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동아시아 | 대만 · 대한민국 · 몽골 · 북한 · 일본 (준군사조직) · 중국 | ||
동남아시아 | 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조호르군) · 미얀마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 |||
남아시아 | 네팔 · 몰디브 · 방글라데시 · 부탄 · 스리랑카 · 인도 · 파키스탄 | |||
서아시아 | 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아프가니스탄 · 오만 · 요르단 · 예멘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 |||
중앙아시아 |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서유럽 | 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모나코 · 벨기에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 ||
남유럽 | 구호기사단 · 그리스 · 몬테네그로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스페인 · 알바니아 · 이탈리아 · 키프로스 · 크로아티아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
중유럽 | 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슬로베니아 · 슬로바키아 · 체코 · 폴란드 · 헝가리 | |||
북유럽 | 노르웨이 · 덴마크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루마니아 · 몰도바 · 벨라루스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트란스니스트리아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북아메리카 | 멕시코 · 미국 · 캐나다 | ||
카리브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바베이도스 · 아이티 · 자메이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
중앙아메리카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벨리즈 · 엘살바도르 | |||
남아메리카 | 가이아나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북아프리카 | 리비아 · 모로코 · 수단 · 알제리 · 이집트 · 튀니지 | ||
남아프리카 | 나미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말라위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보츠와나 · 앙골라 · 에스와티니 · 잠비아 · 짐바브웨 | |||
서아프리카 | 가나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말리 · 모리타니 · 베냉 · 부르키나파소 · 세네갈 · 시에라리온 · 적도 기니 · 카보베르데 · 코트디부아르 · 토고 | |||
동아프리카 | 남수단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부룬디 · 세이셸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지부티 · 코모로 · 케냐 · 탄자니아 | |||
중앙아프리카 | 가봉 · 상투메 프린시페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차드 · 카메룬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오스트랄라시아 | 뉴질랜드 · 호주 | ||
멜라네시아 | 바누아투 · 솔로몬 제도 · 파푸아뉴기니 · 피지 | |||
미크로네시아 | 나우루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키리바시 · 팔라우 | |||
폴리네시아 | 사모아 · 통가 · 투발루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000><colbgcolor=#fff>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국장 |
역사 | 역사 전반 | |
시대 | 호타키 왕조 · 아프샤르 왕조 · 두라니 왕조 · 바라크자이 왕조 ·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 북부동맹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2021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공세 · 2021년 아프가니스탄 내전 · 2021년 아프가니스탄 사태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탈레반 ·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 · 아프가니스탄 마오주의 공산당 | |
외교 | 외교 전반 ·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 · 듀랜드 라인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가니스탄 여권 | |
경제 | 경제 전반 ·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 | |
국방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아프가니스탄/성문화 · 노루즈 · 얄다 · 제자일 · 요리 · 아프가니스탄 크리켓 국가대표팀 · 아프가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 다리어 · 파슈토어 · 아프가니스탄/언어 | |
인물 | 자말룻딘 알 아프가니 · 하미드 카르자이 · 아슈라프 가니 · 암룰라 살레 · 아흐마드 샤 마수드 · 아흐마드 마수드 | |
지리 | 힌두쿠시 산맥 · 와칸 회랑 | |
민족 | 아프가니스탄인 · 아프가니스탄계 미국인 · 아프가니스탄계 인도인 · 아프가니스탄계 이란인 · 아프가니스탄계 독일인 · 아프가니스탄계 러시아인 · 파슈툰족 | |
기타 | 제국의 무덤 | |
역대 아프가니스탄 관련 틀: | ||
}}}}}}}}} |
| |
| |
1. 개요
아프가니스탄을 지배하고 있는 탈레반의 군대에 대해 서술한 문서이다.통수권자는 탈레반의 지도자이자 아프가니스탄의 지도자인 하이바툴라 아훈드자다.
그러나 해당 인물이 바지사장취급을 받는탓에 실질적인 통수권자는 압둘 가니 바라다르이다.
2. 상세
2.1. 육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5px -0px -11px;" | <colbgcolor=#ffffff,#191919> 아프가니스탄군 (2021 ~ 현재) د افغانستان اسلامي امارت | ||||
기타전차 | L3/35 | ||||
MBT | <colbgcolor=#ffffff,#191919> 1세대 | T-55 | |||
2세대 | T-62M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M1117 | |||
궤도장갑차 | M113, BMP-1 (ZU-23-2), BMP-2 | ||||
MLRS | BM-27 우라간 | ||||
차량 | 소형 | 험비, M1224 MaxxPro, 포드 레인저, 도요타 하이럭스, 테크니컬 | |||
트럭 | 나비스타 7000, 웨스턴 스타 트럭, FMTV | ||||
대공미사일 | 스커드 B형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이슬람 토후국군 보병장비(1994 ~ 현재)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colbgcolor=white,#191919>AK-47, AKM, 56식, M70, AK-74, wz.96, M16A2, M16A4, M4, C7 | |||
저격소총 | SVD, PSL, SR-25, M24 | |||||
기관단총 | PM-63, MP5 | |||||
권총 | TT-33, 마카로프 PM, 베레타 M9, 스테츠킨 APS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RPD, RPK, PK, PKM, M249, M240, FN MAG | |||
중기관총 | DShK, SG-43, KPV, M2HB, M134 | |||||
대전차화기 | RPG-7, 9K115-2, M47, NLAW | |||||
의장용 화기 | 모신나강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군의 전력 대부분을 흡수했다. 미군 노획 장비와 구소련제 장비를 주력으로 삼고 있다.
이 노획 장비 덕분에 탈레반들의 장비수준이 매우 높아졌지만 정비를 못 하는 관계로 점차 퇴화할 여지가 있다.
간혹 유튜브에서 아랍어나 아프간 관련 영상을 보면 이슬람공화국군 코만도의 장비를 상당부분 노획했는지 탈레반서 중요도가 높은 부대들은 서방 특수부대 못지 않게 장비가 현대화가 되었다.
2.2. 공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군|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군 (1996~2001 / 2021~현재) ]]''' د اسلامي امارت وسله وال ځواکونه | ||||
<colbgcolor=#FFF> 회전익기 | <colbgcolor=#FFF> '''[[무장헬기| 경헬기 ]]''' | MD 530F 카유스 워리어 | HAL 치타 | |||
''' 다목적 헬기 ''' | Mi-17(-V5) | MI-8MTV-1 | UH-60A+ 블랙 호크 | UH-1H 휴이 | ||||
공격헬기 | Mi-24V | ||||
공격기 | A-29B 슈퍼 투카노G | AC-208 캐러밴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An-32B | |||
다목적기 | 세스나 208 | ||||
'''[[무인기|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G | |||
※ 윗첨자G: 전량 비행 불가 추정 기종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3. 관련 문서
- 편제