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1 04:35:52

경상남도 시내, 농어촌버스

경상남도 시내버스에서 넘어옴
부울경의 대중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0f0f0,#2d2f34>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부산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 울산 파일:경상남도 휘장.svg 경남
항공 김해국제공항 울산공항 사천공항
가덕도신공항1
철도 역 목록 역 목록 역 목록
동남권 광역전철
도로 터미널 목록 터미널 목록 터미널 목록
교통카드
티머니 · 캐시비(마이비 · 하나로카드) · 김해그린카드 · 센스패스
환승할인
동남권 · 창원-김해 · 창원-함안 · 거창-합천
1: 미개통 / †: 단종 / ‡: 단종 및 통용중지
}}}}}}}}} ||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시내/농어촌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0 -10px;"
<colbgcolor=#f15a38><colcolor=#000> 창원시 · · · · · · · · · · <colbgcolor=#f15a38> 진주시 · · ·
김해시 · · · · 사천시 ·
양산시 · 통영시 · ·
밀양시 거제시 ·
창녕군 고성군 ·
함안군 ·
함안군공영버스
운영위원회
남해군
의령군 · 하동군 ·
섬호관광
합천군 · 산청군 ·
거창군 함양군
}}}}}}}}} ||


1. 개요

경상남도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농어촌버스.

경상남도의 시내버스 정책과 이용가능한 교통카드는 각 지자체마다 제각각이다. 통일되어 있는 것은 요금이 전부[1][2]일 정도로 경상남도의 간섭이 적다. 덕분에 시/군 경계를 넘으면 구간요금이 붙는 건 둘째치고 시/군 경계를 넘는 노선 자체가 흔하지 않다.[3][4] 심지어 시 행정부, 시외버스 업체 의 알력으로 버스노선이 어느 순간 갑자기 변하기도 한다.

2. 도색

파일:attachment/P508766.jpg
21세기 도색. 일반버스의 경우 기본적인 파란색/노란색 도색 이외에도 파란색 부분이 조금 옅은 하늘색/노란색,[5] 파랑색/보라색,[6] 청록색/주황색,[7] 청록색/백색[8] 등의 바리에이션이 있으며 좌석버스의 경우 빨강색/백색을 사용했다.[9] 2000년대 하순부터 디젤버스도 다 아래의 천연가스버스 도색을 적용하거나 지자체별 자체도색을 적용하면서 2020년을 마지막으로 현재는 다 사라졌다.

파일:/20151011_148/mayeebus_1444527960857v154C_JPEG/%28%C1%D6%29%BC%BC%BF%F8_8-01.jpg
천연가스버스 차량 도색.(입석) 좌석 도색은 초록색 바탕을 빨간색으로 바꾼 것이다. 본래는 좌우대칭형의 도색이었으나 버스 광고 등이 경남 마크를 가린다 하여 도색이 살짝 바뀌었다. 이로서 좌우비대칭형 도색이 만들어졌다. 김해나 거제 등 일부 지역은 계속 좌우대칭 도색으로 출고했었으나 2017년 이후로는 거제는 타 지역처럼 비대칭도색으로, 김해는 자체도색으로 바뀌었다. 언급했듯 이 도색은 원래 마산, 창원 지역에서 천연가스버스 전용 도색으로 만들어졌으나[10] 이후 타 지역들로 퍼지면서 디젤 차량에도 이 도색으로 출고하기 시작하여 지금은 자체도색을 사용하는 일부 지역을 제외한 경남 전역이 사용하고 있다.

이외 자체도색을 사용하는 지역은 대표적으로 창원시가 있으며,[11] 김해시의 경우 2000년대 초반에는 부산과 비슷한 도색으로 갈아탄 적이 있으며[12] 2019년에 출고한 신차부터 김해자체도색으로 갈아탔다.[13] 이 영향으로 현재도 좌석차량 도색은 부산과 비슷한 도색을 채택 중이다. 진주시[14], 밀양시, 거제시[15], 산청군, 거창군, 남해군[16], 통영시, 사천시, 하동군[17], 합천군 또한 자체 도색을 적용중. 나머지 지역에서는 경남 공통의 도색을 적용하고 있다.

3. 요금

현재의 요금 체계는 2020년 1월 10일부터 적용 중이다. 단, 김해의 경우 좌석 요금은 노선별로 차이가 있으며, 부산 시내버스 업체와 공동배차를 하는 거제시 직행좌석버스는 부산 좌석버스 요금과 동일하다.[18]
2025년 1월 2일 기준
시.군 성인 청소년 어린이 환승 비고
교통카드 현금 교통카드 현금 교통카드 현금
창원시 일반 1,400원 1,500원 950원 1,000원 700원 750원 25분 이내 1회[19]
마을 1,350원 1,400원 900원 950원 650원 700원
급행 1,750원 1,800원 1,300원 1,350원 1,300원 1,350원
김해시 일반 1,450원 1,500원 950원 1,000원 무료 750원 30~60분 이내 2회
좌석 1,500원 1,600원 1,200원 1,250원 1,250원
급행좌석 1,850원 1,900원 1,200원 1,250원 1,250원
양산시 일반 1,450원 1,500원 950원 1,000원 700원 750원 30분 이내 1~2회[20] 2100, 2300번 한정 시계외요금 별도 부과.
마을 1,250원 1,300원 850원 900원 550원 600원
직행좌석 1,800원 1,900원 1,200원 1,250원 1,200원 1,250원
리무진 3,400원 3,500원 2,100원 2,200원 1,600원 1,700원
통영시 1,450원 1,500원 950원 1,000원 700원 750원 30~60분 이내 1회 거제 성포, 고성 당동으로 갈 시 시계외요금 별도 징수.
거제시 일반 40분 이내 1회 거가대교 통과시 성인 카드 기준 5,700원, 청소년 카드 기준 4,400원, 어린이 카드 기준 4,000원이 적용된다.
마을 1,000원 700원 500원
좌석 1,500원 1,600원 1,200원 1,250원 1,200원 1,250원
직행좌석 2,100원 2,200원 1,350원 1,700원 무료 1,300원
밀양시 1,450원 1,500원 950원 1,000원 700원 750원
사천시 60분 이내 1회
진주시 일반 100원 100원 30분 이내 1~2회[21]
동부순환 100원
함안군 일반 1,450원 1,500원 100원 1,000원 100원 750원 60분 이내 1회 시계외 진입시 권역별 구간요금 부과
공영 1,400원 900원 700원
창녕군 900원 1,000원 650원 700원 450원 500원
의령군 일반 450원 500원
마을 500원 400원 250원
산청군 900원 1,000원 750원 800원 450원 500원
거창군 450원 500원 거창-합천 광역환승할인 적용시 3시간 이내 1회
합천군
고성군 1,000원 1,200원 800원 850원 550원 600원
함양군 1,000원 800원 500원
남해군 1,000원 500원
하동군 100원

2020년 1월 10일 요금 인상으로 전국 지자체 중 버스 요금이 세번째로 비싼 곳이 되었다.[22] 특히 밀양은 지방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시 단위 시계내 구간요금을 징수하는 곳이었으나, 2021년 1월 1일부터 단일요금제를 실시한다. 군 단위도 남해가 2023년 3월 1일부터 단일요금제를 실시하면서 도내 모든 시/군이 관내 단일요금제를 실시하고 있다.

부산-김해-양산 광역환승할인에 묶여 있는 김해-양산, 창원-김해 광역환승할인에 묶여 있는 창원-김해, 창원-함안 광역환승할인에 묶여 있는 창원-함안, 진주-사천, 거제-통영은 상호 환승할인이 가능하며, 2023년 11월 거창-합천도 환승할인 실시 예정이다. 반면 밀양은 김제, 정읍과 더불어 시 단위 중 환승할인이 되지 않는 3곳이다.

부산, 거제 버스 2000거가대교를 건너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경상남도 시내버스 중 유일하게 어린이 요금이 무료인 노선이다. 이는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의 어린이 요금이 무료이기 때문. 거가대교를 건너면 4,000원을 내야한다.

4. 교통카드 단말기

  • 삼원FA
    • 마이비 : 김해 일부[23], 양산, 밀양, 창원, 통영, 거제시와 의령, 함안, 하동을 제외한 나머지 군지역, [24]
  • 이비[25] : 사천, 함안, 하동, 진주 (신형), 의령 (신형)
  • 에이텍(티머니) : 김해 일부[26], 고성
2002년에 마이비의 디지털경남카드를 도입하면서 교통카드 승차를 개시했다.

5. 버스정보시스템


* 2020년 12월 14일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지원받아 도내 10개군에 구축되면서 모든 지역에서 제공된다.
  • 거제 2000번 버스에 한해서 카카오맵 지도 상에 버스 위치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초정밀 버스 정보’를 제공한다.

6. 면허 체계

모든 시내버스의 차량 번호판은 경남 71 자로 시작한다. 다만, 일부 차량은 경남 75 자로 시작하는 경우도 있는데 71자 차호의 소진으로 증설되었다.
  • 75자
    • 1###호: 양산시(10##호)[30]

7. 각 지자체별 설명

7.1. 거제시 시내버스

해당 문서 참조. 삼화여객세일교통에서 운영한다.

7.2. 창원시 시내버스

해당 문서 참조. 통합 이전에는 노선만 통일되어 있고 공동배차로 운행했지만, 각 시의 정책이 달랐다. 이는 마산시의 독자 준공영제 강행이나, 옛 창원시와 진해시간의 갈등으로 표출되었다.

7.3. 김해시 시내버스

해당 문서 참조. 김해는 창원과 적지 않은 갈등이 있었고, 그 흔적으로 창원 770 김해 97, 98[31], 58, 59 [32]번 등이 남아 있다.

7.4. 진주시 시내버스

부산교통, 부일교통, 삼성교통, 진주시민버스 4개사[33]에서 운영하며, 전차량 도시형 버스로 좌석 버스는 없다. 교통카드는 마이비, 캐시비, 티머니, 하나로카드, 한페이, 레일플러스(선후불)와 KB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 카드, 신한카드, 삼성카드, 하나카드, NH농협카드(후불)를 지원한다. 340,341,343번 노선은 시계를 벗어나 사천시를 통과해 진주시 수곡면 각자 노선들 종점으로 향한다. 342번의 경우는 시계를 벗어나 사천시 곤명면을 통과해 진주시 수곡면으로 다시 들어간뒤, 산청군 단성면 백곡마을에서 회차한다. 무료 환승의 경우 하차 단말기에 카드를 태그한 후 30분 이내에 다른 노선으로 환승하면 인정된다.

7.5. 통영시 시내버스

파일:101_6258.png 파일:301_6205.png
101번 노선 301번 노선
통영교통 차량
신흥여객통영교통, 부산교통에서 운영한다. 교통카드마이비, 캐시비, 티머니, 하나로카드, 한페이, 레일플러스(선불)와 국민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 비씨카드, 신한카드, 삼성카드, 하나카드, NH농협카드(후불)를 지원한다. 무료환승도 가능하며 2015년 3월 1일부터 하차 단말기에 카드를 태그한 후 동지역으로 가는 노선은 30분 이내에(평림동 종점 노선은 60분), 읍면지역은 60분 이내(시외터미널, 노산, 도산, 거제대교, 삼덕항 종점 노선은 30분)에 환승하면 인정된다.

2006년 12월 11일에 부산시와 함께 요금이 인상되었다. 관련 기사

7.6. 사천시 시내버스

해당 문서 참조.

7.7. 밀양시 시내버스

시내버스 업체는 밀양교통이 유일하며, 교통카드는 마이비, 캐시비, 티머니, 하나로카드, 한페이, 레일플러스(선불)와 KB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 비씨카드, 신한카드, 삼성카드, 하나카드, NH농협카드(후불)를 지원한다. 삼남교통, 삼량진교통, 영남교통, 용활교통, 한성교통에서 운영하는 마을버스도 있다. 마을버스는 교통카드 이용이 아직 불가능하다.

7.8. 양산시 시내버스

해당 문서 참조.

7.9. 함양군 농어촌버스

함양지리산고속 농어촌버스 사업부에서 운영한다.

7.10. 하동군 농어촌버스

운행 업체는 하동버스와 에이투어 한다사지점 하동버스에서 운행 하는 버스를 하동행복버스라고도 부르며, 차량 외부에 스티킹이 되어있다. 2000년대 초까지는 영화여객 소속으로 운행하였다. 에이투어 운행하는 버스는 전부다 복지관 경유 노선이며, 100원 버스로 운행 하고 있다.

7.11. 함안군 농어촌버스

동일익스프레스에서 운영한다.

7.12. 의령군 농어촌버스

경전여객의령버스에서 운영한다.

7.13. 창녕군 농어촌버스

영신버스에서 운영한다.

7.14. 고성군 농어촌버스

거창고속고성버스에서 운영한다.

8. 관련 문서



[1] 도색은 김해와 창원, 밀양, 창녕, 산청을 제외하면 모두 동일하다.[2] 좌석버스는 요금조차도 통일되어있지 않고 지역마다 다르다. 일반좌석버스 등급이 있는 거제시, 김해시와 창원시 간의 요금차이는 매우 심각하게 나며, 직행좌석버스가 있는 거제시와 양산시의 기본요금이 창원시 일반좌석버스 요금과 비슷한 수준에, 거제 직행좌석의 경우 시내구간 어린이 요금이 무료이다.[3] 시내끼리 이어주는 노선이라고 해봐야 김해-부산, 김해-창원, 양산-부산, 마산-함안 ,거창-합천 간 노선이 전부.[4] 심지어 밀양시는 다른 경상남도 시내버스는 안 들어오고 경상북도 청도군 농어촌버스가 들어오고, 하동군은 다른 경상남도 시내버스는 안 들어오고 전라남도 광양시 시내버스가 들어온다[5] 주로 군 지역, 밀양. 창원의 신양여객도 사용했었다.[6] 창원 제일교통, 거제와 김해에서만 사용했다.[7] 양산의 주식회사 세원에서 사용했다.[8] 양산의 푸른교통에서 사용했다.[9] 양산 시내버스 회사인 주식회사 세원의 경우는 빨강색/노랑색의 도색을 사용했다.[10] 당시 양산, 김해 등 다른 경남지역에는 천연가스버스가 아예 없었다.[11] 창원시 로고의 색상을 활용한 도색으로, 주황색+노란색 (좌석/급행), 파란색+하늘색 (간선), 초록색+노란색 (지선/맞춤/공영) 3종류이며, 통합 이전 구) 창원시에는 연두색 떡칠 도색이 있었다(...).[12] 입석차량은 연두색, 좌석차량은 부산과 동일한 빨강색을 적용.[13] 입석은 짙은 파란색, 좌석은 주황색이다.[14] 2021년부터 전기버스를 도입하면서 내연기관차 제외하고 회사마다 도색이 달라졌는데, 부산/부일교통은 창원 간선도색과 형상이 비슷한 연파랑색 도색을 쓰다가 창원 간선도색과 형상 및 색상이 유사한 도색을 쓰고 있고, 삼성교통은 그냥 흰색이었다가 분홍색 하모도색을, 진주시민버스는 기존의 경남도색에서 형상 및 색상을 수정한 도색을 쓰다가 연보라색 하모도색을 사용하고 있다.[15] 2023년에 전기버스를 도입하면서 진주 부산/부일교통처럼 창원 간선도색과 비슷한 도색을 하였다.[16] 남해군은 애초에 노선 1개를 제외하면 시외버스 차량으로 운행 중이다.[17] 통영시, 사천시, 하동군은 부산교통 계열사가 운행 중인 관계로 진주 부산/부일교통과 같은 일렉시티 도색을 적용했다.[18] 거제시 시내좌석버스는 이보다 싸다.[19] 읍면 노선 환승시 50분 이내 1회[20] 양산 끄트머리 쪽 노선들 탑승 시 2회[21] 동부순환버스 미탑승시 1회, 탑승시 2회[22] 가장 비싼 곳은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북도[23] 태영고속에서 운행하는 140번 일부 차량과 신어BTS에서 운행하는 900번대 노선만 해당. 단말기만 삼원FA 제품이고, 글로벌캐쉬에서 관리한다.[24] 하루만에 부산에서 서울 시내버스 22번 타고 가기[25] 단말기만 이비카드이고, 마이비카드에서 관리한다.[26] 140번 일부 차량 및 900번대 노선은 제외. 단말기만 에이텍 제품이고, 글로벌캐쉬에서 관리한다.[27] 창원시 면허 업체들 공동 증차번호로 일단, 마인버스 소속 4000호 단위가 확인되었다.[28] 주식회사 세원 증차번호[29] 창원시티투어에서 확인되었다.[30] 양산시 면허 업체들 공동 증차번호[31] 이 둘은 김해와 창원이 공동배차하던 노선이다.[32] 이 둘은 원래 창원 시내버스 노선이었다.[33] 이 중에 부일교통은 부산교통의 자회사이며, 삼성교통과 진주시민버스는 협정을 체결하여, 부팸 vs 2라는 독특한 경쟁 구도가 형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