고, 자체 도색을 운용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과거의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다.
참고로 경남 군 지역 업체 중에서 최초로 저상버스를 도입했다.[11]
2021년 5월 처음으로 현대 그린시티 개선형 3대를 출고했으며, 동년 9월에는 성남시내버스에 이어 BLK 일레누스로 전기버스를 첫 출고했다. 하지만 2024년 즉, 3년만에 신차를 출고했는데 전기버스는 일레누스 대신에 일렉시티로 선회했다.
대구권에 속하지만 2024년 대경선 개통에 맞춰 실시되는 대구권 광역환승할인에는 포함되지 않는다.[12]
선불교통카드는 티머니, 원패스, 이즐만 사용 가능하다.
2024년 1월 5일 첫차부터 성인 1000원, 청소년 700원, 어린이는 500원으로 요금이 인하된다. 교통카드 이용시 성인은 100원, 학생은 50원이 할인된다.
2. 노선
3. 현재 보유 차량
3.1. 자일대우버스
3.2. 현대자동차
3.3. BLK
4. 과거 보유 차량
4.1. 현대자동차
- 현대 E-에어로타운 디젤
- 현대 글로벌900 디젤
- 현대 글로벌900 F/L 디젤
- 현대 FB485 디젤
- 현대 FB500 디젤
- 현대 RB520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520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540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디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디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디젤
4.2. 자일대우버스
- 대우 BF101 디젤
- 대우 BF101Q 디젤
- 대우 BF105 디젤
- 대우 BV101 디젤
- 대우 BS105 디젤
- 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F/L 디젤
- 대우 BC211M 로얄하이시티 디젤
- 대우 NEW BS110 디젤
5. 둘러보기
대구·경북의 대중교통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AAA> | 대구광역시 | 경상북도 |
항공 | 대구국제공항 | 포항경주공항 | |
항만 | 없음 | 영일만항 | |
포항여객선터미널 | |||
후포여객선터미널 | |||
철도 | 역 목록 | 역 목록 | |
대구권 전철 (대구 도시철도 · 대경선 · | |||
버스 | 터미널 목록 | 터미널 목록 | |
교통카드 | |||
캐시비 · 티머니 · 대경교통카드 · 원패스 · 탑패스 | |||
대구권 광역환승제 |
부울경의 대중교통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0f0f0,#2d2f34> | 부산 | 울산 | 경남 |
항공 | 김해국제공항 | 울산공항 | 사천공항 | |
| ||||
철도 | 역 목록 | 역 목록 | 역 목록 | |
동남권 광역전철 | ||||
도로 | 터미널 목록 | 터미널 목록 | 터미널 목록 | |
교통카드 | ||||
티머니 · 캐시비(마이비† · 하나로카드†) · 김해그린카드‡ · 센스패스‡ | ||||
환승할인 | ||||
동남권 · 창원-김해 · 창원-함안 · 거창-합천 | ||||
1: 미개통 / †: 단종 / ‡: 단종 및 통용중지 |
[1] 한자가 다르다. 부산 영신은 榮信이고 서울 영신은 株式이며 창녕 영신은 靈信이다.[2] 창녕, 영산, 남지, 부곡에는 천일여객의 시외버스터미널이 별도로 존재한다.[3] 이 도색은 울진여객도 일반버스 도색으로 사용중이다.[4] 이 도색을 시용하는 차량 대부분이 경상남도CI가 들어갈 자리에 남색 원이 들어가 있다.[5] 천일고속(천일여객)이 최초로 개업한 지역이 의외로 창녕이다. 93##, 94##가 현재도 창녕군 차적이다. 당시에 대구 서부정류장 출발, 현풍, 창녕, 영산, 수산, 진영, 김해 경유 부산 서부정류장(지금 자유시장 자리에 있었다)까지 비포장도로를 달리는 "장거리 완행버스"가 다녔다. 천일여객의 사위가 창녕군 영산면 사람이다. 그래서 창녕에서 최초로 개업했을 수도 있다.[6] 현재 영신버스 전신으로 추정[7] 의외로 회사명칭이 창녕이 아닌 영산(靈山)의 영자를 가져 왔다. 창녕(昌寧)의 녕자와 다르다.[8] 80년대엔 부산(혹은 마산)시내에서 터미널까지 14번, 107번(마산은 별도 표기가 없었으니)을 타고 간 뒤, 천일여객을 타고 창녕가서 영신버스를 탔는데, 14번, 107번 출신 중고차를 다시 타는 일도 많았다고 한다.[9] 그래서 당시 경상남도의 하늘색, 파란색 도색 이외에도 부산의 녹색도색까지 혼재해서 다녔다.[10] 마을버스 방식으로 정류장 수가 많았다. 명덕로~종로 방면으로 운행하였다.[11] 군 지역으로는 창원 시내버스가 들어가는 함안군이 최초다.[12] 진주, 거창, 합천과 동일하게 당연하게 지역이 경상남도이라 그렇다. 절대 환승할인이 되는 일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